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211B1 -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211B1
KR101309211B1 KR1020130042455A KR20130042455A KR101309211B1 KR 101309211 B1 KR101309211 B1 KR 101309211B1 KR 1020130042455 A KR1020130042455 A KR 1020130042455A KR 20130042455 A KR20130042455 A KR 20130042455A KR 101309211 B1 KR101309211 B1 KR 10130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water
support portio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주)한성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한성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3004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수도관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하수도관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하수도관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받침부, 제1받침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제1받침부와 마주하는 면에 지지홈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하수도관을 수용하는 제2받침부, 중앙은 제1받침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양측은 터파기부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받침부를 지지하는 제1수평버팀목, 중앙은 제2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측은 터파기부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2받침부를 지지하는 제2수평버팀목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제1수평버팀목 및 제2수평버팀목의 양측이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형성되어 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특징에 의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PEDESTAL STRUCTURE FOR WATER PIPELINE USED IN WATERWORKS AND DRAINAGE, ROAD, RIVER BANK AND DRAINAGE WORKS}
본 발명은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을 지지하는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의 상하부에 제1수평버팀목 및 제2수평버팀목이 설치되고, 양단이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하수도관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돗물은 취수장에서 강이나 호수 또는 댐과 같은 상수원에서 원수를 취수하여 정화시킨 후 대형 상수관을 통하여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대형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여과되어 강이나 호수로 방류된다. 이러한 상수 및 하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상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땅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하천유역이나 해안지역과 같이 흙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수도관이나, 산간 지역과 같이 지반의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는 상하수도관은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상하수도관의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침하방지용 상하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 실시 에에 의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8982호(2005.12.20.자 등록)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에 의하면 연약지반에 설치된 상하수도관의 침하를 방지하고 연약지반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침하방지용 상하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지지부(32)가 중앙에 형성되고, 사다리꼴파 모양의 주름부(33)(34)가 반원형지지부(3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주름부(33)(34) 끝에서 좌우로 수평하게 뻗어서 하측으로 말린 보강날개부(35)(36)가 형성되고, 그 주름부(33)(34)의 내측면(33a)(34a)에 복수의 배수공(33h)(34h)이 형성된 상하수도관받침판(30)과; 주름부(33)(34)의 하부홈(33g)(34g)으로 삽입되어 연약지반(22)에 잔류하는 수분 유입을 위한 복수의 수분유입공(40h)(42h)을 갖는 인입유공관(40)(42)과; 상하수도관받침판(30)의 주름부(33)(34)와 보강날개부(35)(36) 상면에 밀착되어 주름부(33)(34)에 형성된 배수공(33h)(34h)을 통해 인입유공관(40)(42)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흡입매트(50)(52)와; 흡입매트(50)(52)의 끝에 설치되어 흡입매트(50)(52)의 흡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유공관(60)(62)으로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명은 상하수도관을 지지하여 위하여 설치되는 지지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 수가 많아서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하수도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를 서로 결합하여 지반에 고정해야 하는데, 그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상호 결합하는데 시간이 많이 지체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538982호(2005.12.20. 등록)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하수도관을 지지하는 보강구조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부품 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의한 것으로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의하면 상하수도관(20)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10)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하수도관(20)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지지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수도관(20)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받침부(110); 상기 제1받침부(110)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받침부(11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지지홈(111)과 대응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상하수도관(20)을 수용하는 제2받침부(120); 상기 제1받침부(110)의 하측 일부에 설치되고 중앙은 상기 제1받침부(110)의 하면을 고정시키며 양측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받침부(11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수평버팀목(130); 및 상기 제2받침부(120)의 하측 일부에 설치되고 중앙은 상기 제2받침부(120)의 상면을 고정시키며 양측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받침부(12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수평버팀목(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버팀목(130)의 양측 끝단 일부는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버팀목(140)의 양측 끝단 일부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땅속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상하수도관을 지지하는 보강구조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부품 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하방지용 상하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제1받침부(110), 제2받침부(120), 제1수평버팀목(130) 및 제2수평버팀목(1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받침부(110)는 상기 상하수도관(20)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10)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하수도관(20)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지지홈(111)이 만곡 형성되어 상기 상하수도관(20)을 횡방향 또는 수평방향 또는 지면과 유사한 평행방향으로 안착시키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받침부(110)는 후술되는 제 1 수평버팀목(130)과 용이하게 결합 또는 지지하기 위해 하면 일부에 복수 개 또는 2 개 이상 다수의 제 1 결합홈(11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결합홈(112)의 내부에는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결합홈(112)은 후술되는 제 1 고정부재(150)에 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구조는 후술되는 제 1 평버팀목(13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구조변경하거나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받침부(120)는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상면 방향과 결합 또는 상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받침부(11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지지홈(111)과 대응되는 수용홈(121)이 반원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하수도관(20)을 안착 수용하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받침부(120)는 후술되는 제 2 수평버팀목(140)과 용이하게 결합 설치되기 위해 상면 일부에 복수 개 또는 2 개 이상 다수의 제 2 결합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결합홈(122)의 내부에는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결합홈(122)은 후술되는 제 2 고정부재(160)에 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구조는 후술되는 제 2 수평버팀목(14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구조변경 및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의 중앙 또는 중간 부분은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하측 면 일부에 고정되고, 양측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흙 속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제 1 받침부(1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은 후술하는 제 1 고정부재(150)에 의해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하측면 일부와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홈(1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결합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결합홈(131)의 내부에는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은 상기 터파기부(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 1 받침부(11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지반의 부분 침하 등에 대응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측 끝단 부분이 상부, 하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평버팀목(140)의 중앙 또는 중간 부분은 상기 제 2 받침부(120)의 상면 또는 상측 일부에 고정되고, 양측 끝단 부분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제 2 받침부(12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 2 수평버팀목(140)은 후술되는 제 2 고정부재(16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홈(1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2 받침부(120)의 상면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 4 결합홈(14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버팀목(140)은 상기 터파기부(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되메움한 흙속(지반)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받침부(120)를 지지하기 위해 양측 끝단 부분이 상부, 하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상기 제 1 받침부(110)와 제 1 수평버팀목(130) 및 제 2 받침부(120)와 제 2 수평버팀목(140)이 용이하게 결합 설치되도록 상기 제 1 결합홈(112), 제 2 결합홈(122), 제 3 결합홈(131) 및 제 4 결합홈(141)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재(150)와 제 2 고정부재(1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50)는 제 1 수평버팀목(130)의 제 3 결합홈(131)에 큰 하중이 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에 제 1 스토퍼(1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퍼(151)에 의해 제 3 결합홈(131)에 큰 하중이 실리지 않으며 상기 제 1 받침부(110)와 제 1 수평버팀목(13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재(160)는 제 2 받침부(120)의 제 2 결합홈(122)에 큰 하중이 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에 제 2 스토퍼(161)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 고정부재(150)와 대응되거나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이하에서 제 1 고정부재(150)의 설명시에 부재번호를 부가하여 설명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제 1 고정부재(150, 160)는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과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과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재(150, 160)는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을 송곳 형상으로 형성시켜 하향 방향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초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제 1 고정부재(150, 160)의 송곳 형상을 하는 끝단 부분을 상향 방향으로 설치되어 삽입되도록 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본 발명에서는 어느 일 방향으로의 설치 방식만을 설명하여 중복 설명되지 않도록 하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양방향 설치 방식을 모두 기재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결합홈(112)과 제 3 결합홈(131) 및 제 2 결합홈(122)과 제 4 결합홈(141)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151, 161)는 외주면에 6 각 또는 8 각의 평면을 형성하고 스패너 등의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 1 고정부재(150, 16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 1 스토퍼(151, 161)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킴으로써 제 1 받침부(110)와 제 1 수평버팀목(130) 또는 제 2 받침부(120)와 제 2 수평버팀목(140)을 고정상태로 설치하거나 고정 설치된 상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받침부(110), 제 2 받침부(120), 제 1 수평버팀목(130), 제 2 수평버팀목(140)은 설치되는 제 1 스토퍼(151) 또는 제2 스토퍼(161)를 위한 해당 스토퍼 안착홀을 각각의 해당 위치에 적적하게 소정 크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상기 제1수평버팀목(130) 및 제2수평버팀목(140)의 양측 끝단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지반 또는 흙속에 지지된 경우, 그 응집력에 의해 상기 상하수도관(20)이 더욱 단단히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상하수도관(20)이 매설된 주변의 지반 또는 흙의 부분적인 침하, 변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하수도관(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상기 상하수도관(20)을 지지하는 보강구조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부품 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하수도관(20)을 매설할 지면을 굴토하여 터파기부(10)를 상하수도관(20)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터파기부(10)의 바닥면 부분 양측 일부분에 제 1 수평버팀목(13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은 터파기부(10)의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 또는 2 개 이상의 다수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의 제 3 결합홈(131)에 제 1 고정부재(150)를 삽입 또는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제 1 고정부재(150)는 상기 스토퍼(151)에 의해 상기 제 3 결합홈(131)에 삽입된 이후 상기 제 3 결합홈(131)에 집중적으로 실리는 하중을 분산 시킬 수 있다.
이후, 제 1 수평버팀목(130)의 제 3 결합홈(131)에 삽입 또는 나사결합된 고정부재(150)의 위치에 맞추어 제 1 결합홈(1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받침부(110)를 결합 설치한다. 이때, 제 1 받침부(110)는 상기에서 서술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에 큰 하중이 실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안착 설치되는 상하수도관(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여러 개를 다단으로 중복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수평버팀목(130)에 실리는 하중을 큰 무리없이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받침부(110) 및 제 1 수평버팀목(130)의 구조에 의하여 상하수도관(20)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상면에 상하수도관(20)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111)에 상기 상하수도관(20)을 안착 설치한다.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상면 또는 상측부에 제 2 받침부(120)를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1 받침부(110) 및 제 2 받침부(120)의 결합 설치구조는 상기 제 1 받침부(110) 및 제 1 수평버팀목(13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2 개 이상의 다수 결합홈을 형성하고 2 개 이상의 다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중복 설명하기 않기로 한다.
상기 제 1 받침부(110)의 상측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제 2 받침부(120)가 위치한 터파기부(10)의 양측 벽면에 제 2 수평버팀목(140)이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 2 받침부(120)의 상면 또는 상측부에는 상기 제 2 고정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수평버팀목(14)이 설치되고 결합된다.
이때의 결합구조 또한 상기 제 1 받침부(110) 및 제 1 수평버팀목(13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구조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지진이 발생하거나 또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의 침하 발생 우려가 많은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20)을 설치하는 경우, 상하수도관(20)이 매설된 지반의 일부가 유실되거나 지반의 주변 일부가 침하될 경우에도 상하수도관(20)을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므로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을 자명하다.
10 : 터파기부 20 : 상하수도관
110 : 제 1 받침부 111 : 지지홈
112 : 제 1 결합홈 120 : 제 2 받침부
121 : 수용홈 122 : 제 2 결합홈
130 : 제 1 수평버팀목 131 : 제 3 결합홈
140 : 제 2 수평버팀목 141 : 제 4 결합홈
150 : 제 1 고정부재 151 : 제 1 스토퍼
160 : 제 2 고정부재 161 : 제 2 스토퍼

Claims (1)

  1. 상하수도관(20)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10)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하수도관(20)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지지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수도관(20)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받침부(110);
    상기 제1받침부(110)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받침부(11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지지홈(111)과 대응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상하수도관(20)을 수용하는 제2받침부(120);
    상기 제1받침부(110)의 하측 일부에 설치되고 중앙은 상기 제1받침부(110)의 하면을 고정시키며 양측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받침부(11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수평버팀목(130); 및
    상기 제2받침부(120)의 하측 일부에 설치되고 중앙은 상기 제2받침부(120)의 상면을 고정시키며 양측은 상기 터파기부(10)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받침부(12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수평버팀목(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버팀목(130)의 양측 끝단 일부는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버팀목(140)의 양측 끝단 일부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땅속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1020130042455A 2013-04-17 2013-04-17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10130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55A KR101309211B1 (ko) 2013-04-17 2013-04-17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55A KR101309211B1 (ko) 2013-04-17 2013-04-17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211B1 true KR101309211B1 (ko) 2013-09-23

Family

ID=4945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455A KR101309211B1 (ko) 2013-04-17 2013-04-17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52B1 (ko) * 2018-04-16 2018-10-29 삼호콘크리트(주) 내진 보강형 pc암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55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KR100593414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55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KR100593414B1 (ko) *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52B1 (ko) * 2018-04-16 2018-10-29 삼호콘크리트(주) 내진 보강형 pc암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US20170321397A1 (en) Honeycomb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200414125Y1 (ko) 하수도, 상수도, 하천, 매립장 침출수 배수시설 및 도로 연약지반보강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받침틀 구조
KR200413251Y1 (ko)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100672009B1 (ko) 상수도관 접합부 고정 장치구조
KR101309211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1619330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70044839A (ko) 하수관거 합성구조 기초 구조물 시공공법 및 그 구조물
KR101682541B1 (ko) 암거 횡단 관로 매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JP2008231704A (ja) 雨水貯水施設
CN105714771A (zh) 一种人工挖孔桩的施工方法
JP2013060797A (ja) 液状化現象による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装置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CN205134332U (zh) 市政排水管线坑槽支护结构
KR200413256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KR20090048147A (ko) 관로 받침대
KR20041325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