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73B1 -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 Google Patents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573B1
KR101210573B1 KR1020120020843A KR20120020843A KR101210573B1 KR 101210573 B1 KR101210573 B1 KR 101210573B1 KR 1020120020843 A KR1020120020843 A KR 1020120020843A KR 20120020843 A KR20120020843 A KR 20120020843A KR 101210573 B1 KR101210573 B1 KR 10121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sleepers
shoulder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수
홍순권
Original Assignee
홍순권
하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권, 하정수 filed Critical 홍순권
Priority to KR102012002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73B1/ko
Priority to PCT/KR2012/003924 priority patent/WO20131297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의 폐자재인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을 축조하여 접안시설을 구성함으로써 시공편이성을 증대시키고, 공기와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은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숄더가 지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침목을 지면에 연속 배열하여 구성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적층하는 콘크리트 침목으로 조립된 블럭; 상기 적층된 블럭 사이에 충전되는 혼합골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Quay using waste railway sleeper}
본 발명은 철로의 폐자재인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을 축조하여 접안시설을 구성함으로써 시공편이성을 증대시키고, 공기와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에 관한 것이다.
침목이란 도상(道床)에 적당한 간격으로 나열하여 그 위에 레일을 깔고 정착시킴으로써 레일과 레일 사이를 정확히 유지시키고, 또 레일에 가해지는 열차 하중을 도상을 통해서 노반에 전달하는 목재나 콘크리트재를 말하는데, 임산자원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콘크리트 침목이 사용되어 왔다.
콘크리트 침목에는 RC침목(reinforced concrete tie)과 PC침목(prestressed concrete tie)이 있는데, 이중 PC침목이 강도가 우수하여 현재는 대부분 PC침목이 사용되고 있다.
산업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건설과 함께 철거,해체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설폐기물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건설 폐기물의 재생, 재활용 가능성과, 경제성, 안정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를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건설폐기물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많은 기업과 사회의 구성원들이 건설폐기물의 처리 비용이 고비용이 소요되더라도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을 따르고 있다.
철로의 폐자재로 발생하는 콘크리트 침목인 경우 현재 철도청에서 처리업체에 많은 처리비용을 지불하면서 대다수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폐기처분하고 있다.
2011.01.21.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으로 콘크리트 침목이 재활용 자재로 변경됨으로써 활용에 따른 법적 근거를 갖추었고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편, 일반적으로 선박을 육지에 대기 위해서는 접안시설이 필요하다.
종래의 접안시설 대부분은 해안가에 바위를 안정되게 쌓고, 바위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서 바위들을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상면을 평평하게 마무리하여 접안시설이 시공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안시설은 시공이 복잡하고, 공기가 오래 걸리며,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안시설은 바닷물을 가로막아 해수의 순환을 가로막아 해안오염이 가중되고, 접착용 몰탈을 다량 사용하므로 해안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철거 해체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접안시설을 축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은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103)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102)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101);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가 지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침목(101)을 지면에 연속 배열하여 구성된 기저부(120); 상기 기저부(120)의 상부에 적층하는 콘크리트 침목(101)으로 조립된 블럭(100); 상기 적층된 블럭(100) 사이에 충전되는 혼합골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럭(100)은 콘크리트 침목(101)을 병렬로 연속 배열하되, 숄더(102)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숄더(102)의 체결공(103)들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매트부(110); 및 상기 매트부(110)의 각 콘크리트 침목(101)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매트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숄더(102) 체결공(103)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함으로써 매트부(110)의 각 콘크리트 침목(101)을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부(110) 상부에 형성된 숄더(102)와 숄더(102) 사이에는 폭고정 파이프(106)가 삽입되고, 상기 매트부(110)를 구성하는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과 폭고정 파이프(106)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안시설은 접안시설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블럭(100)을 들여 쌓는 방식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페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을 축조하여 접안시설을 구성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침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콘크리트 침목을 배열하여 매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매트부의 각 숄더 사이에 폭고정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안시설의 기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의한 접안시설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콘크리트 침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콘크리트 침목을 배열하여 매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매트부의 각 숄더 사이에 폭고정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안시설의 기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의한 접안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안시설은 철로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성형된 침목(101)의 양단 상부에 각각 한 쌍의 숄더(102)가 형성된다.
상기 숄더(102)는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사이에 철도 레일을 안착시키고 고정스프링을 숄더(102)의 체결공(103)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스프링이 레일을 압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은 단면의 형태가 상부의 폭은 좁고 하부의 폭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사다리꼴 형태이고, 콘크리트 침목(101)의 몸체는 중간 부분이 잘록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안시설은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이용하여 블럭(100)을 구성한 후 상기 블럭(100)을 축조하여 접안시설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을 병렬로 배열하여 매트부(110)를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숄더(102)의 체결공(103)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침목(101)을 배열하여 매트부(1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을 배열하여 구성된 매트부(110)를 견고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고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를 구부려서 마무리함으로써 매트부(110)를 구성하는 각 콘크리트 침목(101)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기 전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의 각 숄더(102)와 숄더(102) 사이에 폭고정 파이프(106)를 삽입하고, 상기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과 상기 폭고정 파이프(106)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은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의 형태이므로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을 병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매트부(110) 상부의 콘크리트 침목(101)과 콘크리트 침목(101)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숄더(102)의 체결공(103)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였다 하더라도 기중기로 블럭(100)을 들어 올릴때 블럭(100)이 말려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와 숄더(102) 사이에 폭고정 파이프(106)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폭고정 파이프(106)의 양 단부가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를 지지함으로써 기중기로 블럭(100)을 들어올리더라도 블럭(100)이 말리는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블럭(100)을 운반하는 과정이나 시공하는 과정에서 블럭(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을 조립하여 구성된 블럭(100)을 이용하여 접안시설을 축조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안의 지면에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가 지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침목(101)을 병렬로 연속 배열하여 기저부(120)을 형성한다.
콘크리트 침목(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기저부(120)를 형성하면 기저부(120)가 팽이기초역할을 하여 기저부(120)에 블럭(100)을 적층하여 기저부(120)에 고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하중이 지중으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접안시설이 침하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저부(120)를 형성한 후에는 도 6과 같이 기저부(120)의 상부에 블럭(100)을 적층한다.
기저부(120)의 상부에 블럭(100)을 적층하되, 도 6과 같이 기저부(120)의 단부로 부터 일정 길이 만큼 들여 적층하고, 기저부(120) 상부에 적층된 블럭(100) 상부에 블럭(100)을 적층하되, 하부의 블럭(100)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들여 적층함으로써 접안시설의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기저부의 상부에 블럭(100)을 적층하되 각 층을 구성하는 블럭(100)의 콘크리트 침목(101)이 서로 직교방향이 되도록 적층하고, 접안시설의 최상부에는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표면이 평평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안시설에 블럭(100)을 적층할 때마다 각 블럭(100)과 블럭(100) 층 사이에 혼합골재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된 혼합골재가 블럭(100)의 콘크리트 침목(101)과 콘크리트 침목(10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혼합골재가 블럭(100)을 강체화하여 선박의 접안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각 블럭(100)을 보호하여 접안시설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이용하여 블럭(100)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100)을 축조하여 접안시설을 구성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침목(101)을 이용하여 축조된 본 발명의 접안시설은 내부에 무수히 많은 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해수의 순환을 가로막지 않으므로 해양오염 및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블럭
101 : 콘크리트 침목
102 : 숄더
103 : 체결공
104 : 체결철근
105 : 지지철근
106 : 폭고정 파이프
110 : 매트부
120 : 기저부

Claims (5)

  1.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103)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102)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101);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가 지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침목(101)을 지면에 연속 배열하여 구성된 기저부(120);
    콘크리트 침목(101)이 병렬로 연속 배열하여 매트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매트부(110)의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 사이에 폭고정 파이프(106)을 삽입하며, 상기 매트부(110)를 구성하는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체결공(103)과 폭고정 파이프9106)에 체결철근(104)을 삽입하여 블럭(100)을 구성하고, 상기 기저부(120)의 상부에 적층하는 콘크리트 침목(101)으로 조립된 블럭(100);
    상기 적층된 블럭(100) 사이에 충전되는 혼합골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시설은,
    접안시설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블럭(100)을 들여 쌓는 방식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20120020843A 2012-02-29 2012-02-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121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43A KR101210573B1 (ko) 2012-02-29 2012-02-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PCT/KR2012/003924 WO2013129737A1 (ko) 2012-02-29 2012-05-18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43A KR101210573B1 (ko) 2012-02-29 2012-02-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573B1 true KR101210573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43A KR101210573B1 (ko) 2012-02-29 2012-02-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0573B1 (ko)
WO (1) WO20131297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14A (ko) * 2019-06-30 2021-01-07 하정수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KR20210002315A (ko) 2019-06-30 2021-01-07 하정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87B1 (ko) * 2008-06-05 2009-08-13 김주일 폐 콘크리트 침목과 간벌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1058892B1 (ko) *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13Y1 (ko) * 2000-07-28 2000-12-15 강명희 인공어초
KR200239715Y1 (ko) * 2001-04-16 2001-10-11 이준우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87B1 (ko) * 2008-06-05 2009-08-13 김주일 폐 콘크리트 침목과 간벌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1058892B1 (ko) *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14A (ko) * 2019-06-30 2021-01-07 하정수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KR20210002315A (ko) 2019-06-30 2021-01-07 하정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2299486B1 (ko) * 2019-06-30 2021-09-07 유승명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2299485B1 (ko) * 2019-06-30 2021-09-07 유승명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737A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6670B (zh) 一种装配式车载路面及其施工方法
CN102242537A (zh) 可循环使用的临时路面地台板及用其铺设临时路面的方法
CN206245139U (zh) 预制板道床
CN102619152A (zh) 一种拼装式预制钢筋混凝土施工临时道路
KR101210573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1204343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
RU2293810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CN114032724A (zh) 一种装配式再生混凝土乡村路面
CN213417462U (zh) 一种新型装配式道路
JP5692840B2 (ja) パイルスラブ盛土及びその工法
KR102299486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CN211571239U (zh) 一种用于地铁车站施工的临时铺盖结构
KR20210002314A (ko)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JP5659002B2 (ja) 枕木を再利用して製作する海洋土木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401435U (zh) 装配式预应力混凝土分体小箱梁与混凝土t梁拼接桥梁
JP6823389B2 (ja) 軌きょう支持構造
CN113202029A (zh) 上跨营业线桥梁湿接缝、跨中横隔板兜底防护施工方法
CN202466352U (zh) 拼装式预制钢筋混凝土施工临时道路
JP2021067052A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CN110939019A (zh) 箱式路基结构及重载铁路路基
CN110359352A (zh) 一种预制装配式t梁及施工方法
JPH0681319A (ja) 合成床版橋とその施工方法
CN211227931U (zh) 一种高承载力装配式混凝土临时道路板
CN203821255U (zh) 一种山区公路过水涵洞的临时加固装置
JP2000355910A (ja) 橋床など土木用のコンクリート捨て型枠付き立体ト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