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03B1 -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03B1
KR101664803B1 KR1020160105950A KR20160105950A KR101664803B1 KR 101664803 B1 KR101664803 B1 KR 101664803B1 KR 1020160105950 A KR1020160105950 A KR 1020160105950A KR 20160105950 A KR20160105950 A KR 20160105950A KR 101664803 B1 KR101664803 B1 KR 10166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pe
support
holes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0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고 부착면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벽(31)(32)과 바닥판(33)을 갖는 채널보강부(30); 채널보강부(30)에 형성되는 보조다리(34a)(34b); 내측벽(31)(32)을 관통하는 지지구멍(31h)(32h); 외측벽(21)(22)에 형성되는 조립구멍(21h)(22h); 한 쌍의 조정암(40)(50); 조정암(40)(50)에 형성되는 절개홈(41)(51); 조정암(40)(5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 지지구멍(31h)(32h)과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60); 절개홈(41)(51)으로 삽입되는 피봇너트(70)(72); 피봇너트(70)(72)에 형성되는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 피봇너트(70)(72)에 삽입되는 너트지지핀(75a)(75b)(76a)(76b); 피봇너트(70)(72)에 결합되는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이 형성된 턴버클(80); 조정암(40)(50)에 형성되는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 허브(91)(95)가 형성된 파이프받침(90)(94);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와 허브(91)(95)를 관통하는 연결핀(96)(97); 바닥판(33)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하부스프링시트(35a)(35b); 조정암(40)(50)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스프링시트(44)(54); 하부스프링시트(35a)(35b)와 상부스프링시트(44)(54)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런스스프링(98)(9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Apartment Houses Pipe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고 파이프의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슈, 파이프 지지구, 파이프 클램프 등으로 지칭되는 종래 배관 지지장치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0)와 앵커너트(11)에 의해 부착면(12)에 고정된 파이프지지대(13)에 파이프(1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파이프(14)의 외주면에 유볼트(15)를 끼우고 체결너트(16)를 이용해서 유볼트(15)를 파이프지지대(1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관 지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면(12)의 표면이 평활하지 못하고 굴곡이 심한 경우 파이프지지대(13)가 부착면(12)의 굴곡에 따라 기울어지기 때문에 파이프(14)와 파이프지지대(13)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 경우 유볼트(15)를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파이프(14)가 휘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 파이프지지대(13)가 부착면(12)에 기울어지게 설치되면, 파이프지지대(13)와 파이프(14)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서 체결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2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1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0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6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1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착면의 굴곡에 따라 파이프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하면서 파이프를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는, 외측벽을 갖는 파이프지지대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측벽과 바닥판을 갖는 채널보강부; 상기 채널보강부의 전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다리; 상기 채널보강부의 내측벽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구멍; 상기 지지구멍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지지대의 외측벽에 형성되는 조립구멍; 서로 "V"자 모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암; 상기 조정암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각각 형성되는 절개홈; 상기 조정암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하부클레비스부; 상기 조립구멍을 통해 상기 지지구멍과 상기 하부클레비스부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 상기 조정암의 절개홈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피봇너트; 상기 피봇너트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왼나사구멍과 오른나사구멍; 상기 조정암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상기 피봇너트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두 쌍의 너트지지핀; 상기 피봇너트의 왼나사구멍과 오른나사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턴버클; 상기 조정암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상부클레비스부; 상기 상부클레비스부에 결합되는 허브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받침; 상기 상부클레비스부와 허브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핀; 상기 채널보강부의 바닥판으로부터 부분 절개되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하부스프링시트; 상기 조정암으로부터 상기 하부스프링시트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상부스프링시트; 상기 하부스프링시트와 상기 상부스프링시트의 사이에 예압을 갖고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밸런스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턴버클(8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정암(40)(50)에 의해 파이프받침(90)(94)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면(25)과 파이프(29)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도 파이프받침(90)(94)의 높낮이를 조정해서 파이프(29)에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29)에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정암(40)(50)이 회전중심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면(25)과 파이프(29) 사이가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진 경우에도 파이프받침(90)(94)의 상면을 파이프(29)의 외주면에 밀착시켜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받침(90)(94)에 파이프(29)가 올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부스프링시트(35a)(35b)와 상부스프링시트(44)(5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밸런스스프링(98)(99)에 의해 조정암(40)(50)이 균형을 이루고 정지되므로, 조정암(40)(5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29) 설치작업을 보다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정암(40)(50)의 하단을 연결하는 회전중심축(60)의 양단이 파이프지지대(20)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보강부(30)의 내측벽(31)(32)에 형성된 지지구멍(31h)(32h)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암(40)(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정암(40)(50)과 회전중심축(60)을 통해 채널보강부(30)로 전달되는 하중을 보조다리(34a)(34b)를 통해 부착면(25)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파이프(29)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지지대(20)의 외측벽(21)(22)에 조립구멍(21h)(22h)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암(40)(50)의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와 지지구멍(31h)(32h)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60)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보조다리(34a)(34b)의 하단부에 브이홈(34c)(34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다리(34a)(34b)의 하단 모서리가 부착면(25)으로부터 뜰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면측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암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벽(21)(22)을 갖는 파이프지지대(20)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측벽(31)(32)과 바닥판(33)을 갖는 채널보강부(30); 채널보강부(30)의 전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다리(34a)(34b); 채널보강부(30)의 내측벽(31)(32)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구멍(31h)(32h); 지지구멍(31h)(32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파이프지지대(20)의 외측벽(21)(22)에 형성되는 조립구멍(21h)(22h)을 포함한다.
앵커볼트(23a)(23b)와 앵커너트(24a)(24b)를 이용해서 파이프지지대(20)를 부착면(25)에 설치하기 위한 앵커고정판(26)(27)이 파이프지지대(2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앵커고정판(26)(27)에는 앵커볼트(23a)(23b)가 삽입되는 장공(26h)(27h)이 형성된다.
파이프지지대(20)에는 유볼트(28)를 이용해서 파이프(29)를 파이프지지대(20)에 결속하기 위한 체결공(20a)(20b)이 형성되고, 체결공(20a)(20b)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된 유볼트(28)의 나사부에는 체결너트(28a)(28b)가 결합된다.
채널보강부(30)는, 예를 들면 파이프지지대(20)를 성형할 때 사용한 금속판재를 이용해서 파이프지지대(20)와 함께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정면에서 볼 때 상부가 개방된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조다리(34a)(34b)는, 예를 들면 바닥판(33)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보조다리(34a)(34b)의 하단부 중앙에는 브이홈(34c)(34d)을 형성해서 보조다리(34a)(34b)의 하단 모서리와 부착면(25)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조립구멍(21h)(22h)은, 적어도 지지구멍(31h)(32h)의 내경과 같거나 지지구멍(31h)(32h)의 내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해서 하기의 회전중심축(60)을 지지구멍(31h)(32h)으로 삽입할 때 조립구멍(21h)(22h)에 의한 마찰저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서로 "V"자 모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암(40)(50); 조정암(40)(5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각각 형성되는 절개홈(41)(51); 조정암(40)(5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 조립구멍(21h)(22h)을 통해 지지구멍(31h)(32h)과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60)을 포함한다.
조정암(40)(50)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으며,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암수로 이루어지고, 회전중심축(60)은 금속 환봉을 소정길이로 절단해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정암(40)(50)의 절개홈(41)(51)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피봇너트(70)(72); 피봇너트(70)(72)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 조정암(40)(50)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피봇너트(70)(72)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두 쌍의 너트지지핀(75a)(75b)(76a)(76b); 피봇너트(70)(72)의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에 각각 결합되는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턴버클(80)을 포함한다.
턴버클(80)은, 예를 들면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모양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각봉의 형태로 형성해서 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턴버클(80)의 외측에 물린 상태에서 턴버클(8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턴버클(80)의 측면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핸들구멍(80h)을 관통형으로 형성해서 핸들구멍(80h)으로 환봉 형태의 핸들(도시생략)을 삽입해서 턴버클(8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은, 턴버클(80)의 양단에 모두 한 몸을 이루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턴버클(8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쪽의 피봇너트(70)(72)가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조정암(40)(50)의 상단부 높낮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피봇너트(70)(72)의 양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핀구멍(70b)(72a)(72b)을 소정깊이를 갖도록 형성하며, 피봇너트(70)(72)에 형성된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에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이 간섭하지 못하도록 핀구멍(70b)(72a)(72b)의 깊이를 왼나사구멍(70t)와 오른나사구멍(72t)으로부터 떨어진 깊이까지 제한한다.
본 발명은 조정암(40)(50)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에 결합되는 허브(91)(95)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받침(90)(94);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와 허브(91)(95)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핀(96)(97)을 포함한다.
회전중심축(60)과 연결핀(96)(97)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스냅링(60a)(60b)(96a)(96b)(97a)(97b)을 끼우기 위한 환상의 홈(부호생략)을 형성해서 회전중심축(60)과 연결핀(96)(97)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파이프받침(90)(94)은, 파이프(29)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상면을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파이프(29)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채널보강부(30)의 바닥판(33)으로부터 부분 절개되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하부스프링시트(35a)(35b); 조정암(40)(50)으로부터 하부스프링시트(35a)(35b)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상부스프링시트(44)(54); 하부스프링시트(35a)(35b)와 상부스프링시트(44)(54)의 사이에 예압을 갖고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밸런스스프링(98)(99)을 포함한다.
하부스프링시트(35a)(35b)와 상부스프링시트(44)(54)의 단부 모서리에는 계단모양의 턱을 형성해서 밸런스스프링(98)(99)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걸리도록 해서 밸런스스프링(98)(99)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밸런스스프링(98)(99)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60)을 중심으로 전후방측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지지대(20)에 형성된 채널보강부(30)에 조정암(40)(50)을 조립하는 과정은, 조정암(40)(5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암수의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를 서로 맞물려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를 채널보강부(30)의 사이로 끼워서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의 구멍중심과 내측벽(31)(32)에 형성된 지지구멍(31h)(32h)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외측벽(21)(22)에 형성된 조립구멍(21h)(22h)을 통해 회전중심축(60)을 삽입해서 지지구멍(31h)(32h)과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게 되면,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가 회전중심축(60)에 의해 채널보강부(30)에 결합된다.
이후 회전중심축(60)의 양단을 외측벽(21)(22)으로 약간 돌출시킨 상태에서 스냅링(60a)(60b)을 회전중심축(60)에 형성된 환형홈에 끼우게 되면, 회전중심축(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피봇너트(70)(72)를 조정암(40)(50)에 조립하는 과정은, 우선 턴버클(80)의 양단에 형성된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에 각각 피봇너트(70)(72)를 결합한 상태에서 피봇너트(70)(72)를 조정암(40)(50)에 형성된 절개홈(41)(51)으로 각각 삽입한 다음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을 조정암(40)(50)의 측면을 관통해서 피봇너트(70)(72)에 형성된 핀구멍(70b)(72a)(72b)으로 삽입하게 되면, 피봇너트(70)(72)가 조정암(40)(50)에 결합된다.
이때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을 조정암(40)(50)에 삽입할 때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삽입하게 되면,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이 조정암(40)(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받침(90)(94)을 조정암(40)(50)의 상단에 조립하는 과정은, 파이프받침(90)(94)의 하부에 형성된 허브(91)(95)를 조정암(40)(5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에 끼워서 허브(91)(95)와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의 구멍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핀(96)(97)을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와 허브(91)(95)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한 후 연결핀(96)(97)의 양단에 스냅링(96a)(96b)(97a)(97b)을 끼우게 되면, 연결핀(96)(97)이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런스스프링(98)(99)의 조립은, 밸런스스프링(98)(99)의 하단부를 하부스프링시트(35a)(35b)에 끼운 다음 밸런스스프링(98)(99)을 플라이어나 손가락 등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밸런스스프링(98)(99)의 상단을 상부스프링시트(44)(54)에 끼워서 압축력을 제거하게 되면, 밸런스스프링(98)(99)이 탄성복원되면서 상부스프링시트(44)(54)와 하부스프링시트(35a)(35b) 사이에 걸려서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면(25)에 앵커볼트(23a)(23b)를 박아 넣은 다음 파이프지지대(20)의 앵커고정판(26)(27)에 형성된 장공(26h)(27h)으로 앵커볼트(23a)(23b)를 통과시킨 후 앵커고정판(26)(27)를 부착면(25)에 밀착시키고, 앵커고정판(26)(27)을 통해 돌출된 앵커볼트(23a)(23b)의 상단에 앵커너트(24a)(24b)를 결합하게 되면 파이프지지대(20)가 부착면(25)에 설치된다.
이때 파이프지지대(20)에 형성된 채널보강부(30)의 바닥판(33)에 형성된 보조다리(34a)(34b)의 하단부가 부착면(25)에 접촉되기 때문에 파이프지지대(20)의 지지력은 더욱 향상된다.
더욱이 보조다리(34a)(34b)의 하단부에 형성된 브이홈(34c)(34d)에 의해 보조다리(34a)(34b)의 하단 모서리부가 부착면(25)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파이프받침(90)(94)의 상면에 파이프(29)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턴버클(8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턴버클(80)의 양단에 설치된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에 결합된 피봇너트(70)(72)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조정암(40)(50)의 상단부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파이프받침(90)(94)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피봇너트(70)(72)는 너트지지핀(75a)(75b)(76a)(76b)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파이프렌치, 첼라, 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이용해서 턴버클(80)을 물어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턴버클(80)의 측면에 형성된 핸들구멍(80h)에 환봉을 삽입해서 돌릴 수도 있다.
한 쌍의 밸런스스프링(98)(99)이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조정암(40)(5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파이프받침(90)(94)에 파이프(29)를 올려놓기 전에도 조정암(40)(50)이 자중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턴버클(80)에 의해 파이프(29)의 높낮이를 적정한 높이로 맞춘 다음 유볼트(28)의 하단부를 파이프지지대(20)에 형성된 체결공(20a)(20b)으로 끼우고, 파이프지지대(20)를 관통해서 하측으로 돌출된 유볼트(28)의 하측 나사부에 체결너트(28a)(28b)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파이프(29)가 파이프받침(90)(94)의 오목한 상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굴곡이 있는 부착면(25)에 의해 파이프(29)가 수평평행을 이루지 못한 경우 파이프받침(90)(94)과 파이프(29)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양쪽 조정암(40)(50)이 회전중심축(6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받침(90)(94)의 상면이 파이프(29)에 밀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29)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 파이프지지대 20a,20b : 체결공
21,22 : 외측벽 21h,22h : 조립구멍
23a,23b : 앵커볼트 24a,24b : 앵커너트
25 : 부착면 26,27 : 앵커고정판
26h,27h : 장공 28 : 유볼트
28a,28b : 체결너트 29 : 파이프
30 : 채널보강부 31,32 : 내측벽
31h,32h : 지지구멍 33 : 바닥판
34a,34b : 보조다리 34c,34d : 브이홈
35a,35b : 하부스프링시트 40,50 : 조정암
41,51 : 절개홈 42,52a,52b : 하부클레비스부
44,54 : 상부스프링시트 43a,43b,53a,53b : 상부클레비스부
60 : 회전중심축 60a,60b,96a,96b,97a,97b : 스냅링
70,72 : 피봇너트 70b,72a,72b : 핀구멍
70t : 왼나사구멍 72t : 오른나사구멍
75a,75b,76a,76b : 너트지지핀 80 : 턴버클
80h : 핸들구멍 82 : 왼나사축
84 : 오른나사축 90,94 : 파이프받침
91,95 : 허브 96,97 : 연결핀
98,99 : 밸런스스프링

Claims (1)

  1. 외측벽(21)(22)을 갖는 파이프지지대(20)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측벽(31)(32)과 바닥판(33)을 갖는 채널보강부(30);
    상기 채널보강부(30)의 전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보조다리(34a)(34b);
    상기 채널보강부(30)의 내측벽(31)(32)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구멍(31h)(32h);
    상기 지지구멍(31h)(32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지지대(20)의 외측벽(21)(22)에 형성되는 조립구멍(21h)(22h);
    서로 "V"자 모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정암(40)(50);
    상기 조정암(40)(5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각각 형성되는 절개홈(41)(51);
    상기 조정암(40)(5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
    상기 조립구멍(21h)(22h)을 통해 상기 지지구멍(31h)(32h)과 상기 하부클레비스부(42)(52a)(52b)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60);
    상기 조정암(40)(50)의 절개홈(41)(51)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피봇너트(70)(72);
    상기 피봇너트(70)(72)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
    상기 조정암(40)(50)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상기 피봇너트(70)(72)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두 쌍의 너트지지핀(75a)(75b)(76a)(76b);
    상기 피봇너트(70)(72)의 왼나사구멍(70t)과 오른나사구멍(72t)에 각각 결합되는 왼나사축(82)과 오른나사축(84)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턴버클(80);
    상기 조정암(40)(50)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체 형태의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
    상기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에 결합되는 허브(91)(95)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받침(90)(94);
    상기 상부클레비스부(43a)(43b)(53a)(53b)와 허브(91)(95)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핀(96)(97);
    상기 채널보강부(30)의 바닥판(33)으로부터 부분 절개되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하부스프링시트(35a)(35b);
    상기 조정암(40)(50)으로부터 상기 하부스프링시트(35a)(35b)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상부스프링시트(44)(54);
    상기 하부스프링시트(35a)(35b)와 상기 상부스프링시트(44)(54)의 사이에 예압을 갖고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밸런스스프링(98)(99);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KR1020160105950A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KR10166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50A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50A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803B1 true KR101664803B1 (ko) 2016-10-12

Family

ID=5717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50A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2308A (zh) * 2016-12-19 2018-06-26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三维可调圆形波导管支架结构
KR101891099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WO2020022530A1 (ko) * 2018-07-24 2020-01-30 노츠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용 수차 하우징
CN111536397A (zh) * 2020-04-01 2020-08-14 陈玲婷 一种可固定减震的管道水速检测装置
KR102229241B1 (ko) *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CN112576814A (zh) * 2020-12-04 2021-03-30 邱佳杰 一种便于在支撑时移动的房建施工用管道临时支护装置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KR102510148B1 (ko) * 2022-01-10 2023-03-14 한동수 배전 입상관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424A (ja) * 1996-04-09 1997-10-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サポート
KR0139081Y1 (ko) 1996-06-12 1999-04-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197261Y1 (ko) 2000-04-07 2000-09-15 김선희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JP4396871B2 (ja) * 1999-06-16 2010-0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塗工装置
KR200451734Y1 (ko) * 2008-05-23 2011-01-10 (주)와콘엔지니어링 교량용 배관 현수장치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310181B1 (ko) 2011-11-17 2013-09-23 이종석 배관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
KR101484719B1 (ko) 2013-09-04 2015-01-20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 지지장치
KR101486972B1 (ko) * 2012-12-28 2015-01-29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424A (ja) * 1996-04-09 1997-10-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サポート
KR0139081Y1 (ko) 1996-06-12 1999-04-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4396871B2 (ja) * 1999-06-16 2010-0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塗工装置
KR200197261Y1 (ko) 2000-04-07 2000-09-15 김선희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KR200451734Y1 (ko) * 2008-05-23 2011-01-10 (주)와콘엔지니어링 교량용 배관 현수장치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310181B1 (ko) 2011-11-17 2013-09-23 이종석 배관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
KR101486972B1 (ko) * 2012-12-28 2015-01-29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101484719B1 (ko) 2013-09-04 2015-01-20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 지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2308A (zh) * 2016-12-19 2018-06-26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三维可调圆形波导管支架结构
KR101891099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WO2020022530A1 (ko) * 2018-07-24 2020-01-30 노츠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용 수차 하우징
CN111536397A (zh) * 2020-04-01 2020-08-14 陈玲婷 一种可固定减震的管道水速检测装置
KR102229241B1 (ko) *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CN112576814A (zh) * 2020-12-04 2021-03-30 邱佳杰 一种便于在支撑时移动的房建施工用管道临时支护装置
CN112576814B (zh) * 2020-12-04 2022-12-06 中建三局科创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在支撑时移动的房建施工用管道临时支护装置
KR102510148B1 (ko) * 2022-01-10 2023-03-14 한동수 배전 입상관 장치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803B1 (ko)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TWI813568B (zh) 楔形連接器總成及含有該總成之方法及連結
US8353143B2 (en) Lateral seismic brace
US20160040823A1 (en) Seismic bracing assembly
US10378591B2 (en) Propeller shaft and yoke structure of universal joint used for the propeller shaft
AU2011368691B2 (en) Connection fixture
US20230313913A1 (en) Method of attaching a brace member to a mounting bracket
KR101561437B1 (ko) 온실용 지주 조립체
JP4548804B2 (ja) 締結装置
US10767791B2 (en) Clamp with bracket apertures
KR102555178B1 (ko) 건물 내의 비-구조적 구성 요소용 내진 클램프
AU2009238196B2 (en) Connection fixture
JP7202111B2 (ja) ブレース材連結金具
US10851917B2 (en) Seismic clamp for non-structural components in a building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6481742B1 (ja) 天井下地構造
KR102063981B1 (ko) 배관용 행거장치
JP2783966B2 (ja) スプリンクラー配管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管の施工方法
US20240133489A1 (en) Brace clamp for sway brace pipe
JP5916182B1 (ja) 控え金具
WO2011145167A1 (ja) 締結装置
JP3027743U (ja) 連結プレート
KR200280839Y1 (ko) 완철용 접지 클램프
JP7132776B2 (ja) ボルト軸用の連結金具
WO2024086001A1 (en) Brace clamp for sway brace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