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330B1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330B1
KR101619330B1 KR1020150139088A KR20150139088A KR101619330B1 KR 101619330 B1 KR101619330 B1 KR 101619330B1 KR 1020150139088 A KR1020150139088 A KR 1020150139088A KR 20150139088 A KR20150139088 A KR 20150139088A KR 101619330 B1 KR101619330 B1 KR 10161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am
horizontal
supporting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3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상황에 따라 H빔 파일에 조립된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레벨 및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Pile)(10)과,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 사이에 끼워지는 흙막이 판(20)과, 상기 다수의 H빔 파일(10)의 안쪽에 조립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60)과,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띠장 지지 브라켓(60)은, 상기 H빔 파일(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결합 플레이트(61)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6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62) 및 원통부(62a)와, 상기 원통부(62a)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형부재(63)와, 상기 구형부재(63)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회동 플레이트(60)와, 상기 구형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나사부(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Horizontal Beam Supporting Bracket for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토목 공사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해 시행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에서, H빔 파일에 조립되어 수평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브라켓 상부 플레이트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수평보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상/하수도관 또는 전선관 등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토압에 의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해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한 후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지반에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한 후에 지반을 굴착하고, 관을 매설한 다음 흙막이 가시설을 해체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Pile)(10)과,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 사이에 끼워지는 흙막이 판(20)과, 상기 다수의 H빔 파일(10)의 안쪽에 조립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과,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상부에 조립되는 수평보(70)와,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띠장(40)과, 상기 띠장(40)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트럿(Strut)(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로의 지하에 각종 관을 매설하는 공사를 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보(70)의 상부에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규격화된 복공판(80)(도 6 참조)이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을 허용한다. 상기 복공판(80)과 수평보(70)의 사이에 가로빔(도시 생략)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H빔 파일(10)은 항타기에 의해 지반의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고, 상기 H빔 파일(10)의 사이에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흙막이 판(20)이 끼워진다.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파일(10)에 수직으로 조립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보(70)를 지지한다.
상기 띠장(40)은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띠장(40) 사이에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스트럿(Strut)(50)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트럿(50)은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부품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반의 양쪽에 H빔 파일(10)을 항타기로 삽입하고, 인접하는 H빔 파일 사이에 흙막이 판(20)을 끼운 다음, 지반을 1차로 굴착한다.
이어서 H빔 파일(10)의 안쪽에 띠장(40)을 설치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한 쌍의 띠장(40) 사이에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스트럿(50)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의 내측에 볼트(34)로 조립하고,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상부에 수평보(70)를 안착시켜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스트럿(50) 하부의 지반을 2차로 굴착하고 관(P)(도 6 참조)을 매설한다.
한편, 도로의 하부에 관(P)을 매설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보(70)의 상부에 복공판(80)을 조립하여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평보(70)와 복공판(80) 사이에 가로빔(도시 생략)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에 의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에 조립한 후, 수평보(70)를 레벨을 맞추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상,하수도관은 도로를 따라 매설되기 때문에, 주간에는 공사를 하기가 어렵고 주로 야간에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주간에는 복공판(80)(도 6 참조)을 설치하여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허용하고, 차량의 통행이 적은 야간에 상기 복공판(80)을 해체한 후 관로 설치 및 관로 보수 공사를 하게 된다.
지하철 공사와 같이 지반을 깊게 굴착하여 지하에 중장비가 투입될 수 있는 경우라면, 공사완료 시까지 상기 복공판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로에 상,하수도관 또는 전선관을 시공할 경우에는, 지면을 수 미터만 굴착하게 되므로, 주간에는 복공판(80)을 설치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에 복공판(80)을 걷어낸 후 관로 공사를 하게 된다.
또한, 일정 구간의 관로 공사가 완료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이 조립되어 있는 H빔 파일(10)을 지반으로부터 빼낸 후, 관로 공사를 해야 할 인접 구간에 상기 H빔 파일(10)을 다시 삽입한다.
즉, H빔 파일(10)에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이 조립된 상태로 항타기를 사용하여 H빔 파일(10)을 지반에 다시 삽입한다.
그런데, 지반의 상태에 따라 이웃하는 H빔 파일(10)의 삽입길이가 다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이웃하는 H빔 파일(10)의 삽입 길이가 다르게 되면, 이에 조립되어 있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상부 플레이트(32)의 레벨이 맞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32)에 안착되는 수평보(70)의 레벨이 서로 맞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평보(70)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공판(80)의 레벨이 맞지 않게 된다.
상기 복공판(80)의 레벨이 맞지 않게 되면,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이 조립되어 있는 H빔 파일(10)을 지반에 삽입한 후, 서로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레벨을 다시 조정하여야 한다.
즉,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로 부터 해체한 후, 서로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과 레벨을 맞추면서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에 다시 조립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추가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좁은 공간에서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해체하고 조립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30)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32)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할 수가 없는 구조이므로, 경사진 도로에서 복공판을 설치할 때 복공판을 견고하게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부 플레이트(32)를 현장 상황에 맞도록 제작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공수의 증가 및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즉, 종래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30) 구조에 의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해체 및 조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420374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1726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9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흙막이 가시설 공사시, 현장 상황에 따라 H빔 파일에 조립된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해체하지 않고도 그 레벨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보 지지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로 H빔 파일을 지반에 삽입한 후,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레벨 및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레벨 및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보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도로에서 복공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공판의 설치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은,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과,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 사이에 끼워지는 흙막이 판과, 상기 다수의 H빔 파일의 안쪽에 조립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과,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은, 상기 H빔 파일의 측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및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형부재와, 상기 구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회동 플레이트와, 상기 구형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구형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직경감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형부재와 수나사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부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의 하단에 공구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흙막이 가시설 공사시, 현장 상황에 따라 H빔 파일에 조립된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해체하지 않고도 그 레벨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보 지지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로 H빔 파일을 지반에 삽입한 후,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레벨 및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레벨 및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진 도로에서 복공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복공판의 설치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 지지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경사진 도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파일(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결합 플레이트(61)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6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62) 및 원통부(62a)와, 상기 원통부(62a)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형(球形)부재(63)와, 상기 구형부재(63)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회동 플레이트(65)와, 상기 구형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나사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65)가 볼 형태의 구형부재(63)의 상부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도로 등에서 복공판(80)을 설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경사도에 맞게 수평보(70)를 설치할 수가 있고, 복공판(80)을 도로의 경사에 맞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66)에 의해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이 H빔 파일(10)에 조립된 상태로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H빔 파일(10)의 삽입깊이가 달라지더라도,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레벨을 용이하게 맞출 수가 있고, 결과적으로 수평보(70) 및 복공판(8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4)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부재(6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직경감소부(64a)가 형성된다.
상기 직경감소부(64a)는 프레스 등에 의해 가압되어 볼 형태의 구형부재(63)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구형부재(63)와 수나사부(66)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부(62a)의 내부에는 수나사부(66)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66)와 암나사부의 나사부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나사부가 고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66)의 하단에 공구 조절부(6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구 조절부(67)에 의해 공구를 사용하여 수나사부(66)를 승강시킴으로써,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해체하지 않고도 그 레벨을 용이하게 맞출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직부재(62) 및 원통부(62a)를 금형을 사용하여 주조에 의해 제조한다.
그리고 결합 플레이트(61)의 결합공(61a)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61)에 수직부재(62)를 용접한다.
한편, 구형부재(63)와 수나사부(66)를 일체로 제작하고, 사각형의 회동 플레이트(65)의 단부에 원통형의 지지부재(64)를 용접한다.
이어서 상기 구형부재(63)를 회동 플레이트(65)의 지지부재(64)에 끼운 다음,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지지부재(64)의 단부를 눌러 직경감소부(64a)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65)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직경감소부(64a)에 의해 구형부재(63)는 지지부재(6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수나사부(66)를 원통부(62a)에 조립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사용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항타기(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지반에 H빔 파일(10)을 일정 간격으로 삽입한다.
이어서,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의 사이에 흙막이 철판(20)을 끼우고, 띠장(40) 및 스트럿(50) 설치를 위해 지반(G)을 굴착한다.
그리고, 각 H빔 파일(10)의 안쪽에 띠장(40)을 설치하고 한 쌍의 띠장(40) 사이에 스트럿(50)을 설치한다.
이어서 각 H빔 파일(10)에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상부에 수평보(70)를 설치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레벨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해체할 필요가 없이 상기 수나사부(66)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레벨을 용이하게 맞출 수가 있다.
또한, 경사진 도로 등에서 수평보(70)의 상부에 복공판(80)을 설치해야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해체할 필요가 없이 도로의 경사에 맞게 회동 플레이트(65)를 조절하여 수평보(70)를 원하는 경사로 설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보(7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80)을 도로의 경사에 맞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
통상적으로 상,하수도관, 전선관 등은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의 관로 공사시에는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허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통행이 많은 주간에는 복공판으로 도로를 덮어 차량의 통행을 허용하고, 주로 야간에 복공판을 해체한 다음 관로작업을 하게 된다.
즉, 도로를 따라 관로 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복공판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매일 반복해야 한다.
지하철 공사 등과 같이 대형 공사의 경우에는 공사의 경우에는 지반의 하부에 중장비를 투입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복공판을 한 번 설치하면 공사완료시까지 복공판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로를 따라 관을 매설하는 공사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평소에는 복공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통행을 허용하고, 공사시에는 복공판을 해체한 후 작업을 하고, 다시 복공판을 덮어 차량을 통행시켜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의 시공방식에 의하면, 관로 공사가 완료된 구간의 H빔 파일(10)을 빼내어 새로운 구간에 삽입할 경우, 서로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레벨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H빔 파일(10)에 조립된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레벨이 서로 맞지 않으면 수평보(7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로부터 해체하여 인접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의 레벨을 다시 맞추어야 한다.
즉, 공사가 완료된 구간의 H빔 파일(10)을 빼낸 다음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해체하고, 새로운 구간에 H빔 파일(10)을 삽입한 다음, 수평보 지지 브라켓(30)을 H빔 파일(10)에 레벨을 맞추면서 다시 조립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결과적으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H빔 파일(10)에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데(통상 3~4개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공으로 인하여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H빔 파일(10)에 레벨을 맞추면서 다시 조립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레벨 조정시 H빔 파일(10)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공과 서로 겹쳐지게 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제대로 조립할 수가 없다.
또한 H빔 파일(10)에 많은 볼트공을 형성하게 되면 강도상의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H빔 파일(10)을 뒤집어서 다른 면에 새롭게 볼트공을 형성하고 이곳에 수평보 지지 브라켓을 조립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공수 및 인건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H빔 파일(10)에 조립한 후에는,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즉, 지반의 상황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의 레벨이 달라지더라도,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보(70)의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보(70)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해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동 플레이트(65)가 자유롭게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현장 여건에 맞게 수평보(7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도로 등에서 복공판(80)을 설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경사에 맞게 수평보(70)를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수평보(7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80)을 도로의 경사에 맞게 견고하게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H빔 파일(Pile) 20: 흙막이 판
30: 수평보 지지 브라켓(Bracket) 32: 상부 플레이트(Plate)
34: 볼트 40: 띠장
50: 스트럿(Strut) 60: 수평보 지지 브라켓
61: 결합 플레이트 61a: 결합공
62: 수직부재 62a: 원통부
63: 구형부재 64: 지지부재
64a: 직경감소부 65: 회동 플레이트
66: 숫나사부 67: 공구 조절부
70: 수평보 80: 복공판
G: 지반 P: 관

Claims (6)

  1. 지반(G)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Pile)(10)과,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 사이에 끼워지는 흙막이 판(20)과, 상기 다수의 H빔 파일(10)의 안쪽에 조립되는 수평보 지지 브라켓(60)과,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은,
    상기 H빔 파일(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결합 플레이트(61)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6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62) 및 원통부(62a)와,
    상기 원통부(62a)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형부재(63)와,
    상기 구형부재(63)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회동 플레이트(65)와,
    상기 구형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나사부(66)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64)의 하단에, 구형부재(6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직경감소부(64a)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부재(63)와 수나사부(66)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62a)의 내부에 수나사부(66)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66)와 암나사부의 나사부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부(66)의 하단에 공구 조절부(67)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 지지 브라켓(60)은,
    원통부(62a)의 측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결합 플레이트(61)에 의해 H빔 파일(1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결합 플레이트(61)의 분리 없이 상하로 이동시켜 레벨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동 플레이트(65)의 상면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수평보(70)의 길이방향 경사에 따라, 상기 회동 플레이트(65)의 상면이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상기 수평보(7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39088A 2015-10-02 2015-10-02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KR10161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88A KR101619330B1 (ko) 2015-10-02 2015-10-02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88A KR101619330B1 (ko) 2015-10-02 2015-10-02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330B1 true KR101619330B1 (ko) 2016-05-10

Family

ID=5602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088A KR101619330B1 (ko) 2015-10-02 2015-10-02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435A (zh) * 2018-03-21 2018-06-29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斜管支架的机械搅拌澄清池
KR102183699B1 (ko) 2020-05-20 2020-11-26 김종현 수평대 고정장치
CN113756329A (zh) * 2021-09-28 2021-12-07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组合装配式基坑支护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703Y1 (ko) * 2004-11-04 2005-02-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띠장 고정용 부재 고정구
KR200409942Y1 (ko) * 2005-12-01 2006-03-03 서상건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703Y1 (ko) * 2004-11-04 2005-02-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띠장 고정용 부재 고정구
KR200409942Y1 (ko) * 2005-12-01 2006-03-03 서상건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435A (zh) * 2018-03-21 2018-06-29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斜管支架的机械搅拌澄清池
KR102183699B1 (ko) 2020-05-20 2020-11-26 김종현 수평대 고정장치
CN113756329A (zh) * 2021-09-28 2021-12-07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组合装配式基坑支护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971B1 (ko) 흙막이 벽체용 시트파일 연결 설치부재
KR101656367B1 (ko) 도로 지하에 관을 매설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CN210031842U (zh) 基于排桩、连系梁和对拉锚索的相临深基坑联合支护体系
CN105464106A (zh) 桩连接器
KR101619330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KR20120033683A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CN105604064A (zh) 综合管线保护体系支撑体系施工方法
CN205329709U (zh) 山地光伏支架基础结构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42132A (ko) 지하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
KR101436119B1 (ko) Cft 원형강관 기둥용 거치대와 이를 이용한 cft 원형강관 기둥의 설치방법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CN108005119B (zh) 支护墙廊一体化的混凝土管廊及其安装方法
CN110424455A (zh) 地下有限空间无肥槽结构侧墙大钢模板体系及施工方法
KR100837340B1 (ko) 지하 구조물 강관용 보강 조립체
CN206036408U (zh) 横跨基坑的管线原位悬吊保护结构
KR20090029927A (ko)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KR102206864B1 (ko) 지하시설물용 매설 구조물
CN112031495A (zh) 预制舱变电站拼装式钢结构基础及其施工拼接方法
CN207213329U (zh) 一种石油管线的支护结构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KR100680247B1 (ko) 지하 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 및 부등침하 방지 장치
AU2016102393A4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a tunnel, and a tunnel made from the method
KR100943001B1 (ko)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개량된 조립식 맨홀
GB2147635A (en) Foundation for suspended fl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