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327B1 -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27B1
KR101276327B1 KR1020120157375A KR20120157375A KR101276327B1 KR 101276327 B1 KR101276327 B1 KR 101276327B1 KR 1020120157375 A KR1020120157375 A KR 1020120157375A KR 20120157375 A KR20120157375 A KR 20120157375A KR 101276327 B1 KR101276327 B1 KR 10127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ste
sleepers
concrete
sleep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득
김태우
장경모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경모
김태우
정연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경모, 김태우, 정연득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block) 제공단계;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제공단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상기 철부와 결합을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ETAINING WALL BY USING CONCRETE SLEEPERS AND THE RETAINING WALL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흙이 토압에 무너지지 않게 만든 벽으로서, 종래의 옹벽의 종류는 사용 재료에 따라 콘크리트 옹벽, 철근 콘크리트 옹벽, 벽돌 옹벽, 돌쌓기 옹벽 등이 있는데 상기 옹벽들은 시공을 위한 재료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철도용 콘크리트(pc) 침목은 사용연한이 지나면 구조적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바, 현재 이에 따라 발생되는 폐침목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처리비용은 실로 막대한 실정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 왔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60708호(2007.06.13 공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철도용 침목으로 사용된 후 교체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옹벽을 제공함으로써 폐침목을 재활용하고, 옹벽의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block) 제공단계;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제공단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상기 철부와 결합을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철부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하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비 및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 대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비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block); 및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상기 철부와 결합을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이 제공된다.
상기 철부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하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비 및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 대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비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을 이용하여 철도용 침목으로 사용된 후 교체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옹벽을 제공함으로써 폐침목을 재활용하고, 옹벽의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이 적용된 공사현장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이 적용된 공사현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용 침목으로 사용된 후 교체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옹벽을 제공함으로써 폐침목을 재활용하고, 옹벽의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 제조방법은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제공단계,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 제공단계 및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과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이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은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이 나란히 일렬로 배치되어 접착되고, 그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120)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폐침목을 일렬로 배열하여 한 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폐침목을 일렬로 배열하여 다른 층을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폐침목을 적층함으로써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을 형성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을 형성할 수 있기에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은 일부가 돌출된 철부(300)를 포함하고,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은 철부(300)를 수용할 수 있는 요부(400)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은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결합단계는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과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을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의 철부(300)는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를 수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을 형성시,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 폐침목을 적층하여야 한다.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 폐침목을 적층하고, 상기 공간에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을 삽입함으로써, 철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이 결합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에 형성된 철부(300)가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에는 요부(400)가 형성된다.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10)에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을 적층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 적층시에도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복수의 콘크리트 폐침목을 적층하여야 한다.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에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이 삽입되는 공간이 요부(400)가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과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은 상하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의 높이 대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의 높이비 및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 대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비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을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의 높이비에 맞추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에 삽입함으로써,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의 결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 및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을 요부(400) 및 철부(30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더 큰 단위의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블록간의 전단력을 보강하고, 옹벽이 토압에 저항할 때 일체화를 유도하여 옹벽 전체가 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에서는 철부(300) 및 요부(400)가 두개가 형성되어 두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철부(300) 및 요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철부(300) 및 요부(400)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두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철부(300) 및 요부(400)는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크기 및 배치장소에 따라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은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120)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폐침목은 일반적으로 상면이 하면보다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콘크리트 폐침목의 단면은 상부가 좁고 하부는 좁은 변형된 사다리꼴 형상과 유사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폐침목을 나란히 접하며 배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접착되는 각 콘크리트 폐침목 간의 간격을 좁힐수 있게 된다.
각 콘크리트 폐침목 간의 간격을 좁혀 결합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전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치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110)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120)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의 상면은 상면과 접착하게 되고, 동일한 면적의 하면은 하면과 접착하게 되어, 접착면의 효율을 높여 결국 전체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200)의 형성방법은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100)의 형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철망 또는 와이어에 의하여 블록을 구속할 수 있다. 철망 또는 와이어로 블록을 구속함으로써,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부분적인 파괴를 막고 재료의 탈락으로 인한 낙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망을 사용시 밑면이 없는 형태를 구성하여 상하의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요부(400) 및 철부(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고, 또한 철망의 피복이 콘크리트 폐침목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며,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110: 제1 콘크리트 폐침목
120: 제2 콘크리트 폐침목
200: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210: 제3 콘크리트 폐침목
220: 제4 콘크리트 폐침목
300: 철부
400: 요부

Claims (12)

  1.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block) 제공단계;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제공단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상기 철부와 결합을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하로 결합하며,
    상기 철부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블록에 수용되는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부분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수용되는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부분의 비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block); 및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이 나란히 배치되어 접착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이 적층되고 접착되어 형성된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상기 철부와 결합을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하로 결합하며,
    상기 철부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이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나머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과 하면이 교대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접하며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3 콘크리트 폐침목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제4 콘크리트 폐침목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의 높이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폐침목블록에 수용되는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부분 대 상기 제2 콘크리트 폐침목 블록에 수용되는 상기 제5 콘크리트 폐침목의 부분의 비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57375A 2012-12-28 2012-12-28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375A KR101276327B1 (ko) 2012-12-28 2012-12-28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375A KR101276327B1 (ko) 2012-12-28 2012-12-28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327B1 true KR101276327B1 (ko) 2013-06-18

Family

ID=4886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375A KR101276327B1 (ko) 2012-12-28 2012-12-28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492A (ja) * 1999-03-31 2000-10-10 Sadanobu Tarui 法面保護工法と法面保護構造物
KR20040027840A (ko) * 2003-07-08 2004-04-01 이재경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JP2004270280A (ja) * 2003-03-07 2004-09-30 Katsu Sakai 擁壁ブロック
KR20120003372A (ko) * 2010-07-02 2012-01-10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492A (ja) * 1999-03-31 2000-10-10 Sadanobu Tarui 法面保護工法と法面保護構造物
JP2004270280A (ja) * 2003-03-07 2004-09-30 Katsu Sakai 擁壁ブロック
KR20040027840A (ko) * 2003-07-08 2004-04-01 이재경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KR20120003372A (ko) * 2010-07-02 2012-01-10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4560B2 (ja) 耐力板部材
CN204782096U (zh) 一种多层模块化建筑及角件定位器
US9926700B2 (en) Rubber part for incorporation into a brick or masonry wall in a reinforced concrete frame to protect against damage caused by seismic activity
CN103883027B (zh) 边框与内藏钢板墙之间嵌耗能条带组合剪力墙及作法
CN205242653U (zh) 一种钢结构整体装配式墙体及其外墙竖缝构造节点
KR101276327B1 (ko)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083044A1 (en) Anchoring system between a concrete component and a steel component
KR20110016662A (ko) 건물 내부 기둥의 보강구조물 및 리모델링 공법
KR100740049B1 (ko)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JP5280243B2 (ja) まくら木
CN108518023A (zh) 地铁车站抗震延性中柱
CN101570998A (zh) 一种肋梁箍筋及其应用方法
CN203856122U (zh) 一种环保抗震砖
KR101210573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CN112900840A (zh) 建筑模板
CN201411809Y (zh) 一种混凝土楼盖预制件
CN205907877U (zh) 一种止水高效的预制叠合板
CN104695603A (zh) 低层装配式钢结构住宅用轻型组合楼板
CN202299058U (zh) 一种预应力混凝土叠合板
CN109723176A (zh) 一种大跨度预应力多拼缝桁架钢筋叠合板及施工方法
CN203639801U (zh) 波形钢腹板组合梁用剪力连接件
CN214301548U (zh) 一种水利工程用护坡装置
CN202247588U (zh) 防积水加强型铁路道口板
CN211037269U (zh) 宽翼缘t钢组合板
CN214574904U (zh) 叠合式预制剪力墙板的搭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