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147A - 관로 받침대 - Google Patents

관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147A
KR20090048147A KR1020070114380A KR20070114380A KR20090048147A KR 20090048147 A KR20090048147 A KR 20090048147A KR 1020070114380 A KR1020070114380 A KR 1020070114380A KR 20070114380 A KR20070114380 A KR 20070114380A KR 20090048147 A KR20090048147 A KR 2009004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base
conduit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준
문명식
Original Assignee
(주)밸류우드
박승준
문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밸류우드, 박승준, 문명식 filed Critical (주)밸류우드
Priority to KR102007011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147A/ko
Publication of KR2009004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관로간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관로의 연결부위와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관로가 설치된 전 구간에 걸쳐 관로의 하부를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후에 각각 세워져서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는 전측벽 및 후측벽과, 베이스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전측벽 및 후측벽을 연결하여 이들 및 베이스와 함께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좌측벽 및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주는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은 안착부를 형성하되, 안착부 중 일부는 관로간 연결부재와 대응된 형태로 요입되어 관로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 받침대, 수용홈, 여유공간

Description

관로 받침대{PIPE STAND}
본 발명은 관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로간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관로의 연결부위와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관로가 설치된 전 구간에 걸쳐 관로의 하부를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 상수를 공급하거나 각종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크고 작은 관로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관로들은 도시 미관 및 기능상의 이유로 주로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 관로들의 매설작업은 사용하는 관로의 종류, 토질, 지내력, 시공방법, 하중조건 및 매설조건, 관로의 내구성 및 경제성을 충분히 검토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된다.
이때 매설작업은 상당히 신중을 기하여야 하는데, 만일 기초공이 부실한 경우 관로의 부등침하로 인해 하수의 정체, 부패 및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에는 관로가 파손되어 누수가 일어나거나 지하수의 침입을 초래하여 관로주변의 토사가 유입되고 심하면 도로가 함몰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 1은 관로 받침대를 사용하여 지하에 관로를 매설하는 종래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2는 도 1의 I1-I2에 따른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먼저 굴삭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만큼 지면을 굴착하여 터파기한 후 굴착된 바닥에 관로 받침대(3)를 일렬로 설치하여 그 위에 관로(1)를 올려놓은 후 채움토를 단계적으로 채워 다지는 방법으로 관로(1)를 매설하였다.
이처럼 관로 받침대(3)를 사용하여 관로(1)의 하부를 지지하는 방법은 관로(1)의 하부 밑으로 채움토를 충분히 다지지 못하기 때문에 차후에 관로(1)가 강한 하중을 받게 되면 납작하게 퍼진 형태로 변형되는 문제를 대비하는 한편, 연약지반에서 관로(1)가 처지면서 이물질들이 퇴적되어 하수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거나 관로(1)가 파손되는 문제들에 대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관로 받침대(3)는 관로(1)간 연결부위 외측을 둘러 설치되는 보다 큰 외경의 관로간 연결부재(2)를 수용하지 못하고 간섭을 받았다. 따라서 관로간 연결부재(2)에 의해 관로(1)와 관로(1)가 연결되는 연결구간에서는 상호 간섭을 배재하고 관로간 연결부재(2)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관로 받침대(3)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중간 중간 단절해야만 하였다. 이처럼 중간 중간에 형성된 단절부위(C)에서는 관로 받침대(3)에 의한 지지력의 연속성이 사라지면서 전술된 관로 받침대(3)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여 대비코자 했던 치명적인 문제들이 다시 발생되었다.
즉, 단절부위(C)가 연약지반에 위치하는 경우 관로(1)의 연결부위가 처지면서 관로(1) 내를 흐르는 이물질들이 점차 퇴적되어 유로가 줄어들다가 하수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는 결과를 초래하기가 쉬웠다. 더욱이 최악의 경우 관로(1)가 파손되어 누수가 일어나거나 지하수의 침입을 초래하여 관로(1) 주변의 토사가 유입되고 심하면 도로가 함몰되는 현상도 나타나곤 하였다. 이는 종류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정도는 다르겠지만 통상적으로 변형률이 허용변형률인 5%를 초과하는 경우 변형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관로(1)의 특성상 상기와 같이 관로 받침대(3)의 단절부위(C)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관로 받침대(3)를 터파기된 지면에 일렬로 배열하는 작업은 정밀함을 요하는 작업으로,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2)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치수를 재어 관로 받침대(3)를 이격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추가되면서 시공성이 전반적으로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관로(1)의 매설작업 중 상측에서 뿌려지는 채움토의 일부가 관로(1)와 받침대(3) 사이로 침투하면서 토압을 발생시켜 관로(1)가 들뜨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는 매설작업시 상측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거의 없는 관계로 관로(1)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하측으로 모래가 침투하면 들뜨기 쉬웠기 때문이다. 이처럼 관로(1)가 하측으로 침투하는 모래에 의해 일단 들뜨게 되면 관로(1)간 연결부위가 어긋나면서 관로(1)의 매설작업 전반이 곤란해지고 작업시간도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가 설치되는 전 구간에 걸쳐 관로의 하부를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관로간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관로의 연결부위와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관로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관로 받침대는, 상부에 관로의 하부를 밀착되게 받쳐주는 안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부 중 일부는 관로간 연결부재와 대응된 형태로 요입되어 관로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으로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감싸면서 밀착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요입되고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와 관로의 틈새로 침투하는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하는 여유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상기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에 각각 세워져서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는 전측벽 및 후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을 연결하여 이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주는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재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꺾어진 형태로 연장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양 끝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관로의 상부를 둘러 지지하는 고정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상기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관로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공간 내에 좌측벽 및 우측벽을 연결하여 세워진 복수의 격벽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과 함께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벽의 전측 끝단부와 후측 끝단부, 우측벽의 전측 끝단부와 후측 끝단부에는 상기 수직리브가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이들 수직리브들 각각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 모 퉁이에는 각각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용 돌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는, 관로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받치면서도 관로간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에 의해 관로의 연결부위에서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전구간에 걸쳐 관로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에 의해 관로를 들뜨지 않게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면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는 구성에 의해 관로의 하측 지면에서 발생되는 토압에 대해서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면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여 관로를 받쳐주기 때문에 굴착된 지면의 일부 거친 바닥과 깨진 돌 및 자갈 등에 의한 관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격벽을 구비하여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도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가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되어 관로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베이스의 면적은 줄이고 전체 부피를 줄이면서도 관로의 하부를 더 넓은 범위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하부의 중앙부위는 물론 연장지지부재에 의해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때문에 상측에서 강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관로가 변형되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굴착된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로 작업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용 돌기에 의해 굴착된 지면이 돌출부위, 깨진 돌 및 자갈들에 의해 거친 상태로 있더라고 이들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는 관로(1)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관로(1)의 연결부위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관로(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밖에 없는 관로간 연결부재(2)까지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종래와는 달리 관로간 연결부재(2)를 허용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관로 받침대(100)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연결하지 못하고 중간 중간 단절시켜야 했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관로의 연결부위를 받치는 모습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의 하부를 밀착되게 받쳐주는 동시에 관로간 연결부재를 간섭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일부가 요입되어 수용홈(S1)으로 형성된 안착부(120A,160A)와, 관로의 하측으로 침투하는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할 수 있는 여유공간(S2)을 갖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 복수의 격벽(140), 지지용 돌기(150), 연장지지부재(160), 수직리브(170) 및 고정링(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여유공간(S2)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굴착된 지면 바닥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10)는 좌우폭에 비해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전후길이가 긴 직사각 평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는 작은 통공으로 형성된 배수공(111)을 제외하고는 절개되거나 개구된 부위 없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11)은 격벽(140)을 고려하여 그 사이사이에 구비되며, 상측에서 침투하는 물을 하측으로 배수하는 역할은 물론 지하에 물이 차는 경우 부력의 영향을 무력화하는 역할도 겸한다. 하지만 이같은 배수공(111)은 충분히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토압에 의해 굴착된 지면 일부가 돌출되어도 상기 여유공간(S2)으로 침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평편하게 다듬어진 굴착지면에 내려놓고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은 상기 베이스(110)의 전후에 각각 세워지고 그 상면에는 관로의 하부에 대응하여 밀착 지지하는 안착부(12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안착부(120A)는 관로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은 상기 베이스(110)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끝단들을 각각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은 상기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더불어 관로의 하측으로 침투하는 일부 채움토 전량을 포집하는 여유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140)은 상기 여유공간(S2) 내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130)을 연결하여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나란한 방향이면서 같은 높이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격벽(140)의 상면(140A)은 안착부(120A)와 같이 관로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곡선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격벽(140)은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함께 협력하여 관로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40)은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사이 간격이 넓을수록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중간 지점들에서 관로가 쳐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격벽(140)은 상기 베이스(110),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들을 구조적으로 한데 묶어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지지용 돌기(150)는 베이스(110)의 하측면 모퉁이에 각각 구비되고 베이스(110)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중간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지지용 돌기(150)는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깨진 돌이나 자갈 같은 거친 이물질을 쉽게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만일 상기 지지용 돌기(150) 없이 베이스(110)의 하측면 전체가 굴착된 지면의 바닥에 접촉토록 한다면 깨진 돌이나 자갈 같은 이물질을 회피하기가 어려워서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 및 관로가 들뜨면서 관로간 연결부위가 어긋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연장지지부재(160)는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의 상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160A)에 의해 상기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준다.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수용홈(S1)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관로를 감싸면서 받쳐줄 수 있도록 관로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20A)와 함께 전체 안착부(120A,160A)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안착부(120A)는 상기 관로의 하부를 받치되 상기 관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받침각 90° 이상 180° 미만에 속한 범위까지 받치도록 하고,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그 이후부터 시작하여 받침각 180°까지 받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안착부(120A)는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어 관로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채움토를 채우더라도 다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관로의 하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담당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160A)는 관로간 연결부재(2)와 간섭되는 부위에 해당하지만, 이같은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요입된 수용홈(S1)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160A)의 중간부위에 관로간 연결부재(2)의 폭과 두께를 고려하여 이에 부합된 형태로 상기 수용홈(S1)의 폭과 요입된 깊이를 형성시키며, 그 저면은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2)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시킨다. 이같은 수용홈(S1)에 의해 관로간 연결부재(2)의 하부를 자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2)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관로 받침대간을 중간에 이격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2)의 경우에도 관로와 마찬가지로 지지하여 받쳐줌으로써 관로가 설치되는 전 구간에 걸쳐 연속적이면서도 균일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63은 관로간 연결부재(2)의 상부와 하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추가된 홈을 가리킨다. 이같이 관로간 연결부재(2)의 체결부위를 수용하려는 목적으로 추가된 홈(163)은 체결부위의 형태, 상기 체결부위를 체결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볼트 및 너트 혹은 그에 상응하는 다른 체결 부품들의 형태를 고려하여 여유 있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2)의 체결부위의 형태 및 체결 부품들의 종류 및 형태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추가된 홈(163) 역시 대응되는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관 로 받침대는 관로간 연결부재(2)의 어떠한 간섭으로부터도 자유로운 가운데 그 하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꺾어진 형태로 연장된 걸림턱(161)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걸림턱(161)이 형성되면 상기 고정링(180)의 양 끝단을 간단하게 걸어줄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170)는 연장지지부재(160)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좌측벽 및 우측벽(130)의 외측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어 연장지지부재(160)가 하중을 받을 때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리브(170)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의 전후측 각 끝단부에 구비된 리브(170)에는 체결공(17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71)은 간단히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용 부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들을 체결하여 일렬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링(180)은 상기 안착부(120A,160A)에 지지된 관로의 상부를 둘러 지지할 수 있도록 반쪽 링 형태의 모양을 갖고 양 끝단은 상기 걸림턱(161)에 걸쳐질 수 있도록 안쪽으로 꺾이어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의 고정링(180)이 구비되면 안착부(120A,160A)에 지지된 관로가 들뜨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링(180)은 관로간 연결부재(2)의 영향으로 관로가 더욱 들뜨려는 경향을 갖지만 이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를 사용하여 시행하는 관로의 매설작업 과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로(1)를 매설하기 위한 지면을 굴삭기 등의 장비로 굴착하여 터파기 작업을 한다. 그리고 굴착된 지면에서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을 제거하고 바닥을 평편하게 다듬는다.
이후, 평편하게 다듬어진 굴착된 지면 바닥에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100)를 내려놓아 일렬로 배열한다. 이때 관로간 연결부재(2)가 위치할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단절시키지 않고 관로 받침대(100)들을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다만, 관로(1)가 연결될 것으로 계획된 부위에서는 수용홈(S1)을 갖는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를 반드시 배치하고 나머지 부위들에는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를 배치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수용홈(S1)을 갖지 않는 변형된 형태의 관로 받침대(200, 도 7 참조)를 배치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같은 과정에서 베이스(110)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용 돌기(150)가 굴착된 지면의 바닥 중 극히 일부 면적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굴착된 지면의 바닥에 아직 남아있을지 모르는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을 쉽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에 의해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가 들뜨거나 흐트러지는 일은 거의 없다. 만일 상기 지지용 돌기(150)가 굴착된 지면 바닥에 남아있을 수 있는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 위에 놓여져서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가 들뜨거나 제대로 정렬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약간 움직여 보정하는 것만으로 직면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관로 받침대(100)들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이 마쳐지면 볼트 및 너트(191)를 체결공(171)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인접한 관로 받침대(100)들간을 체결한다. 이로써 일렬로 배열된 전체 관로 받침대(10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100)에 관로간 연결부재(2)에 의해 연결된 관로(1) 어셈블리를 상측으로부터 올려놓으면 안착부(120A,160A)에 의해 관로(1)의 하부 중앙부위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가 지지된다. 이때 상기 관로(1)의 외측에 설치된 관로간 연결부재(2) 하부는 간섭 없이 안착부(160A)로부터 요입된 수용홈(S1)에 수용된다.
이후, 고정링(180)을 안착부(120A,160)에 지지되어 있는 관로(1)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하고 그 양 끝단은 걸림턱(161)에 걸어 지지시킨다. 이로써 관로간 연결부재(2)의 영향을 받아 자칫 관로 받침대(100)로부터 들뜨려는 경향을 갖는 관로(1)를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다.
이로써 관로 받침대(100)를 단절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작업과 관로(1)를 그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분 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굴착부위에 단계적으로 채움토를 채워 넣는다. 이 과정에서, 채움토 중 일부가 안착부(120A,160A)와 관로(1) 사이로 침투하더라도 넓은 여유공간(S2)에 전량 포집되면서 관로(1)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1)의 하측으로 일부 채움토가 침투하여 토압을 야기하면서 관로(1)를 들뜨게 했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처럼 채움토를 채워다지는 것으로 관로의 매설작업이 최종 완료된다.
도 8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수용홈(S1-2)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그 저면(S1-2A)이 상기 베이스(110)와 같은 수준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변형전 실시예에서 안착부(160A)의 수용홈(S1)이 관로간 연결부재(2)의 하부를 감싸면서 밀착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것과는 달리 보다 공간상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같은 변형된 구성에 따르면 관로 연결부재(2)의 두께나 표면 형태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나은 융통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경량화와 제작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S1-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변형전과 대동소이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관로 받침대를 사용하여 지하에 관로를 매설하는 종래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도 1의 I1-I2에 따른 참조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관로의 연결부위를 받치는 모습을 예시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수용홈 S2 : 여유공간
110 : 베이스 120 : 전측벽 및 후측벽
120A, 160A : 안착부 130 : 좌측벽 및 우측벽
140 : 격벽 150 : 지지용 돌기
160 : 연장지지부재 170 : 수직리브
180 : 고정링

Claims (10)

  1. 상부에 관로의 하부를 밀착되게 받쳐주는 안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부 중 일부는 관로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간섭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관로간 연결부재와 대응된 형태로 요입된 수용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감싸면서 밀착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요입되고 상기 관로간 연결부재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관로의 틈새로 침투하는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하는 여유공간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상기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에 각각 세워져서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는 전측벽 및 후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을 연결하여 이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주는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재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꺾어진 형태로 연장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양 끝단이 걸쳐진 상태로 상기 관로의 상부를 둘러 지지하는 고정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상기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관로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공간 내에 좌측벽 및 우측벽을 연결하여 세워진 복수의 격벽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과 함께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의 전측 끝단부와 후측 끝단부, 우측벽의 전측 끝단부와 후측 끝단부에는 상기 수직리브가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이들 수직리브들 각각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 모퉁이에는 각각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용 돌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받침대.
KR1020070114380A 2007-11-09 2007-11-09 관로 받침대 KR20090048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80A KR20090048147A (ko) 2007-11-09 2007-11-09 관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80A KR20090048147A (ko) 2007-11-09 2007-11-09 관로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47A true KR20090048147A (ko) 2009-05-13

Family

ID=4085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380A KR20090048147A (ko) 2007-11-09 2007-11-09 관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1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53B1 (ko) * 2010-10-29 2011-05-16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관로 보호대
KR101068856B1 (ko) * 2010-07-16 2011-09-30 주식회사 평화 난형관 접속받침장치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KR101577604B1 (ko) * 2015-06-01 2016-01-19 주식회사 넥스코 관거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56B1 (ko) * 2010-07-16 2011-09-30 주식회사 평화 난형관 접속받침장치
KR101034653B1 (ko) * 2010-10-29 2011-05-16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관로 보호대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KR101577604B1 (ko) * 2015-06-01 2016-01-19 주식회사 넥스코 관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KR20090048147A (ko) 관로 받침대
KR100947049B1 (ko)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KR20090065858A (ko) 관로 보호용 하우징
CA2949481C (en) Method and structure for in situ field repair of severed drain tile
KR102169152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정화조 거푸집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819890B1 (ko) 관로용 흙받이 용기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1047493B1 (ko)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JP2011246910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US20150337987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in situ Field Repair of Severed Drain Tile
AU2012101957A4 (en) Piping
KR101212959B1 (ko) 옹벽의 침하에 대한 계측과 보강 방법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KR101309211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100688617B1 (ko) 저면이 평탄한 하수관
JP7432234B2 (ja) 排水溝
KR20130022567A (ko) 관로 받침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공법
CN218479187U (zh) 一种填方路基施工套打旋挖咬合止水桩幕墙结构
CN115467706B (zh) 隧道水量平衡系统
CN212336088U (zh) 管道斜坡生态型坡面截水挡土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