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41B1 -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1741B1 KR100761741B1 KR1020060062023A KR20060062023A KR100761741B1 KR 100761741 B1 KR100761741 B1 KR 100761741B1 KR 1020060062023 A KR1020060062023 A KR 1020060062023A KR 20060062023 A KR20060062023 A KR 20060062023A KR 100761741 B1 KR100761741 B1 KR 100761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heet
- bridge
- steel
- pile
- found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는, 말뚝, 및 상기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구조물은 복수개의 제1 강판들, 및 상기 제1 강판들과 격자 상으로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강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슬릿들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된다.
교량, 기초, 말뚝, 교량기초, 강판, 격자, 슬릿, 파형, 허니콤, 연결부
Description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초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말뚝 부위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말뚝과 기초 구조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평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말뚝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310... 말뚝 30, 130, 230... 기초 구조물
31, 131... 제1 강판 32, 132... 제2 강판
41, 341... 제1 연결부 42... 제2 연결부
231... 제1 강판 어셈블리 232... 제2 강판 어셈블리
본 발명은 교량 기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말뚝과 기초로서 구성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지반에 매입된 말뚝에 기초 콘크리트부를 가설하여 이루어지는 교량 기초 위에 교각, 상부 거더 및 바닥판을 가설하는 방식으로서 시공된다.
이 중에서, 교량 기초는 교각, 상부 거더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 조물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로서, 교량의 하중을 말뚝으로 전달시키고 지점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말뚝의 머리 부분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기초 구조물을 가설한 후, 이 기초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에서, 교각과 상부 거더를 가설하고 이 상부 거더에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바닥판 구조물을 가설한 다음, 이 바닥판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구조물 및 바닥판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의 타설/양생 공정이 각각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전체 공사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의 구조를 개선하여 교량의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급속 시공을 가능케 하는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는, 말뚝, 및 상기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구조물은 복수개의 제1 강판들, 및 상기 제1 강판들과 격자 상으로 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강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슬릿들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된다.
상기 교량 기초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평판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교량 기초는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 중 적어도 하나가 파형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교량 기초는 상기 말뚝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부는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말뚝의 머리 부분에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의 격자 방향으로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량 기초는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각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부는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각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말뚝의 상단 부분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캡부재에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의 격자 방향으로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는, 말뚝, 및 상기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구조물은 한 쌍의 강판을 맞대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제1 강판 어셈블 리, 및 한 쌍의 강판을 맞대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셀들을 가지면서 상기 제1 강판 어셈블리와 격자 상으로서 결합하는 제2 강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판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강판 어셈블리는 상기 셀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된다.
상기 교량 기초는 상기 강판이 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셀들이 허니콤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시공 방법은, 지반에 말뚝을 매입하고, 강판을 격자 상으로 조립하여 기초 구조물을 제작하고, 상기 말뚝과 상기 기초 구조물을 연결하고, 상기 기초 구조물 위에 교각, 상부 거더 및 바닥판 구조물을 가설하고, 상기 기초 구조물과 상기 바닥판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한다.
상기 교량 시공 방법은 평판 형태의 강판을 사용하여 상기 기초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파형의 강판을 사용하여 상기 기초 구조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교량 시공 방법은 상기 말뚝과 상기 기초 구조물을 볼트로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교량 기초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로서, 지 반에 매입된 말뚝에 기초 콘크리트부를 가설하여 이루어지는 기초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교량 기초는 교각, 상부 거더 및 바닥판으로서 구성되는 상부 구조물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교량 기초(100)를 설명하면, 이 교량 기초(100)는 기본적으로, 지반에 매입되는 복수개의 말뚝(10)과, 이 말뚝(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초 구조물(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말뚝(10)은 통상적인 강관으로서 구비된다. 기초 구조물(30)은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지반에 매입된 말뚝(10)의 머리 부분에 연결되는 강판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기초 구조물(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 강판들(31) 및 제2 강판들(32)을 포함한다.
제1 강판(31)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평판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강판들(32)은 제1 강판들(31)과 같은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제1 강판들(3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강판들(31)과 제2 강판들(32)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격자 형태 로 결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제1 강판(31) 및 제2 강판(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측의 한 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다른 한 쪽 가장자리단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31a, 32a)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강판(31)은 가로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그 슬릿(31a)이 상측 가장자리단으로부터 하측 가장자리단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서 그 폭 전장의 1/2 길이 만큼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2 강판(32)은 세로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그 슬릿(32a)이 하측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상측 가장자리단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서 그 폭 전장의 1/2 길이 만큼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제1 강판(31) 및 제2 강판(32)은 각각의 슬릿(31a, 32a)에 의하여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격자 상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들의 격자 결합에 의하여 사각형 형태로 각각 구획되는 복수의 셀 영역(33: 도 2)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말뚝(10)과 기초 구조물(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10)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41)와 기초 구조물(30)에 설치되는 제2 연결부(4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41)는 말뚝(10)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 볼트 조립 방식으로 기초 구조물(30)의 제1 강판(31) 및 제2 강판(32)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41)는 말뚝(10)의 머리 부분에 제1 강판(31) 및 제2 강판(32)의 격자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편들(43)을 포함한다.
제1 연결편들(43)은 말뚝(10)의 길이 방향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 그 말뚝(10)의 머리 부분에 9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 구멍(4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편들(43)은 말뚝(10)의 머리 부분에 용접식으로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42)는 제1 강판들(31) 및 제2 강판들(32)의 격자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셀 영역들(33)의 각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연결편(45)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연결편(45)은 셀 영역들(33)의 각 내벽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 구멍(45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셀 영역들(33) 내부에 말뚝(10)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면서 말뚝(10)의 제1 연결편(43)이 제2 연결편(45) 사이의 공간으로 개재되고, 제1 연결편(43)의 볼트 구멍(43a)과 제2 연결편(45)의 볼트 구멍(45a)으로 볼트(47)를 체결하는 방식에 의해서 말뚝(10)의 머리 부분과 기초 구조물(30)의 제1 강판들(31) 및 제2 강판들(32)을 일체로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말뚝(10)은 상기한 셀 영역들(33) 중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 라 서로 교번되는 위치의 셀 영역(33)에 그 머리 부분이 위치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연결편(45)은 말뚝(10)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는 셀 영역(33)의 각 내벽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량 기초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말뚝(10)을 항타하여 지반에 매입한다(S10 단계).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에서 별도 제작된 제1 강판들(31)과 제2 강판들(32)을 격자 상으로 조립하여 기초 구조물(30)을 제작한다(S20 단계).
이 단계(S20)에서, 제1 강판들(31) 및 제2 강판들(32)은 슬릿(31a, 32a)에 의하여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격자 형태로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강판(31) 및 제2 강판(32)의 격자 결합에 의하여 사각형 형태로 각각 구획되는 복수의 셀 영역(33)을 형성하게 된다(도 2 및 도 3 참조).
다음으로는, 말뚝(10)과 기초 구조물(30)을 연결하는 단계(S30)로서, 셀 영역(33)에 각각 위치하는 말뚝(10)의 머리 부분과, 그 셀 영역(33)의 각 내벽면을 연결한다.(도 4 및 도 5 참조)
구체적으로, 이 단계(S30)는 셀 영역(33)의 내부에 말뚝(10)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면서 그 머리 부분에 설치된 제1 연결편(43)이 셀 영역(33)의 각 내벽면에 설치된 제2 연결편(45) 사이로 개재되고, 제1 연결편(43)의 볼트 구멍(43a)과 제2 연결편(45)의 볼트 구멍(45a)으로 볼트(47)를 체결하여 말뚝(10)의 머리 부분과 제1 강판들(31) 및 제2 강판들(32)을 일체로서 연결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구조물(30) 위에 교각(50), 상부 거더(60) 및 바닥판 구조물(70)을 순차적으로 가설한다(S40 단계).
여기서, 바닥판 구조물(70)이라 함은 바닥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해 상부 거더(60)에 철근과 거푸집 등이 설치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 경우, 기초 구조물(30)은 강판들(31, 32)이 격자 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말뚝(10)에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교각(50), 상부 거더(60) 및 바닥판 구조물(70)과 같은 상부 구조물 전체의 자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구조물(30)과 바닥판 구조물(70)에 콘크리트(80)를 동시에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80)를 양생시킨다(S50 단계).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초 구조물(30)과 바닥판 구조물(70)에 콘크리트(80)를 동시에 타설하고 양생시킴에 따라, 종래와 달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급속 시공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이 경우는 제1 강판(131) 및 제2 강판(132) 중 적어도 하나가 파형으로서 이루어지는 기초 구조물(13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변형 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판들(131) 및 제2 강판들(132) 모두가 파형으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강판(131) 및 제2 강판(132)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평판 형태에서 양측면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를 번갈아 가며 굴곡되게 형성하는 성형 강판으로서 구비된다.
즉, 제1 강판(131) 및 제2 강판(132)은 일측면의 오목부에 대응하여 다른 일측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일측면의 볼록부에 대응하여 다른 일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요철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강판들(131) 및 제2 강판들(132)은, 제1 강판들(131)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강판들(132)이 제1 강판들(131)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격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강판(131) 및 제2 강판(132)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는 폭 전장(높이)의 1/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131a, 132a)을 형성하고 있다. 즉, 이러한 슬릿(131a, 132a)은 제1 강판(131) 및 제2 강판(132)의 일측면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면의 볼록부 또는 일측면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면의 오목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파형으로서 이루어진 제1 강판들(131) 및 제2 강판들(132)을 격자 상으로 조립하여 기초 구조물(130)을 구성함에 따라, 상부 구조물 전체의 자중에 대한 추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이 경우는 한 쌍의 강판(235)을 맞대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셀들(233)을 형성하는 제1 강판 어셈블리들(231) 및 제2 강판 어셈블리들(232)이 격자 상으로서 결합하는 기초 구조물(2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 구조물(230)은 상부 구조물 전체의 자중에 대한 추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강판(235)이 전기 변형예에서와 같이 파형의 성형 강판으로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강판 어셈블리(231) 및 제2 강판 어셈블리(232)는 파형으로서 이루어진 한 쌍의 강판(235)이 서로 밀착하여 구성되며, 그 강판(235)의 각 밀착면에 형성된 오목부가 서로 마주하여 합쳐지면서 상기한 셀(233)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본 변형예에서 상기한 셀(233)은, 강판(235)의 양측면에 대해 오목부와 볼록부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제1 강판 어셈블리(231) 및 제2 강판 어셈블리(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셀들(233)은 상호 독립적인 영역을 가지면서 상,하부가 개방된 허니콤(honeycomb) 형태로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강판 어셈블리들(231) 및 제2 강판 어셈블리들(232)은, 제1 강판 어셈블리들(231)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강판 어셈블리들(232)이 제1 강판 어셈블리들(231)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 되면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격자 형태로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제1 강판 어셈블리(231) 및 제2 강판 어셈블리(232)는 셀들(233) 사이의 볼록부에 폭 전장(높이)의 1/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231a, 232a)을 형성하고 있다. 즉, 이러한 슬릿(231a, 232a)은 서로 밀착되는 한 쌍의 강판(235)에 대해 오목부 사이의 볼록부에 각각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기초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말뚝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이 경우는 말뚝(310)의 머리 부분(상단 부분)에 결합되는 캡부재(311)를 가지면서 그 캡부재(311)에 기초 구조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편들(343)이 설치된 제1 연결부(34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말뚝(310)은 원 기둥 형태의 통상적인 콘크리트 말뚝으로서 구비되며, 캡부재(311)는 상단 부분이 폐쇄되고 하단 부분이 개방된 원형의 캡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연결부(341)는 볼트 조립 방식에 의해 기초 구조물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편들(343)을 구비하는 바, 제1 연결편들(343)은 말뚝(310)의 길이 방향측 중심선을 기준 할 때 캡부재(311)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 구멍(34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편들(343)은 캡부재(311)의 외주면에 용접식으로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이 격자 형태로 조립된 기초 구조물로서 상부 구조물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교량 기초를 구비함에 따라, 기초 구조물 및 바닥판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양생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교량의 급속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 말뚝, 및 상기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는 교량 기초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기초 구조물은,복수개의 제1 강판들; 및상기 제1 강판들과 격자 상으로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강판들을 포함하며,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슬릿들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평판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 중 적어도 하나가 파형으로서 이루어지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말뚝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결부는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말뚝의 머리 부분에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의 격자 방향으로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편을 포함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각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연결부는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각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편을 포함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결부는,상기 말뚝의 상단 부분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볼트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캡부재에 상기 제1 강판 및 상기 제2 강판의 격자 방향으로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 연결편을 포함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말뚝, 및 상기 말뚝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는 교량 기초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기초 구조물은,한 쌍의 강판을 맞대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제1 강판 어셈블리; 및한 쌍의 강판을 맞대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셀들을 가지면서 상기 제1 강판 어셈블리와 격자 상으로서 결합하는 제2 강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제1 강판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강판 어셈블리는 상기 셀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되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강판이 파형으로서 이루어지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셀들이 허니콤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 지반에 말뚝을 매입하는 단계;복수 개의 제1 강판들과 제2 강판들을 격자 상으로 조립하여 기초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상기 말뚝과 상기 기초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상기 기초 구조물 위에 교각, 상부 거더 및 바닥판 구조물을 가설하는 단계;상기 기초 구조물과 상기 바닥판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제1 강판들과 제2 강판들은 평판 형태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량 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제1 강판들과 제2 강판들은 파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량 시공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상기 말뚝과 상기 기초 구조물을 볼트로서 연결하는 교량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023A KR100761741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023A KR100761741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1741B1 true KR100761741B1 (ko) | 2007-09-28 |
Family
ID=3873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2023A KR100761741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17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31740A (ja) * | 2017-02-13 | 2018-08-23 | 株式会社トーヨーアサノ | 中空既製杭、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76605U (ko) | 1976-11-30 | 1978-06-26 | ||
JPH03202511A (ja) * | 1989-12-28 | 1991-09-04 | Shimizu Corp | 液状化防止工法 |
JPH0913399A (ja) * | 1995-06-27 | 1997-01-14 | Akinobu Fujiwara | 鉄筋保持装置 |
JPH09177095A (ja) * | 1995-12-25 | 1997-07-08 | Geotop Corp | 免震基礎構造 |
JP2005232747A (ja) | 2004-02-18 | 2005-09-02 | Taisei Corp | 水中骨組構造の設置方法と設置部材 |
-
2006
- 2006-07-03 KR KR1020060062023A patent/KR1007617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76605U (ko) | 1976-11-30 | 1978-06-26 | ||
JPH03202511A (ja) * | 1989-12-28 | 1991-09-04 | Shimizu Corp | 液状化防止工法 |
JPH0913399A (ja) * | 1995-06-27 | 1997-01-14 | Akinobu Fujiwara | 鉄筋保持装置 |
JPH09177095A (ja) * | 1995-12-25 | 1997-07-08 | Geotop Corp | 免震基礎構造 |
JP2005232747A (ja) | 2004-02-18 | 2005-09-02 | Taisei Corp | 水中骨組構造の設置方法と設置部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31740A (ja) * | 2017-02-13 | 2018-08-23 | 株式会社トーヨーアサノ | 中空既製杭、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876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2029301B1 (ko)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
KR200455723Y1 (ko) | 하이브리드 철골보 | |
JP2011202491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 |
KR100923564B1 (ko) |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 |
KR20090004053A (ko) | 합성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 |
KR101317316B1 (ko) |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
RU80171U1 (ru) |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свайный фундамент | |
JP6266246B2 (ja) | 鋼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080093261A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CN210031897U (zh) | 风机基础及风力发电机组 | |
KR100761741B1 (ko) |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200383489Y1 (ko) |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 |
CN113136946B (zh) | 自支撑装配式海水海砂混凝土框架结构及施工方法 | |
KR20100113940A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JP3133615U (ja) | 外壁コンクリート型枠パネル | |
KR100962677B1 (ko) | 조립형 교량 | |
KR101143056B1 (ko) | 조립형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90093540A (ko) |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 |
KR101685290B1 (ko) | 건축용 벽체 데크패널 | |
CN220433898U (zh) | 装配式肋格构建筑结构及建筑物 | |
CN220353162U (zh) | 一种内嵌钢板剪力墙与钢筋混凝土转换梁连接节点 | |
KR100977279B1 (ko) | 지하주차장 모듈러 시스템 | |
KR100579543B1 (ko) |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철근 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 |
KR102217153B1 (ko) | 형고를 최소화한 효율적 강합성 거더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