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137B1 -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137B1
KR102615137B1 KR1020230052842A KR20230052842A KR102615137B1 KR 102615137 B1 KR102615137 B1 KR 102615137B1 KR 1020230052842 A KR1020230052842 A KR 1020230052842A KR 20230052842 A KR20230052842 A KR 20230052842A KR 102615137 B1 KR102615137 B1 KR 10261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wall
steel
square beam
horizontal sh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성
김영진
김성진
홍지영
Original Assignee
(주)주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주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05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벽체; 벽체 간에 구성되며 원심성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와, 상기 콘크리트몸체에 내재되면서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을 포함하는 원심성형 각형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 외측으로 위치하는 절곡챈널; 상기 절곡챈널의 관통공과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는 강결재; 상기 벽체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에 의해 형성되는 우각부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Construction of Rahmen Bridge using Centrifugal Casting Squar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불필요한 현장작업을 줄일 수 있고, 거더로서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 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공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의 강결구조에 있어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사교 등의 경우도 시공이 용이한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소하천 횡단용으로 주로 적용되어 왔던 RC라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결로 연결하여 전체 구조계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지간 내에 발생하는 휨에 의한 정 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교대나 교각 연결부에서 부담하게 하는 구조형식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교대나 교각의 높이가 높지 않고 단경간의 교량에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국내와 같이 소하천 및 소로의 횡단교량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RC라멘교는 신축이음이나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게 되어 유지관리측면에서 장점을 보유한 교량공법이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고정하중이 크므로 장지간(15m 이상)계획이 어렵고 교량의 연장이 길어지는 경우 우각부 및 헌치부 그리고 하부구조의 규모증가로 초기건설비용 측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전 구간에 동바리를 이용해 거푸집을 형성하여 시공되므로 시공성의 한계와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동바리와 거푸집 설치에 의한 안전사고가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시공 상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RC라멘교는 그 적용성이 떨어지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거더교와 RC라멘교의 장점을 취한 형태의 합성형 라멘교가 개발되었다.
교대에 거더를 거치한 후 바닥판과 우각부를 합성한 합성라멘 공법은 장지간의 경간장을 확보하여 하천 내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일반 조인트 거더교와 달리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되는 교량받침이나 신축이음장치가 배제되어 초기건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의 감소, 주행성의 향상 등의 장점을 보유하게 된다.
초기에 개발된 합성형 라멘공법은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공법과 프리플렉션이 도입된 PF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공법으로 개발되어 다수의 교량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통수 단면적 확보를 위한 장경간 및 저형고의 교량형식으로 기존의 RC라멘구조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합성라멘구조는 상,하부의 일체화 방법으로 보편화된 연결방식인 앵커시스템과 고장력볼트 이음을 기술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강구조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강재거더 합성라멘공법은 경제성, 시공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벽체(교대)에 강재거더를 안치한 후에 슬래브 등의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 하중 등에 의한 진동에너지에 의해 벽체에서 강재거더의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32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면서 거더로서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 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공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의 강결구조에 있어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사교 등의 경우도 시공이 용이한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함)는, 상부면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벽체; 벽체 간에 구성되며 원심성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와, 상기 콘크리트몸체에 내재되면서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을 포함하는 원심성형 각형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 외측으로 위치하는 절곡챈널; 상기 절곡챈널의 관통공과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는 강결재; 상기 벽체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에 의해 형성되는 우각부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절곡챈널은 H형강 하부 플랜지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H형강 하부 플랜지에 대향하는 체결면에는 체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와 직교하는 직교면에는 강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체결관통공에 대향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각 절곡챈널이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벽체의 주철근 중 일부에는 상단에 커플러가 장착되고,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는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강결재에 체결되어 상기 강결재가 상기 강결관통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챈널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고정링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직교면 하단에는 바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시공방법(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라함)은, 하나 이상의 형 수평전단철근이 돌출되도록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S10); 원심성형 각형보에 있어 노출되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곡챈널을 체결하는 단계(S20); 절곡챈널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를 벽체에 안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관통공과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도록 강결재를 삽입하는 단계(S40); 우각부와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S20단계에서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절곡챈널을 가체결하고, S30단계에서는 절곡챈널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를 벽체에 안치시킨후 절곡챈널의 위치를 조정하여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절곡챈널을 진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불필요한 현장작업을 줄일 수 있고, 거더로서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충격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공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의 강결구조에 있어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사교 등의 경우도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거더로 사용되는 원심성형 각형보는 대구경 PHC파일의 생산 방식인 원심성형 공법을 활용하여 수밀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초고강도(100MPa이상)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형을 대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장에서 현장의 다양한 벽체와 이음을 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각형보의 원심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기존의 강형이나 강합성보 대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된 라멘교를 나타내는 절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가 사교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조(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벽체(2); 벽체(2) 간에 구성되며 원심성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31)와, 상기 콘크리트몸체(31)에 내재되면서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32)을 포함하는 원심성형 각형보(3);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몸체(31)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32)의 하부 플랜지(321)에 볼트결합(7)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21) 외측으로 위치하는 절곡챈널(6); 상기 절곡챈널(6)의 관통공과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는 강결재(4); 상기 벽체(2)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3)에 의해 형성되는 우각부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3)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2)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안치되는 원심성형 각형보(3)에 대향하도록 하나 이상의 형 수평전단철근(21)이 배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벽체(2)에는 복수의 주철근(22)이 배근되고, 상기 벽체(2)의 주철근(22) 중 일부에는 상단에 커플러(24)가 장착되고, 상기 커플러(24)에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부(5)에 매립되는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25)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25)은 우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52)와 원심성형 각형부(3) 상부에 타설되어 슬래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부(51)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벽체(2) 간에 구성되는 원심성형 각형보(3)는 벽체(2) 상부면과 사이에 절곡챈널(6)이 게재되도록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3)의 단부에는 절곡챈널(6)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3)는 벽체(2) 간에 구성되며 원심성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31)와, 상기 콘크리트몸체(31)에 내재되면서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원심성형 각형보(3)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37913호 등에서 제시하는 거푸집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심성형 각형보(3)는 공지의 원심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각형보를 공장 제작함에 따라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심성형 제작으로 수밀성이 높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초고강도 콘크리트(100MPa 이상)를 사용하면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비균열 구조를 갖는 강도를 확보함으로써 하여 저형고가 가능하고 구조물의 건축한계 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의 다양한 벽체(2)와의 이음이 가능하게 하는 H형강(32)이 공장에서 각형보의 원심 성형 과정 중 일체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기존의 강형이나 강합성보 대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절곡챈널(6)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3) 단부의 H형강(32) 하부 플랜지(321)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바, H형강(32) 하부 플랜지(321)에 대향하는 체결면(61)에는 체결관통공(611)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321)와 직교하는 직교면(62)에는 강결관통공(621)이 복수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한쌍으로 구성되는 절곡챈널(6)은 각각 H형강(32) 하부 플랜지(321)에 체결면(61)이 대향하도록 체결되어 벽체(2)에 안치시 각 직교면(62) 사이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안치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 플랜지(321)에는 상기 체결관통공(611)에 대향하는 장공(321-1)이 형성되어 각 절곡챈널(6)이 하부 플랜지(321)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절곡챈널(6)을 한쌍으로 구성하고, 각 절곡챈널(6)이 체결되는 하부 플랜지(321)에 장공(321-1)이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결합(7)에 의한 체결시 각 절곡챈널(6)의 위치를 달리하여 하부 플랜지(321)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사교(Skew Rahmen) 등과 같이 원심성형 각형보(3)와 벽체(2)가 직교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경우에도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원심성형 각형보(3)에 각 절곡챈널(6)을 가체결 한후에 벽체(2) 상부면에서 절곡챈널(6)의 직교면(62) 사이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안치하고, 절곡챈널(6)의 위치를 조정하여 진체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절곡챈널(6)에 있어 각 직교면(62)의 강결관통공(621)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강결재(4)가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가체결”은 볼트결합(7)을 느슨하게 하여 원심성형 각형보(3)에 각 절곡챈널(6)이 어느 정도 고정이 된 상태를 정의하고, “진체결”은 벽체(2) 상부면에서 절곡챈널(6)의 직교면(62) 사이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안치하고, 절곡챈널(6)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볼트결합(7)을 견고하게 하여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정의하는 것이다.
상기 강결재(4)는 상기 절곡챈널(6)에 있어 직교면(62)의 강결관통공(621) 과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강결재(4)에 의해 원심성형 각형보(3)가 벽체(2) 상부면에 고정이 되도록 하여 이후에 콘크리트부(5) 타설시 충격 등에 의한 위치 변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강결재(4)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철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직교면(62)의 강결관통공(621)과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도록 강결재(4)를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부(5)를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의 충격 등에 의한 진동에너지에 의해 강결재(4)가 강결관통공(621)과 형 수평전단철근(21)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는데 이렇게 탈리가 되면 상기에서 언급한 원심성형 각형보(3)의 충격에 의한 위치변동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결재(4)가 강결관통공(621)과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도록 한 후에 상기 강결관통공(621) 외측에서 강결재(4)에 탄성재질의 고정링(8)이 장착되도록 하여 강결재(4)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타설시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제어토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링(8)은 타성재질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강결재(4)에 장착전에는 그 내경이 강결재(4)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도록 하고, 장착시에는 그 외경이 강결관통공(62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심성형 각형보(3)에 각 절곡챈널(6)을 가체결 한후에 벽체(2) 상부면에서 절곡챈널(6)의 직교면(62) 사이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안치하고, 절곡챈널(6)의 위치를 조정하여 진체결을 하도록 하는데, 절곡챈널(6)의 위치조정이 상부의 원심성형 각형보(3)의 자중에 의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벽체(2)의 상부면이 골재 등에 의해 고르지 않은 경우 절곡챈널(6)의 위치조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교면(62) 하단에 바퀴(622)가 더 구성되도록 하여 절곡챈널(6)이 벽체(2)와 원심성형 각형보(3) 사이에서 위치조정 즉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바퀴(622)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적어도 원심성형 각형보(3)의 자중에 대한 변형저항성을 갖는 정도의 강성재질이 적용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형 수평전단철근(21)이 돌출되도록 벽체(2)를 시공하는 단계(S10); 원심성형 각형보(3)의 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곡챈널(6)을 체결하는 단계(S20); 절곡챈널(6)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3)를 벽체(2)에 안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관통공과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도록 강결재(4)를 삽입하는 단계(S40); 우각부와 원심성형 각형보(3) 상부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우선 하나 이상의 형 수평전단철근(21)이 돌출되도록 벽체(2)를 시공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상기 벽체(2)에는 형 수평전단철근(21) 외에도 복수의 주철근(22)이 배근되어 노출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원심성형 각형보(3)에 있어 H형강(32)의 하부 플랜지(321)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곡챈널(6)을 체결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본 단계(S20)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심성형 각형보(3)에 각 절곡챈널(6)을 가체결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절곡챈널(6)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3)를 벽체(2)에 안치시키는 단계(S30)를 갖는다.
본 단계(S30)에서는 절곡챈널(6)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21)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3)를 벽체(2)에 안치시킨 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곡챈널(6)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심성형 각형보(3)에 있어 H형강(32)의 하부 플랜지(321)에 절곡챈널(6)을 진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관통공과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도록 강결재(4)를 삽입하는 단계(S40)를 갖는 바, 직교면(62)의 강결관통공(621)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형 수평전단철근(21)을 관통하도록 강결재(4)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강결재(4)에 의해 원심성형 각형보(3)가 벽체(2)에 고정됨으로써 후 공정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서도 원심성형 각형보(3)의 위치변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단계(S40)에서는 상기 벽체(2)의 주철근(22) 중 일부 상단에 커플러(24)를 장착하고, 상기 커플러(24)에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25)이 연결되도록 하여 후공정에서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25)이 콘크리트부(5)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우각부와 원심성형 각형보(3) 상부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구조 2 : 벽체
3 : 원심성형 각형보 4 : 강결재
5 : 콘크리트부 6 : 절곡챈널
7 : 볼트결합

Claims (7)

  1. 상부면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벽체; 벽체 간에 구성되며 원심성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와, 상기 콘크리트몸체에 내재되면서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을 포함하는 원심성형 각형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 외측으로 위치하는 절곡챈널; 상기 절곡챈널의 관통공과 상기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는 강결재; 상기 벽체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에 의해 형성되는 우각부와 상기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챈널은 H형강 하부 플랜지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H형강 하부 플랜지에 대향하는 체결면에는 체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와 직교하는 직교면에는 강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체결관통공에 대향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각 절곡챈널이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직교면 하단에는 바퀴가 구성되어 H형강에 각 절곡챈널을 가체결 한후에 벽체 상부면에서 절곡챈널의 직교면 사이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위치하도록 안치하고, 절곡챈널의 위치를 조정하여 진체결을 하도록 함으로써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가 직교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경우에도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벽체의 주철근 중 일부에는 상단에 커플러가 장착되고,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는 벽체-슬래브 연결 주철근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결재에 체결되어 상기 강결재가 상기 강결관통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챈널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고정링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5. 삭제
  6. 하나 이상의 형 수평전단철근이 돌출되도록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S10);
    원심성형 각형보에 있어 노출되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곡챈널을 체결하는 단계(S20);
    절곡챈널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를 벽체에 안치시키는 단계(S30);
    상기 관통공과 형 수평전단철근을 관통하도록 강결재를 삽입하는 단계(S40);
    우각부와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절곡챈널은 H형강 하부 플랜지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H형강 하부 플랜지에 대향하는 체결면에는 체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와 직교하는 직교면에는 강결관통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체결관통공에 대향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각 절곡챈널이 하부 플랜지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직교면 하단에는 바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는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절곡챈널을 가체결하고, S30단계에서는 절곡챈널의 내부에 형 수평전단철근이 위치하도록 원심성형 각형보를 벽체에 안치시킨후 절곡챈널의 위치를 조정하여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절곡챈널을 진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시공방법.
KR1020230052842A 2023-04-21 2023-04-21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842A KR102615137B1 (ko) 2023-04-21 2023-04-21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842A KR102615137B1 (ko) 2023-04-21 2023-04-21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137B1 true KR102615137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842A KR102615137B1 (ko) 2023-04-21 2023-04-21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768B1 (ko) * 2024-03-11 2024-05-30 (주)주성이앤씨 형강받침과 교차철근으로 보강한 합성형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24A (ja) * 1999-03-10 2000-09-19 Sho Bond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100975124B1 (ko) * 2010-05-20 2010-08-11 (주)홍지디씨에스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1018956B1 (ko) * 2010-10-11 2011-03-02 최영철 정모멘트 구간의 슬래브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롤러 처리한 라멘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259138B1 (ko)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KR101586320B1 (ko) 2015-09-10 2016-01-18 오종훈 H-빔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로 교각과 거더가 강결되는 psc 거더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27453A (ko) * 2019-05-02 2020-11-11 문광수 다웰바 어셈블리
KR102374003B1 (ko) * 2021-07-23 2022-03-15 (주)주성이앤씨 원심성형 초고강도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피암터널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피암터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24A (ja) * 1999-03-10 2000-09-19 Sho Bond Constr Co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100975124B1 (ko) * 2010-05-20 2010-08-11 (주)홍지디씨에스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1018956B1 (ko) * 2010-10-11 2011-03-02 최영철 정모멘트 구간의 슬래브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롤러 처리한 라멘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259138B1 (ko)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KR101586320B1 (ko) 2015-09-10 2016-01-18 오종훈 H-빔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로 교각과 거더가 강결되는 psc 거더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27453A (ko) * 2019-05-02 2020-11-11 문광수 다웰바 어셈블리
KR102374003B1 (ko) * 2021-07-23 2022-03-15 (주)주성이앤씨 원심성형 초고강도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피암터널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피암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768B1 (ko) * 2024-03-11 2024-05-30 (주)주성이앤씨 형강받침과 교차철근으로 보강한 합성형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084B1 (ko) 강합성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27405B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JP4750562B2 (ja) 杭頭部とプレキャスト桁との接続構造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96257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을 구비하는 강합성 거더 및 이러한 강합성 거더를 구비하는 교량
KR100839439B1 (ko)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라멘교량의강접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CN109235662B (zh) 一种包含多重剪力键的柱板连接装置
KR2006004615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KR101263370B1 (ko)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19199710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橋軸直角方向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93110B1 (ko) 바닥판 타설시 우각부가 힌지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프리캐스트 유니트 거더와 바닥판 합성부 철근으로 강결된우각부를 형성하는 라멘교량공법
CN109339087B (zh) 一种低层建筑的基础结构体系
JP2008025221A (ja) Pc構造脚柱と鋼製箱桁とを結合した高架構造物
KR200406615Y1 (ko)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2615137B1 (ko) 원심성형 각형보를 이용한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15165648U (zh) 一种可以回收的逆作区结构竖向承重装置
EA017909B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поры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посредством послойного монтажа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аркас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способа
KR102244029B1 (ko)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70768B1 (ko) 형강받침과 교차철근으로 보강한 합성형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557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0291793Y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JP3895339B2 (ja) 立体交差陸橋のアプローチ部構造およびその架設工法
KR100622449B1 (ko) 하이브리드 교각 및 이를 이용한 연속화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