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94B1 - 안전 가시설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전 가시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94B1
KR102655594B1 KR1020230123506A KR20230123506A KR102655594B1 KR 102655594 B1 KR102655594 B1 KR 102655594B1 KR 1020230123506 A KR1020230123506 A KR 1020230123506A KR 20230123506 A KR20230123506 A KR 20230123506A KR 102655594 B1 KR102655594 B1 KR 10265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xed
excavation site
fixing bracket
r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탁
Original Assignee
보천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천토건(주) filed Critical 보천토건(주)
Priority to KR102023012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굴착지(20)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에 양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 벽면을 앞쪽에서 막아서 지지하는 토류판(130); 상기 고정 파일(12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그라우팅층(30)에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파일(120)에 지지된 복수개의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물(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가시설 구조체{Safety temparary facilities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착 지반을 형성하고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등의 시설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설치되기 위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하수 관거 등과 같이 지반을 소정의 깊이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굴착하고, 그 굴착지반의 내부 공간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건설공사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굴착된 지반 면은 항상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려고 하기 때문에, 통상은 H 파일과 같은 수직 비임을 먼저 지반에 항타시켜 매설시킨 후, 지반을 굴착하면서 수직 비임 사이에 토류 벽(주로, 흙막이판으로서 통상 목재를 이용함)을 끼워 설치하는 방식으로 굴착지반 지보공을 설치하게 된다. 이를 흙막이 구조물이라 하는데,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의 굴착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축물 등의 기초 공사 시,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굴착 지반을 형성하고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등의 시설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안전 가시설 구조물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2425호(2019년09월10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30596호(2023년03월06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696663호(2017년01월10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42722호(2022년10월2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 지반을 형성하고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등의 시설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설치되기 위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굴착지(20)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에 양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 벽면을 앞쪽에서 막아서 지지하는 토류판(130); 상기 고정 파일(12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그라우팅층(30)에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파일(120)에 지지된 복수개의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물(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가시설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구조물은,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된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고정 지지 바아(18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파일(120)의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가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상기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되어,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과 복수개의 상기 토류판(13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은 복수개의 바아 형상의 프레임(142)과 판형상의 프레임(142)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입체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하부가 받쳐지는 굴착지(20)의 지중에는 키커 블록(144)이 매설되고, 상기 키커 블록(144)에는 레이커 파일(145)이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의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레이커 파일(145)에는 레이커 웨일(146)을 매개로 레이커(147)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을 앞쪽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띠장(148)에는 상기 레이커(147)의 상단부가 연결구(149)(JACK)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레이커(147)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띠장(148)과 상기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며,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은 굴착지(20)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어 수직 설치된 포스트 파일(152)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 파일(152)이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 파일(152)에는 보받이(153)를 매개로 코너 스트럿(154)이 결합되고, 상기 코너 스트럿(154)의 기단부는 웨일(155)을 매개로 상기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는 띠장(14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고정 구조물의 상부 고정 브라켓부가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과 수평 방향의 상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과 복수개의 상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가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과 하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과 복수개의 하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 바아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상부 바아 결합홀과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부 바아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굴착지에 설치된 상기 토류판 안쪽 영역의 가시설 구조물이 보다 견고하게 굴착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굴착지에 시공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D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E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1의 F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파일과 상부 고정 브라켓부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 및 고정 지지 바아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G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H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상부 고정 브라켓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하부 고정 브라켓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서 레이커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서 코너 스트럿과 웨일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굴착지에 시공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주요부인 코어 슬리브와 보강 고정 지지핀과 매설 지지 디스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굴착지에 시공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D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E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1의 F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파일과 상부 고정 브라켓부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 및 고정 지지 바아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G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H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상부 고정 브라켓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하부 고정 브라켓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서 레이커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시설 구조체에서 코너 스트럿과 웨일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 가시설 구조체는 고정 파일(120)과 토류판(130)과 그라우팅층(30)과 고정 구조물 및 가시설 구조물(14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정 파일(120)은 굴착지(20) 벽면에 수직 설치된다.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이 굴착지(20) 벽면 앞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다. 고정 파일(120)의 하단부쪽 일부가 굴착지(20)의 지중에 매설되어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이 굴착지(20)의 벽면 앞쪽에 수직 설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토류판(130)은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에 양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토류판(130)의 양단부가 서로 이웃한 두 개의 고정 파일(12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토류판(130)이 상기 굴착지(20) 벽면을 앞쪽에서 막아서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굴착지(20) 벽면에 그라우팅층(30)을 형성한다. 그라우팅층(30)은 시멘트와 모래와 물 등이 섞인 그라우팅 원료를 굴착지(20) 벽면에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고 경화시켜서 일정 두께의 그라우팅층(30)를 굴착지(20) 벽면 앞에 형성한다. 그라우팅층(30)는 굴착지(20)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파일(120)은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그라우팅층(30)에 고정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은 상기 고정 파일(120)에 지지된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즉, 토류판(130)의 앞쪽 영역)에 고정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 구조물은,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와 고정 지지 바아(180) 및 고정 지지 바아(18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구비되는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는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는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 파일(120)의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가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과 복수개의 토류판(13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가시설 구조물(14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토류판(130)은 다수개의 목재 패널을 상기 고정 파일(120)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목재 패널을 굴착지(20) 벽체 앞쪽에 상하 방향 및 전후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들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굴착지(20) 벽체 앞쪽에 토류판(13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굴착지(20) 벽체 외표면에 그라우팅층(30)이 형성되고, 그라우팅층(30)에 고정 구조물이 결합되고, 고정 구조물의 앞쪽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이 설치되고,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에 결합된 토류판(1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파일(120)은 서로 나란한 전방 파일 부재(122)와 후방 파일 부재(124)에 연결 파일 부재(126)가 직교하는 연결된 H 비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고정 파일(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 파일(120)에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는, 상기 고정 파일(120)의 상기 후방 파일 부재(124)의 바깥면에 고정된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편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하면으로 관통된 상부 바아 삽입홀이 구비된 상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64);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상기 상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64)에 내측단부와 상단부가 연결된 복수개의 상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6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는, 상기 고정 파일(120)의 상기 후방 파일 부재(124)의 바깥면에 고정된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편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부 바아 삽입홀이 구비된 하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74);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과 상기 하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74)에 내측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된 복수개의 하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파일(120)은 연결 파일 부재(126)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방 파일 부재(122)와 후방 파일 부재(124)가 결합된 H 비임 형상인데,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방 파일 부재(124)의 후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상부 바아 결합홀과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부 바아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가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상부 바아 결합홀과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부 바아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의 상면에서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상부 너트부재와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의 저면에서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부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고정 지지 바아(180)를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가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은 복수개의 프레임(142)(예를 들어, 바아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142)과 판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142))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입체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하부가 받쳐지는 굴착지(20)의 지중에는 키커 블록(144)이 매설되고, 상기 키커 블록(144)에는 레이커 파일(145)이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의 지중에 매설된다.
또한, 상기 레이커 파일(145)에는 레이커 웨일(146)을 매개로 레이커(147)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을 앞쪽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띠장(148)에는 상기 레이커(147)의 상단부가 연결구(149)(JACK)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이커(147)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띠장(148)과 고정 파일(12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은 굴착지(20)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어 수직 설치된 포스트 파일(152)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 파일(152)이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 파일(152)에는 보받이(153)를 매개로 코너 스트럿(154)이 결합되고, 상기 코너 스트럿(154)의 기단부는 웨일(155)을 매개로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는 띠장(148)에 연결된다.
따라서, 굴착지(20)에 설치된 상기 토류판(130) 안쪽 영역의 가시설 구조물(140)이 보다 견고하게 굴착지(2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고정 구조물의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가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수평 방향의 상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64)과 복수개의 상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66)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과 하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174)과 복수개의 하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7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는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상부 바아 결합홀과 상기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부 바아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굴착지(20)에 설치된 상기 토류판(130) 안쪽 영역의 가시설 구조물(140)이 보다 견고하게 굴착지(20)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가 상기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되어 있고 동시에 수평 방향의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을 복수개의 상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66)이 밑에서 받쳐서 그라우팅층(3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그라우팅층(3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 구조물의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가 상기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되어 있고 동시에 수평 방향의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을 복수개의 하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176)이 밑에서 받쳐서 그라우팅층(3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그라우팅층(3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더하여서 상기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162)과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172)에는 고정 지지 바아(18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구조물의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그라우팅층(3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이러한 견고한 지지 구조로 인하여 굴착지(20)의 토류판(130) 앞에 시설되는 가시설 구조물(140)을 더욱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굴착지(20) 벽체를 앞쪽에서 토류판(130)과 함께 그라우팅층(30)으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굴착지(20)의 흙막이 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축 가능하고 굴착지(20)에 안전 가시설 구조물(140)이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하부가 받쳐지는 굴착지(20)의 지중에는 키커 블록(144)이 매설되고, 상기 키커 블록(144)에는 레이커 파일(145)이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의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추가적으로 키커 블록(144)에 의해 가시설 구조물(140)을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이커 파일(145)에는 레이커 웨일(146)을 매개로 레이커(147)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을 앞쪽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띠장(148)에는 상기 레이커(147)의 상단부가 연결구(149)(JACK)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이커(147)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띠장(148)과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므로, 상기 토류판(130)을 지지하는 고정 파일(120)과 토류판(130)을 굴착지(20)의 벽면 앞쪽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은 굴착지(20)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어 수직 설치된 포스트 파일(152)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 파일(152)이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 파일(152)에는 보받이(153)를 매개로 코너 스트럿(154)이 결합되고, 상기 코너 스트럿(154)의 기단부는 웨일(155)을 매개로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는 띠장(148)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토류판(130)의 지지를 위한 고정 파일(120)과 가시설 구조물(140) 사이의 연결 결합 구조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구현한 효과도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 가시설 구조체를 굴착지에 시공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주요부인 코어 슬리브와 보강 고정 지지핀과 매설 지지 디스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 파일(120)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코어 슬리브(192); 복수개의 상기 코어 슬리브(192)에 외주면 일부의 나사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보강 고정 지지핀(194); 복수개 상기 보강 고정 지지핀(194)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매설 지지 윙편(196WP)을 구비한 복수개의 매설 지지 디스크(196);를 더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 고정 지지핀(194)의 복수개의 상기 매설 지지 디스크(196) 부분은 상기 그라우팅층(30) 안쪽면의 지중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슬리브(192)는 고정 파일(120)의 전방 파일 부재(122)와 후방 파일 부재(124)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코어 슬리브(192)에 결합된 상기 보강 고정 지지핀(194)은 그라우팅층(3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보강 고정 지지핀(194) 외주면의 복수개의 매설 지지 디스크(196)는 상기 그라우팅층(30) 안쪽면의 굴착지(20) 지중에 매설된다. 코어 슬리브(192)는 고정 파일(120)의 전방 파일 부재(122)와 후방 파일 부재(124)의 양면으로 관통된 슬리브 결합홀에 삽입되어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상기 슬리브 결합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코어 슬리브(192)가 고정 파일(120)의 전방 파일 부재(122)와 후방 파일 부재(124)를 관통하여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 파일(120)에 결합된 코어 슬리브(192)에서 보강 고정 지지핀(194)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보강 고정 지지핀(194)을 상기 굴착지(20)의 지중으로 전진시키면, 복수개의 매설 지지 디스크(196)의 복수개의 매설 지지 윙편(196WP)이 굴착지(20)의 지중(또는, 그라우팅층(30)의 내부)에 매설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코어 슬리브(192)와 복수개의 보강 고정 지지핀(194)과 복수개의 매설 지지 디스크(196)가 상기 고정 파일(120)을 보다 견고하게 굴착지(20)의 지중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토류판(130)과 그라우팅층(30) 및 가시설 구조물(140)을 굴착지(20)에 더욱더 안정적이고 견고하면 안전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굴착지 30. 그라우팅층
120. 고정 파일
122. 전방 파일 부재 124. 후방 파일 부재
126. 연결 파일 부재 130. 토류판
140. 가시설 구조물 142. 프레임
144. 키커 블록 145. 레이커 파일
146. 레이커 웨일 147. 레이커
148. 띠장 149. 연결구
152. 포스트 파일 153. 보받이
154. 코너 스트럿 155. 웨일
160. 상부 고정 브라켓부 162. 상부 베이스 브라켓판
164. 상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 166. 상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
170. 하부 고정 브라켓부 172. 하부 베이스 브라켓판
174. 하부 바아 결합 브라켓편 176. 하부 보강 지지 브라켓편
180. 고정 지지 바아 192. 코어 슬리브
194. 보강 고정 지지핀 196. 매설 지지 디스크
196WP. 매설 지지 윙편

Claims (3)

  1. 굴착지(20)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 파일(120);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에 양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의 벽면을 앞쪽에서 막아서 지지하는 토류판(130);
    상기 고정 파일(12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그라우팅층(30)에 고정하는 고정 구조물;
    상기 고정 파일(120)에 지지된 복수개의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물(1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조물은,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된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
    상기 고정 파일(12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고정 지지 바아(18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파일(120)의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부(160)와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부(170)에 결합된 상기 고정 지지 바아(180)가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직립 형성된 상기 그라우팅층(30)에 매설되어,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과 복수개의 상기 토류판(130)을 상기 굴착지(20)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토류판(130)의 안쪽 영역에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가시설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은 복수개의 프레임(142)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입체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하부가 받쳐지는 굴착지(20)의 지중에는 키커 블록(144)이 매설되고, 상기 키커 블록(144)에는 레이커 파일(145)이 결합되어 상기 굴착지(20)의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레이커 파일(145)에는 레이커 웨일(146)을 매개로 레이커(147)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 파일(120)을 앞쪽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띠장(148)에는 상기 레이커(147)의 상단부가 연결구(149)(JACK)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레이커(147)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띠장(148)과 상기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며,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은 굴착지(20)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어 수직 설치된 포스트 파일(152)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 파일(152)이 상기 가시설 구조물(14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 파일(152)에는 보받이(153)를 매개로 코너 스트럿(154)이 결합되고, 상기 코너 스트럿(154)의 기단부는 웨일(155)을 매개로 상기 고정 파일(120)을 지지하는 띠장(14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가시설 구조체.
KR1020230123506A 2023-09-15 2023-09-15 안전 가시설 구조체 KR10265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506A KR102655594B1 (ko) 2023-09-15 2023-09-15 안전 가시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506A KR102655594B1 (ko) 2023-09-15 2023-09-15 안전 가시설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594B1 true KR102655594B1 (ko) 2024-04-08

Family

ID=9071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506A KR102655594B1 (ko) 2023-09-15 2023-09-15 안전 가시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5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63B1 (ko) 2015-12-24 2017-01-23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안전난간과 토목섬유 매트를 이용한 가시설 옹벽 시공방법
KR102022425B1 (ko) 2017-05-29 2019-09-18 주식회사 효광엔지니어링 가시설 흙막이 벽체용 띠장재
KR20200137297A (ko) * 2019-05-29 2020-12-09 김재승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20220142722A (ko)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이산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20230030596A (ko)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63B1 (ko) 2015-12-24 2017-01-23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안전난간과 토목섬유 매트를 이용한 가시설 옹벽 시공방법
KR102022425B1 (ko) 2017-05-29 2019-09-18 주식회사 효광엔지니어링 가시설 흙막이 벽체용 띠장재
KR20200137297A (ko) * 2019-05-29 2020-12-09 김재승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20220142722A (ko)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이산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20230030596A (ko)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1058520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41566B1 (ko)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379088B1 (ko) 2열 흙막이 구조물 및 흙막이 공법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101843023B1 (ko)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1524303B1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262357B1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JP2019199705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挿入補助器具
KR101054696B1 (ko) 슬러리 월에서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토압 지지가이루어지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구축 공법
KR20110052321A (ko) 흙막이용 강관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2655594B1 (ko) 안전 가시설 구조체
JP2015183366A (ja)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KR102476068B1 (ko)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2368A (ko) 소형 천공장비를 이용한 인접건물 근접구간 소구경 합성파일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H0559728A (ja) 地下既設構造物上方における山留工法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20200137297A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CN115506375B (zh) 临近桥梁桩基u型槽基坑开挖支护体系及施工方法
KR102648051B1 (ko) 후열식 버팀장치를 구비한 자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69530B1 (ko) 흙막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