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049B1 -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049B1
KR100740049B1 KR1020050120641A KR20050120641A KR100740049B1 KR 100740049 B1 KR100740049 B1 KR 100740049B1 KR 1020050120641 A KR1020050120641 A KR 1020050120641A KR 20050120641 A KR20050120641 A KR 20050120641A KR 100740049 B1 KR100740049 B1 KR 10074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taining wall
fixing
sleepers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708A (ko
Inventor
김종견
Original Assignee
김종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견 filed Critical 김종견
Priority to KR102005012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0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은 원통 형상의 중공이 형성된 레일크립 고정고리 복수개가 한쪽면에 평행하게 부착된 콘크리트 폐침목 두 개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가 부착된 면이 안쪽을 향하도록 동일 수평면 상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과,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봉체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을 지나고 양단의 나선 부분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와,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 부분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판체로서 양 체결구멍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고 양 체결구멍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횡렬 고정 핀과; 상기 고정볼트의 나선 부분에 체결되는 너트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단부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고정 핀이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구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한 층을 이루고 그 위에 다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또 한 층을 이루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쌓아올림으로써 옹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고정고리, 고정핀, 고정볼트

Description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Retaining Wall for using concrete sleepers}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콘크리트 폐침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걸고리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바깥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폐침목 2: 레일크립 고정고리
11: 횡렬 고정핀 21: 종렬 고정핀
31: 고정볼트 32: 너트
41: 걸고리 부재 42: 걸고리
43: 중앙 몸체부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폐침목들을 서로 결합하고 적층시킴으로써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흙이 토압에 무너지지 않게 만든 벽으로서, 종래의 옹벽의 종류는 사용 재료에 따라 콘크리트 옹벽, 철근 콘크리트 옹벽, 벽돌 옹벽, 돌쌓기 옹벽 등이 있는데 상기 옹벽들은 시공을 위한 재료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철도용 콘크리트(pc) 침목은 사용연한이 지나면 구조적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바, 현재 이에 따라 발생되는 폐침목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처리비용은 실로 막대한 실정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용 침목으로 사용된 후 교체된 콘크리트 폐침목을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견고한 옹벽을 제공함으로써 옹벽 시공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이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중공이 형성된 레일크립 고정고리 복수개가 한쪽면에 평행하게 부착된 콘크리트 폐침목 두 개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가 부착된 면이 안쪽을 향하도록 동일 수평면 상에서 일 정거리만큼 떨어져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과;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봉체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을 지나고 양단의 나선 부분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와;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 부분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판체로서 양 체결구멍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고 양 체결구멍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횡렬 고정 핀과; 상기 고정볼트의 나선 부분에 체결되는 너트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단부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고정 핀이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구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한 층을 이루고 그 위에 다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또 한 층을 이루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쌓아올림으로써 옹벽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들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들보다 짧아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이루는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사이의 거리가 위쪽보다 아래쪽이 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 부분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판체로서 양 체결구멍 각각에는 옹벽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일렬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 각각의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종렬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단에 걸고리가 형성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걸고리 부재 양단의 걸고리가 옹벽을 이룬 상태에서의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정핀에 걸려서 고정되고 이 때 걸고리 부재에 걸리는 두 개의 고정핀은 서로 층을 달리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의 고정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콘크리트 폐침목을 나타낸 것이다
콘크리트 폐침목(1)에는 양 영역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의 레일크립을 걸 수 있도록 한 레일크립 고정고리(2)가 소정 거리를 두고 각 두 개씩 나란히 배치되어 레일크립 고정고리(2) 총 네 개가 콘크리트 폐침목(1)의 한 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콘크리트 폐침목(1)은 수백만톤의 열차 하중 및 진동을 견디도록 제작되는 것이어서 그 강도가 매우 크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렬 고정핀(11)의 형상이다. 양단부에 하나씩 체결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길다란 판 모양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나의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은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1)이 콘크리트 폐침목의 레일크립 고정고리(2)가 서로 마주 보도록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횡렬 고정핀(11)들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고정볼트(31)는 레일크립 고정고리(2)를 관통하고 나선이 형성된 양단부가 레일크립 고정고리(2)의 양쪽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레일크립 고정고리(2)의 양쪽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31)의 두 부분은 각각 횡렬 고정핀(11)의 체결 구멍(12)에 끼워진 다음 나선 부분에 너트(32)가 채워짐으로써 횡렬 고정핀(11)이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1) 사이에 끼어져서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1)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도록 고정볼트(31)에 고정된다.
이 때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11)은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11)보다 길기 때문에 콘크리트 폐침목의 레일크립 고정고리(2)가 부착된 면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두 폐침목(1) 사이의 윗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아랫 부분 사이의 거리가 더 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너트(32)와 횡렬 고정핀(11)도 기울어진 상태로 체결되기에 적합하게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횡렬 고정핀(111)의 길이를 달리하여 블록을 이루는 양 콘크리트 폐침목(1)이 기울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을 적층하기가 더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옹벽의 바깥쪽 면이 평평한 면이 되도록 시공하려면 위아래의 횡렬 고정핀(11)의 길이가 모두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하고 이 경우에는 상하층 블록의 바깥쪽 모서리들이 일치하도록 블록을 적층해야 한다.
상하층 블록들 사이의 견고한 결합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걸고리 부재(41)에 의한다. 걸고리 부재(41)는 상하 양단에 걸고리(42)가 있고 양 걸고리(42) 는 중앙 몸체부(43)와 나사 결합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걸고리 부재(41)의 양단 걸고리(42)는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서로 층을 달리하는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횡렬 고정핀(11) 각각에 걸림으로써 위아래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비록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 내부의 빈 공간에 석재나 콘크리트 등이 채워지기 때문에 걸고리 부재(41)가 없더라도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지만 더욱 강도 높은 구조물을 이루려면 걸고리 부재(41)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시공된 옹벽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콘크리트 폐침목(1)에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정볼트(31)에는 일직선으로 연결된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1)을 연결하기 위한 종렬 고정핀(21)을 체결해주는 것이 구조의 견고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종렬 고정핀(21)은 고정볼트(31)에 횡렬 고정핀(11)과 함께 체결되거나 횡렬 고정핀(11) 대신 체결될 수 있다.
서로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된 폐침목(1)과 폐침목(1) 사이의 영역에는 지형과 지물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조약돌을 채우거나 40mm 자갈을 채운다.
도 7은 콘크리트 옹벽 블록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옹벽을 바깥에서 바라본 것이다. 블록을 쌓을 때는 매층마다 서로 엇갈리게 하는 지그재그 공법으로 적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폐침목을 이용한 옹벽에 의하면 폐기처분하려면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처리하기도 어려워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인 콘크리트 폐침목을 기본 재료로 하면서 몇 종류의 결합을 위한 부품만 추가적으로 제작하면 모든 재료가 구비되므로 재활용을 통해 경제적인 이득이 극대화되고 견고하고 강성이 큰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원통 형상의 중공이 형성된 레일크립 고정고리 복수개가 한쪽면에 평행하게 부착된 콘크리트 폐침목 두 개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가 부착된 면이 안쪽을 향하도록 동일 수평면 상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과;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봉체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을 지나고 양단의 나선 부분은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와;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중공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 부분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판체로서 양 체결구멍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고 양 체결구멍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횡렬 고정 핀과; 상기 고정볼트의 나선 부분에 체결되는 너트로서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단부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고정 핀이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구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한 층을 이루고 그 위에 다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일렬로 배열하여 또 한 층을 이루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쌓아올림으로써 옹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을 이용한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들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횡렬 고정핀들보다 짧아서 상기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을 이루는 한 쌍의 콘크리트 폐침목 사이의 거리가 위쪽보다 아래쪽이 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을 이용한 옹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상기 레일크립 고정고리의 바깥에 위치하는 고정볼트 부분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판체로서 양 체결구멍 각각에는 옹벽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일렬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두 개의 콘크리트 폐침목 각각의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종렬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을 이용한 옹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단에 걸고리가 형성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걸고리 부재 양단의 걸고리가 옹벽을 이룬 상태에서의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정핀에 걸려서 고정되고 이 때 걸고리 부재에 걸리는 두 개의 고정핀은 서로 층을 달리하는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블록의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침목을 이용한 옹벽.
KR1020050120641A 2005-12-09 2005-12-09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KR10074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41A KR100740049B1 (ko) 2005-12-09 2005-12-09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41A KR100740049B1 (ko) 2005-12-09 2005-12-09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708A KR20070060708A (ko) 2007-06-13
KR100740049B1 true KR100740049B1 (ko) 2007-07-18

Family

ID=3835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41A KR100740049B1 (ko) 2005-12-09 2005-12-09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92B1 (ko)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200466483Y1 (ko) * 2010-06-07 2013-04-17 한국철도시설공단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810A (ko) 2019-11-14 2021-05-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폐침목으로부터 재활용되는 골재와 폐침목을 이용한 신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245A (ja) * 1999-09-02 2001-03-21 Teijin Ltd 濃色異染性フェザー調加工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245A (ja) * 1999-09-02 2001-03-21 Teijin Ltd 濃色異染性フェザー調加工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특2001-73245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3Y1 (ko) * 2010-06-07 2013-04-17 한국철도시설공단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KR101058892B1 (ko)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708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098C2 (ru)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US7556451B2 (en) Precast concrete bridge and headwall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0740049B1 (ko)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KR100934203B1 (ko) 선반형 부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17316B1 (ko)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N211006469U (zh) 一种同时适用于道路中分带和施工区的混凝土护栏结构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WO2013036120A1 (en) Resilient rail support block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reof
KR100355429B1 (ko)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20080096920A (ko) 논슬립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2299485B1 (ko)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KR200351464Y1 (ko) 복공판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102299486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CN101694087B (zh) 一种新型桥的建造方法
CN2173271Y (zh) 一种预应力混凝土轨枕
CN211038649U (zh) 一种组合式复合底板
CN214401220U (zh) 预应力混凝土轨枕
RU2424389C2 (ru) Безбалластный рельсовый путь
CN203125697U (zh) 钢管混凝土墩板式先张法预应力混凝土梁预制台座
KR100590441B1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KR200253358Y1 (ko) 지하공사용 흙막이 구축장치
CN218678285U (zh) 一种防盗隧道电缆沟盖板
CN220132938U (zh) 一种应用在重力式挡墙内的锚杆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