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101B1 -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101B1
KR101378101B1 KR1020130129125A KR20130129125A KR101378101B1 KR 101378101 B1 KR101378101 B1 KR 101378101B1 KR 1020130129125 A KR1020130129125 A KR 1020130129125A KR 20130129125 A KR20130129125 A KR 20130129125A KR 101378101 B1 KR101378101 B1 KR 10137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crete
block
support rail
concrete sleep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울타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울타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3012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의 폐자재인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함과 아울러 환경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호안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이 연속적으로 놓여지는 블록부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블록부와 결합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부재와, 블록부 또는 지지레일의 하부에 놓여지는 토사유출방지포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Protection block using the waste concrete rail tie}
본 발명은 제방이나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로의 폐자재인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함과 아울러 환경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호안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유수에 의해 제방이나 하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들이 설치되어지는데, 지금까지는 자연친화를 도모한다는 이유로 사석이나 생태블록 또는 돌망태 등 자연석에 의한 중량물을 하안의 표면에 배치시킴으로써 하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사석은 자연에서 채취되는 것이어서 적정규모의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아니하여 작은 사석의 초기 이탈로 인해 공극이 확대되고, 이러한 공극확대는 또 다른 사석의 추가적인 이탈을 유발함으로써 호안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조기에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새만금, 화옹산업단지 등의 간척사업이 진행되면서 육지의 물이 바다로 흘러가기 위한 통로인 수로가 새로이 형성되고 있어 이에 수반되는 제방 등의 보호를 위한 하안 구조물이 절실히 요구되나, 이러한 간척지 주변에서는 사석의 구득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의 단위체 다수 개를 매트 형상으로 연결시켜 하안에 배치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들은 중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빠른 유속과 범람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이 함몰되거나 유실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지중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부가한 호안블록의 시공방법이 등록특허공보 10-0424941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호안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단위체를 다수 개 연결시켜 매트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1)은 몸체(2)의 각 모서리에 블록연결구(3)를 형성시켜 호안블록의 시공시 콘크리트 블록(1)들간의 연결은 각각에 구비된 블록연결구(3)들을 결합부재로 연결시켜 매트 형상으로 일체화시키고, 일정한 간격마다 일부 콘크리트 블록(1)의 몸체(2)에 지지홀(3)을 형성시키고, 지지봉(4)으로 하여금 상기 지지홀(3)을 관통하면서 지중에 박아 고정시킴으로써 매트형상의 호안블록이 제방의 경사면으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호안블록은 규모가 작고 경량일 뿐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1)들은 고리형태의 블록연결부(3)에 의해 단순 연결되어 일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홍수 등으로 인하여 물이 범람할 때 지반이 연약해져 국부적인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저면으로 스며든 물의 부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1)들이 일체로 저항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블록(1)을 고정시킨 지지봉(4)이 뽑히는 등 구조적으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봉(4)을 콘크리트 블록(1)의 상면에서 관통시키기 때문에 지지봉(4)의 상부가 노출되어 외관을 저해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1)의 침하시 지지봉이 노출되어 수변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2011. 1. 21.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으로 철로의 폐자재인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 자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호안블록이나 수중매트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침목은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에 가해지는 열차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거에는 목재가 사용되었으나 임산자원의 부족으로 근래에는 콘크리트 침목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침목은 하나가 230kgf의 중량물로서 통상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밀실하면서도 강성이 매우 우수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레일과의 체결을 위한 숄더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구조물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종래기술은 등록번호 10-1204343호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폐 콘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도 2의 (a)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이격을 두어 배치하여 결속부(110)를 형성하고 , 상기 결속부(110)의 상면에 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매트부(120)를 형성하되, 상기 매트부(120)의 폐 콘크리트 침목(10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숄더(102)에는 폭고정 파이프(108)와 체결철근(104)을 삽입하여 일체화시켜 수중매트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매트형상으로 구성된 수중매트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수중의 저면 및 이에 접한 하안에 놓여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상기 종래기술의 호안구조물은 폐자원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효과 이외에도, 유수 등이 비교적 안정적인 하천변이나 파도가 심하지 아니한 해변의 제방에 대하여는 폐 콘크리트 침목들의 자중만을 이용한 중력식 설치방식만으로도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블록 단위체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연결 작업량이 작아 시공성이 좋아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구조물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통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매우 큰 파도나 해일 등에 대하여는 상기와 같은 중력식 구조만으로는 충분한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강수단이 부가적으로 더 요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근래에는 해안의 제방의 낚시 또는 고수부지에서의 레저활동을 이유로 하여 수변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호안블록의 상면을 보행하면서 부주의에 의해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블록들의 노출된 연결부재들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또한 노출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기술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구조물의 시공은 다수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연결시켜 매트형상으로 구성시킨 후 이를 시공현장으로 이동시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큰 중장비를 사용해야하는 작업상 및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하되 체결이나 고정수단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이 매우 뛰어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방이나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은 다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이 연속적으로 놓여지는 블록부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블록부와 결합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부재와, 블록부 또는 지지레일의 하부에 놓여지는 토사유출방지포로 이루어지되,
a)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은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숄더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숄더는 양 단부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부는 숄더가 아래로 가도록 폐 콘크리트 침목이 뒤집어져 설치되고,
b)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의 숄더에 형성된 각 체결공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삽입고정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면서
Figure 112014015496004-pat00009
형상의 걸림부로 구성되어,
c) 상기 걸림부가 지지레일의 하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삽입고정부를 한 쌍의 숄더의 각 체결공에 삽입시킴으로써, 숄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폐 콘크리트 침목과 지지레일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방이나 하안에 호안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비탈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비탈면에 토사유출방지포를 설치하는 단계; c) 토사유출방지포의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레일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레일은 폐 콘크리트 침목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 사이에 위치하도록 병렬로 설치하는 단계; d) 지지레일의 상부쪽에 폐 콘크리트 침목을 거치시키되, 폐 콘크리트 침목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 사이에 지지레일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을 하부쪽으로 미끌어뜨려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레일 위에 폐 콘크리트 침목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e) 지지레일 위에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을 결합부재로 지지레일과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의 숄더에 형성된 각 체결공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삽입고정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는
Figure 112014015496004-pat00010
형상의 걸림부(32)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지지레일의 하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삽입고정부를 한 쌍의 숄더의 각 체결공에 삽입시킴으로써, 숄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폐 콘크리트 침목과 지지레일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d)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설치하는 단계와 e)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지지레일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호안블록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폐자재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요인을 줄여주고 폐자재 처리 비용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지반과의 일체성을 도모하고 지지레일을 통한 다수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일체화시킬 수 있어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레일을 이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안블록의 상면에 돌출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경관을 미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폐 콘크리트 침목의 배치구조를 조정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호안의 생태블록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호안블록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해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한 호안블록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폐 콘크리트 침목 배열 형태에 관한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각각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지레일 위에 거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이 결합부재에 의해 지지레일과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호안블록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철로의 보수 또는 철거에 따라 폐기되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별도의 가공없이 그 형상 및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전체적인 형상과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 콘크리트 침목(10)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레일과의 체결을 위한 숄더(11)가 양 단부측에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숄더(11)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한 호안블록(H)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연속적으로 놓여지는 블록부(B)와, 결합부재(30)에 의해 상기 블록부(B)와 결합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레일(20)과, 상기 지지레일(20)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부재(40)와, 블록부(B) 또는 지지레일(20)의 하부에 놓여지는 토사유출방지포(50)로 이루어진다.
블록부(B)를 형성시키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은 숄더(11)가 아래로 가도록 뒤집어 설치된다. 따라서 블록부(B)의 상면에는 숄더(11)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매끈한 외면을 가질 수 있게 하며, 블록부(B)의 하면에 위치한 숄더(11)는 지지레일(20)과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 기능을 한다.
블록부(B)를 형성시키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배열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홍수가 발생했을 때 범람수의 유속이 빠르지 않은 지역에서는 호안블록(H)의 내부에 식생공(6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하여 범람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식생된 나무의 뿌리가 뽑히면서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함께 이탈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호안블록(H)의 내부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배열 형태에 관한 각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의 (a)는 각각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양 단이 모두 일치되도록 배치한 것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각각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양 단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것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양 단이 모두 일치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형성된 양 측면의 오목한 형상은 인접한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함께 블록부(B)의 내부에 식생공(60)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식생공(60)은 식생에 의한 자연친화성을 도모하고, 범람수의 유속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토사의 유출도 함께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양 단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에는 블록부(B) 내에 형성되는 공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레일(20)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다수 개 연속시켜 형성시킨 매트 형상의 블록부(B)를 지지하여 하중을 지반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매트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지레일(20)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양 단부쪽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어 있는 숄더(11)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시공시에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설치된 후에는 유수나 예상치 못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좌우로 이동되어 호안블록(H)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지지레일(20)은 각관을 이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면서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일체로 결합되어 매트형상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구조면 족하는 것으로서, 원형파이프 또는 채널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지지레일(20) 위에 거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결합부재(30)에 의해 지지레일(20)과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결합부재(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결합부재(30)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11)의 각 체결공(12)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부(31)와, 상기 한 쌍의 삽입고정부(31)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면서
Figure 112014015496004-pat00011
형상을 가져서 지지레일(20)에 걸쳐지도록 하는 걸림부(32)로 구성될 수 있고,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숄더(11)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31)와, 지지레일(20)에 고정홀(21)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홀(21)에 끼워지는 지지고정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결합부재(30)의 걸림부(32)가 지지레일(20)에 걸려지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레일(20)의 하면에 걸림턱(22)을 형성시켜, 상기 걸림부(32)가 걸림턱(22)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결합부재(30)가 숄더(11)의 체결공(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각 실시예의 각 결합부재(30)는 폐 콘크리트 침목(10)들이 지지레일(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이들이 매트형상으로 함께 거동하게 함으로써 블록부(B) 아래로 유입되는 범람수에 의해 각각의 단일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지지레일(20)로부터 분리되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블록부(B)와 지지레일(20)의 저면에는 토사유출방지포(5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토사유출방지포(50)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식생이 가능한 호안블록(H)의 경우에는 자연 분해 또는 광분해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망사를 사용함으로써 수리적인 안정성과 더불어 식생 활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토사유출방지포(50)는 토사가 비탈면으로부터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토사유출방지포(50) 위에 설치되는 매트 형상의 호안블록(H)은 상기 토사유출방지포(50)와의 마찰이 적어 홍수 발생시 소류력에 의해 쉽게 미끌어질 우려가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록부(B)가 지반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결합부재(30)에 의해 블록부(B)와 일체로 결합된 지지레일(20)을 앵커부재(40)를 이용함으로써 블록부(B)가 지반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호안블록(H)은 결합부재(30) 및 앵커부재(40)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블록부(B)가 전체적으로 일체적 거동을 하게 하면서도 이를 지반에 고정시킴으로써 매우 큰 유속에서도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더욱이 상기한 결합부재(30) 및 앵커부재(40)가 호안블록(H)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경관을 보호하고 사람들의 수변 접근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며, 결합부재(30) 등의 보호로 호안블록(H)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호안블록(H)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호안블록(H)을 시공하는 방법을 공정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이용한 호안블록(H)의 시공방법은, a) 제방이나 하안의 비탈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비탈면에 토사유출방지포(50)를 설치하는 단계; c) 토사유출방지포(50)의 상면에 지지레일(20)을 설치하는 단계; d) 지지레일(20) 위에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설치하는 단계; e) 지지레일(20) 위에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결합부재(30)로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는 단계; f) 상기 d)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설치하는 단계와 e)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호안블록(H)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제방 또는 하안의 비탈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도 8의 (a)};
먼저 호안블록(H)을 설치할 제방이나 하안의 비탈면을 정리하고, 그 하단부에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기초는 호안블록(H)의 이면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그 위에 설치되는 블록부(B)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초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고, 유속이 빠르지 아니한 곳에서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다수의 단으로 쌓아 구성시킬 수도 있다.
b) 상기 비탈면에 토사유출방지포(50)를 설치하는 단계{도 8의 (b)};
비탈면의 정리가 완료되면, 비탈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출방지포(50)를 설치한다. 후술하는 블록부(B)의 구성이 식생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토사유출방지포(50)를 식물의 뿌리가 뚫고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시켜 식물의 활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토사유출방지포(50)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자연경관을 보존하기 위해 식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분해성의 폴리프로필렌 망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c) 토사유출방지포(50)의 상면에 지지레일(20)을 설치하는 단계{도 8의 (c)};
토사유출방지포(50)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상면에 지지레일(20)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레일(20)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병렬 설치한다. 지지레일(20)의 배치간격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배열 형식에 따라 보다 촘촘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레일(20)은 다음 단계에서 설치되는 폐 콘크리트 침목(10)들을 일체화시켜 블록부(B)를 형성시키면서 이들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한다. 또한 지지레일(20)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설치시 상부에서 하부로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토사유출방지포(50)의 상면에 지지레일(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지지레일(20)이 이동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부재(40)를 이용하여 지반과 일체로 고정시킨다. 지반과 일체로 고정된 지지레일(20)은 블록부(B)가 토사유출방지포(50)의 상면에서 미끌어져 활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d) 지지레일(20) 위에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설치하는 단계{도 8의 (d)};
지반에 대한 지지레일(20)의 고정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지지레일(20)의 상부 쪽에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거치시킨 후, 이를 하부 쪽으로 미끌어뜨려 이동시킨다. 이때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11) 사이에 상기 지지레일(20)이 위치하도록 한다.
지지레일(20)의 좌우에 돌출되도록 위치한 한 쌍의 숄더(11)는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지지레일(20) 하부의 설치위치까지 중장비의 도움없이도 쉽게 미끌어져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고 중량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이동 및 설치작업에 대하여 지지레일(20)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중장비의 사용에 의한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e) 지지레일(20) 위에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결합부재(30)로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는 단계{도 8의 (e)};
지지레일(20) 위에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은 지지레일(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부재(30)로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지지레일(20)을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재(3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고정부(31)와 걸림부(32)로 구성된 결합부재(30)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32)가 지지레일(20)의 하면에 위치하여 지지레일(2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부재(30)를 배치시킨 후, 삽입고정부(31)를 숄더(11)의 체결공(12)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지지레일(20)은 간단히 결합된다.
결합부재(30)를 지지레일(20)에 설치하는 작업은 지지레일(20)이 설치된 이후에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c)의 지지레일(20) 설치단계에서 걸림부(32)가 지지레일(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부재(30)를 미리 배치시켜 놓는다.
지지레일(20)과 폐 콘크리트 침목(10)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하부에 공간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공간을 토사나 사석등으로 밀실하게 뒷채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의 지지레일(20) 설치단계에서 지지레일(20)이 배치되는 위치에 움푹파인 트렌치홈(미도시)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홈에 지지레일(20)을 설치함으로써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하부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f) 상기 d)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설치하는 단계와 e)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호안블록(H)을 완성하는 단계{도 8의 (f)};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지지레일(20)에 설치하고 결합부재(30)를 이용하여 지지레일(20)과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계속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호안블록(H)은 완성된다.
이때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형성되는 블록부(B)는 식생의 필요성 여부에 따라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배치형상을 달리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폐 콘크리트 침목 11: 숄더
12: 체결공 20: 지지레일
21: 고정홀 22: 걸림턱
30: 결합부재 31: 삽입고정부
32: 걸림부 33: 지지고정부
40: 앵커부재 50: 토사유출방지포
60: 식생공 H: 호안블록
B: 블록부

Claims (6)

  1. 제방이나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은 다수 개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연속적으로 놓여지는 블록부(B)와, 결합부재(30)에 의해 상기 블록부(B)와 결합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레일(20)과, 상기 지지레일(20)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부재(40)와, 블록부(B) 또는 지지레일(20)의 하부에 놓여지는 토사유출방지포(50)로 이루어지되,
    a)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은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된 숄더(1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숄더(11)는 양 단부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부(B)는 숄더(11)가 아래로 가도록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뒤집어져 설치되고,
    b) 상기 결합부재(30)는 한 쌍의 숄더(11)에 형성된 각 체결공(12)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고정부(31)와, 상기 한 쌍의 삽입고정부(31)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면서
    Figure 112014015496004-pat00012
    형상의 걸림부(32)로 구성되어,
    c) 상기 걸림부(32)가 지지레일(20)의 하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삽입고정부(31)를 한 쌍의 숄더(11)의 각 체결공(12)에 삽입시킴으로써, 숄더(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지지레일(2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B)의 내부에는 식생공(60)이 형성되도록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양 단이 모두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B)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이 최소화되도록 폐 콘크리트 침목(10)의 양 단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6. 제방이나 하안에 호안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비탈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비탈면에 토사유출방지포(50)를 설치하는 단계;
    c) 토사유출방지포(50)의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레일(20)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레일(20)은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11) 사이에 위치하도록 병렬로 설치하는 단계;
    d) 지지레일(20)의 상부쪽에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거치시키되, 폐 콘크리트 침목(1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숄더(11) 사이에 지지레일(20)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하부쪽으로 미끌어뜨려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레일(20) 위에 폐 콘크리트 침목(10)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e) 지지레일(20) 위에 설치된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결합부재(30)로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부재(30)는 한 쌍의 숄더(11)에 형성된 각 체결공(12)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고정부(31)와, 상기 한 쌍의 삽입고정부(31)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는
    Figure 112014015496004-pat00013
    형상의 걸림부(32)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32)가 지지레일(20)의 하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삽입고정부(31)를 한 쌍의 숄더(11)의 각 체결공(12)에 삽입시킴으로써, 숄더(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폐 콘크리트 침목(10)과 지지레일(20)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d)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설치하는 단계와 e)의 폐 콘크리트 침목(10)을 지지레일(2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호안블록(H)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의 시공방법
KR1020130129125A 2013-10-29 2013-10-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25A KR101378101B1 (ko) 2013-10-29 2013-10-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25A KR101378101B1 (ko) 2013-10-29 2013-10-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101B1 true KR101378101B1 (ko) 2014-03-27

Family

ID=5064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125A KR101378101B1 (ko) 2013-10-29 2013-10-29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135B1 (ko) * 2015-02-12 2015-10-14 (주)리버앤텍 레일안착형 징검다리
KR20230135881A (ko) 2022-03-17 2023-09-26 하정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세굴침식 방지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062A (ja) * 1998-03-26 1999-12-07 Sadanobu Tarui 軟弱地盤等用の敷設体及びその敷設体に用いられるコンクリ―ト製枕木の加工方法
KR101058892B1 (ko)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20110011515U (ko) * 2010-06-07 2011-12-14 한국철도시설공단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조
KR101204343B1 (ko) * 2012-02-29 2012-11-26 홍순권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062A (ja) * 1998-03-26 1999-12-07 Sadanobu Tarui 軟弱地盤等用の敷設体及びその敷設体に用いられるコンクリ―ト製枕木の加工方法
KR20110011515U (ko) * 2010-06-07 2011-12-14 한국철도시설공단 콘크리트 폐 침목을 이용한 비탈면 보강의 시공구조
KR101058892B1 (ko)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101204343B1 (ko) * 2012-02-29 2012-11-26 홍순권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135B1 (ko) * 2015-02-12 2015-10-14 (주)리버앤텍 레일안착형 징검다리
KR20230135881A (ko) 2022-03-17 2023-09-26 하정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세굴침식 방지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0813B (zh) 一种基坑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US7708495B1 (en) Levee system
CN106498953A (zh) 路堑边坡复合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US73777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reinforced sea walls and levees
AU2016221315A1 (en)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RU2651591C1 (ru) Объемная габи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100118705A (ko) 하천 호안에 신생된 은제호안의 내부에서 기존의 호안과 토사의 재료분리를 방지하는 생태복원용 은제호안 비탈면 보강 구조물 및 그 방법
KR20080000156A (ko) 호안블럭 시공방법
KR101378101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Datye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geotextiles and related products
KR200387407Y1 (ko) 부유체와 앵커로프가 부착된 토목섬유 보강매트의 저면,사면 보강에 의해 축조되는 해상 토석구조물
CN210482339U (zh) 一种路堤边坡防护系统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101117924B1 (ko)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RU65062U1 (ru) Грунтовая плотина
CN212477800U (zh) 一种锚固格宾挡土墙
CN209816577U (zh) 一种滨海软土地基傍河路堤的拓宽结构
CN109403356B (zh) 一种边坡支护结构
CN203960699U (zh) 路堑式浸水路基结构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RU123018U1 (ru) Временное водоогражда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варианты)
CN111926766A (zh) 一种防水土流失型护岸结构
JP5097249B2 (ja)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KR101839576B1 (ko)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RU121270U1 (ru) Подпорная плотина (варианты) и гибкий бетонный мат для ее со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