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779A -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 Google Patents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779A
KR20060098779A KR1020050018713A KR20050018713A KR20060098779A KR 20060098779 A KR20060098779 A KR 20060098779A KR 1020050018713 A KR1020050018713 A KR 1020050018713A KR 20050018713 A KR20050018713 A KR 20050018713A KR 20060098779 A KR20060098779 A KR 2006009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arts
retaining
conn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757B1 (ko
Inventor
윤은중
Original Assignee
윤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중 filed Critical 윤은중
Priority to KR102005001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7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설 시공 시 토사의 붕괴 또는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들과, 지주부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들이 이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흙막이구조물은 건설 또는 토목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 흙막이부를 제거할 때 하측에 위치하는 흙막이부의 상측에 여유공간이 생겨 그 제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토목, 구조물, 흙막이, 이격, 공간, 연결

Description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STRUCTURE AND ASSEMBLY FOR PROTECTING LANDSLIDE}
도 1은 종래의 흙막이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구조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흙막이부들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투영도이다.
도 4b는 도 3a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 중 단부결합부재의 투영도이다.
도 4c는 도 3a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가이드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2의 흙막이구조물의 연결부재의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2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2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흙막이구조물의 흙막이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흙막이구조물 중 흙막이부들이 제거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주부 200: 흙막이부
210: 결합부재 300: 연결부
본 발명은 흙막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토목 또는 건설 시공 시 토사의 붕괴 또는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구조물이란, 건설공사 현장에서 비탈지거나 굴토해낸 자리에 설치되어, 낙석이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며, 기초공사 등을 위한 굴토구간의 터파기시 흙벽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의 지하공사에 있어서는 흙을 파낸 뒤 주위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흙막이 공사가 선행되는데, 흙막이구조물이란 이와 같은 흙막이 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흙막이 벽체, 토류판 또는 토류벽 등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종래의 흙막이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홈부가 마주 보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H 파일(Pile)(10)과, 홈부에 삽입지지되어 후방의 흙더미 등이 전방을 향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흙막이 부재로서 소정 규격의 목재판을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그 적층된 목재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끼움목(쐐기)을 설치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흙막이구조물은 어디까지나 공사중 토사 붕괴 등으로부터 현장을 보호한다는 임시적인 용도로서 것으로서, 지하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그 흙막이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지하 구조물 등에 의해 충진되게 되므로, 더이상 쓸모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지하공사의 완료 후 흙막이구조물을 철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 아니하였는 바, 지하공사의 완료와 함께 흙막이구조물도 지하에 매몰되어 그 구조물에 사용된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또는 토목 구조물의 시공 후에 흙막이구조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흙막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들과, 지주부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을 제공한다.
지주부들은 H 파일로 이루어지고, 흙막이부는 끝단이 H 파일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부들은 각각 지중에 매설된다.
흙막이부는 그 길이가 변동 가능하도록 길이가변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들은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흙막이부는 결합부재들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흙막이부의 끝단 및 양 끝단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는 흙막이부에 형성된 연결지지부와, 양 끝단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들의 연결지지부들에 각각 연결되어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는 휨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는 흙막이부를 관통하여 흙막이부에 결합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흙막이부들이 이루는 벽체의 벽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조립체는 적층되는 흙막이부들을 순차적으로 일부 이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건설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 이 완료된 후에 그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구조물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구조물은 도 2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100)들과, 지주부(100)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200)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200)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흙막이부(200)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목구조물 또는 건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지하시설 또는 기초공사를 하게 된다. 이때 굴착되지 않은 지반은 토압 또는 지하수 등에 의하여 붕괴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의 굴착과 함께 굴착되지 않은 지반으로부터 굴착되는 지반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되는 지반과 굴착되지 않은 지반의 경계에 흙막이구조물이 설치된다.
지주부(1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되는 지반과 굴착되지 않은 지반의 경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지주부(100)들의 설치 간격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나 지반의 굴착 환경에 따라서 반드시 일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지주부(100)는 굴착 전에 지반에 설치되며, 해머 또는 유압장치 등으로 타격에 의하여 설치되거나, 그 설치를 위한 천공 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부(10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인 H 파일로 이루어지고, 흙막이부(200)는 끝단이 H 파일의 홈(1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지주부(100)는 그 설치 깊이에 따라서 복수개의 H 파일이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도 있다.
흙막이부(2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지주부(100)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이때 적층된 흙막이부(200)들은 벽체를 형성하여 굴착지역과 비굴착지역으로 구획함으로써 비굴착지역으로부터 굴착지역으로 토사, 지하수, 토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흙막이부(200)는 그 끝단이 지주부(100)와 끼움 결합되며, 지주부(100)가 H 파일로 구성된 경우 H 파일에 형성된 홈(110)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지주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나, 흙막이부(200)는 비굴착지역의 토압에 의하여 그 결합이 유지되므로 별도의 부재 없이도 지주부(10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200)들은 토사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서로 면접촉 등에 의하여 밀착될 수 있다.
흙막이부(200)는 종래와 같은 목재판 등 다양한 구조, 재질 및 형상이 가능하며, 지주부(100)들 간의 거리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하여 그 길이가 변동 가능하도록 길이가변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흙막이부(200)는 도 2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이 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21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부재(210)들은 판형 구조, 실린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흙막이부(200)는 도 3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결합부재(211)와, 중앙결합부재(211)의 양 끝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재(21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결합부재(211) 및 단부결합부재(2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암수를 달리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흙막이부(200)를 이루는 결합부재(210)들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흙막이부(20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흙막이부(200)는 도 3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중앙결합부재(211)와 중앙결합부재(211)의 양측으로 각각 삽입되고 사각 기둥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재(212)들로 구성된다. 이때 후술할 연결부(300)는 중앙결합부재(211)에 설치되지 않고 단부결합부재(212)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흙막이부(20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10)들인 중앙결합부재(211) 및 단부결합부재(212)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중앙결합부재(211) 내에 설치되고 단부결합부재(212)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1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13)의 끝단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결합부재(212)에 형성된 슬라이딩홀(212a)에 끼워지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부(213a)가 형성된다.
한편 흙막이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21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흙막이부(200)는 지주부(100)들 간의 간격에 변동이 있더라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결합부재(210)들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주부(100)들 간의 폭에 대응되어 지주부(100)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흙막이부(200)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210)들로 구성된 경우, 지주부(100)에 설치된 이후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주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흙막이부(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10)들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하기 위한 이동제한부(220)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220)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10)들에 복수개의 끼움공(221)들을 형성하고, 지주부(100)에 설치된 후 결합부재(210)들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공(221)에 삽입되어 결합부재(210)들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끼움핀(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적층된 흙막이부(200)들이 인발될 때 인접하는 흙막이부(200)들이 일부 이격이 가능하게 흙막이부(200)를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300)는 흙막이부(200)가 적층될 때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연결부(300)는 토목구조물 또는 건설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흙막 이구조물, 즉 지주부(100) 및 흙막이부(200)를 제거할 때, 흙막이부(200)들은 인발되는데, 인접하는 흙막이부(200)들 간에 일부 이격이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흙막이부(200)들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흙막이구조물은 그 제거시에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 있으므로 흙막이부(200)들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가능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 흙막이부(200)의 인발을 위하여 강한 인발력이 필요로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강한 동력을 가지는 인발을 위한 장치 및 제거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구조물은 흙막이부(20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이 가능하고, 일부 이격된 부분에 공간이 발생되어 서로 연결된 흙막이부(200)들은 보다 작은 인발력에 의하여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흙막이부(200)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300)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구성이 가능한 바,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300)는 흙막이부(200)에 형성된 연결지지부(310)와, 양 끝단(321)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흙막이부(200)들의 연결지지부(310)들에 각각 연결되어 흙막이부(20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3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부(200)에 형성된 관통공(311)과 관통공(311)에 끼워져 흙막이부(20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20)의 끝단(321)과 결합되는 결합핀(312)으로 구성된다. 물론 연결지지부(3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흙막이부(200)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310)는 핀 또는 볼트 이외에도 고리 등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핀(312)은 흙막이부(200)가 분리된 상태에 있다가 지주부(100)에 설치될 때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흙막이부(2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재(320)의 끝단(321)과 결합시키도록 관통공(311)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관통공(311)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결합핀(312)의 일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거나, 암나사부가 설치되어, 결합핀(312)이 흙막이부(2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결합핀(312)의 타단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육각형 등의 각형상을 이루거나, '-'자형 또는 '+'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흙막이부(200)가 이웃하는 흙막이부(200)와 면접촉을 이루고 연결부(300)가 흙막이부(200)의 면접촉을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흙막이부(200)들이 연결부재(320)에 의하여 밀착되는 것이 방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흙막이부(200)에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3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320)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강선들이 꼬임구조를 가지는 강연성, 체인 등과 같은 휨이 가능한 부재, 슬롯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철판 등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20)는 도 3c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을 이루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321)에 각각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00)의 설치 위치 또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바, 연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부(200)의 끝단 중 일단 또는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부(20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흙막이부(200)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20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부(200)들이 이루는 벽체의 벽면을 이루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양 끝단 사이, 또는 중앙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그 숫자도 하나, 한 쌍, 셋 등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흙막이부(200)들 및 흙막이부(20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00)는 하나의 흙막이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흙막이구조물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흙막이구조물이 설치될 지역에 복수개의 지주부(100)들이 간격을 두고 지중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된 지주부(100)들을 따라서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지반이 굴착되면서 굴착지반과 비굴착지반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지주부(100)들 사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흙막이부(200)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게 된다. 흙막이부(200)들이 적층될 때 작업자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흙막이부(200)들을 연결부(300)에 의하여 인접하는 흙막이부(200)들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흙막이부(200)는 종래의 목재판은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결합부재(210)들로 이루어진 길이가 변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지반의 굴착과 함께 흙막이부(200)들이 설치되면서 굴착이 완료되면, 기초공사 등 건설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이 시작된다. 그리고 건설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작업자는 흙막이구조물을 제거하기 시작한다.
먼저 최 상측, 즉 지표면에 노출된 흙막이부(200)를 인발한다. 최 상측의 흙막이부(200)가 인발되면 먼저 하나만 인발되어 일정거리가 이격된 후에 연결부(300)에 의하여 결합된 하측의 흙막이부(200)가 인장력이 작용하여 인발된다. 이때 하측의 흙막이부(200)의 상측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그 인발이 보다 용이하다. 그리고 다음 하측의 흙막이부(200)들이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인발되어 모든 흙막이부(200)들은 제거된다. 흙막이구조물 중 흙막이부들이 제거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 9에 도시하였다.
흙막이부(200)의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지주부(100)를 제거하게 된다. 물론 지주부(100)는 흙막이부(200)의 제거 이전에 먼저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흙막이구조물은 제거되게 되고, 제거된 흙막이구조물은 다른 건설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에 재활용되거나 기타 용도에 재활용 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구조물은 적층되는 흙막이부들을 순차적으로 일부 이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건설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그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 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8)

  1.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들과;
    상기 지주부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상기 흙막이부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상기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들은 H 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흙막이부는 끝단이 상기 H 파일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들은 각각 지중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부는 그 길이가 변동 가능하도록 길이가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들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는 흙막이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부는 상기 결합부재들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하기 위한 이동제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8.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의 끝단 및 양 끝단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에 형성된 연결지지부와, 양 끝단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상기 흙막이부들의 상기 연결지지부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휨이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흙막이부를 관통하여 상기 흙막이부에 결합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들이 이루는 벽체의 벽면 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구조물.
  13.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부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흙막이부들과;
    적층시 서로 인접하는 상기 흙막이부들이 이격이 가능하게 이격거리를 가지고 상기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의 끝단 및 양 끝단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에 형성된 연결지지부와, 양 끝단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상기 흙막이부들의 상기 연결지지부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흙막이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휨이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흙막이부를 관통하여 상기 흙막이부에 결합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흙막이부들이 이루는 벽체의 벽면 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조립체.
KR1020050018713A 2005-03-07 2005-03-07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10071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13A KR100710757B1 (ko) 2005-03-07 2005-03-07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13A KR100710757B1 (ko) 2005-03-07 2005-03-07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79A true KR20060098779A (ko) 2006-09-19
KR100710757B1 KR100710757B1 (ko) 2007-04-24

Family

ID=3763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713A KR100710757B1 (ko) 2005-03-07 2005-03-07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8B1 (ko) * 2006-09-28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흙막이 구조
KR101538162B1 (ko) * 2014-10-14 2015-07-21 주식회사 백년 설치 해체가 용이한 원가절감형 흙막이 및 시공방법
KR101687959B1 (ko) * 2016-08-11 2016-12-20 오장호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713A (ko) 1973-07-25 1975-03-29
KR0137053Y1 (ko) * 1994-08-29 1999-04-01 문신호 강재 토류판
JP3158245B2 (ja) 1997-10-21 2001-04-23 株式会社シンコーコーポレーション 建築、土木工事用型材
KR100472077B1 (ko) * 2002-09-28 2005-03-11 윤은중 간이 흙막이 구조물 및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8B1 (ko) * 2006-09-28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흙막이 구조
KR101538162B1 (ko) * 2014-10-14 2015-07-21 주식회사 백년 설치 해체가 용이한 원가절감형 흙막이 및 시공방법
KR101687959B1 (ko) * 2016-08-11 2016-12-20 오장호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757B1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861805B1 (ko) 케이싱 및 h빔 가이드가 장착된 연속벽체시공을 위한 구조물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US20060179730A1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KR100789210B1 (ko)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448216B1 (ko) 다중파일이 구비된 흙막이벽
KR100710757B1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100521076B1 (ko) 흙막이용 패널
KR102195203B1 (ko) 수평 및 경사 버팀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862208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KR100503871B1 (ko) 토류판 보강 장치
KR20110052321A (ko) 흙막이용 강관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0708765B1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0732943B1 (ko) 흙막이 조립체
KR101221084B1 (ko) 벤딩 복원하중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CN111535330B (zh) 一种基坑支护结构的施工方法
KR100477357B1 (ko)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100567853B1 (ko) 토류판 구조물
CN210946533U (zh) 用于明挖施工的暗渠结构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0679866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물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KR20070059766A (ko) 목재를 이용한 소일 네일링 시공방법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