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342B1 -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342B1
KR101623342B1 KR1020140089054A KR20140089054A KR101623342B1 KR 101623342 B1 KR101623342 B1 KR 101623342B1 KR 1020140089054 A KR1020140089054 A KR 1020140089054A KR 20140089054 A KR20140089054 A KR 20140089054A KR 101623342 B1 KR101623342 B1 KR 10162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erforation hole
connector
fastening ba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828A (ko
Inventor
송기일
윤여원
Original Assignee
유구이앤씨(주)
황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구이앤씨(주), 황운식 filed Critical 유구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4008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지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항타되며, 복수개의 제1천공홀이 형성되고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형성된 제1패널, 제1패널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항타되고 제1천공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2천공홀이 형성되며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형성된 제2패널 및 제1천공홀과 제2천공홀에 관통 연결되어,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하수가 발달한 지반을 포함하여 사질토나 점토질 등의 다양한 지반에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차수 대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적용대상이 넓으며, 굴착에 의한 주변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띠장과 버팀대 및 앵커 등을 이용한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Earth retaining structure utilizing in-situ soil and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굴착 시 발생되는 이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굴착에 의한 주변 지반과 굴착된 공간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벽은 널말뚝식, 주열식, 지하연속벽 등의 벽체를 지반에 설치하여 굴착에 의한 지반의 이완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토류벽의 시공은 흙의 종류와 지하수위와 같은 지반의 특성과 굴착 깊이, 경제성, 안정성, 시공성 등의 제반사항을 검토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이 중 널말뚝식 토류벽은 차수기능을 겸비한 강널말뚝 토류벽이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하수위가 높고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가 40이하인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 항타관입 지반인 경우에 적용 사례가 많다. 이것은 연직으로 단단한 지지층 또는 도면에 명시된 깊이까지 강널말뚝을 근입시키고, 강널말뚝이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 길이에 걸쳐 인접한 강널말뚝과 맞물리게 근입시켜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게 특징이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2818호에는 흙막이 벽체와, 상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레이커와, 보강말뚝을 포함하는 흙막이 벽체의 보강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강널말뚝의 타입공법은 1~2매 타입공, 단독타입공, 병풍식 타입공 등이 있으며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타입공법을 선정하며, 시공방법은 오거압입공법, 유압식 압입공법, 바이브로 해머 항타공법, 워터젯(Water Jet) 병용공법 등이 있으며, 근접시공 여부,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 지반의 구조 및 제약조건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강널말뚝 타입에 있어 연직도, 진동소음, 지반침하 등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있는 압입공법을 선정하여 현장여건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한다.
여기서, 강널말뚝과 앵커나 소일네일링 등의 방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시 강널말뚝의 배면을 천공한 후 강재 네일이나 강선을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채워 그라우팅재와 원지반의 마찰력에 의해 인장강도를 발휘하게 하여 흙막이벽체의 변형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지하수가 발달한 지반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 후 그라우팅 고결 전까지 일정기간 동안 저항력을 전혀 발휘 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강널말뚝으로 굴착 지보를 실시하는 경우 굴착되는 내부 지반과 굴착 주변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띠장과 스트럿과 같은 버팀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체결바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확장부에 의하여 고정부가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고정부가 제2패널을 가압하는 커넥터가 제공됨에 따라 지하수가 발달한 지반도 적용가능하며, 굴착에 의한 주변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확장된 작업공간 확보를 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복수개의 제1천공홀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패널이 대상 지반에 지정 깊이로 수직 항타되고,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상기 제1천공홀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2천공홀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일정 깊이로 수직 항타되며, 동일한 위치상의 상기 제1패널의 제1천공홀과, 상기 제2패널의 제2천공홀에 커넥터부가 관통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동일한 위치상의 상기 제1패널의 제1천공홀을 관통하여 제2패널의 제2천공홀에 삽입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가 포함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된 확장부 및 컵 형상으로 상기 체결바의 일단부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치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확장부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져 상기 제2패널을 가압하도록 한 고정부가 포함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1패널과 대응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천공홀과 상기 제2천공홀은 각각 다각형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는, 외주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의 외측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a) 대상지반의 수직한 방향으로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지정깊이로 항타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b) 지정깊이로 항타된 제1패널 전방의 대상지반을 지정깊이의 굴착심도로 굴착하는 단계와, c) 지정깊이의 굴착심도로 제1패널 전방의 대상지반이 굴착되면,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제1패널 및 제2패널 사이의 대상지반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천공홀 및 제2천공홀, 제1천공홀 및 제2천공홀을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지반홀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서로 연통하는 제1천공홀 및 제2천공홀을 관통하여 커넥터부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a)단계인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항타하여 설치하는 단계에서,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항타하는 공법으로는 오거 압입공법, 유압식 압입공법, 바이브로 해머 항타공법, Water Jet 병용공법 중 어느 하나의 공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제1패널 전방의 대상지반에 대한 굴착심도를 등분하여, 상기 b)단계인 굴착 단계 및 c)단계인 천공홀 형성단계, d)단계인 커넥터부 체결 단계를 수회에 걸쳐 연속반복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체결바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확장부에 의하여 고정부가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고정부가 제2패널을 가압하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지하수가 발달한 지반을 포함하여 사질토나 점토질 등의 다양한 지반에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차수 대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적용대상이 넓다.
둘째, 굴착에 의한 주변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띠장과 버팀대 및 앵커 등을 이용한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특수 장비나 복잡한 부대시설이 필요하지 않고, 원지반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넷째, 고층빌딩의 지하구조물이나, TBM 지하철의 발진부, 개착식 터널 시공부, 지하차도 및 항만시설 등 다양한 굴착을 필요로 하는 구조 지보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커넥터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2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은,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과, 커넥터부(30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패널(100)은, 대상지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항타되며, 상기 커넥터부(300a)가 연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천공홀(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100)은, 단면이 요철형의 강 널말뚝(Steel sheet pile)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패널(200)은, 상기 제1패널(100)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항타되고, 상기 커넥터부(300a)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천공홀(101)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2천공홀(20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패널(200)은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커넥터부(300a)는,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에 각각 관통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300a)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진 바(bar)를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에 끼움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커넥터부(300a)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형 커넥터로 강봉의 체결바(310a)와, 상기 체결바(310a)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패널(200)과 연결되는 고정핀캡(320a)과, 상기 체결바(310a)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100)의 외측에 밀착되는 가스켓(330)과, 상기 가스켓(330)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는 와셔(340)와, 상기 와셔(340)의 상면에서 체결되는 체결너트(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330)은, 지하수가 발달한 지반에서 지하수의 차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300a)는, 삽입되는 수평한 방향의 거리를 굴착단계별 깊이에 따라 결정하되 인접한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이 일체화하여 거동할 수 있도록 결정하며, 공지의 띠장 및 소일네일링 설치간격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부(300b)는, 지반에 물이 있어 방수가 필요한 경우에 효과적인 구성으로서, 체결부(311b)와 확장부(312b)를 포함하는 체결바(310b)와, 웨지형(Wedge type)의 고정부(3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11b)는, 체결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제1천공홀(101)에서 상기 제2천공홀(201)로 관통 연결되고 삽입되는 일단부 외주면에 제1나사부(3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312b)는, 상기 체결부(311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패널(200)에 체결된 후 상기 제2패널(2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20b)는, 컵형상으로 상기 체결바(310b)의 일단부에 끼워지고 내측에 상기 제1나사부(3111)와 치합되는 제2나사부(3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31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패널(200)이 있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20b)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확장부(312b)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단부가 상기 제2패널(200)의 측면을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20b)는, 외주측면에 절개부(321b)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321b)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져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부(300a)는, 상기 체결바(31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320b)가 펼쳐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흙막이 벽체구조물(400b)을 영구 구조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임시 구조체로 적용하여 굴착된 공간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수월하게 철거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20b)가 회전방향에 따라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체결바(310b)의 타단부에는 도 2와 같이, 가스켓(330)과, 와셔(340)와, 너트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커넥터부(300b)의 경우에는 지하수가 발달된 지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지하수가 발달하지 않은 곳에서는 하기의 실시예와 같은 커넥터부(300c)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부(300c)는 회전형으로 연결바(310c)와, 걸림부(320c)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연결바(310c)는, 상기 제1천공홀(101)에서 상기 제2천공홀(201)로 관통 연결되며 강봉(Steel bar)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310c)를 강봉으로 적용한 것은 취급이 용이하고 요구되는 강성을 지닌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을 서로 연결하고 구조물 내에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부(320c)는, 상기 연결바(310c)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에 대하여 이탈 또는 걸림 고정되어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제1천공홀(101)과 상기 제2천공홀(201)은 각각 회전에 따라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부(300c)는, 지반에 물이 거의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바(310c)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320c)를 결합한 후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에 삽입 후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320c)가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에 연결되도록 하며, 그런 다음 상기 제1패널(100)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바(310c)의 타단부에 상기 걸림부(320c)를 결합시킨 후 너트로 고정하여 인장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300a,3200b,300c)는 그 길이를 감소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요철형의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의 최단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패널(200b)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100)과 대응되게 연속적으로 배치하지 않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300c)와 연결되는 필요한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패널(200b)의 수량을 감소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은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을 이열로 삽입하고, 굴착 단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에서 최단 거리에 웨지 형태의 커넥터부(300a,300b,300c)를 삽입하고 초기 인장력을 가하여 인접한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 사이의 원지반을 구조체로 활용하여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상기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은 지하 연속벽 시공을 위한 굴착, 거푸집 제작, 타설 등 복잡한 시공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원지반을 구조체로 활용하므로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목표 굴착 심도에 따라 인접한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안전한 굴착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 간의 이격거리를 최대로 하면 목표 굴착 심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은, 고층빌딩의 지하구조물 공사 시 흙막이벽, 차수벽, 지하본체벽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앵커 시공에 의한 저항력이 부족한 연약지반, TBM 지하철의 발진부, 개착식 터널 시공부, 지하차도, 지하철공사 흙막이 벽체 및 항만시설의 안벽 및 본체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을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a)단계(S100)로,
대상지반의 목표 위치에 전면 및 배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200b)을 항타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제2패널(200,200b)의 설치방법은 오거압입공법, 유압식 압입공법, 바이브로 해머 항타공법, 워터젯(Water Jet) 병용공법 등을 적용하되 주변 지반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의 길이축소를 위하여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은 그 형상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b)단계(S110)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200b)을 설치하면, 지정깊이로 항타된 제1패널(100) 전방의 대상지반을 지정깊이의 굴착심도로 굴착한다.
이때 상기 b)단계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패널(100) 전방의 대상지반에 대한 굴착심도를 등분하여, 제1목표 굴착단계, 제2목표 굴착단계, …등으로 굴착심도를 나누어 순차적으로 굴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c)단계(S120)로,
지정깊이의 굴착심도로 제1패널(100) 전방의 대상지반이 굴착되면,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과,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 사이의 대상지반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천공홀(101) 및 제2천공홀(201), 제1천공홀(101) 및 제2천공홀(201)을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지반에 관통홀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d)단계(S130)로,
서로 연통하는 제1천공홀(101) 및 제2천공홀(201)을 관통하여 커넥터부(300a,300b,300c)를 체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200b)을 천공하면,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를 상기 제1천공홀(101)과 제2천공홀(201)에 삽입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의 연결은, 상기 체결바(310b)를 삽입 결합 후 양단부에 각각 고정핀캡(320a)과 체결너트(350)를 체결하거나, 상기 체결바(310b)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320b)가 펼쳐져 상기 제2패널(200)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연결바(310c)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320c)가 걸림 고정되도록 지반의 특성에 맞추어 선택한 뒤 시공한다.
이 후, 상기 제1패널(100)과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 사이에 가스켓(330)과 와셔(340) 등을 삽입하여 누수를 차단하고, 체결너트(350,350c)를 회전하여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이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인장력을 가한다.
또한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400a,400b,400c,400d)을 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b)단계에서 굴착심도를 등분하여 굴착할 경우에는, 지정깊이로 항타 설치된 제1패널(100) 전방의 대상지반을 제1단계 목표 굴착심도로 굴착하고, 그런 다음 제1패널(100) 전방의 대상지반을 제1단계 목표 굴착심도로 굴착되면, 천공기를 이용하여 전면의 제1패널(100)과,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200b) 사이의 지반과 배면의 제2패널(200,200b)을 천공하여, 상기 제1천공홀(101)과 제2천공홀(201)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는, 전면을 추가 굴착하고 2단계 목표 굴착심도에 이르면 앞서 수행한 것과 동일하게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200b)을 천공, 상기 커넥터부(300a,300b,300c)의 삽입, 인장력 도입을 다시 실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패널 101... 제1천공홀
200,200b... 제2패널 201... 제2천공홀
300a,300b,300c,300d... 커넥터부 310a,310b... 체결바
310c... 연결바 320c... 걸림부
311b... 체결부 312b... 확장부
320a... 고정핀캡 320b... 고정부
321b... 절개부 330... 가스켓
340... 와셔 350,350c... 체결너트
400a,400b,400c,400d... 흙막이 벽체구조물

Claims (9)

  1.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복수개의 제1천공홀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패널이 대상 지반에 지정 깊이로 수직 항타되고, 단면이 요철형의 강널말뚝으로 상기 제1천공홀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2천공홀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일정 깊이로 수직 항타되며, 동일한 위치상의 상기 제1패널의 제1천공홀과, 상기 제2패널의 제2천공홀에 커넥터부가 관통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서로 연결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동일한 위치상의 상기 제1패널의 제1천공홀을 관통하여 제2패널의 제2천공홀에 삽입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가 포함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된 확장부; 및
    컵 형상으로 상기 체결바의 일단부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치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확장부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져 상기 제2패널을 가압하도록 한 고정부가 포함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1패널과 대응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천공홀과 상기 제2천공홀은 각각 다각형 형상인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의 외측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바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89054A 2014-07-15 2014-07-15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2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54A KR101623342B1 (ko) 2014-07-15 2014-07-15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54A KR101623342B1 (ko) 2014-07-15 2014-07-15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28A KR20160008828A (ko) 2016-01-25
KR101623342B1 true KR101623342B1 (ko) 2016-05-23

Family

ID=5530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054A KR101623342B1 (ko) 2014-07-15 2014-07-15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047B (zh) * 2018-08-15 2021-02-1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板桩墙围护结构
CN113089643B (zh) * 2021-04-16 2022-04-1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高强度承压钢板装配式防护桩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77Y1 (ko) * 2005-07-08 2005-09-29 노봉석 회전에 의해서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지지대 및 이를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
JP2007107276A (ja) * 2005-10-13 2007-04-26 Ohbayashi Corp 既設岸壁の改修補強方法およびその改修補強構造。
KR100726984B1 (ko) * 2006-01-17 2007-06-14 (주)리튼브릿지 흙막이 가설시스템
KR101074881B1 (ko) * 2008-12-30 2011-10-19 박정열 시트 파일을 이용한 차수벽의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77Y1 (ko) * 2005-07-08 2005-09-29 노봉석 회전에 의해서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지지대 및 이를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
JP2007107276A (ja) * 2005-10-13 2007-04-26 Ohbayashi Corp 既設岸壁の改修補強方法およびその改修補強構造。
KR100726984B1 (ko) * 2006-01-17 2007-06-14 (주)리튼브릿지 흙막이 가설시스템
KR101074881B1 (ko) * 2008-12-30 2011-10-19 박정열 시트 파일을 이용한 차수벽의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28A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94844B1 (ko) 안내 케이싱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KR101640449B1 (ko)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KR101655217B1 (ko) 터널 갱구부 개착 구축공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RU216658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нкерного крепления в грунте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2184900B1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81492B1 (ko)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3663B1 (ko) 2아치 터널 시공 방법
JP2001207437A (ja) 既設構造物下方地盤の補強工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JP2007107233A (ja) 土留構造物の構築方法
JP5800765B2 (ja) 落石防止構造
JP4529631B2 (ja) 地下構造及び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101762628B1 (ko) 건물 내부 흙막이용 h파일
KR100637899B1 (ko)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3782180B2 (ja) 土留め腹起こし材の矢板利用支持構造
KR20060098779A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100781809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공법
KR100266391B1 (ko) 굴착공사에서의 제거형 네일링공법
KR102610495B1 (ko) 절토부 자립식 옹벽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