KR100648110B1 -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110B1
KR100648110B1 KR1020050083978A KR20050083978A KR100648110B1 KR 100648110 B1 KR100648110 B1 KR 100648110B1 KR 1020050083978 A KR1020050083978 A KR 1020050083978A KR 20050083978 A KR20050083978 A KR 20050083978A KR 100648110 B1 KR100648110 B1 KR 10064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lock
anchor bar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도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신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신도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8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에 의하여 수평, 상하로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각도조절바에 의하여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보강토 옹벽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토 블록은 상부 연결홈; 및 하부 연결홈;을 포함하며,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에 의하여 서로 결속되고, 하부연결홈과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 사이에 각도조절바가 설치된다.
보강토옹벽, 쐐기 바

Description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Retaining Wall System with connected Anchor Bar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ble to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gle}
도 1a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설치 사시도 및 설치단면도이며,
도 1d 및 도 1e는 종래의 지오그리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f는 종래의 경사진 보강토 옹벽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연결앵커바 및 앵커바를 도시한 것이며,
도 2e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바를 도시한 것이며,
도 2f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너부를 포함한 보강토 블록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바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보강토 블록 111:상부연결홈
112:하부연결홈 200:연결 앵커바
300:앵커바 400:각도조절바
500:수평보강재 600:기초부
본 발명은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오그리드를 포함한 수평보강재 및 보강토 블록을 이용하여 사면에 보강토 옹벽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설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보강토 옹벽(10)은 크게 보강토 블록(11) 및 상기 보강토 블록(11)에 한 측면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면단부는 배면토(12) 후방까지 연장되어 수평으로 포설되는 지오그리드(13, Geogrid, 섬유보강재)로 구성되며, 층별로 지오그리드(13)가 포설된 배면토를 다져가면서 최종 높이까지 옹벽용 블록(11) 및 지오그리드(13)를 쌓아 가면서 사면을 보강하는 방법이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강토 옹벽의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이 다.
상기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보강토 블록(20)은 통상 모르타르 제품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며, 기계적 맞물림 통하여 상, 하,좌,우로 쌓아지게 되며, 각 보강토 블록(20)은 쐐기형 막대(21)에 의하여 상,하,좌,우 서로 결속되도록 하고 있으며, 도 1c와 같이 상기 쐐기형 막대(21)에 지오그리드(22)의 전단부가 감겨져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상기 쐐기형 막대(21)에 의하여 보강토 블록(20) 상,하,좌,우가 서로 결속되도록 하고 있어 블록간의 연결을 공고히 할 수 있고, 지오그리드(22)가 상기 쐐기형막대(21)에 감겨져 설치되므로 지오그리드(22)가 보강토 블록(20)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토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수평 선형유지 및 국부적 초기 이동방지 등에 있어 보다 확실한 수평방향 결속기능이 요구되었으며, 지오그리드(22)를 설치하기 위하여 쐐기형막대(21) 주위를 감싸면서 설치하는 방법보다 보다 용이한 설치방법이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보강토 옹벽의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d는 강성 지오그리드(30)를 도 1e는 연성 지오그리드(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강성 지오그리드(3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강제 연신하는 방법으로 연결판에 의하여 서로 평면형태로 연결 제작된 것이며, 연성지오그리드(40)는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PVC를 코팅하여 격자형태로 성형된 것이 주로 이용 된다. 이러한 지오그리드는 섬유보강재라는 명칭으로도 지칭되기도 한다.
상기 지오그리드(30,40)는 도 1b 및 도 1c와 같이 보강토 옹벽에 설치된 쐐기형 막대(21,23)에 감아지거나, 미도시 하였지만 핀과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보강토 블록에 전면부가 고정되면서 배면토 후방까지 포설되어 다층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때, 보강토 블록을 쌓아가면서 블록의 설치각도(배면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태)는 옹벽의 안식각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사는 도 1f와 같이 보강토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50) 및 전단홈(60)의 형성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보강토 블록의 전단키(50)를 기준으로 전단홈(60)은 보강토 블록의 하면에 형성되되 전단키(50)보다 전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보강토 블록을 쌓아가면서 전단키(50)가 전단홈(60)에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배면토 방향으로 경사지게 보강토 블록을 쌓아 갈 수 있게 되어 보강토 옹벽의 전체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보강토 블록의 전단키 및 전단홈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보강토 블록의 설치 각도를 형성시킬 수는 있으나 이를 현장조건 및 설계조건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보강토 옹벽의 다양한 설치각도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강토 블록은 주로 프리캐스트 모르타르 제품이 많이 사용되는데 그 특성상 내구성이 크지 않아 운반, 시공에 있어 파손되는 현상이 많아 이점 또한 개 선사항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 옹벽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 수평 결속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내구성이 뛰어나며, 보다 제작이 용이하며, 설치방법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수직키가 형성된 바 형태의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수직, 수평으로 보다 확실하게 서로 결속되도록 하였으며,
둘째, 상기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 상, 하부 연결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와 함께 하부연결홈에 각도조절바를 설치하여 각도조절바의 설치개수 및 두께에 따라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셋째, 보강토 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합성섬유보강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로 보강토 블록이 제작되도록 하여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그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을 차례대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상기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은
머리부(110)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이가 폭보다 깊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111);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연결홈(112);을 포함하는 보강토 블록(100)이,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210)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220)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200)에 의하여 서로 수평으로 결속되며, 상기 결속은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 연결홈에 연결 앵커바(200)의 수직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앵커바의 다른 수직키가 연접된 보강토 블록의 상부연결홈에 삽입됨으로서 보강토 블록이 서로 기계적으로 수평으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100)을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상기 보강토 블록(100)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보강토 블록(100)은 도 2a와 같이 크게 머리부(110)와 꼬리부(120)로 구성되며, 프리스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보강토 블록(100)은 통상 무근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그 강도가 낮아 자칫 운반, 설치과정에서 파손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하되,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합성섬유보강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로 보강토 블록을 제작한다. 상기 합성섬유보강재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라미드 및 나일론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합성섬유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강도에 있어 그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머리부(110)에는 중량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설치 후 잡석을 포함한 뒷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블록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다면체인 입방체 형태로 제작되게 되며, 이러한 머리부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머리부와 함께 일체로 꼬리부(120)가 형성되는 데 역시, 관통홀(130)이 역시 형성되어 뒷채움재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머리부(110)에 형성된 관통홀(111)과 꼬리부(120) 사이 상면에, 보강토 블록(100)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111)이 형성되며, 연결 앵커바(200) 및 앵커바(300)의 수직키(220,320)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상부 연결홈(111)은 소정의 깊이(h1) 정확하게는 후술되는 연결 앵커바(200) 및 앵커바(300)의 수직키(220,320)의 돌출 길이보다 약간 큰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게 되며,
또한 상부 연결홈(111)은 보강토 블록(100)의 상면에 노출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그 연장 길이는 보강토 블록 전체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도록 하게 되지만 달리 제한 사항은 없다.
또한 상부연결홈(111)의 폭(d1)은 연결 앵커바(200) 및 앵커바(300)의 수직키(220,320)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 연결홈(111)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도 2b와 같이 머리부(110)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하부 연결홈(112)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연결홈(112)은 후술되는 연결 앵커바(200), 앵커바(300) 및 각도조절바(400)가 설치되는 공간 역할을 하게 된다.
그 위치에 있어서 상부 연결홈(111)의 우측면을 기준으로 하부 연결홈(112)의 우측면이 후방으로 다소 크도록(5mm) 하되, 형성 깊이(h2)는 상부 연결홈(111)보다는 작게 구체적으로는 연결앵커바 또는 앵커바의 머리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시키고, 연장길이는 미도시 되었지만 해당 보강토 블록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하부연결홈(112)의 폭(d2)은 상부연결홈(111)의 폭(d1) 보다는 크게 형성시키되 연결앵커바 및 앵커바의 두께보다 개략 4배정도 되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하부연결홈(11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100)에 설치되는 연결 앵커바(200), 앵커바(300) 및 각도조절바(400)를 살펴본다.
도 2c는 본 발명의 연결 앵커바(200)의 사시도 및 A-A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 이다.
상기 연결 앵커바(200)는 도 2c와 같이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210)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수평으로 연접된 보강토 블록의 결속, 상,하로 쌓여진 보강토 블록의 결속 및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수평보강재(500)를 보강토 블록(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몸통부(210)는 직육면체 형태의 바(Bar)형태로 제작되며 플라스틱, 강재, FRP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직키(22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보강토 블록(100a,100b)을 서로 결속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상,하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100c,100d)을 서로 결속시켜주는 전단키 역할을 한다.
즉, 도 2f와 같이 상,하로 설치되는 보강토 블록(100a,100b,100c)의 하부 연결홈(120)과 상부연결홈(110) 사이에 상기 몸통부(210)가 물려지면서 일종의 전단키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전단키 기능에 의하여 보강토 블록이 상,하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키(220)는 전체적으로 바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관으로 몸통부(210)의 하면을 관통 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키(220)는 몸통부(210)와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부착 제작된다.
수직키(220)는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ABS 수지, 알루미늄, 재생 플라스틱, 강화 고무, 합성목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보강토 블록에 작용하는 토압을 포함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재질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몸통부(210)에 적어도 2개의 수직키(220)를 형성시키게 되며 도 2c에는 좌, 우 2개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키(220)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도 2f와 같이 서로 수평 및 상하로 연접하여 설치된 보강토 블록(100a,100b,100c,100d)을 서로 결속시켜 주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즉, 몸통부(210)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키(220)가 보강토 블록(100a,100b,100c,100d)의 상부 연결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몸통부(210)와 함께 연접된 보강토 블록(100a,100b,100c)에 수직키(220)에 의하여 물려져 서로 결속시켜주게 되며, 나아가 하단의 보강토 블록(100a,100b,100c) 및 상단의 보강토 블록(100d)을 서로 결속시켜주는 기능을 더불어 가지게 된다.
즉, 수직키(220)는 도 2g와 같이 몸통부(210)가 상,하 보강토 블록(100a,100b,100c)의 하부 연결홈(112)에 물려진 상태에서 몸통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연결홈(111)에 소정의 깊이로 박혀져 있는 상태가 됨으로서 보강토 블록 상,하 간의 결속력을 더더욱 보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각각의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 연결홈(110)에 수직키(220)가 적어도 1개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보강토 블록(100a,100b)을 수평, 상하 방향으로 결속시키는 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직키(220)를 도 2c와 같이 보호관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관 내부에 철심을 포함한 심재(230)를 더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심재(230)는 먼저 상부연결홈(111)의 깊이에 따른 길이를 가진 철심을 수직키(220)에 삽입시켜 높은 상태에서 상부 연결홈(111)에 수직키(220)를 삽입시 키는 경우, 심재(230)에 의하여 수직키(220)의 저항강도가 증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연결 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미도시 하였지만, 수직키(22)는 앵커바(300)에 직접 천공하여 철심으로만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그 전단강도를 더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키(220)는 도 2f의 발췌도와 같이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격자형 수평보강재(500)의 격자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보강재(500)가 보강토 블록(100)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수직키(220)가 격자형 수평보강재(500)의 격자홀을 관통하면서 상부수평홈(111)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격자형 수평보강재(500)가 보강토 블록(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100)은 별도의 공정없이 연결 앵커바(200)의 수직키(22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수평보강재(5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수직키(220)는 수평 및 상,하 방향의 보강토 블록(100a,100b,100c,100d)간 결속력을 확보하면서 수평보강재(500) 고정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도 2d는 앵커바(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앵커바(300)는 도 2d, 도 2f와 같이 연결 앵커바(200)와 동일하게 몸통부(310) 및 수직키(320)로 구성된다.
연결앵커바(200)와는 달리 수평으로 연접된 보강토 블록간의 연결을 위하여 보강토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토 블록(100a,100b,100c,100d)의 상, 하 결속 및 수평보강재(500)의 고정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단지 연결 앵커바(200)와 비교하여 그 길이가 축소되어 보강토 블록의 상부연결홈(111) 또는 하부연결홈(112)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앵커바(300)는 상부연결홈(111) 또는 하부연결홈(112)에 연결 앵커바(200)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도 3과 같이 연결 앵커바가 설치되지 않는(예컨대 코너부 보강토 블록) 보강토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연결홈에 설치된다.
도 2e는 각도조절바(4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결 앵커바용 및 앵커바용을 따로 도시한 것이며, 이는 각도조절바가 연결 앵커바 또는 앵커바의 몸통부와 접하여 함께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각도조절바(400)는 소정의 두께와 폭방향 길이를 가진 판재 형태의 바로서 형성되며, 그 기능을 살펴보면 도 4b와 같이 먼저 최 하단의 보강토 블록(100e)의 상부 연결홈(111)에 연결 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는 상단의 보강토 옹벽(100f)에 형성된 하부 연결홈(112)에 머리부(210,310)가 물려져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연결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의 몸통부 측면과 하부연결홈의 측면부 사이에 본 발명의 각도 조절바(400)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단의 보강토 블록(100f)은 각도 조절바(400)의 두께(d2)만큼 우측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각도조절바(400)의 두께(d2) 및 설치 개수만큼 상단에 설치되는 보강토 블록(100f)은 우측으로 밀려 설치될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보강토 블록을 상방으로 쌓아갈수록 보강토 블록이 우측으로 밀려 전체적으로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연결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와 접하여 설치되는 하부연결홈(112)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바(400)에 의하여 보강토 옹벽의 설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도 4a와 같이 각도조절바를 설치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그대로 수직으로 보강토 블록을 설치할 수 있는 등 보강토 옹벽의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도조절바(400)의 두께는 다양한 사이즈(d3)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각 층마다 다양한 설치각도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미도시 하였지만 각도조절바(400)와 연결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의 측면(적확하게는 머리부)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고, 달리 부착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의 설치구조>
상기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100)의 설치구조는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머리부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이가 폭보다 깊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연결홈;을 포함하는 상위 보강토 블록(100f)의 상기 하부연결홈(112)에,
상기 보강토 블록(100f)의 하면과 접하여 쌓여진 하위 보강토 블록(100e)의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의 몸통부(210,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부와 접하여 적어도 1개의 각도조절바(400)가 몸통부와 하부연결홈 측면 사이에 더 설치됨으로서,
상기 각도조절바(400)의 두께 또는 설치개수 만큼 상위 보강토 블록(100f)이 각도조절바(40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밀려 설치되어 보강토 옹벽의 전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각도 조절바(4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보강토 옹벽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각도 조절바(400)가 설치되어 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보강토 옹벽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의 보강토 블록은 각도조절바(400)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보강토블록(100d,100e,100f)을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를 이용하여 다수 설치한 경우인데, 각각의 보강토블록은 수평보강재(500)가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의 수직키(220,320)에 의하여 보강토 옹벽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보강재(500)는 하위에 설치되는 것부터 보다 강성이 큰 수평보강재를 설치하여 토압의 작용크기에 따른 수평보강재를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각각의 보강토 블록은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에 의하여 수평 또는 상하로 연속하여 쌓여지게 되는데 별도의 각도조절바(400)를 사용하지 않 는다면, 보강토 블록은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의 몸통부(210,310)가 보강토 블록의 하부 연결홈(112)에 물려진 상태에서, 수직키(220,320)에 의하여 상,하 보강토 블록이 서로 결속되어 설치되게 된다.
도 4b는 도 4a를 기준으로 각도조절바(400)를 하부연결홈(112) 측면과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의 몸통부(210,310)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소정의 두께를 가진 각도조절바(400)가 설치됨에 따라 상위 보강토 블록(100f)은 하위 보강토 블록(100e)보다 그 두께만큼 우측으로 이동 설치될 수 있게 되며, 각 보강토 블록에 각도조절바(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4개의 각도조절바의 두께(4d2)만큼 보강토 블록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각도조절바(400)는 하부연결홈(112)과 연결 앵커바(200) 또는/ 및 앵커바(300)의 몸통부(210,310) 사이에 설치되므로 상기 몸통부와 그 면적 및 형태를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지 않아도 상관은 없다.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의 설치방법>
먼저 본 발명의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의 설치방법은
머리부(110)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111);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하부 연결홈(112);을 포함하는 제 1층 보강토 블록(100a,100b)을 수평으로 서로 연접되도록 설치하고(s1),
2개의 연접된 제 1층 보강토 블록(100a,100b)의 상부연결홈(111) 사이를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210)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220)를 포함하는 1개의 연결 앵커바(200)를 이용하여 결속시키되, 상기 수직키(220)가 각각의 상부연결홈(111)에 적어도 1개가 삽입되도록 하여 보강토 블록(100a,100b)이 서로 수평으로 물려져 결속되도록 하고(s2),
제 1층 보강토 블록의 상면으로 돌출된 연결 앵커바(200)의 몸통부가, 제 1층 보강토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2층 보강토 블록(300a,300b)의 하부연결홈(112)에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제 1층 및 제 2층 보강토 블록이 서로 상,하로 결속되도록 한 상태에서(s3),
상기 제 2층 보강토 블록(300a,300b)의 하부연결홈의 측면(A)과 앵커바 몸통부 측면(B) 사이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형태의 각도조절바(400)를 더 설치(s4)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 높이까지 보강토 블록을 설치하게 된다.
먼저, 도 1a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설치할 지반을 대상으로 시공계획선에 따라 원 지반을 터파기한 후 지반에 잡석을 다지는 등 지반 정지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다져진 잡석 위에 린 콘크리트(버림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레벨링을 위한 모르타르를 형성시키는 등 통상의 보강토 옹벽 설치를 위한 기초부(600) 설치작업을 하게 된다.
기초부(600)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보강토 블록(100)을 이용하여 첫단 보강토 블록(100a)을 기초부(600) 위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각 첫단 보강토 블록(100a)은 서로 수평으로 연접되어 위치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연접된 보강토 블록을 기초부(700) 상부면에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s1 단계이다.
서로 연접되어 설치된 보강토 블록을 본 발명의 연결 앵커바(200)에 의하여 서로 수평으로 결속시키는 단계가 상기 s2 단계이다.
즉, 첫단 보강토 블록(100a) 사이사이에 연결 앵커바(200)를 설치하여 서로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연결 앵커바(200)의 적어도 1개의 수직키가 보강토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연결홈에 삽입됨과 더불어 연결 앵커바의 다른 수직키가 인접한 보강토 블록의 상부연결홈에 삽입 설치되어 수직키에 의하여 보강토 블록이 서로 위치가 구속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첫단 보강토 블록(100a) 배면에는 배면토를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통해 첫단 보강토 블록 배면에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수평보강재(5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작업을 하게 된다.
더불어 연결앵커바 및 앵커바를 첫단 보강토 블록(100a)에 설치하면서, 수평보강재(500)를 보강토 블록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연결앵커바 및 앵커바의 수직키가 블록의 상부연결홈에 삽입되면서, 수평보강재인 격자형 지오그리드의 격자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간단하게 수평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과 같이 코너부에 설치되는 보강토 블록의 경우와 같이 서로 연접된 다른 보강토 블록과 수평방향 결속을 확보하지 않는 경우는 앵커바를 이용하여 수평보강재를 보강토 블록에 고정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격자형 지오그리드와 같은 수평보강재와 같이 수직키에 의하여 물려 보강토 블록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수평보강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수평보강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첫단 보강토 블록(100a)에 연결 앵커바 또는 앵커바를 이용하여 수평보강재(500)를 설치할 때, 본 발명의 철심을 포함한 심재를 앵커바의 수직키에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토 블록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경사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각도조절바(400)를 설치하게 된다.
즉 판재 형태의 각도조절바(400)를 도 4b와 같이 수평보강재(500)가 보강토 블록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 앵커바 또는 앵커바의 몸통부와 하부 연결홈(112)의 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각도조절바(4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바(400)는 결국 연결 앵커바 또는 앵커바의 몸통부와 접하게 되므로 접착제에 의하여 양자를 부착시킬 수 있으나 반드시 접착을 전제로 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다.
나아가 보강토 블록에 형성시킨 관통홀(130)에 뒷채움재를 채우는 작업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각도조절바(400)가 설치된 첫단 보강토 블록(100a) 위에 상위 보강토 블록(100b)을 쌓게 되는데, 상위 보강토 블록의 하부연결홈이 첫단 보강토 블록(100a)에 설치된 연결 앵커바(200) 또는 앵커바(300)에 물려지도록 설치하게 된 다.
상위 보강토 블록에 있어 그 상부연결홈에 다시 연결 앵커바, 앵커바, 수평보강재 및 각도조절바의 설치는 동일한 공정으로 반복되게 되며, 소정의 최종 높이까지 보강토 블록을 쌓아 설치하게 된다.
이로서, 각도조절바(400)에 따른 일정한 경사를 보강토 옹벽이 가지게 되는데, 각도조절바의 두께 및 설치 개수에 따라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보강토 옹벽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최종 상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보강토 옹벽에 의한 아치터널 단면형태를 제작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 앵커바, 앵커바, 각도조절바가 구비된 보강토 블록 및 수평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보강토 옹벽 설치각도를 각도조절바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보강토 블록의 수평, 상하 결속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토 블록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내구성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11)

  1. 머리부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이가 폭보다 깊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연결홈;을 포함하는 보강토 블록이,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에 의하여 서로 수평으로 결속되며, 상기 결속은 보강토 블록의 상부 연결홈에 연결 앵커바의 수직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앵커바의 다른 수직키가 연접된 보강토 블록의 상부연결홈에 삽입됨으로서 보강토 블록이 서로 기계적으로 수평으로 맞물려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홈에는 상부 연결홈의 전체 연장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앵커바가 연결 앵커바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적어도 1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앵커바는 상면에 설치되는 다른 보강토 블록의 하부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의 몸통부는 사면체 봉으로 형성되며, 수직키는 타원형 또는 원형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앵커바 및 앵커바의 수직키는 타원형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타원형 중공관에는 철심을 포함한 심재가 더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홈에는 보강토 블록의 하면에 접하여 쌓아지는 다른 보강토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연결홈에 설치된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의 몸통부가 수용되어 상,하로 보강토 블록이 서로 기계적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블록은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보강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의 수직키가 상부연결홈에 삽입되면서,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격자형 수평보강재의 격자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보강재가 보강토 블록에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에 물려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8.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머리부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이가 폭보다 깊이 파여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 1 보강토 블록의 상기 하부연결홈에,
    제 1 보강토 블록의 하면과 접하여 쌓여진 다른 보강토 블록의 연결 앵커바 및 앵커바의 몸통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부와 접하여 몸통부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적어도 1개의 각도조절바가 몸통부와 하부연결홈 측면 사이에 더 설치됨으로서,
    상기 각도조절바의 두께 또는 설치갯수 만큼 제 1 보강토 블록이 각도조절바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밀려 설치되어 보강토 옹벽의 전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접착제에 의하여 앵커바의 몸통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10. 머리부 상면에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이가 폭보다 깊이 파여 져 형성된 상부 연결홈; 및 상기 수평 연결홈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부 하면으로부터 보강토 블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여져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 1층 보강토 블록을 수평으로 서로 연접되도록 설치하고,
    2개의 연접된 제 1층 보강토 블록의 상부연결홈 사이를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연결 앵커바를 이용하여 결속시키되, 상기 수직키가 각각의 상부연결홈에 적어도 1개가 삽입되도록 하여 보강토 블록이 서로 수평으로 물려져 결속되도록 하고,
    제 1층 보강토 블록의 상면으로 돌출된 연결 앵커바의 몸통부가, 제 1층 보강토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2층 보강토 블록의 하부연결홈에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제 1층 및 제 2층 보강토 블록이 서로 상,하로 결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층 보강토 블록의 하부연결홈의 측면과 앵커바 몸통부 사이에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형태의 각도조절바를 더 설치하되, 상기 각도조절바의 두께 및 설치개수를 조정하여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 보강토 옹벽의 상부 연결홈과 제 2층 보강토 옹벽의 하부 연결홈 사이에, 상부연결홈에는 연결홈의 전체 연장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수평 바 형태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하면에 돌출된 수직키를 포함하는 수직연결부재가 단독 또는 연결 앵커바와 함께 적어도 1개를 더 설치하되, 상기 연결 앵커바와 앵커바의 수직키에 격자형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수평보강재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방법.
KR1020050083978A 2005-09-09 2005-09-09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64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78A KR100648110B1 (ko) 2005-09-09 2005-09-09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78A KR100648110B1 (ko) 2005-09-09 2005-09-09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196U Division KR200404055Y1 (ko) 2005-09-12 2005-09-12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110B1 true KR100648110B1 (ko) 2006-11-24

Family

ID=3771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78A KR100648110B1 (ko) 2005-09-09 2005-09-09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273A (ko) 2015-05-27 2016-12-07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한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247B1 (ko) 2019-04-09 2020-04-07 김제현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234513B1 (ko)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357A (ko) * 1999-05-28 2000-12-15 최호광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10-29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324510Y1 (ko) 2003-02-19 2003-08-25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KR100415014B1 (ko) 2001-05-10 2004-01-13 강승문 성토체 보강용 조립세트
KR200339448Y1 (ko) 2003-10-28 2004-01-28 (주)청호에코텍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354134Y1 (ko) 2004-03-08 2004-06-23 김목치 블록식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357A (ko) * 1999-05-28 2000-12-15 최호광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
KR100415014B1 (ko) 2001-05-10 2004-01-13 강승문 성토체 보강용 조립세트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10-29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324510Y1 (ko) 2003-02-19 2003-08-25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KR200339448Y1 (ko) 2003-10-28 2004-01-28 (주)청호에코텍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354134Y1 (ko) 2004-03-08 2004-06-23 김목치 블록식 보강토 옹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273A (ko) 2015-05-27 2016-12-07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한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247B1 (ko) 2019-04-09 2020-04-07 김제현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234513B1 (ko)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854220B2 (en) Retaining wall system
US6490837B1 (en) Retaining wall system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JP2007291707A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980860B1 (ko)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648110B1 (ko)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200404055Y1 (ko)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KR101679727B1 (ko) 판상 마찰앵커체에 의한 앵커지지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JP7115817B2 (ja) 大型土嚢を用いた補強土壁及び大型土嚢を用いた土留め方法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217839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EP4267804A1 (en) Retaining-wall panel system and flexible reinforcement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therefor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102016974B1 (ko) 소일 네일 정착 및 횡결속 구성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옹벽
KR20120000391A (ko)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217974313U (zh) 增强复合地基侧向约束力的结构
JPH02190517A (ja) 擁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