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24B1 -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 Google Patents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24B1
KR100975124B1 KR1020100047361A KR20100047361A KR100975124B1 KR 100975124 B1 KR100975124 B1 KR 100975124B1 KR 1020100047361 A KR1020100047361 A KR 1020100047361A KR 20100047361 A KR20100047361 A KR 20100047361A KR 100975124 B1 KR100975124 B1 KR 10097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beam
beams
transverse
wall
colum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채규봉
Original Assignee
(주)홍지디씨에스
주식회사 효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지디씨에스, 주식회사 효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홍지디씨에스
Priority to KR102010004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횡방향 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H형강이 양 단부 저면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H형강을 이용하여 횡방향 빔을 기둥벽체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H형강에는 상부 및 하부 연결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 연결홀은 횡방향 빔의 내부 전단철근이 관통되도록 하고, 하부 연결홀은 종방향 연결철근이 관통되도록 하여 횡방향 빔을 안정적으로 기둥벽체 상면에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후 강결철근, 우각부 콘크리트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에 의하여 라멘식 지하차도의 우각부를 강결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CONNECTION METHOD FOR LATERAL BEAM AND COLUMN MEMBER OF RAHMEN TYPED UNDERGROUND TUNNEL}
본 발명은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반 굴착 후 횡방향 빔을 이용하여 지하차도용 박스 구조물을 라멘식으로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빔을 기둥벽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강결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 박스거더 형태의 지하차도를 개착식으로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하차도가 시공되어야 할 위치에 지하차도 설치방향으로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이때 지반에 쉬트파일 등과 같은 가시설을 설치하여 굴착된 지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굴착 저면에 지하차도용 박스거더를 구성하는 지하차도 기초바닥판을 시공하게 된다.
이는 추후 기둥벽체 상부 사이에 지하차도 상부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먼저 그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하차도 바닥판을 먼저 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지하차도 기초바닥판의 상부면에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기둥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기둥벽체 위에 지하차도 상부슬래브가 시공될 수 있도록 미 도시된 동바리를 먼저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바리는 지하차도 기초바닥판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는 지하차도 상부슬래브 형성을 위한 미 도시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지하차도 상부슬래브용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최종 지하차도 상부슬래브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완성된 지하차도 위에 복토를 실시하여 개착식 지하차도 시공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둥벽체(10) 상부에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를 강결시키는 종래 방식의 예를 도 1a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기둥벽체(10) 상부면에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를 전단키 및 전단홈에 의하여 얹어져 결합되도록 한 후, 연결강판(30) 및 앵커볼트와 너트(40)를 이용하여 기둥벽체(10)와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를 서로 강결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둥벽체(10)와 상부 슬래브(20)의 결합부위를 특히 우각부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기둥벽체(10)에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를 결합시킬 시점부터 기둥벽체(10)와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의 연결부에 해당하는 우각부에 과도한 휨 모멘트가 발생되어 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기둥벽체(10) 및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의 단면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단면 설계는 과도한 기둥벽체(10) 및 지하차도 상부슬래브(20)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중의 증가 및 이로 인한 운반, 설치에 있어 라멘구조물의 횡방향 길이(상부 슬래브의 연장길이)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도 1b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라멘 구조물에 있어 다른 우각부 강결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지하차도 상부슬래브를 현장타설 콘크리트(70)와 횡방향 빔(60)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우각부에 있어 횡방향 빔(60)과 기둥벽체(1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는 힌지봉(52)에 의하여 횡방향 빔(60)이 자중 등에 의한 휨 모멘트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우각부에 있어 고려해야 할 횡방향 빔의 자중 등에 대한 설계부담을 해소할 수 있어 횡방향 빔 단면 설계에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의 힌지 연결방법을 살펴보면 횡방향 빔의 단부면에 수평으로 돌출된 수평 H형강(51)을 설치하고, 기둥벽체(10) 상부면에 수직 H형강(52)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 H형강(51)이 수직 H형강(5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봉(52)이 수직 H형강(52)과 수평 H형강(51)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우각부에 상기 수직 H형강(52)과 수평 H형강(51)이 매립되어 보강효과는 클지 모르지만, 수직 H형강(52)과 수평 H형강(51)의 제작 및 설치에 비용과 시간이 너무 크게 소요되고,
특히 힌지봉(52)에 의하여 횡방향 빔이 초가 지지되므로 힌지봉(52)에 작용하는 초기 하중이 너무 커서 횡방향 빔 설치에 있어 양중장치를 지속적으로 이용해야 공종상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에 있어서 우각부에 있어 초기 횡방향 빔의 하중에 의한 안정적인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되, 횡방향 빔의 거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공종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횡방향 빔을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H형강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상부 및 하부 연결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홀이 형성된 H형강의 상부 연결홀이 횡방향 빔의 내부 전단철근이 관통되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 연결홀이 횡방향 빔의 저면 하부에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H형강을 횡방향 빔에 형성시키고,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연장된 전단철근 사이사이에 상기 H형강이 배치되도록 횡방향 빔의 양 단부를 양 기둥벽체 상부면에 거치시킨 후 노출된 하부 연결홀을 관통하도록 기둥벽체 상부면에서 종방향 연결철근을 배치하고,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내부철근으로부터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된 강결철근이 돌출되도록 하되 횡방향 빔 상부로 절곡되도록 하여 횡방향 빔 상부와 기둥벽체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의하여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가 서로 강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은 횡방향 빔 각각의 H형강에 형성된 하부 연결홀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설치하거나.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은 횡방향 빔 각각의 H형강에 형성된 하부 연결홀을 경유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빔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에 의하여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불필요한 현장작업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초기 횡방향 빔의 하중에 의한 단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둥벽체와 횡방향 빔의 효율적인 단면 설계가 가능하며 횡방향 빔을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공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라멘식 박스 구조물에 있어 강결 방식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 라멘식 박스 구조물에 있어 강결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및 도 2f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방식에 의한 라멘식 지하차도의 시공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 빔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2a와 같이 지하차도가 위치되어야 할 지반을 터파기 하여 지반굴착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한다(개착식).
이에 상기 굴착된 지반 저면(200)에 지하차도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라멘식 지하차도(100)는 개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먼저 이러한 지하차도를 위한 터파기 공종이 선행된다.
다음으로는 기둥벽체(120)를 종방향(차량진행방향)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둥벽체(120)는 지하차도 폭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양 측에 1개씩 설치하고, 지하차도 폭이 클 경우에는 내측 기둥벽체(120a)를 더 설치하게 된다.
이때, 기둥벽체(120) 상부면(A)에는 커플러(121)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커플러(121)에는 후술되는 강결철근이 체결되도록 하여 추후 상부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상부슬래브(130)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과 결속되어 상기 콘크리트 양생 후에 기둥벽체와 상부 슬래브(130)가 서로 강결 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단 측부에는 후술되는 횡방향 빔(140)을 지지할 수 있는 일종의 헌치부(B)를 상부슬래브 타설시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플러(121)는 도 2a를 기준으로 기둥벽체(120)의 외곽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후술되는 횡방향 빔(140)과 기둥벽체부의 전단철근(122)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우각부 콘크리트에 강결철근과 함께 매립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기둥벽체(120) 상부면에는 역 ㄷ자 형태의 전단철근(122)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후술되는 횡방향 빔(140)의 H형강(141)이 전단철근(122)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전단철근(122)은 결국 우각부(기둥벽체와 후술되는 횡방향빔의 연결부위)에 매립되어 일종의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며, 전단철근(122) 에 의하여 횡방향 빔의 저면에 돌출된 H형강(141)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그 위치를 구속할 수 있어 시공충격 및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 등에 의한 횡방향 빔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둥벽체(120)는 전달되는 하중을 굴착저면(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며, 현장 타설에 의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프리캐스트 부재로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둥벽체(120) 상부면에는 횡방향 빔(140)의 양 단부가 단순 지지 되도록 거치된다.
이러한 횡방향 빔(140)은 지하차도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횡방향 빔(140)이라고 지칭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PSC 빔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예컨대 횡방향 빔(140)은 프리스트레스가 추후 도입되는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한 PSC빔으로써, 단면형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프리텐션방식으로 제작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횡방향 빔(140) 양 단부 저면에는 H형강(141)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H형강(141)은 도 2b 및 도 3과 같이 상부플랜지(142), 복부(143) 및 하부플랜지(144)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플랜지(142)와 하부플랜지(144)에는 연결홀(145,146)이 각각 관통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홀(145,146) 중 횡방향 빔(140) 저면 내부에 매립되어 횡방향 빔 내부에 배근된 내부 전단철근(147)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연결홀(145)이라 하고, 횡방향 빔(140) 저면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H형강의 연결홀을 특히 하부 연결홀(146)이라 한다.
이러한 H형강(141)은 기존 H형강 제품을 절단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H형강이라고 지칭하였지만 연결홀을 형성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대체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H형강(141)은 횡방향 빔(140)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빔을 기둥벽체에 거치시킬 때,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연결홀(145)이 횡방향 빔(140)의 내부 전단철근(147)이 관통 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 전단철근(147)에 의한 하중 전달이 H형강을 경유하여 기둥벽체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내부 전단철근(147)에 의하여 H형강이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H형강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H형강(141)은 횡방향 빔(140) 제작 시 미리 내부 전단철근(147)이 관통하도록 세팅한 후, 횡방향 빔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횡방향 빔용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미리 H형강이 횡방향 빔 저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H형강(141)이 형성된 횡방향 빔(140)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하여 기둥벽체(120) 상면에 도 2b와 같이 횡방향으로 일단 거치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횡방향 빔은 단경간 방식으로 기둥벽체(120)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지하차도 폭이 큰 경우에는 내측 기둥벽체(120a)와 양 측 기둥벽체(120) 사이에 횡방향 빔(140)을 각각 거치하여 다경간 방식의 횡방향 빔(14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횡방향 빔(140)은 기둥벽체(120) 상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종방향(차량 진행방향)으로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는 H형강(141)에 형성된 하부 연결홀(147)에 종방향 연결철근(150)을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방향 연결철근(150)의 설치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에 의한다.
첫째는 도 2b와 같이 횡방향 빔(140) 각각에 소정의 연장길이를 가진 종방향 연결철근(150)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즉, 1개의 횡방향 빔(140) 양 단부에 각각 종방향 연결철근(150)을 각각 설치하게 된다.
이에 종방향 연결철근(150)을 H형강의 하부 연결홀(146)을 관통하여 일정길이로 개별 배치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는 도 2c와 같이 횡방향 빔(140)의 하부 연결홀(146)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종방향 연결철근(150)이 횡방향 빔(140)을 종방향으로 구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종방향 연결철근(150)의 설치량은 증가될 수 있지만 횡방향 빔을 서로 종방향으로 구속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횡방향 빔(140) 거치 후 작용하는 충격 등에 의한 위치 변동, 우각부 및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충격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횡방향 빔을 종방향으로 구조적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횡방향 빔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2e와 같이 기둥벽체 상부면에 내부철근으로부터 커플러(121)에 의하여 연결된 강결철근(160)이 돌출되도록 하되 횡방향 빔 상부로 절곡되도록 배치되어 미도시 된 상부 슬래브(130)의 배력 철근등과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종방향 연결철근(150)은 횡방향 빔(140)의 하부 연결홀(146)들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때, 횡방향 빔(140)은 기둥벽체 상부면에 거치될 때, 우각부 콘크리트 타설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상기 강결철근(160)과 H형강(140)이 우각부 콘크리트(170)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고,
상기 횡방향 빔(140) 상부에 강결철근(160)이 함께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180)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여 최종 상부 슬래브를 형성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우각부 콘크리트(170)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180)는 별도의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타설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거푸집은 횡방향 PSC빔의 종방향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데크플레이트 형태의 거푸집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부슬래브(130)의 현장타설 콘크리트는 곡선인 지하차도와 종단구배 및 횡단구배가 있는 지하차도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도 2f와 같이 시공공기 단축을 위해 지하차도 상부슬래브 시공과 함께 기둥벽체 하부 사이에 지하차도 기초바닥판(110)을 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강결철근(160), 우각부 콘크리트(170) 및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180)에 의하여 서로 우각부 강결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횡방향 빔(140)은 기둥벽체 상부면에 단순 지지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횡방향 빔의 양 단부에는 횡방향 빔의 자중, 우각부 콘크리트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횡방향 빔의 양 단부에 해당하는 우각부에 휨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둥벽체에는 우각부 콘크리트,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축력만이 작용하므로 우각부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부재 이용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우각부 콘크리트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 후, 우각부 강결이 완성된 이후에, H형강의 상부는 수평방향의 전단력을 횡방향 빔의 내부 전단철근이 저항하게 되고,
H형강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전단력은 기둥벽체의 전단철근과 종방향 연결철근을 통해 기둥벽체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종방향 연결철근은 사기 수평방향의 전단력을 부담하고, 전단철근은 축력으로 전단력을 부담하는 복합 저항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기둥벽체, 횡방향 빔, 상부슬래브, 지하차도 기초바닥판이 완성되면 그 위로 굴착된 토사(300) 등을 기둥벽체 측면공간 및 상부 슬래브 상부 공간에 최종 복토하여 최종 지하차도 시공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100: 라멘식 지하차도
110: 기초바닥판
120: 기둥벽체
130: 상부 슬래브
140: 횡방향 빔
150: 종방향 연결철근
160: 강결철근
170: 우각부 콘크리트
180: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200: 지반 저면
300: 굴착된 토사

Claims (5)

  1. 굴착 지반에 기둥벽체를 지하차도 차량진행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시공하는 단계;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횡방향 빔을 설치하되 차량진행방향으로 다수를 이격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설치된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를 강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에 있어 상기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를 강결시키는 방법은
    H형강을 소정길이 절단하여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상부 및 하부 연결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홀이 형성된 H형강의 상부 연결홀이 횡방향 빔의 내부 전단철근이 관통되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 연결홀이 횡방향 빔의 저면 하부에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H형강을 횡방향 빔에 형성시키고,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연장된 전단철근 사이사이에 상기 H형강이 배치되도록 횡방향 빔의 양 단부를 양 기둥벽체 상부면에 거치시킨 후 노출된 하부 연결홀을 관통하도록 기둥벽체 상부면에서 종방향 연결철근을 배치하여 횡방향 빔의 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기둥벽체 상부면에 내부철근으로부터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된 강결철근이 돌출되도록 하되 횡방향 빔 상부로 절곡되도록 하여 횡방향 빔 상부와 기둥벽체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의하여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가 서로 강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은 횡방향 빔 각각의 H형강에 형성된 하부 연결홀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은 횡방향 빔 각각의 H형강에 형성된 하부 연결홀을 경유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빔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는 횡방향 빔에 직접 지지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기초바닥판에 닿는 동바리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빔은 철근콘크리트 빔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으로 제작된 것을 기둥벽체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20100047361A 2010-05-20 2010-05-20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097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61A KR100975124B1 (ko) 2010-05-20 2010-05-20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61A KR100975124B1 (ko) 2010-05-20 2010-05-20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124B1 true KR100975124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361A KR100975124B1 (ko) 2010-05-20 2010-05-20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1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93B1 (ko)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콘크리트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KR101244894B1 (ko) *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KR101743509B1 (ko) * 2016-12-26 2017-06-07 주식회사 더빔 내진성능이 강화된 일시적 힌지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CN110500099A (zh) * 2019-09-24 2019-11-26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洞柱法与中洞法的正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16652B1 (ko) * 2019-05-21 2020-05-28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거더 연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2317116B1 (ko) 2021-01-29 2021-10-26 (주)지승씨앤아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와 그 제작 방법 및 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KR102597084B1 (ko) * 2023-04-21 2023-11-01 (주)주성이앤씨 강합성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5137B1 (ko) * 2023-04-21 2023-12-19 (주)주성이앤씨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5763B1 (ko) * 2023-07-11 2024-01-16 (주)주성이앤씨 부재력 분포에 따라 거더수가 가변되는 가변 강합성거더교량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73B1 (ko) 2008-10-21 2009-03-18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라멘교 시공방법
KR100892137B1 (ko) 2008-06-23 2009-04-08 (주)비엔텍아이엔씨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KR20090092105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피에스씨 거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6716B1 (ko) 2007-08-30 2010-03-12 (주)한맥기술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16B1 (ko) 2007-08-30 2010-03-12 (주)한맥기술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2105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피에스씨 거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2137B1 (ko) 2008-06-23 2009-04-08 (주)비엔텍아이엔씨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0889273B1 (ko) 2008-10-21 2009-03-18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라멘교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93B1 (ko)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콘크리트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KR101244894B1 (ko) *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KR101743509B1 (ko) * 2016-12-26 2017-06-07 주식회사 더빔 내진성능이 강화된 일시적 힌지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116652B1 (ko) * 2019-05-21 2020-05-28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거더 연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N110500099A (zh) * 2019-09-24 2019-11-26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洞柱法与中洞法的正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500099B (zh) * 2019-09-24 2024-02-09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洞柱法与中洞法的正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17116B1 (ko) 2021-01-29 2021-10-26 (주)지승씨앤아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와 그 제작 방법 및 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KR102597084B1 (ko) * 2023-04-21 2023-11-01 (주)주성이앤씨 강합성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5137B1 (ko) * 2023-04-21 2023-12-19 (주)주성이앤씨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5763B1 (ko) * 2023-07-11 2024-01-16 (주)주성이앤씨 부재력 분포에 따라 거더수가 가변되는 가변 강합성거더교량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124B1 (ko)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50666B1 (ko) 말뚝 두부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말뚝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600845B1 (ko)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169460B1 (ko) 방음벽 기초부가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KR100946879B1 (ko)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58554B1 (ko) 말뚝 상단의 고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코핑의 시공방법
KR20160001216A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998822B1 (ko)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JP4912030B2 (ja) 橋脚と杭との接合部構造
KR101011805B1 (ko) 파일기초부를 횡단하는 지중구조물 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지중구조물
KR101472027B1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JP7334948B2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90101416A (ko) 일체의 중요 구조물을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과 설치를 하는 자전거 및 보도 전용 소형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52360A (ko)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CN217734420U (zh) 一种混合装配式组合连接墙框架结构
KR101008555B1 (ko)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KR20120122024A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JP2011157733A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