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927A -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927A
KR20090029927A KR1020070095120A KR20070095120A KR20090029927A KR 20090029927 A KR20090029927 A KR 20090029927A KR 1020070095120 A KR1020070095120 A KR 1020070095120A KR 20070095120 A KR20070095120 A KR 20070095120A KR 20090029927 A KR20090029927 A KR 2009002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rtical member
reinforcement
soi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현
Original Assignee
윤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현 filed Critical 윤기현
Priority to KR102007009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927A/ko
Publication of KR2009002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체로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10)를 옹벽의 축조 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안정하게 설치하고, 이 수직부재의 후부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구멍(15)을 형성하여 보강토체(30)에 매립되는 보강재(40)와 연결하며, 상기 수직부재(10)의 안쪽에는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또는 목재 패널이나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전면부재(20)를 끼워 배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면부재에서 받은 토압은 수직부재가 지지하고, 전면부재는 단지 수직부재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이고 수직부재에 고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등침하에 의한 옹벽 면의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면부재가 수직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옹벽, 수직부재, 전면부재, 슬라이딩, 부등침하, 보강재

Description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reinforced earth wall using vertical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를 옹벽의 축조 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수직부재의 후부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와 연결하며, 상기 수직부재의 안쪽에는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패널 또는 목재 패널이나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전면부재를 끼워 배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면부재가 수직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부등침하에 의한 옹벽 면의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적으로 견고한 새로운 형태의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에 사용되는 전면부재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패널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의 축조 후 배면 토사를 포설하여 다짐으로써 블록의 전도나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사와 블록 사이에 블록 상,하간의 마찰단면 확보가 필요하고, 보강재와의 연결이 대부분 3단 또는 4단의 축조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블록의 뒷길이(블록의 전후 폭)가 충분해야 함으로써 블록의 무게가 중량화되어 이의 생산에서부터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며, 시공완료 후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고 시공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은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구조가 핀이나 블록과의 마찰력 또는 블록 상,하면의 요철 등을 이용하여 보강재와 연결함으로써 부등침하시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부위가 탈락되거나 파손되어 옹벽 붕괴의 원인이 되었으며, 블록간의 이격으로 인해 과도한 자중의 블록이 전단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옹벽 전면부의 파손이나 블록과 보강재의 탈락을 보수하기 위하여는 전체 구조물의 해체 후 재축조를 하여야 하거나 부분 보수시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상단부 보강재(그리드) 포설 면에 건축구조물이 설치되거나 관 매설 등의 토목 구조물 설치 또는 수목 식재시 그리드가 파손되거나 절단되어 보강재 포설 길이의 부족으로 인하여 불안전 구조체가 되어 시공상의 어려움 및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전면부재를 판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면부재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 향상과 물류비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면부재와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를 직접 연결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하여 전면부재는 단순히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며, 부등침하시에도 옹벽 면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를 옹벽의 축조 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안정하게 설치하고, 이 수직부재의 후부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와 연결하며, 상기 수직부재의 안쪽에는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또는 목재 패널이나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전면부재를 끼워 배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부재에서 받은 토압은 수직부재가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면부재는 단지 수직부재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이고 별도로 고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등침하에 의한 옹벽 면의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면부재는 수직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은 수직부재를 사용함에 의해 전면부재의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전면부재의 생산과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며, 이 전면부재는 옹벽이 시공되는 현장 환경에 어울리는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또는 목재 패널이나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 등의 다양한 부재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고, 이에 사용되는 보강재 또한 그리드형 보강재나 띠형 섬유보강재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강재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일반 성토구간의 옹벽은 물론, 절토구간이나 호안 또는 건축물이나 지중 매설물이 설치된 장소에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축조순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수직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은 옹벽 기초(1) 위에 대체로 T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수직부재(10)를 옹벽의 축조 선형(도면상으로는 직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가설하고, 이 수직부재(10)의 안쪽에 콘크리트 패널이나 목재 패널,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종류의 전면부재(20)를 끼우고, 이 전면부재(20)의 뒤쪽에 뒷채움흙(보강토체;30)을 포설하고 다진 후, 다져진 보강토체(30)의 상부에 보강재(40)를 깔고 이 보강재(40)의 선단을 상기 수직부재(10)에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42)를 사용하여 연결한 후, 다시 전면부재(20)의 설치작업과 보강토체(30) 및 보강재(40)의 포설 및 다짐작업을 반복하여 필요로 하는 높이로 축조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4는 보강재(40)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환봉 또는 철근으로, 연결부재(42)의 후단부가 결속되어 보강재(40) 쪽에 균일한 인장력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부호 46은 보강토체의 상단부 후방에 설치되어 연결부재(42)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10)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수동 저항체이고, 부호 50은 좌우로 인접하는 수직부재(10) 간의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재이며, 부호 60은 옹벽 최상단에 씌워지는 마감 캡이다.
상기 간격유지부재(50)와 마감 캡(60)은 통상 금속 판재를 일정 크기로 절곡하여 제작하면 되나, 기타 다른 소재나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더라도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부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T형 단면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철판(12a,12b)을 각각 "┓"형태로 절곡한 후 맞대어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부착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이나 각관(14)의 좌우 측에 "┓"형태의 작은 브라켓(16)을 대칭되게 부착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T형 단면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버팀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좌,우를 이격시키는 킬부(keel part; 11)와, 이 킬부(11)의 전면 좌우 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전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부(front part; 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킬부(11)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보강재(4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멍(15)이 천공되어 있으며, 여기에 연결고리나 기타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44)가 연결된다.
또, 상기 킬부(11)와 전면부(1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상호 용접 또는 도시 안 된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부(13)는 킬부(11)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3)의 배면이 킬부(11)에 대하여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직선형 옹벽이 아닌 곡선형 옹벽의 시공시 전면부재(20)와 수직부재(10)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부재(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을 하고자 할 경우, 그 킬부(11)에 ㄷ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17)을 대고 볼트(18)와 너트(19)를 사용하여 연결시키면 된다.
도 10은 좌우로 인접하는 수직부재(10) 간의 연결을 위한 간격유지부재(5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인접하는 수직부재(10)의 킬부(11)에 형성된 연결구멍(15)에 볼트(18)를 사용하여 간격유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면 된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전면부재(20)에서 받은 토압은 수직부재(10)가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전면부재(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수직부재(1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이고, 수직부재(10)와 별도로 연결되거나 수직부재(10)에 고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등침하에 의한 옹벽 면의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면부재(20)는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이동 즉,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도 13은 전면부재(20)의 부분 파손시 이의 개보수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전면부재(20)가 부분적으로 파손된 경우, 기존의 블록이나 패널식 옹벽에서는 전면 해체 후 재시공을 해주어야 하거나 부분 개보수작업에 고도의 기술이나 장비가 필 요했었던 문제점이 있던 반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파손된 전면부재(20)의 상부에 토사유출 방지용 쐐기판(70)을 끼워 넣은 상태(S1)에서 파손된 전면부재(20)를 수직부재(도시생략됨)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탈거하고 탈거한 전면부재(20) 내측의 보강토체(30)를 약간 긁어내어 여유공간(A)을 형성한 후(S2), 새로운 전면부재(20)를 원래의 위치에 끼우고, 새로운 전면부재(20)에 형성된 구멍(H)에 파이프(P)를 끼워 외부의 토체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여유공간(A)에 채워 넣은 후(S3), 토사유출 방지용 쐐기판(70)을 탈거하면(S4) 부분 개보수가 완료된다.
상기 전면부재(20)의 구멍(H)은 토사의 충전 입구 역할에 겸하여 전면부재의 인양시 인양고리나 인양 와이어를 끼우는 구멍의 역할도 아울러 겸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서 사용되는 보강재의 종류와 이들 보강재와 수직부재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4에서는 그리드형 보강재(40)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보강재(40)의 선단부에 환봉 또는 철근(44)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지고, 이 철근(44)에 강선 와이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2)의 후단부가 직접 또는 연결고리 등으로 결속되며, 연결부재(42)의 선단은 또 다른 연결고리(43)에 의해 수직부재(10)에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띠형 섬유 보강재(40)가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에는 띠형 섬유 보강재(40)의 선단은 연결고리(43)에 의해 수직부재(10)에 연결되고, 띠형 섬유 보강재(40)의 후단은 환봉 또는 철근(44)에 지지되어 보강토체(30) 내부에 매립된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옹벽을 이루는 전면부재(20)의 배면에 토체의 안정에 필요한 보강재(40)를 전면부재(20)와 분리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포설하며, 수직부재(10) 간의 공간에 주변 환경에 부합되는 판상의 전면부재(20)를 설치하여 배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며, 옹벽의 전면부에서 발생하는 토압은 전면부재(20)를 통하여 수직부재(20)가 지지하며, 이 수직부재(20)는 보강토체(30) 내부에 매설된 보강재(40)가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옹벽의 내적 안정, 외적 안정에 필요한 보강재는 배면 토사의 종류 또는 현장 여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부재를 수직부재가 지지하고 있어 기존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필요한 전단 마찰력을 전면부재가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판형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전면부 후면에 골재를 포설하지 않고 토사 유출방지용 부직포(도시생략됨)만 설치하면 되므로 시공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면부의 재료비 절감 및 전면부가 경량화됨으로써 시공성 향상 및 물류비의 단축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수직부재를 사용하여 전면부재와 보강재를 분리함으로써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구현하지 못했던 전면판의 다양화와 보강재의 자유로운 선택 및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가 전면부재를 지지함으로써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전면부는 구조적으로 토사유출 방지 및 후방의 일부 토압만 지지하게 되 므로 경제적인 전면부를 설계할 수 있고, 현장 용도에 따라 흙막이용, 식생용, 호안용, 파쇄암용 등으로 전면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에 부합되는 콘크리트, 목재, 석재, 금속재 또는 기타 복합재료 등의 다양한 재질로 된 전면부재를 선택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절토부 옹벽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재의 포설을 위한 공간이 협소하므로 보강재 대신 어스 앵커(40a)를 암반에 박아 수직부재(10)를 지지하면 된다.
도 17은 호안부 옹벽의 축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전면부재(20)의 후부에 파쇄석이나 자갈(32)을 채워줌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강재 대신 수동저항체(46)를 설치하여 수직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8은 건축물에 인접한 옹벽의 축조상태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옹벽 후부에 건축물(80)이 시공될 경우에는 보강재의 포설 길이가 부족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므로 건축물(80) 하부의 보강재는 그리드 보강재(40)를 사용하고, 건축물(80)에 접하는 상부의 보강재는 강선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42)를 사용하여 건축물(80)에 앵커링을 해주는 방식으로 보강재를 복합 시공하면 된다.
도 19는 콘크리트 관 등의 지중 매설물(90)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 부분은 보강재를 매설하지 않고, 그 하부에는 그리드 보강재(40)를 시공하고, 상부에는 수동저항체(46)를 시공하여 옹벽 상부의 수직부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시공하면 된다.
도 20 및 도 21은 옹벽 상부에 수목(100)이 식생될 경우의 보강재 매설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도 19에서와 하부에는 그리드 보강재(40)를 매설하고, 상부에는 수동저항체(46)를 매설하면 되며, 수목(100)이 식생되는 부분은 보강재(40) 또는 연결부재(4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하면 수목의 생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22 내지 도 25는 전면부재의 다양한 축조방식을 도시한 옹벽의 정면도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20)를 일직축조하거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20)를 교차 축조(엇쌓기) 할 수 있으며,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도 엇쌓기 할 수 있는바, 옹벽이 축조되는 현장에 적합한 패턴으로 다양하게 축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축조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수직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직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직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돌출 곡선부에서 사용되는 수직부재의 평단면도,
도 7은 만입 곡선부에서 사용되는 수직부재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직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상,하 수직부재 간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 10은 좌,우 인접하는 수직부재 간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수직부재와 전면부재 간의 연결상태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수직부재와 전면부재 간의 연결상태도,
도 13은 전면부재의 부분 개보수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수직부재와 망형 섬유 보강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수직부재와 띠형 섬유 보강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절토부 옹벽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17은 호안부 옹벽의 축조상태 단면도,
도 18은 건축물에 인접한 옹벽의 축조상태 단면도,
도 19는 지중 매설물에 인접한 옹벽의 축조상태 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옹벽 상부에 수목이 식생될 경우의 보강재 매설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2 내지 도 25는 전면부재의 다양한 축조방식을 도시한 옹벽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벽 기초
10 : 수직부재
20 : 전면부재
30 : 보강토체
40 : 보강재
50 : 간격유지부재
60 : 마감 캡
70 : 토사유출 방지용 쐐기판
80 : 건축물
90 : 지중매설물
100 : 수목

Claims (6)

  1. 옹벽 기초(1) 위에 옹벽의 축조 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가설되는 실질적으로 T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수직부재(10)와, 이 수직부재(10)의 안쪽에 끼워지는 전면부재(20)와, 이 전면부재(20)의 뒤쪽의 보강토체(30)에 포설되며 선단이 상기 수직부재(10)에 연결되는 보강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40)의 선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환봉이나 철근(44)이 끼워지며, 이 환봉이나 철근(44)에 강선 와이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2)의 후단부가 결속되며, 연결부재(42)의 선단이 상기 수직부재(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인접하는 수직부재(10) 사이에는 수평상태로 간격유지부재(50)가 연결되고, 상기 옹벽 최상단에는 마감 캡(60)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0)는 수직으로 버팀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좌,우를 이격시키는 킬부(keel part; 11)와, 이 킬부(11)의 전면 좌우 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전면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부(front part; 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킬부(11)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보강재(4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멍(15)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3)는 그 배면이 킬부(11)에 대하여 예각이나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옹벽 기초(1) 위에 수직부재(10)를 옹벽의 축조 선형에 따라 수직으로 가설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10)의 안쪽에 콘크리트 패널이나 목재 패널, 식생형 패널 또는 철망이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종류의 전면부재(20)를 끼우는 단계; 상기 전면부재(20)의 뒤쪽에 뒷채움흙(보강토체;30)을 포설하고 다진 후, 다져진 보강토체(30)의 상부에 보강재(40)를 깔고 이 보강재(40)의 선단을 상기 수직부재(10)에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42)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면부재(20)의 설치작업과 보강토체(30) 및 보강재(40)의 포설 및 다짐작업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070095120A 2007-09-19 2007-09-19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KR20090029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120A KR20090029927A (ko) 2007-09-19 2007-09-19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120A KR20090029927A (ko) 2007-09-19 2007-09-19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927A true KR20090029927A (ko) 2009-03-24

Family

ID=4069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120A KR20090029927A (ko) 2007-09-19 2007-09-19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9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17B1 (ko) * 2010-04-09 2010-09-1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일괄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KR101006963B1 (ko) * 2010-07-15 2011-01-1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5254B1 (ko) * 2010-10-28 2011-05-18 권성욱 잔여토압 유도 스틸옹벽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81955B1 (ko) * 2021-08-18 2022-04-04 이재한 철도 노반 유지관리용 말뚝식 옹벽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17B1 (ko) * 2010-04-09 2010-09-1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일괄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KR101006963B1 (ko) * 2010-07-15 2011-01-1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5254B1 (ko) * 2010-10-28 2011-05-18 권성욱 잔여토압 유도 스틸옹벽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81955B1 (ko) * 2021-08-18 2022-04-04 이재한 철도 노반 유지관리용 말뚝식 옹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6770B (zh) 一种高防渗抗浮桩筏结构的施工方法
KR101179770B1 (ko)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KR1007226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CN207017275U (zh) 可装配可回收的深基坑支护体系
KR20040049535A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CN108612110A (zh) 一种地铁车站深基坑复合式支护施工方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KR101169462B1 (ko)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CN111779006A (zh) 一种绿色装配式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90029927A (ko)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CN212801564U (zh) 一种基坑钢板桩支护结构
JP2011089361A (ja) 法面補強工法
KR101006963B1 (ko)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7166510A (zh) 一种深大直径沉井施工方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KR102352719B1 (ko) 2 방향 인양 하중에 저항하고 옹벽 세그멘트 연결장치를 겸용하는 하이브리드 인양 앵커와 이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15406119U (zh) 一种高大边坡光面支护结构
KR101249660B1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적용되는 벽체 트렌치 토압 지지 방법
KR100496735B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교량의 교대, 교각과 그의시공방법
KR100935317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1151052B1 (ko) 가설 흙막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설치 방법
JP5830068B2 (ja) 法面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