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316B1 -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316B1
KR101317316B1 KR1020110004435A KR20110004435A KR101317316B1 KR 101317316 B1 KR101317316 B1 KR 101317316B1 KR 1020110004435 A KR1020110004435 A KR 1020110004435A KR 20110004435 A KR20110004435 A KR 20110004435A KR 101317316 B1 KR101317316 B1 KR 10131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upport
base
assembly
support portion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020A (ko
Inventor
윤석천
신주영
Original Assignee
신주영
윤석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영, 윤석천 filed Critical 신주영
Priority to KR102011000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3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가설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설구조물이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조립 기초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가설구조물 철거시 상부 받침부를 분리하여 다른 현장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건설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기초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어 격자형태로 형성시킨 I형 또는 H형 강재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 및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연결된 콘크리트 판재 또는 강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조립 기초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제작된다.

Description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본 발명은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재와 철근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제작한 모듈화(일정한 크기 및 연결방법이 미리 의도화된 것)된 조립 기초를 미리 제작하고 상기 조립 기초를 현장에서 다수 조립 설치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가설구조물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교량시공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교량 상부구조 예컨대 교량의 바닥판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 역할을 하는 가설구조물로 가설벤트가 이용된다.
즉, 교량 바닥판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반 등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교량 바닥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거푸집도 그 높이에 맞추어 미리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거푸집 및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 통상은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가설벤트(10)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은 특히 교량 바닥판용 거푸집(30)이 지지트러스(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지지트러스(20)가 가설벤트(1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설벤트(10)는 지지되어야 할 구조물이 작거나 무게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원형강관을 수평, 수직 및 경사방향으로 연결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조립체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원형강관이 경량이기 때문에 운반하기도 간편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조립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설벤트(10)가 지지해야할 무게가 커지는 경우 그 조립을 위한 설치비용 및 해체비용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원형강관에 의해서는 소요의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H형강 빔 등을 이용하여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가설벤트는 지반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지반의 표면은 균일하지 않으므로 통상은 지반 표면 작업 후 린 콘크리트(빈배합 콘크리트)를 소정 두께로 타설 및 양생시켜 가설벤트가 평탄한 린 콘크리트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가설벤트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린 콘크리트는 정지된 지반 또는 원래 지반에 철근배근 없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종 가설벤트를 사용한 이후에는 이를 브레이커로 파쇄한 후 폐기물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파쇄된 린 콘크리트는 가설벤트 설치 면적이 클 경우 그 폐기되는 량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그 처리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기술 가설벤트와 같은 가설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콘크리트(린 콘크리트) 시공은 기초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양생 및 사용후 처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뿐만 아니라 기초콘크리트는 최종 해체 또는 철거의 어려움으로 인해 현장에 방치하여 건설폐기물로써 환경을 오염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지능력에 있어서도 가설벤트가 대형화 됨에 따른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설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효과적으로 분산 전달하고, 가설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해체하더라도 재활용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방식의 강합성 조립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 브라켓을 설치하여 조립 기초의 전도를 방지하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강재로 제작된 상부 받침부를 철근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제작한 베이스부와 일체화시킨 조립 기초를 모듈화시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 운반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종래 기초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이때 상기 조립 기초는 현장에서 간단하게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과정에서의 작업성 효율을 증대시켰다.
셋째, 또한 본 발명의 조립 기초는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가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작, 운반 및 조립의 효율성이 좋아지도록 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어 격자형태로 형성시킨 I형 또는 H형 강재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 및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연결된 콘크리트 판재 또는 강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조립 기초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일체화되도록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립 기초의 일체화는
상기 상부 받침부 각각의 단부면에 형성된 수직연결판을 서로 맞대어 배치하고 서로 맞대어 배치된 수직연결판을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로 조립 기초를 일체화시키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립 기초의 일체화는
상기 상부 받침부 각각의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시키고 서로 맞대어 배치된 상부 받침부를 덧댐판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덧댐판을 상부 받침부와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로 일체화시켜 조립 기초를 일체화시키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립 기초의 베이스부의 일체화는
서로 인접한 일측 콘크리트 베이스 내부로부터 타측 베이스부 내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긴장재의 양 단부가 상부받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시키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받침부에는 베이스부가 배제된 상부 받침부만으로 제작된 연속 브라켓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추가 연결되어 상기 추가된 상부받침부가 서로 일체화된 조립 기초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와 베이스부의 연결은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베이스부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베이스부에 형성된 앵커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가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강합성형 조립 기초는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가 일체화되어 가설구조물의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하면서 가설구조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 길이에 따라 연장하여 조립함으로써 기초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는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결합이 간편한 탈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현장여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조립 기초는 달리 사용 후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기초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설구조물의 기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기초의 조립 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의 연결 구성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조립 기초의 시공순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기초의 연결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기초(100)>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조립 기초(100)는 가설벤트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B)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반(G)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듈식 조립 기초(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부 받침부(110), 베이스부(120) 및 탈착용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받침부(110)는 가설 구조물의 하부가 직접 지지되는 부재로써 I형 또는 H형 단면의 강재 예컨대 형강제품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받침부(110)는 4개의 I형 또는 H형 단면의 강재를 서로 교차시켜 격자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성방식은 가설 구조물의 무게를 분산시켜 후술되는 베이스부(12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소정의 연장길이를 가진 강재(110a,110b)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가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강재(110a,110b)를 역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강재(110c,110d)가 우물 정(한자)과 같이 교차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물론 강재들(110a,110b,110c,110d)의 교차부는 단절된 강재들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서로 용접하는 방식 등으로 강재들이 서로 확실하게 일체화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120)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120)는 도 2a와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한 판재형태의 부재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되 운반 및 시공을 고려하여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작된 격자형태로 제작된 상부 받침부(110)는 베이스부(120)에 공장에서 미리 일체화시켜 본 발명의 조립 기초로 완성되게 된다.
상기 일체화 방법은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도 2c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하부플랜지 및 복부 하부)가 베이스부(12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공장에서 베이스부(120)를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할 때 미리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가 베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여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를 서로 일체화 시키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저면에는 스터드와 같은 전단연결재(112)를 다수 형성시켜 베이스부(120)와의 일체화를 보완하도록 하게 된다.
둘째는 도 2d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가 베이스부(120)에 형성된 앵커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130)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가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는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를 각각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역시 공장에서 베이스부(120)를 제작 할 때, 상부 받침부(110)를 베이스부(120)에 체결하기 위한 앵커(131)를 미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앵커(131)는 베이스부(120) 상면(A)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앵커(131)가 I형 또는 H형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플랜지(111)에 형성된 체결홀(132)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너트(133)로 앵커(131)와 상부 받침부(110)를 서로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는 서로 탈착식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어 일부 파손된 조립 기초(100)에 있어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120)의 경우 도 2b와 같이 철근콘크리트가 아닌 강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I형 또는 H형 강재를 이용하여 도 2b와 같이 베이스부(120)를 형성시키고, 앞서 살펴본 상부 받침부(110:110a,110b,110c,110d)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I형 또는 H형 강재를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되 세로방향으로 서로 상하부플랜지가 서로 접하여 연장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베이스부(120)에 앵커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130)를 설치하거나 용접시켜 격자형태의 상부 받침부(110)와 일체화시켜 조립 기초(100)를 형성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도 2d에 의한 조립 기초(100)에는 연속 브라켓(30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기초(100)의 시공방법>
위에서 살펴본 조립 기초(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베이스부(120)가 철근콘크리트 판재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3a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기초(100)가 설치되어야 할 현장의 지반을 고르고 필요할 경우 다짐을 하여 조립 기초(100)가 지반(G)에 확실하게 지지 될 수 있도록 정지 작업을 하고,
상기 정지 작업이 완료된 지반(G)에 본 발명의 조립 기초(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조립 기초(100)는 미리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가 일체화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받침부(110)와 베이스부(120)가 일체화된 조립 기초(100)는 각각의 크기가 가설구조물 전체를 지지할 정도로 제작되지 않으므로 상기 조립 기초(100) 다수를 서로 조립하여 원하는 크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초를 조립식이라 지칭하게 되고, 각각의 기초가 동일한 크기로 모듈화되어 연속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는 의미로 모듈식 조립 기초라 지칭하게 된다.
이에 도 3a에 의하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2개의 조립 기초(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조립용 연결구(200)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조립용 연결구(200)를 이용한 조립 기초(100)의 연결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3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먼저 실시예 1은 수직연결판(210)과 체결볼트(220)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도 4a와 같이 상부 받침부(110)가 베이스부(120)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격자형태의 상부 받침부(110)의 단부면에는 판재 형태의 수직연결판(210)를 상부받침부 제작단계에서 미리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조립 기초에 형성된 수직연결판을 서로 맞대어 배치하고, 상기 수직연결판들을 체결볼트(220)로 서로 체결시켜 조립 기초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2는 덧댐판(230)과 체결볼트(220)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도 4b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부(110) 각각의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시키고 서로 맞대어 배치된 상부 받침부를 덧댐판(230)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덧댐판을 상부 받침부(110)들을 체결볼트(220)로 체결시켜 조립 기초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3은 긴장재(240)와 정착장치(250)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도 4c와 같이 서로 인접한 일측 베이스부(120)로부터 타측 베이스부(120)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긴장재(240) 양 단부가 상부 받침부(110)에 설치된 정착장치(250)에 긴장후 정착되도록 하여 조립 기초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실시예 3은 실시예1 또는 실시예 2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조립 기초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3b와 같이 다수의 조립 기초(100)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조립 설치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기초를 시공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b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연속 브라켓(300)이 더 설치됨을 알 수 있는데 상기 연속 브라켓(300)은 본 발명의 조립 기초(10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20)를 제거한 상부 받침부(110)로만 형성된 것이다.
이에 설치된 조립 기초(100)의 상부 받침부(110)에 앞서 살펴본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의한 조립용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상부 받침부(110)의 설치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 브라켓(300)의 설치에 의하여 조립 기초(100) 상부 지지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어 가설구조물 지지 시 예상치 못한 충격 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조립 기초(100)의 변형, 파손 또는 전도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속 브라켓(300)은 상부 받침부(110)와 같이 격자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도 3b와 같이 기초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도 운반 치 설치가 용이한 정도의 크기로 다수를 조립 기초의 상부 받침부에 연결설치하되,
전체적으로 ‘ㅂ’자 형태로 제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c는 최종 연속 브라켓(300)의 설치가 완성된 조립 기초(100)들에 의한 기초가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 기초(100)의 상부 받침부(110) 상면에 회전손잡이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클램프(410)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410) 상면에 가설벤트와 같은 가설구조물(420)를 설치하여 최종 가설 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조립 기초(100)의 상부 받침부(110)의 교차부에 클램프(410)를 배치하고 가설벤트의 하단이 상기 클램프(410)에 지지되도록 하도록 하는데 이로써 가설벤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4개의 지점으로 분산되어 베이스부(120)에 전달되고 최종 상기 하중이 지반(G)에 전달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한정적인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 기초
110: 상부 받침부 111: 상부 받침부의 하부플랜지
112: 전단연결재
120: 베이스부 130: 탈착용 연결구
200: 조립용 연결구 210: 수직연결판
220: 체결볼트 230: 덧댐판
240: 긴장재(텐던) 250: 정착장치
300: 연속 브라켓 410: 클램프
420: 가설구조물(가설벤트)

Claims (9)

  1. 삭제
  2.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어 격자형태로 형성시킨 I형 또는 H형 강재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110); 및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가 연결된 콘크리트 판재 또는 강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20);를 포함하는 조립 기초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립 기초의 연결은 조립용 연결구(200)를 이용하되, 상기 조립용 연결구(200)는 상부 받침부 각각의 단부면에 형성된 수직연결판(210) 및 상기 수직연결판(210)을 서로 맞대어 배치하고 서로 맞대어 배치된 수직연결판을 체결시켜 연결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기초의 콘크리트 판재로 제작된 베이스부의 일체화는 서로 인접한 일측 베이스부로부터 타측 베이스부를 경유하여 설치된 긴장재(240)의 양 단부가 상부받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250)에 긴장후 정착되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
  3.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어 격자형태로 형성시킨 I형 또는 H형 강재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110); 및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가 연결된 콘크리트 판재 또는 강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20);를 포함하는 조립 기초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립 기초의 연결은 조립용 연결구(200)를 이용하되, 상기 조립용 연결구(200)는 상기 상부 받침부 각각의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시키고 서로 맞대어 배치된 상부 받침부에 겹쳐지도록 설치된 덧댐판(230); 및 상기 덧댐판을 상부 받침부와 체결시키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기초의 콘크리트 판재로 제작된 베이스부의 일체화는 서로 인접한 일측 베이스부로부터 타측 베이스부를 경유하여 설치된 긴장재(240)의 양 단부가 상부받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250)에 긴장후 정착되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110)에는 베이스부(120)가 배제된 상부 받침부만으로 제작된 연속 브라켓(30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추가 연결되어 상기 추가된 상부 받침부가 서로 일체화된 조립 기초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110)의 하부와 베이스부(120)의 연결은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베이스부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상부 받침부의 하부가 베이스부에 형성된 앵커를 포함하는 탈착용 연결구(130)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부 받침부와 베이스부가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조립 기초.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04435A 2011-01-17 2011-01-17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KR10131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35A KR101317316B1 (ko) 2011-01-17 2011-01-17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35A KR101317316B1 (ko) 2011-01-17 2011-01-17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20A KR20120083020A (ko) 2012-07-25
KR101317316B1 true KR101317316B1 (ko) 2013-10-14

Family

ID=4671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35A KR101317316B1 (ko) 2011-01-17 2011-01-17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482A (zh) * 2017-09-28 2018-01-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装配式框架基础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35B1 (ko) * 2013-03-12 2014-06-26 김운수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KR102449783B1 (ko) * 2020-05-08 2022-09-30 주식회사 도담엔지니어링 태양광 모듈 지지구조물
KR102530136B1 (ko) * 2022-05-04 2023-05-10 주식회사 엠디엘이앤씨 모듈러 이동식 건축물 조립식 기초 구조
CN115182377A (zh) * 2022-06-01 2022-10-14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设备安装用固定系统及采用该固定系统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351U (ko) * 1980-07-24 1982-02-18
JP2001317067A (ja) * 2000-05-11 2001-11-16 Takenaka Komuten Co Ltd 建築物の基礎と基礎ユニット
KR20050116006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장치
JP2008282676A (ja) * 2007-05-10 2008-11-20 Kawamura Electric Inc 燃料電池発電設備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351U (ko) * 1980-07-24 1982-02-18
JP2001317067A (ja) * 2000-05-11 2001-11-16 Takenaka Komuten Co Ltd 建築物の基礎と基礎ユニット
KR20050116006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장치
JP2008282676A (ja) * 2007-05-10 2008-11-20 Kawamura Electric Inc 燃料電池発電設備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482A (zh) * 2017-09-28 2018-01-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装配式框架基础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20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796B (zh) 用于风力机的基座
CN107090925B (zh) 加强型预制钢筋混凝土剪力墙、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713692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프리스트레스연결형 조립식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1317316B1 (ko)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JP20131129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11530B1 (ko) 강합성 바닥판 구조물 및 강합성 교량과 그 시공방법
KR100975124B1 (ko)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KR101013778B1 (ko) 파일에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183785B1 (ko)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JP2010242390A (ja) 鉄骨ブレースを有する柱・梁の接合部の接合方法とその構造
KR20190084712A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2197107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2015021259A (ja) 鋼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4131988A (ja) 橋脚・橋台用の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と、該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を用いた橋脚・橋台及び該橋脚・橋台の施工方法
JP7093714B2 (ja) ピット構造及びそれの構築方法
KR101346671B1 (ko) 간격재를 이용한 pc보와 수직부재의 접합부 핀접합 구조
KR100761741B1 (ko)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209874568U (zh) 一种可周转使用拼装式钢筋加工场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606899B1 (ko) 프리캐스트 조합형 기초 철근망과 프리캐스트 벽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