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44B1 - 흙막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흙막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44B1
KR100732944B1 KR1020050019320A KR20050019320A KR100732944B1 KR 100732944 B1 KR100732944 B1 KR 100732944B1 KR 1020050019320 A KR1020050019320 A KR 1020050019320A KR 20050019320 A KR20050019320 A KR 20050019320A KR 100732944 B1 KR100732944 B1 KR 10073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coupling hole
construction
retain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091A (ko
Inventor
윤은중
Original Assignee
윤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중 filed Critical 윤은중
Priority to KR102005001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4Affixing labels, e.g. wrap-around labels, to two or more flat surfaces of a polyhedral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0Rollers
    • B65C9/32Cooperating rollers between which articles and labels are 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토목 공사에 사용되는 흙막이 조립체가 개시된다. 흙막이 조립체는 적층되어 배치된 복수의 흙막이 수단과, 흙막이 수단을 지그재그 구조로 결하합는 복수의 끝단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끝단연결수단은 흙막이 수단의 일단을 상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을 하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여, 전체적이 흙막이 수단이 지그재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한다. 흙막이 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흙막이 부재와,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끝단연결수단과 연결되는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건설공사의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를 공사 완료후 철거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한다.
흙막이, 토류판

Description

흙막이 조립체{ASSEMBLY FOR RETAINING WALL}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흙막이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흙막이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흙막이 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흙막이 수단의 투과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중간지지봉의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끝단연결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끝단연결수단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끝단연결수단의 다른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끝단연결수단의 또 다른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100c: 흙막이 수단
120: 흙막이 부재
130: 연결부재
135, 1132: 끝단 결합공
134: 결합 플랜지
200, 1200, 1230, 2230: 끝단연결수단
1131: 엔드 플레이트
본 발명은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사용되는 흙막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설공사의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흙막이 조립체를 공사 완료후 철거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 흙막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간이 흙막이 구조물이란, 건설공사 현장에서 비탈지거나 굴토해낸 자리에 설치되어, 낙석이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며, 기초공사 등을 위한 굴토구간의 터파기시 흙벽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의 지하공사에 있어서는 흙을 파낸 뒤 주위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흙막이 공사가 선행되는데, 상기 간이 흙막이 구조물이란 이와 같은 흙막이 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간이 흙막이 벽체, 토류판 또는 토류벽 등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상호 홈부가 마주 보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H 빔(1)과, 상기 홈부에 삽입지지되어 후방의 흙더미 등 이 전방을 향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수단(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흙막이 수단으로서 소정 규격의 목재판을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그 적층된 목재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끼움목(쐐기)을 설치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어디까지나 공사중 토사 붕괴 등으로부터 현장을 보호한다는 임시적인 용도로서 것으로서, 지하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그 흙막이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지하 구조물 등에 의해 충진되게 되므로, 더이상 쓸모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지하공사의 완료 후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철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 아니하였는 바, 지하공사의 완료와 함께 간이 흙막이 구조물도 지하에 매몰되어 그 구조물에 사용된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건설공사의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를 공사 완료후 철거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흙막이 조립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층되어 배치된 복수의 흙막이 수단; 및 상기 흙막이 수단의 일단을 상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을 하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여, 전체적이 흙막이 수단이 지그재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끝단연결수단;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흙막이 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흙막이 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과 연결되는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설공사의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를 공사 완료후 철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 플랜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끝단 결합공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결합된 엔드 플레이트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은, 상기 끝단 결합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상기 끝단 결합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끝단 결합공은, 상하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재의 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은, 상기 끝단 결합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상기 끝단 결합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흙막이 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상호 홈부가 마주 보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H 빔(1)과, 상기 홈부에 삽입지지되어 후방의 흙더미 등이 전방을 향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 흙막이 조립체는 복수의 흙막이 수단(100a, 100b, 100c)과, 흙막이 수단(100a, 100b, 100c)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끝단연결수단(200)으로 구성된다.
흙막이 수단(100a-c)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흙막이부재(120)와, 일단이 흙막이 부재(120)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H 빔(1)의 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 한 쌍의 연결부재(130)와, 연결부재(130)와 흙막이부재(120)를 연결하는 중간연결수단(400)으로 구성된다.
흙막이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수용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의 중앙부에는 중간지지봉 지지판(122)이 설치되며, 중간지지봉 지지판(122)에는 중간지지봉 관통공(1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연결부재(130)는 전술한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측면에 작업구(131)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작업구(131)는 작업봉(132)이 삽입되어 연결부재(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연결부재(130)의 H 빔 (1)을 바라보는 면에는 끝단연결수단(200)과 결합을 위한 결합플랜지(13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플랜지(134)를 관통하여 끝단결합공(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30)의 흙막이부재(120)를 향하는 끝단에는 지지플레이트(132)가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132)의 중앙에는 관통공(13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중간연결수단(400)은 흙막이부재(120)의 중간지지봉 관통공(121)에 걸쳐 설치되는 중간지지봉(420)과, 중간지지봉(420)의 양끝단에 형성된 지지턱(421)으로 구성된다. 양끝에 위치한 지지턱(4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간지지봉(420)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개별 흙막이수단(100a-c)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 연결부재(130)를 흙막이 부재(120)의 수용부에 삽입한다. 그 다음, 착탈 가능한 지지턱(421)이 분리된 상태로, 중간지지봉을 일측 연결부재(130)의 관통공(133)과 중간지지봉 관통공(121)과 타측 연결부재(130)의 관통공(133)을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분리된 지지턱(421)을 중간지지봉(420)과 체결을 한다. 그 다음, 원하는 길이만큼 양측 연결부재(130)를 위치시킨 후 작업봉(132)을 작업구(131)에 삽입하여, 개별 흙막이수단(100a-c)의 조립을 완료한다.
끝단연결수단(200)은 양끝단이 결합플랜지(134) 사이에 삽입된 연결플레이트(232)와, 연결플레이트의 끝단과 결합플랜지(134)사이를 연결하는 힌지축(233a, 233b) 및 결합너트(234a, 234b)로 구성된다. 연결플레이트(232)는 결합플랜지(134)의 끝단 결합공(135)과 나란하도록 플레이트 결합공(231a, 231b)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힌지축(233a, 233b)은 상단 힌지축(233b)과 하단 힌지축(233a)으로 구성되며 끝단 결합공(135)과 플레이트 결합공(231a, 231b)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힌지축(233a, 233b)의 일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너트(234a, 234b)는 상단 힌지축(233b)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상단 결합너트(234b)와, 하단 힌지축(233a)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하단 결합너트(234a)로 구성된다.
끝단연결수단(200)은 개별 흙막이수단(100a-c)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한다. 즉, 상측에 위치한 흙막이수단(100b)의 일단과 이와 인접한 중간에 위치한 흙막이수단(100a)의 일단을 연결하며, 중간에 위치한 흙막이수단(100a)의 타단과 하측에 위치한 흙막이수단(100c)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식으로 계속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흙막이수단(100a-c)가 끝단연결수단(200)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도 2와 같이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초공사 등이 완료된 후, 상기 단위 흙막이 조립체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 흙막이수단(100b)의 일단부를 상측으로 뽑아냄으로써, 상기 지그재그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 모든 타 단위 흙막이수단을 철거하여 그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끝단연결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체인(1200)을 이용하여 연결부재(130)를 서로 연결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체인(1200)을 상하에 위치한 연결부재(130)의 끝단 결합공(135)에 결합하여 연결부재(130)를 서로 연결한다. 끝단 연결수단의 배치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은 끝단연결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30)의 흙막이부재를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끝단에 결합된 엔드 플레이트(1131)가 결합된다. 엔드 플레이트(1131)에는 끝단 결합공(1132)이 형성된다. 끝단연결수단은 끝단 결합공(1132)에 삽입된 끝단링킹부재(1231)와, 끝단링킹부재(1231)의 끝단에 끝단 결합공(1231)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1232)로 구성된다.
도 11은 끝단 연결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30) 간에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끝단 결합공(213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끝단연결수단은 끝단 결합공(2131)에 삽입된 끝단링킹부재(2231)와, 끝단링킹부재(2231)의 끝단에 끝단 결합공(2131)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223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간이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를 공사 완료후 철거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 흙막이 공법 및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적층되어 배치된 복수의 흙막이 수단; 및
    상기 흙막이 수단의 일단을 상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을 하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여, 전체적이 흙막이 수단이 지그재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끝단연결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흙막이 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과 연결되는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끝단 결합공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결합된 엔드 플레이트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은, 상기 끝단 결합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상기 끝단 결합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조립체.
  4. 적층되어 배치된 복수의 흙막이 수단; 및
    상기 흙막이 수단의 일단을 상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을 하측에 위치한 타 흙막이 수단의 일단에 연결하여, 전체적이 흙막이 수단이 지그재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끝단연결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흙막이 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과 연결되는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끝단 결합공은, 적층된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로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끝단연결수단은, 상기 끝단 결합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상기 끝단 결합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조립체.
  5. 삭제
  6. 삭제
KR1020050019320A 2005-03-08 2005-03-08 흙막이 조립체 KR10073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0A KR100732944B1 (ko) 2005-03-08 2005-03-08 흙막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0A KR100732944B1 (ko) 2005-03-08 2005-03-08 흙막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1A KR20060098091A (ko) 2006-09-18
KR100732944B1 true KR100732944B1 (ko) 2007-06-27

Family

ID=3762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320A KR100732944B1 (ko) 2005-03-08 2005-03-08 흙막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72B1 (ko) * 2019-02-26 2019-12-10 김도완 설치 해체가 용이한 일반 토공사 흙막이 및 시공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63A (ko) * 2002-09-28 2004-04-03 윤은중 간이 흙막이 구조물 및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63A (ko) * 2002-09-28 2004-04-03 윤은중 간이 흙막이 구조물 및 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846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1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515B1 (ko)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KR100776373B1 (ko) 2열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100732943B1 (ko) 흙막이 조립체
KR102184900B1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69764B1 (ko)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100732944B1 (ko) 흙막이 조립체
KR100716278B1 (ko) 흙막이 조립체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0472077B1 (ko) 간이 흙막이 구조물 및 공법
KR101545330B1 (ko) 조립식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0710757B1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100995503B1 (ko) 작업통로를 구비한 2열 엄지말뚝 흙막이 구조물 및 흙막이 공법
KR100567853B1 (ko) 토류판 구조물
KR102079981B1 (ko) 토류판 조립체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0744972B1 (ko) 건축용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200429236Y1 (ko)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가설자재
KR102655594B1 (ko) 안전 가시설 구조체
KR100500648B1 (ko)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102268882B1 (ko) 3방향 엄지말뚝 보강형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100708765B1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66160B1 (ko)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KR102654389B1 (ko) 종방향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2열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