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441B1 -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441B1
KR100590441B1 KR1020030078654A KR20030078654A KR100590441B1 KR 100590441 B1 KR100590441 B1 KR 100590441B1 KR 1020030078654 A KR1020030078654 A KR 1020030078654A KR 20030078654 A KR20030078654 A KR 20030078654A KR 100590441 B1 KR100590441 B1 KR 10059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connecting member
type connecting
frame unit
fram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095A (ko
Inventor
김병석
조근희
조정래
진원종
김성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7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4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11) 및 하부판(12)과, 상기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3)으로 구성된 공동부(14)가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연속된 공동부(14)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의 결합되어 제작되는 하부골조(20)와;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20)로 구성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로서,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에는, 상부 플랜지(31), 복부(32) 및 하부 플랜지(33)로 이루어진 I형 연결부재(30)가 위치하며;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는,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 하부 플랜지(31, 33)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와 상기 I형 연결부재(30)가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견고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구조적으로 유리하게 상기 하부골조를 이루게 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바닥판, I형 빔, 교량, 프리캐스트, 폐합단면, 복합, 연결구조, 하부골조

Description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between Composite Deck having Frame and Concrete}
도 1은 중공단면을 가지는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합성되어 이루어진 복합형 바닥판(1)으로 이루어진 교량 바닥판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하부골조 유닛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 확대도로서, 도 1의 원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I형 연결부재(30)와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연결구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하부골조 유닛의 상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경우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복합형 바닥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합형 바닥판 2 주형
10 하부골조 20 콘크리트 슬래브
30 I형 연결부재 31 상부 플랜지
32 복부 33 하부 플랜지
34 전단연결재
본 발명은, 폐합단면을 가진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토목구조용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골조 유닛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견고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도록 하부골조 유닛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목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사용되는 바닥판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왔다.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은 저가인 콘크리트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당장의 시공비를 줄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큰 단면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자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만일 교량의 바닥판을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바닥판의 높은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결국 교각 등과 같은 교량 하부구조의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종국적으로는 시공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대안으로서, 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 이하 "FRP"라고 칭한다), 알루미늄, 강재 등의 경량 고강도의 소재로 만들어지고 횡방향으로는 튜브형 단면을 가진 골조 구조물을 이용한 바닥판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골조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경우는, 아직 구조적인 안정성이 명확하게 입증되지 아니하였고, 골조를 구성하는 FRP와 같은 재료들의 특성으로 인하여, 바닥판의 파괴 양상이 취성 파괴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전에 취약하고, 재료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과, 골조 형식의 바닥판이 가지는 장점을 모두 발휘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전성이 제고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와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복합형 바닥판을 개발하여 출원번호 제10-2002-40869호로 특허출원(미공개)을 하였다.
도 5에는 위 특허출원 제10-2002-40869호로 출원된 본 출원인의 복합형 바닥판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합형 바닥판(1)은 하부골조(10)와,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골조(10)는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11) 및 하부판(12)과, 상기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4)가 종방향(예를 들면 교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부(14)는 횡방향(예를 들면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형 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하부골조(10)는 예를 들면 FRP, 알루미늄, 강재 등 경량이고 고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하부골조(10) 위에는 콘크리트 슬래브(20)가 일체로 결합된다.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을 거푸집 삼아 콘크리트를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슬래브(20)의 합성을 위해서,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 상면에는 전단연결재(15)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20)에 매립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복합형 바닥판(1)은, 경량 고강도 재료로 이루어진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합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에 단순히 철근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바닥판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단면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닥판의 자중이 줄어들게 되어 이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의 단면 확대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골조만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에 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합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먼저 극한 상태에 도달하게 하고 골조가 추가 강도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보다 더 높은 하중에 이르러서야 극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설계하게 되면, 종래의 골재만으로 이루어진 바닥판과는 달리 바닥판의 취성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파괴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구조물 파괴에 적절히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교량 등에서는 위와 같은 복합형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골조(10)를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으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이러한 하부골조 유닛들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전체적인 하부골조(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으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이 유닛들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하부골조를 구성하여 위와 같은 복합형 바닥판을 제작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위 특허출원 제10-2002-40869호에서도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제안하였는데, 본 출원인은 그 후에 추가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하부골조 유닛들을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구조적으로 유리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추가적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하부골조와, 상기 하부골조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복합형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골조를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으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이러한 하부골조 유닛들을 바닥판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전체적인 하부골조를 형성할 때, 하부골조 유닛들을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구조적으로 유리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으로 구 성된 공동부가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연속된 공동부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의 결합되어 제작되는 하부골조와; 상기 하부골조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로서,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에는, 상부 플랜지, 복부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I형 연결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는,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 하부 플랜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와 상기 I형 연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연결구조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조에 더하여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부 플랜지 상부에는 전단연결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전단연결재는 웨브와 플랜지가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연결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하부 플랜지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관통공 및 I형 연결부재의 관통공을 모두 관통하도록 체결부재를 설치 하는 것을 구조를 더 구비한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 및 I형 연결부재는 모두 FRP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하부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와 I형 연결부재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서로 접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가 또다른 실시예로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부골조 유닛 및 I형 연결부재가 FRP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골조 유닛은, FRP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강재 등 경량이고 고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I형 연결부재도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강재 등 경량이고 고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중공단면을 가지는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합성되어 이루어진 복합형 바닥판(1)으로 이루어진 교량 바닥판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복합형 바닥판(1)은, 하부골조(10)를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분할된 하부골조 유닛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이 하부골조 유닛을 본 발명에 따라 각각 교량의 종방향(교축방향) 및 횡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전체 하부골조(10)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20)를 형성하여 시공된 것이다. 도 1에서 하부골조(10)가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20)는 점선으 로 도시하였으며, 콘크리트 슬래브(20) 내에 배근되는 보강철근 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하부골조 유닛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골조(10)를 이루는 하부골조 유닛은,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11) 및 하부판(12)과, 상기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4)가 종방향(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부(14)는 횡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하부골조 유닛은 예를 들면 FRP, 알루미늄, 강재 등 경량이고 고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바닥판(1)은 4개의 하부골조 유닛(종방향 2개, 횡방향 2개)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하부골조 유닛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 확대도로서, 도 1의 원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방향 즉, 교축방향으로 상기 하부골조 유닛을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사이에는, 상부 플랜지(31), 복부(32) 및 하부 플랜지(33)로 이루어진 I형 연결부재(3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복부(32)의 길이 즉, 상부 플랜지(31)와 하부 플랜지(33) 사이의 간격은,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 하부 플랜지(31, 33) 사이에 끼워져 상기 I형 연결부재(30)와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단부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부 플랜지(31) 위쪽으로는, 추후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하부골조 유닛(10a, 10b) 위에 형성될 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게 되는 전단연결재(34)가 일체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연결재(34)가 웨브와 플랜지의 결합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I형 연결부재(30)는 전체적으로 한자어 왕(王)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I형 연결부재(30)는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연결부에 I형 연결부재(30)가 설치되면, 하중에 의하여 하부골조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를 상기 I형 연결부재(30)에 의하여 부담할 수 있으므로,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형 연결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전단연결재(34)에 의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압축력의 일부를 부담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I형 연결부재(30)와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단부를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1에서, 교축방향의 I형 연결부재와 교축직각방향의 I형 연결부재가 교차함에 있어서, 교축방향의 I형 연결부재가 단절되어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1과는 달리 교축직각방향의 I형 연결부재가 단절되는 형태로 교차할 수도 있다.
도 3은 I형 연결부재(30)와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연결구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에 상하부로 관통공(11)을 형성하고,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 하부 플랜지(31, 3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5)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11, 35)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40)를 관통 설치하므로써, 상기 I형 연결부재(30)와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교량의 주형을 가로지르는 가로빔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I형 연결부재(30)가 가로빔 위에 놓여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로빔의 상부 플랜지에도 관통공을 설치하고 상기 체결부재(40)를 I형 연결부재 및 양측 하부골조 유닛 단부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빔의 상부 플랜지에도 관통시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결합구조 이외에도 강재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용접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양측 하부골조 유닛(10a, 10b)과 I형 연결부재(30)가 모두 FRP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와 I형 연결부재의 접합부 사이에 도포하여 결합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진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을 I형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므로써 하부골조(10)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20)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슬래브(20)를 합성하므로써, 복합형 바닥판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20)는 반드시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서만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골조 유닛을 횡방향으로 즉,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앞서 살펴본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게 양측 하부골조 유닛을 연결하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하부골조 유닛의 상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2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경우의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하부골조 유닛(10c, 10d)을 제작할 때에, 이웃하는 하부골조 유닛(10c, 10d)과 연결될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하부골조 유닛의 상면에 미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콘크리트 슬래브(20a, 20b)를 제작하여, 각각의 하부골조 유닛(10c, 10d) 자체가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20a, 20b)와 합성된 상태로 완성되도록 한 후, 이러한 하부골조 유닛을 위에서 설명한 연결구조에 의하여 서로 연결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20a, 20b)가 상부에 각각 합성되어 있는 양측 하부골조 유닛(10c, 10d)을 I형 연결부재(30)의 해당 공간에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기 I형 연결부재(30)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상부에만 현장 타설 콘크리트,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20c)를 타설하여,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부가 채움재(20c) 내에 매립되게 함과 동시에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20a, 20b)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골조 유닛 연결구조에 의하면,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부골조 유닛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하부유닛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에 설치된 I형 연결부재(30)는 하부골조 유닛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를 부담하게 되므로, 하부유닛 전체적으로 더 큰 내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부에 전단연결재(3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게 되는 압축력의 일부를 I형 연결부재(30)가 부담할 수 있게 되어, 부(-) 모멘트에 대한 내력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골조 유닛들을 구조적으로 유리한 형태로 서로 연결하여 전체 하부골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11) 및 하부판(12)과, 상기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3)으로 구성된 공동부(14)가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고, 상기 연속된 공동부(14)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 다수개의 하부골조 유닛의 결합되어 제작되는 하부골조(20)와;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20)로 구성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로서,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에는, 상부 플랜지(31), 복부(32) 및 하부 플랜지(33)로 이루어진 I형 연결부재(30)가 위치하며;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는,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 하부 플랜지(31, 33)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와 상기 I형 연결부재(30)가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부 플랜지(31) 상부에는, 수직한 웨브 및 상기 웨브 상단에서 수평하게 일체로 부착되는 플랜지가 결합된 형상을 가지는 전단연결재(34)가 일체로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연결재(34)는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부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20) 내에 매립되며;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I형 연결부재(30)의 상,하부 플랜지(31, 33)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관통공 및 I형 연결부재(30)의 관통공을 모두 관통하도록 체결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하부골조 유닛 및 I형 연결부재는 모두 FRP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골조 유닛의 상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상기 I형 연결부재(30)에 하부골조 유닛이 결합되기 이전에 이미 하부골조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20)와 사전 합성된 하부골조 유닛의 양 단부가 I형 연결부재(30)의 플랜지에 결합된 후 상기 I형 연결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에 채움재(20c)가 타설되어 상기 I형 연결부재(30)와 일체로 된 전단연결재(34)가 채움재(20c)내에 매립됨과 동시에 양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20)도 서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형 연결부재의 상,하부 플랜지(31, 33)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양측 하부골조 유닛의 단부와 I형 연결부재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서로 접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바닥판의 하부골조 유닛의 연결구조.
KR1020030078654A 2003-11-07 2003-11-07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KR10059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54A KR100590441B1 (ko) 2003-11-07 2003-11-07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54A KR100590441B1 (ko) 2003-11-07 2003-11-07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095A KR20050044095A (ko) 2005-05-12
KR100590441B1 true KR100590441B1 (ko) 2006-06-19

Family

ID=3724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654A KR100590441B1 (ko) 2003-11-07 2003-11-07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7B1 (ko) 2006-09-28 2007-12-2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섬유보강 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의 종방향 연결구조체
KR100990967B1 (ko) 2008-07-17 2010-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2B1 (ko) * 2006-09-26 2007-07-25 (주)리튼브릿지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805A (ja) * 1990-02-23 1991-11-06 Kawasaki Steel Corp 斜め中空床版橋の構築方法
KR19990042948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KR20030064363A (ko) * 2003-07-15 2003-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튜브형 단면을 가지는 바닥판용 난간설치구조
JP2004092094A (ja) * 2002-08-30 2004-03-25 Sho Bond Constr Co Ltd 2段主桁合成床版橋の構造
JP2004238969A (ja) * 2003-02-07 2004-08-26 Yokogawa Bridge Corp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805A (ja) * 1990-02-23 1991-11-06 Kawasaki Steel Corp 斜め中空床版橋の構築方法
KR19990042948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JP2004092094A (ja) * 2002-08-30 2004-03-25 Sho Bond Constr Co Ltd 2段主桁合成床版橋の構造
JP2004238969A (ja) * 2003-02-07 2004-08-26 Yokogawa Bridge Corp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橋
KR20030064363A (ko) * 2003-07-15 2003-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튜브형 단면을 가지는 바닥판용 난간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7B1 (ko) 2006-09-28 2007-12-2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섬유보강 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의 종방향 연결구조체
KR100990967B1 (ko) 2008-07-17 2010-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095A (ko)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4319B (zh) 一种下承式系杆拱桥结构单元及拱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0930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KR100483083B1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CN201785865U (zh) 一种后张法体外预应力钢梁和先张法预应力叠合梁结合的房屋结构体系
KR101026118B1 (ko)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CN109680835B (zh) 一种自承式预制混凝土墙板、混凝土墙、结构体系及工法
KR100839439B1 (ko)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라멘교량의강접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11827084A (zh) 一种通过钢横梁与混凝土柱连接的框架桥墩及施工方法
KR100626544B1 (ko)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590441B1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의하부골조 연결구조
KR101232329B1 (ko)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CN212426706U (zh) 全预制轻型大悬臂预弯组合盖梁结构
KR20100009017A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4457667A (zh) 大跨度上承式开孔腹板梁拱组合刚构桥及其施工方法
KR101998394B1 (ko) 상부 구조물과 합성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시공 방법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50096001A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의 복합형 바닥판과 강재 주형의연결구조
CN111719417A (zh) 全预制轻型大悬臂预弯组合盖梁结构及施工方法
KR100524235B1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CN215978031U (zh) 一种带肋钢筋混凝土预制板及叠合楼板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CN114703735B (zh) 一种多跨上承式连续拱桥拱顶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