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83Y1 -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83Y1
KR200466483Y1 KR2020100005944U KR20100005944U KR200466483Y1 KR 200466483 Y1 KR200466483 Y1 KR 200466483Y1 KR 2020100005944 U KR2020100005944 U KR 2020100005944U KR 20100005944 U KR20100005944 U KR 20100005944U KR 200466483 Y1 KR200466483 Y1 KR 200466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leeper
reinforcement
concrete
slee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15U (ko
Inventor
오주환
김광길
권태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to KR2020100005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83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하여 비탈면(사면;斜面) 보강을 시공하되, 비탈면의 현장상황 및 사면의 크기에 따라 시공구조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함에 있어 상기 수평보호는 보강블럭(110)에 침목(300)과 체결볼트(120)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100)를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고, 상기 계단식 보호는 상하단침목(300)과 고정볼트(210)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200)를 이용하여 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강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자원을 재활용하여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비탈면의 현장상황 및 사면의 크기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A reinforce construction of steep slope using concrete dilapidated sleep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사면;斜面)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강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자원을 재활용하여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종래 비탈면 안정공법은 단위블록들을 소정의 형태로 미리 성형하여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단위블록들을 조립해 나가는 구축공법으로 비탈면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단위블록을 조립하여 구축하는 공법은 단위블록들이 절토된 지반 내에 깊이 지지되는 구조부가 없고, 개체간 연결지지가 안됨으로 인하여 장마비나 홍수에 의하여 토사등이 흘러내려 노출되어 쉽게 붕괴 내지 유실되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 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 다시 보수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사후관리비가 소요됨으로 인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것은 판 형태의 단위블록들을 조립시킨 것으로 평면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조립된 블록들이 단지 평면적으로 조립되어있으므로 장마비나 홍수에 의하여 토사 등이 흘러내려 노출되어 쉽게 붕괴 내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평면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길다란 단위부재들로 조립시켜 일부가 지반 내에 지지되게 하는 조립틀체를 이루어서 비탈면들을 안정화시켜 주는 입체적인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다.
즉, 최근의 비탈면 안정공법은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탈면을 형성할 바닥에 기초콘크리트(1)를 타설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 상부 전방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전방부재(2)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 상부 후방에 상기 전방부재(2)와 동일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는 후방부재(3)를 역시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전방부재(2) 및 후방부재(3)의 단부 상에 폭방향으로 걸처서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재(4)를 설치하여 상하층부재들 사이마다 토사를 채워서 전면에는 토사가 노출되는 토사부(6)를 형성하게 하고 후면에는 토사 내부에 묻혀서 지지되게 하는 조립틀체(5)를 형성하여 비탈면을 안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최근의 것은 길다란 단위부재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조립틀체를 이루는 입체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전면은 비탈면에 드러나게 하고, 후면은 지반 내에 깊숙히 박혀 지지되게 함으로써 보다 비탈면을 보다 견고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의 것은 도 1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부재(2)(3) 및 연결부재(4)들이 단순히 평평하게 형성되어 부재들 간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측방으로 전달되는 토압에 의해 밀려나가거나 쉽게 이탈되어 조립틀체가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310658호(출원번호 제1999-0002157호)(명칭: 비탈면 안정공법)가 등록된 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비탈면을 형성할 바닥에 기초콘크리트(10)를 타설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0) 상부 전방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전방부재(20)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0) 상부 후방에 상기 전방부재(20)와 동일한 간격으로 길이를 가지는 후방부재(30)를 역시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전방부재(20) 및 후방부재(30)의 단부 상에 폭방향으로 걸쳐서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재(40)를 설치하고, 상하층 부재들 사이마다 토사를 채워서 전면에 토사가 노출되는 토사부(52)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조립틀체(50)를 형성하여 비탈면을 안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양단부 상하면에 걸림홈(43)들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방부재(20)(30)들과 연결부재(40)간에 연결되는 연결부마다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걸려지게 결착되게 하여 견고한 조립틀체를 구축하여 비탈면을 안정시켜 주는 기술사상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0)는 4각형상의 단면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一'자로 형성되어 지되, 그 양단부 상하면에 걸림홈(43)들이 형성되며, 그 걸림홈(43)들중 전방 상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굴곡되는 형상으로 끝단에 형성되고, 전방 하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은 'ㄱ'자 형상의 직선형태로 끝단에 형성되며, 후방 상,하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은 끝단으로부터 일정부분 들어와 4각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전방부재(20)는 마름모꼴 단면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一'자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상면에 경사지게 굴곡되어 있는 홈의 형태와 같은 경사 굴곡 형태의 하면을 가지면서 그 상부는 4각단면 형태로 형성되어서, 그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상면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 굴곡홈에 정합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하면의 끝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홈에 정합되는 구조로 결착된다.상기 후방부재(30)는 4각 단현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一'자로 형성되어, 그 상하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후방 상,하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4각채널 형상의 홈에 정합되는 구조로 결착된다. 도 2a및 도 2b는, 상기 전,후방부재(20)(30)을 그 부재의 단위길이보다 조금 짧은 길이만큼 간격을 띄우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전,후방부재(20)(30)는 엇갈리도록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2b는 상기 전,후방부재(20)(30)와 연결부재(40)간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상하로 뚫리는 체결구멍(53)을 천공시켜 수직강봉(54)으로 부재들간을 서로 체결되게 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구성은 부재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한다. 한편, 도 2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립틀체(50) 전면에 그 일측 끝이 지지되고 그 타측끝은 지반 내부 깊숙히 정착되는 보강용앵커(60)를 설치하여 조립틀체(50)를 보강하여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용앵커(60)의 설치는 비탈면이 높을 경우에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틀체의 전면에 상하층부재들 사이마다 토사를 채워서 전면에 토사가 노출되는 토사부들을 형성하여 그 토사부들 내에 나무 또는 잔디 등을 심음으로써 미관상 자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 및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기초콘크리트(10)와 전방부재(20) 그리고 후방부재(30)와 연결부재(40) 등의 많은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한 관계로 시공도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의 기술은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구조는 수직 적층식으로 밖에 시공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강블럭에 침목과 체결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와 침목과 고정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강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자원을 재활용하여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 및 정리로 인해 환경정리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기술적 구성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하여 비탈면(사면;斜面) 보강을 시공하되,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시공구조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함에 있어 상기 수평보호는 보강블럭에 침목과 체결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를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고, 상기 계단식 보호는 침목과 고정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를 이용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강블럭에 침목과 체결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와 침목과 고정구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강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자원을 재활용하여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 및 정리로 인해 환경정리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기술적 구성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b)는 종래 비탈면 조립틀체를 구축한 상태의 예시도.
도 2 의 (a)(b)(c)는 종래 비탈면 안정공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
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결합상태 요부 확대도이며,
(c)는 사용상태도 정면도이고,
(d)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
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b)는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적용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는 도 3(a)(b)(c)(d) 내지 도 4(a)(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현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콘크리트 폐 침목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지역본부별 현재보유량 년간발생량 (추정) 처리계획 비고
호남본부 2,528개 4,000개 추후매각처리예정
지역본부별 현재보유량 년간발생량 (추정) 처리계획 비고
강원지역본부 3,738정 약 1,700정 폐기 및 재사용
지역본부별 현재보유량 년간발생량 (추정) 처리계획 비고

영남지역본부

700(장)

2500~3000(장)
매각 및 폐기물
관리법인이 정한
기준에 따라 처리
발생량은 철도공사 3개지사 발생량의 평균치
* 기타(수도권, 충청 등) 지역본부 및 철도공사에서도 콘크리트 폐 침목은 다수량이 발생됨.
상기와 같이 매년 다량으로 발생되는 폐 침목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매년 발생되는 폐 침목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비탈면을 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제시한다.
먼저, 본 고안은 콘크리트 폐 침목(300)을 이용하여 비탈면(사면;斜面) 보강을 시공하되,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시공구조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하는 것이고, 특히 상기 수평보호는 보강블럭(110)에 침목(300)과 체결볼트(120)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100)를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고(제1실시예), 상기 계단식 보호는 침목(300)과 고정볼트(210)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200)를 이용하여 시공함(제2실시예)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결합상태 요부 확대도이며, (c)는 사용상태도 정면도이고, (d)는 사용상태 단면도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보강블럭(110)은 지면과 맞닿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하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침목(300)이 끼워지게 십자모양으로 요홈(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요홈(111)의 형성에 의해 모서리에는 각각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턱부(112)에는 침목(300)의 상부로 돌출된 숄더(301)와 같은 보강블럭 체결구(1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체결구(113)에는 체결볼트(120)를 끼운 후 와셔(122)와 너트(123)를 나사부(121)에 조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보강블럭(110)에 침목(300)을 격자모양으로 긴밀히 조립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침목(300)에 돌출되는 숄더(301)와 보강블럭(110)에 돌출되는 체결구(113)는 체결볼트(120)가 끼워지게 각각 한 쌍씩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보강블럭(110)의 중앙에는 지면에 박힌 어스앙카(130)에 연결하여 긴밀히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스앙카구멍(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적용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조는 다음과 같은 제2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a)는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b)는 결합상태 단면도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고정볼트(210)는 침목(300)을 계단식으로 축조 시공할 수 있도록 연결부(212)를 중심으로 하단에 형성된 하단침목누름부(213)는 상단침목(300)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선단 나사부(214)에는 와셔(215)와 너트(216)가 끼워짐으로, 상기 연결부(212)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침목누름부(211)는 침목(300)의 상단부와 맞닿아 눌러주도록 구성되어 상하부침목(300)을 연결하여 수평유지와 토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12)는 침목(3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침목(300)의 형상과 같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침목(300)의 돌출된 숄더(301) 턱에 상부침목(300)을 걸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철도 또는 도로변의 비탈면 보강의 시공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자원을 재활용하여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수평보호 또는 계단식 보호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수평보호를 위한 것으로 이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또는 도로변의 경사진 비탈면의 표면을 정리한 후 다수개의 보강블럭(110)을 비탈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보강블럭(110)의 평평한 배면을 비탈면에 맞닿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보강블럭(110)의 중앙에 형성된 어스앙카구멍(114)에는 어스앙카 고정캡이 끼워지게 되어 연약경사 지반을 보강한 도 3(d)와 같이 보강블럭(110)이 비탈면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이후 다수개의 침목(30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블럭(110)의 정면에 십자모양이 되도록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침목(300)의 양 끝단은 보강블럭(110)에 형성된 요홈(111)에 끼워지게 되어 이동 없이 조립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20)를 침목(300)의 상단으로 돌출된 숄더(301)와 단턱부(112)의 상단으로 돌출된 체결구(113)에 일체로 끼운 후 나사부(121)에 와셔(122)와 너트(123)를 조이게 되면 도 3(b)와 같이 보강블럭(110)에 침목(300)을 견고히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목(300)에 돌출되는 숄더(301)와 보강블럭(110)에 돌출되는 체결구(113)는 체결볼트(120)가 끼워지게 각각 한 쌍씩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작업하기 편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정을 보강블럭(110)의 4곳에 각각 조립하게 되면 도 3(c)와 같이 격자모양으로 배치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정을 역순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침목(300)과 보강블럭(11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 및 보수시에도 수월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하게 된다.
먼저, 본 고안은 비탈면을 어느 정도 계단식으로 시공한다.
이후 침목(300)을 계단식으로 축적하되, 비탈면보강부(200)의 고정볼트(210)를 이용하여 침목(300)이 수평 및 수직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침목(300)에 돌출된 숄더(301) 턱에 상부침목(300)이 걸치도록 하여 층층이 계단식으로 침목(300)을 축적하되, 하단침목누름부(213)를 하단침목(300)과 상단침목(300) 중앙부와 일체가 되도록 조립한다.
이후 하단침목누름부(213)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214)에 와셔(215)와 너트(216)를 조립하게 되면 고정볼트(210)가 상하단의 침목(300)을 상호 견고히 잡아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침목(300)이 수평 및 수직으로 이탈됨이 없이 계단식으로 견고히 축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212)는 침목(300)의 형상과 같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목(300)의 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조립되므로 더욱더 계단식 침목을 수평 및 수직으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방법으로 침목(300)을 조립하게 되면 도 4(b)와 같이 비탈면을 견고히 계단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정을 역순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침목(300)과 고정볼트(21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 및 보수시에도 수월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자원재활용으로 친환경적으로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비탈면보강부
110: 보강블럭
120: 체결구
210: 고정구

Claims (6)

  1. 삭제
  2.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하여 비탈면(사면;斜面) 보강을 시공하되, 비탈면의 현장상황에 따라 시공구조를 수평보호로 시공함에 있어 상기 수평보호는 보강블럭(110)에 침목(300)과 체결볼트(120)를 조립하는 비탈면보강부(100)가 구비된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럭(110)은,
    지면과 맞닿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하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침목이 끼워지게 십자모양으로 요홈(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요홈의 형성에 의해 모서리에는 각각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턱부에는 침목의 상부로 돌출된 숄더(301)와 같은 또 다른 체결구(1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숄더와 체결구에는 체결볼트(120)를 끼운 후 와셔와 너트를 나사부에 조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보강블럭에 침목을 격자모양으로 긴밀히 조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침목(300)에 돌출되는 숄더(301)와 보강블럭(110)에 돌출되는 체결구(113)는 체결볼트(120)가 끼워지게 각각 한 쌍씩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럭(110)의 중앙에는 지면에 박힌 앙카(130)에 연결하여 긴밀히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앙카구멍(1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5. 삭제
  6. 삭제
KR2020100005944U 2010-06-07 2010-06-07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KR200466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4U KR200466483Y1 (ko) 2010-06-07 2010-06-07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4U KR200466483Y1 (ko) 2010-06-07 2010-06-07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15U KR20110011515U (ko) 2011-12-14
KR200466483Y1 true KR200466483Y1 (ko) 2013-04-17

Family

ID=5138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44U KR200466483Y1 (ko) 2010-06-07 2010-06-07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9453A (zh) * 2018-05-31 2018-11-02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208B1 (ko) * 2013-08-09 2015-03-1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형 앵커블록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101B1 (ko) * 2013-10-29 2014-03-27 김동현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49B1 (ko) * 2005-12-09 2007-07-18 김종견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KR20080035052A (ko) * 2006-10-18 2008-04-23 오주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한 자갈도상 막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49B1 (ko) * 2005-12-09 2007-07-18 김종견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KR20080035052A (ko) * 2006-10-18 2008-04-23 오주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한 자갈도상 막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9453A (zh) * 2018-05-31 2018-11-02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729453B (zh) * 2018-05-31 2020-10-09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15U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E027080T2 (en) Composite rail rail
KR200466483Y1 (ko)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장치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CN108203985B (zh) 一种预应力土钉装配式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5528845B2 (ja) 床構造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床板固定具
KR20110133874A (ko) 콘크리트 폐 침목 및 전주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시공구조 및 방법
JP2005042320A (ja) 拡幅盛土構造
CN103334528A (zh) 多功能新型结构组合屋顶
CN105986539A (zh) 一种装配式临时路面
KR100467086B1 (ko) 폐침목을 이용한 건축구간 연약지반 기초 보강시설
KR100999914B1 (ko)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20090081842A (ko) 격자 식생블럭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10056035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CN207331663U (zh) 一种土工材料蜂格固定连接装置
KR100594684B1 (ko) 단독인장저항강화블럭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및 보강토옹벽
CN210828426U (zh) 一种厚压型钢板组合楼板
CN201865004U (zh) 轨枕与扣件的连接结构
KR100706323B1 (ko)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침목의 볼트 설치구조
JP2009007852A (ja) 境界ブロック
KR101519511B1 (ko) 쇼크리트 비탈면 식생보강용기 결합구조
CN209290424U (zh) 高强度信号设备安装框架
DE202013103285U1 (de) Dilatations- und Kontraktionsfugen bei Verkehrsflächen aus Beton
CN215593795U (zh) 高水马连接结构
CN218521550U (zh) 一种发电站煤场用人行通道
CN203684272U (zh) 柔性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