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840A -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840A
KR20040027840A KR1020040016708A KR20040016708A KR20040027840A KR 20040027840 A KR20040027840 A KR 20040027840A KR 1020040016708 A KR1020040016708 A KR 1020040016708A KR 20040016708 A KR20040016708 A KR 20040016708A KR 20040027840 A KR20040027840 A KR 2004002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etaining wall
coupling groove
stone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999B1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ublication of KR2004002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3Including fibers made from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벽면(산벽)(6)에 보강토(7)를 쌓으면서 일정높이마다 내단에 고정된 지지판(8)이 보강토내에 매립되고 외단은 최외각 옹벽에 고정되도록 그리드(10)를 수평으로 설치하면서 보강토 외측에는 자갈로된 배수층(13)을 설치하고, 그 배수층(13)의 외측에 옹벽 축조용 자연석이나 콘크리트 블럭으로된 옹벽용 적층물(이하 석재라함)을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하 석재(1)(2)를 일정규격의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마름질하여 그 상하 석재(1)(2)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장방형 경사결합홈(1a)(2a)을 천설하고, 상하 석재의 저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장방형 수평결합홈(1b)(2b)을 천설하여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의 일정위치에 하부가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인 고정구(3)를 삽입고정한 다음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에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이 삽입되게 결합하여 상기 경사결합홈(2a)에 고정구(3)가 삽입된 위치와 상기 수평결합홈(1b)과의 벌어진 각도만큼 상기 상하 석재(1)(2)가 직립되거나 경사지게 결합, 축조되게하므로서 직립형이나 경사형의 옹벽을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축조할 수가 있어서 시공이 간편 용이하고 재료비 및 인건비등 시공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Process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diversely}
본 발명은 경사진 벽면(산벽)에 자연석이나 내부가 꽉찬 콘크리트 블럭으로 외면이 직립되거나 경사지게 옹벽을 다양하게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단에 고정된 지지판이 보강토에 매립되고 외단은 최외각 옹벽에 고정되도록 일정높이마다 그리드를 설치하고 보강토 외측에는 자갈로된 배수층을 설치하면서 그 외벽의 외측에 자연석이나 내부가 꽉찬 콘크리트 블럭(이하 석재(石材)라고 함)으로 옹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석재의 상면에는 장방형 경사결합홈을, 저면에는 수평결합홈을 천설하여 그 결합홈들의 적정위치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상하 석재를 직립 또는 경사지게 결합고정하여 직립형이나 경사형 옹벽을 다양하게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벽(경사진 벽면)에 보강토와 함께 자연석이나 콘크리트 블럭으로 옹벽을 축조시에는 침투되는 수압이나 토압에 의해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면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갈수록 점차 경사면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쌓게되고 그나마도 높은 옹벽의 경우에는 자연석과 자연석 또는 콘크리트 블럭과 블럭(석재) 사이는 그라우트재나 모르타르 또는 합성수지 접착제등 고착제를 채워서 고정하여야 했었다.
이와같은 옹벽쌓기는 석재를 경사지게 쌓아 올려야 하므로 옹벽 위의 지면이 좁아지는 폐단이 있었고 또한 석재 사이마다 고착제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재료비,인건비 및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석재의 상부나 측면의 일정 부위에 강봉을 삽입하여, 상부의 강봉에는 석재을 올려 놓으면서 쌓고 측면의 강봉에는 강봉을 삽입하고 거기에 그리드를 연결한 다음 그 그리드의 일단을 보강토 내에 매립되게 하므로서 그리드에 의해 옹벽이 무너지지 않고 지지하도록한 것을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0-2002-0025446호로 선출원한 바 있으나 이 경우는 석재의 상하 측면의 여러군데에 강봉을 삽입해야 하고 그렇게 강봉이 삽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드에 연결된 강봉이 자연석에 수평으로 삽입지지되어 있어서 강봉 삽입공내에 접착제나 쐐기를 박아 고정해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따라서 그리드에 의한 자연석의 수평 지지력이 약하여 옹벽을 직립으로 쌓기가 어려운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여 옹벽을 직립으로 쌓아서 옹벽에 의해 형성된 옹벽 상부의 지면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서 석재와 석재 사이를 모르타르, 그라우트재 또는 합성수지 접착제등 고착제로 고착하면서 석재를 직립으로 쌓아서 직립된 옹벽을 형성한 예를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25625호로 선출원한 바 있으나, 이 방법 또한 석재와 석재 사이에 일일이 고착제로 고착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까다롭고 따라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값비싼 원자재도 많이 소모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고착제의 농도나 접착 강도에 따라 석재가 이탈될 수도 있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경사진 옹벽이나 직립 옹벽쌓기(축조)의 결점을 해소하여 적은 재료비와 간편한 시공 및 구조로 옹벽을 직립축조하거나, 경사 축조하기위하여, 경사진 산벽(6)에 보강토(7)를 채우면서 일정높이마다 내단의 지지판(8)이 보강토내에 매립되게 그리드(10)를 설치하고 보강토(7)외측에는 자갈로된 배수층(13)을 설치하면서, 그 배수층(13)의 외측에 자연석이나 콘크리트 블럭으로된 옹벽 적층물(이하 "석재"라 함)을 바탕 콘크리트(5)를 기초로하여 차례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옹벽용 상하 석재(1)(2)를 일정규격의 육면체에 가깝도록 마름질한 다음, 그 상하 석재(1)(2)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장방형의 경사진 경사결합홈(1a)(2a)을 천설하고 그 저면에는 상기 경사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장방형의 수평결합홈(1b)(2b)을 천설하여, 하부 석재(2) 상면의 경사결합홈(2a)에, 하부는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인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하고, 고정구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 저면의 수평결합홈(1b)에 결합하여 옹벽을 축조하되, 일정높이마다 적층되는 그리드(10)의 외단 구멍에 상부 봉형(4b)이 삽입고정되게하면서, 수직형 옹벽을 축조시에는,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에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한 다음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좌단(11a)쪽에 유동적으로 삽입시켜 상하 석재(1)(2)가 반반씩 서로 엇갈리게한 상태로 결합하여 수직옹벽을 축조하고, 경사형 옹벽을 축조시에는, 상하 석재(1)(2)의 필요로하는 경사각도에 따라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의 경사진 위치를 정한 다음 그 위치에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하고 상기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하 석재(1)(2)가 서로 반반씩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하므로서 상기 하부 석재(2)의 경사결합홈(2a)에 상기 고정구(3)가 놓인 위치와 그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과 이루는 경사각만큼 상부 석재(1)가 하부 석재(2)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축조된 경사형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제공코저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직립되게 축조된 옹벽의 일예시 측단면도.
도 2 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경사지게 축조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경사지게 축조된 옹벽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육면체 형태로 마름질하여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의 상하부 석재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5(a)의 상하부 석재를 결합한 요부 결합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마름질한 상하부 석재에 고정구 결합위치를 달리한 상하부 석재의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6(a)의 상하부 석재를 결합한 결합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일예시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타예시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상하 석재1a,2a ; 경사결합홈
1b,2b ; 수평결합홈3 ; 고정구
5 ; 바탕 콘크리트4a ; 쐐기형
4b ; 봉형6 ; 벽면(산벽)
7 ; 보강토8 ; 지지판
10 ; 그리드11a,11b ; 수평홈 좌우단
12a,12b ; 경사진 홈 좌우단13 ; 배수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경사진 벽면(산벽)(6)에 토석이나 잡석등으로된 보강토(7)를 쌓으면서 일정높이마다 내단에 고정된 지지판(8)이 보강토내에 매립되게 그리드(10)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보강토 외측에는 잡석을 내포한 자갈로된 배수층(13)을 설치하면서, 그 배수층(13) 외측에 자연석이나 속이 찬 콘크리트 블럭으로된 옹벽용 적층물(이하 석재(石材)라고 함)을 바탕 콘크리트(5)를 기초로 차례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하 석재(1)(2)를 일정규격의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마름질한 다음, 그 상하 석재(1)(2)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장방형의 경사진 경사결합홈(1a)을 천설하고, 그 상하 석재의 저면에는 우단(11b)이 상기 상면 경사결합홈(1a)의 우단(12b)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장방형 수평결합홈(1b)을 천설하여, 하부 석재(2) 상면의 경사결합홈(2a)에, 하부는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인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하고, 상부 석재(1) 저면의 수평결합홈(1b)에는 상기 고정구의 상부 봉형(4b)을 유동적으로 결합하여 수직옹벽이나 경사진 옹벽을 축조하되, 일정높이마다 적층되는 그리드(10)의 외단 구멍에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이 삽입고정되게하면서, 수직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는, 도1과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에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한 다음, 그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좌단(11a)쪽에 유동적으로 삽입시켜 상하 석재(1)(2)가 반반씩 서로 엇갈리게한 상태로 상하 석재(1)(2)를 수직결합하여 수직옹벽을 축조하고, 경사진 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는, 도3와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석재(1)와 하부 석재(2)가 경사지게 할만큼의 각도를 고려하여,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에 임의의 위치를 정하여 거기에 상기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한 후,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하 석재(1)(2)가 서로 반반씩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임의의 위치에 유동적으로 삽입고정하여 상기 하부 석재(2)의 상부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과 일정거리 떨어져 삽입된 고정구(3)사이의 경사진 각도만큼 상부 석재(1)가 하부 석재(2)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축조된 경사형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구(3)의 재질은 유리섬유(Fibre glass)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중에서 선택되고, 그 형태는, 도7(a)(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는 원추형이나 각추형으로된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옹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경사진 산벽(6)을 채우는 보강토(7)내에 그리드(10)와 그 내단의 지지판(8)이 매립되어 있어서 보강토(7)를 견고하게 지탱하게 하므로써 지지력이 우수하여 옹벽이 축조되드라도 무너지거나 밀려남이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은 이미 선출원된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이며, 다만 본 발명 방법에의한 옹벽 축조방법은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마름질한 상하 석재(1)(2)의 상면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결합공(1a)(2a)을 천설하고 그 저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각각 수평되게 수평결합홈(1b)(2b)를 천설하여 그 상하 석재(1)(2)의 경사결합공(2a)과 수평결합공(1b)에, 하부가 쐐기형(4a)이고 상부가 봉형(4b)인 고정구(3)를 위치를 달리하면서 삽입하여 상하 석재(1)(2)를 결합고정하므로써 직립형이나 경사형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본원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직형 또는 경사형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 석재(1)(2)를 수직으로 결합고정하여 수직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에는, 도5(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석재(1) 저면의 수평결합공(1b)과 그것에 대응되는 하부 석재(2)상면의 경사결합공(2a)이 고정구(3)에의해 결합되도록 하기위하여 고정구(3)의 쐐기형 하부(4a)는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공(2a)의 우단(12b)에 삽입고정하고 상기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의 하부 수평결합공(1b)의 좌단(11a)쪽 적정위치에 유동적으로 삽입시켜 상하 석재(1)(2)가 서로 반반씩 엇갈리게한 상태로 상하 석재(1)(2)가 결합되도록하면, 상하 석재(1)(2)가 상하에서 서로 엇갈리면서 수직으로된 수직옹벽이 축조되게되는 것이며,
상기와는 달리 상하 석재(1)(2)를 전후로 경사지게 결합하여 경사형 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는, 도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 석재(1)(2)가 경사지게 결합할만큼의 상기 하부 석재(2) 상면의 경사결합홈(2a)의 적정위치에 상기 고정구(3)의 쐐기형 하부(4a)를 삽입고정한 다음,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좌단(11a)쪽 적정위치에 유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삽입시켜 상하 석재(1)(2)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도록하면, 하부 석재(2)의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과 그 경사결합홈(2a)에 고정구(3)가 삽입고정된 위치가 이루는 경사각도만큼 상하 석재(1)(2)가 전후면으로 경사지도록 결합되어 경사진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축조되는 옹벽은 공지된 바와같이, 내단의 지지판(8)이 보강토내에 매립되고 외단은 석재 옹벽에 고정된 그리드(10)에 의해 보강토(7)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강력한 지지력을 갖는 효과가 있으면서, 직립형이나 경사형으로 축조되는 옹벽은 상하 석재(1)(2)가 그 석재들의 상면에 천설된 경사결합홈(1a)(2a)과 그 저면에 천설된 수평결합홈(1b)(2b)에 의하여 고정구(3)에의하여 상하는 엇갈리면서 전후로는 직립 또는 경사지게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결합고정되므로 상하 석재(1)(2)가 상하 직립되거나 전후로 경사지게 축조되므로 다양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경사진 벽면(산벽)(6)에 토석이나 잡석등으로된 보강토(7)를 쌓으면서 일정높이마다 내단에 고정된 지지판(8)이 보강토내에 매립되게 그리드(10)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보강토 외측에는 잡석을 내포한 자갈로된 배수층(13)을 설치하면서, 그 배수층(13) 외측에 자연석이나 속이 찬 콘크리트 블럭으로된 옹벽용 적층물(이하 석재(石材)라고 함)을 바탕 콘크리트(5)를 기초로 차례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하 석재(1)(2)를 일정규격의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마름질한 다음, 그 상하 석재(1)(2)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장방형의 경사진 경사결합홈(1a)을 천설하고, 그 상하 석재의 저면에는 우단(11b)이 상기 상면 경사결합홈(1a)의 우단(12b)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장방형 수평결합홈(1b)을 천설하여, 하부 석재(2) 상면의 경사결합홈(2a)에, 하부는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인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하고, 상부 석재(1) 저면의 수평결합홈(1b)에는 상기 고정구의 상부 봉형(4b)을 유동적으로 결합하여 수직옹벽이나 경사진 옹벽을 축조하되, 일정높이마다 적층되는 그리드(10)의 외단 구멍에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이 삽입고정되게하면서, 수직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는,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에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한 다음, 그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좌단(11a)쪽 적정위치에 유동적으로 삽입시켜 상하 석재(1)(2)가 반반씩 서로 엇갈리게한 상태로 상하 석재(1)(2)를 수직결합하여 수직옹벽을 축조하고, 경사진 옹벽을 축조하고져할때는, 상부 석재(1)와 하부 석재(2)가 경사지게 할만큼의 각도를 고려하여, 하부 석재(2)의 상면 경사결합홈(2a)에 임의의 위치를 정하여 거기에 상기 고정구(3)의 하부 쐐기형(4a)을 삽입고정한 후, 고정구(3)의 상부 봉형(4b)은 상하 석재(1)(2)가 서로 반반씩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상부 석재(1)의 저면 수평결합홈(1b)의 좌단(11a)쪽 임의의 위치에 유동적으로 삽입고정하여 상기 하부 석재(2)의 상부 경사결합홈(2a)의 우단(12b)과 일정거리 떨어져 삽입된 고정구(3)사이의 경사진 각도만큼 상부 석재(1)가 하부 석재(2)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축조된 경사형 옹벽을 축조함을 특징으로하는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고정구(3)의 재질은 유리섬유(Fibre glass)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중에서 선택되고, 고정구(3)는 상부는 원추형이나 각추형으로된 쐐기형(4a)이고 상부는 봉형(4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KR1020040016708A 2003-07-08 2004-03-12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KR10058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922 2003-07-08
KR1020030045922A KR20030066514A (ko) 2003-07-08 2003-07-08 직립 축조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840A true KR20040027840A (ko) 2004-04-01
KR100581999B1 KR100581999B1 (ko) 2006-05-22

Family

ID=322271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22A KR20030066514A (ko) 2003-07-08 2003-07-08 직립 축조 옹벽
KR1020040016708A KR100581999B1 (ko) 2003-07-08 2004-03-12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22A KR20030066514A (ko) 2003-07-08 2003-07-08 직립 축조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665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8B1 (ko) * 2005-05-19 2008-02-12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시공 방법
KR101276327B1 (ko) * 2012-12-28 2013-06-18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05851A (zh) * 2015-05-07 2015-07-29 重庆交通大学 边坡格构梁伸缩缝抗弯矩加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5B1 (ko) * 2003-07-31 2006-10-04 최종선 자연제방 축조 시공방법
CN107558480B (zh) * 2017-07-07 2019-07-02 江苏镇江路桥工程有限公司 路基三维排水加强型生态护坡结构的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8B1 (ko) * 2005-05-19 2008-02-12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시공 방법
KR101276327B1 (ko) * 2012-12-28 2013-06-18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05851A (zh) * 2015-05-07 2015-07-29 重庆交通大学 边坡格构梁伸缩缝抗弯矩加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514A (ko) 2003-08-09
KR100581999B1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7221B2 (en) Improved permanently installed building foundation form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CN211549117U (zh) 一种装配式围墙
JP2001311169A (ja) 擁壁用ブロック
KR100581999B1 (ko)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CN110984691B (zh) 一种围墙立柱施工方法
CN110984692B (zh) 一种利于施工的围墙立柱
CN111236300B (zh) 道路或桥梁临时挡土墙的预制基座
KR101599931B1 (ko)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HU222363B1 (hu) Eljárás folytonos, vízzáró, illetve szivárgási útnövelő résfal építésére
CN110984693B (zh)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CN211598036U (zh) 拼接浇筑式围墙立柱
KR200328607Y1 (ko) 직립 축조 옹벽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CN211549129U (zh) 一种立柱面板及立柱节段结构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456219B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CN211549060U (zh) 连接耳板及面板连接结构
KR102139214B1 (ko) 격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32944B1 (ko) 흙막이 조립체
CN211473674U (zh) 围墙立柱柱体内部结构
KR101089356B1 (ko)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KR102112678B1 (ko) 결속블록을 구비한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235108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