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099B1 -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099B1
KR101891099B1 KR1020180034311A KR20180034311A KR101891099B1 KR 101891099 B1 KR101891099 B1 KR 101891099B1 KR 1020180034311 A KR1020180034311 A KR 1020180034311A KR 20180034311 A KR20180034311 A KR 20180034311A KR 101891099 B1 KR101891099 B1 KR 10189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ical
bracket
p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성
Original Assignee
김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성 filed Critical 김환성
Priority to KR102018003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0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the ends of the member and the fixing elements being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스프링새들(30)(31); 스프링새들(30)(31) 간을 연결하는 연결살(33); 스프링새들(30)(31)의 하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훅(30a)(30b)(31a)(31b); 파이프(20)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받침면(41)이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받침구(40); 파이프받침구(40)의 저면에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반원뿔홈(42)(43); 앵커볼트(21)에 의해 구조물(22)에 설치되는 브래킷(50); 브래킷(5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걸림훅(30a)(30b)(31a)(31b)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절곡되는 꺾쇠(53a)(53b)(53c)(53d); 반원뿔홈(42)(43)에 각각 끼워져서 미끄러지고, 브래킷(5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어느 한쪽 원추형쐐기(60)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61);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나머지 다른 원추형쐐기(62)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63); 관통구멍(63)을 통해 탭구멍(61)에 결합되고, 원추형쐐기(60)(6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파이프받침구(40)를 통해 파이프(20)를 스프링새들(30)(31)에 밀착시키는 인장볼트(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Pipe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를 구조물에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고정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파이프, 하수파이프, 배수파이프, 가스파이프와 같은 파이프는 건축물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데, 이때 배관 지지장치를 이용해서 파이프를 벽이나 천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0)와 앵커너트(11)에 의해 부착면(12)에 고정된 파이프지지대(13)에 파이프(14)를 밀착시키고, 파이프(14)의 외주면에 유볼트(15)를 끼운 다음 체결너트(16)를 이용해서 유볼트(15)를 파이프지지대(1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관 지지장치는 체결너트(16)를 돌릴 때 사용하는 스패너,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공구를 파이프지지대(13)와 부착면(12) 사이의 좁은 틈으로 집어넣고 두 개의 체결너트(16)를 번갈아가며 돌려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14)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느리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배관 지지장치는 곡면으로 되어 있는 파이프(14)와는 다르게 파이프지지대(13)의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14)와 파이프지지대(13)가 만날 때 선형으로 접촉될 수밖에 없어 유볼트(15)와 체결너트(16)를 과도하게 조이면 하중이 국부에 집중되고, 이로 인해서 파이프지지대(13)와 파이프(14)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19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0612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018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26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0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 고정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파이프에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파이프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는, 역(逆)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파이프의 상부에 밀착되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스프링새들; 스프링새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살; 스프링새들의 하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훅; 파이프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받침면이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받침구; 파이프받침구의 저면에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반원뿔홈; 앵커볼트에 의해 구조물에 설치되는 브래킷; 브래킷의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걸림훅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절곡되는 꺾쇠; 반원뿔홈에 각각 끼워져서 미끄러지고, 브래킷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원추형쐐기; 한 쌍의 원추형쐐기 중에서 어느 한쪽 원추형쐐기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 한 쌍의 원추형쐐기 중에서 나머지 다른 원추형쐐기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 관통구멍을 통해 탭구멍에 결합되고, 원추형쐐기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파이프받침구를 통해 파이프를 스프링새들에 밀착시키는 인장볼트를 포함해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파이프받침구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 브래킷의 전후방 가장자리 중앙에 형성되고, 수직안내홈에 끼워지는 상향절곡편을 포함해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브래킷의 상면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서로 역(逆) 브이(V)자 모양을 이루는 경사면; 원추형쐐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경사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평평한 슬라이드면을 포함해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장볼트(70)가 브래킷(50)의 바깥쪽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인장볼트(70)가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볼트(70)를 돌릴 때 체결공구의 결합이 용이해서 체결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20)를 고정할 때 하나의 인장볼트(70)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체결을 종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20)의 하부에 면접촉 되는 오목받침면(41)이 파이프받침구(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쐐기(60)(62)는 반원뿔홈(42)(43)과 경사면(51)(52)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중이 국부에 집중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새들(30)(31)을 파이프(20)의 상부에 끼운 다음 오므렸다 펴면 간단히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새들(30)(31)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새들(30)(31)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훅(30a)(30b)(31a)(31b)의 에지부가 브래킷(50)의 저면에 선접촉되기 때문에 걸림훅(30a)(30b)(31a)(31b)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래킷(50)에 형성된 꺾쇠(53a)(53b)(53c)(53d)에 의해 걸림훅(30a)(30b)(31a)(31b)이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래킷(50)에 형성된 상향절곡편(54)(55)과 파이프받침구(40)에 형성된 수직안내홈(44)(45)에 의해 파이프받침구(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배관 지지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로서, 스프링새들을 오므린 것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스프링새들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림훅이 꺾쇠와 브래킷의 저면에 걸린 것을 보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역(逆)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파이프(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스프링새들(30)(31); 스프링새들(30)(31) 간을 연결하는 연결살(33); 스프링새들(30)(31)의 하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훅(30a)(30b)(31a)(31b)을 포함한다.
스프링새들(30)(31)과 연결살(3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프링 강판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훅(30a)(30b)(31a)(31b)은 정면에서 볼 때 좌우대칭을 이루고, 서로 멀어지는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훅(30a)(30b)(31a)(31b)의 상단 모서리부위인 에지부가 브래킷(50)의 밑면에 접촉되도록 해서 걸림훅(30a)(30b)(31a)(31b)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20)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받침면(41)이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받침구(40); 파이프받침구(40)의 저면에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반원뿔홈(42)(43)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받침구(40)는 일정한 두께를 이루는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전후방은 개방되고 평면에서 볼 때 열십자 모양으로 만나는 보강리브(46)(47)를 중공부 중앙에 형성해서 압축강도를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반원뿔홈(42)(43)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받침구(40)의 좌우측면에서 시작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21)에 의해 구조물(22)에 설치되는 브래킷(50); 브래킷(5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걸림훅(30a)(30b)(31a)(31b)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절곡되는 꺾쇠(53a)(53b)(53c)(53d)를 포함한다.
브래킷(50)의 좌우측에는 구조물(22)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고정부(56)(57)를 형성하고, 고정부(56)(57)에는 앵커볼트(21) 체결을 위한 체결공(56h)(57h)을 형성한다.
꺾쇠(53a)(53b)(53c)(53d)에 걸림훅(30a)(30b)(31a)(31b)의 전후면이 걸리면서 스프링새들(30)(31)이 브래킷(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반원뿔홈(42)(43)에 각각 끼워져서 미끄러지고, 브래킷(5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어느 한쪽 원추형쐐기(60)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61);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나머지 다른 원추형쐐기(62)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63)을 포함한다.
원추형쐐기(60)(62)가 반원뿔홈(42)(43)에 밀착되었을 때 탭구멍(61)과 관통구멍(63)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관통구멍(63)을 통해 탭구멍(61)에 결합되고, 원추형쐐기(60)(6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파이프받침구(40)를 통해 파이프(20)를 스프링새들(30)(31)에 밀착시키는 인장볼트(70)를 포함한다.
인장볼트(70)는 예를 들면 육각홈을 갖는 육각렌치볼트 또는 육각머리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통구멍(63)과 탭구멍(61)에 결합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인장볼트(70)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받침구(40)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44)(45); 브래킷(50)의 전후방 가장자리 중앙에 형성되고, 수직안내홈(44)(45)에 끼워지는 상향절곡편(54)(55)을 포함한다.
수직안내홈(44)(45)과 상향절곡편(54)(55)은 파이프받침구(40)가 브래킷(5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결정 역할을 하며, 파이프받침구(40)가 상향절곡편(54)(55)과 수직안내홈(44)(45)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안내작용도 한다.
본 발명은 브래킷(50)의 상면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서로 역(逆) 브이(V)자 모양을 이루는 경사면(51)(52); 원추형쐐기(60)(62)의 하부에 형성되고, 경사면(51)(52)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평평한 슬라이드면(64)(65)을 포함한다.
경사면(51)(52)과 슬라이드면(64)(65)은 원추형쐐기(60)(62)와 브래킷(50) 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해서 원추형쐐기(60)(62)로부터 브래킷(50)으로 작용되는 하중이 고른 면적으로 분산시키고, 국부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해 브래킷(50)과 파이프(20)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도면 중 부호 23은 평와셔를 나타낸 것이고, 24는 스프링와셔를 나타낸 것이며, 25는 앵커볼트(21)에 결합되는 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0)에 형성된 체결공(56h)(57h)의 구멍 간격에 맞게 두 개의 앵커볼트(21)를 구조물(22)에 설치한 다음 앵커볼트(21)를 체결공(56h)(57h)에 끼우면서 고정부(56)(57)를 구조물(22)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너트(25)를 앵커볼트(21)에 결합해서 조이면 브래킷(50)이 구조물(22)에 설치된다.
이후 인장볼트(70)를 원추형쐐기(62)에 형성된 관통구멍(63)으로 삽입한 다음 다른 원추형쐐기(60)에 형성된 탭구멍(61)에 인장볼트(70)를 결합하고, 원추형쐐기(60)(62)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면(64)(65)을 브래킷(50)에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51)(52)에 밀착시키면, 원추형쐐기(60)(62)가 브래킷(50)의 경사면(51)(52)에 위치된다.
그 다음 파이프받침구(40)의 하부에 형성된 반원뿔홈(42)(43)을 원추형쐐기(60)(62)의 상면에 올려놓고, 파이프받침구(40)의 전후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44)(45)을 상향절곡편(54)(55)에 끼우면, 원추형쐐기(60)(62)가 반원뿔홈(42)(43)에 밀착된다.
이때 파이프(20)를 파이프받침구(4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받침면(41)에 올려 놓은 다음 스프링새들(30)(31)로 파이프(20)의 상부를 덮고, 브래킷(50)의 중앙부가 스프링새들(30)(31)의 사이로 진입시키면서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새들(30)(31)을 하부를 오므리게 되면, 꺾쇠(53a)(53b)(53c)(53d)의 간섭을 피해 스프링새들(30)(31)을 끝까지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잡고 있던 스프링새들(30)(31)로부터 손을 떼서 외력을 제거하면,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새들(30)(31)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림훅(30a)(30b)(31a)(31b)이 꺾쇠(53a)(53b)(53c)(53d)에 걸리게 된다.
한편, 파이프(20)를 완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인장볼트(70)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가 인장볼트(70)에 의해 점점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때 원추형쐐기(60)(62)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면(64)(65)은 브래킷(5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51)(5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원추형쐐기(60)(62)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고, 원추형쐐기(60)(62)의 상부는 반원뿔홈(42)(4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파이프받침구(4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즉, 인장볼트(70)에 의해 원추형쐐기(60)(62)와 파이프받침구(40)가 동시에 상승되면서 파이프(20)를 스프링새들(30)(31)을 향해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쐐기(60)(62)와 파이프받침구(40)가 상승되면, 한동안 파이프(20)와 스프링새들(30)(31)도 따라서 상승 되는데, 걸림훅(30a)(30b)(31a)(31b)의 에지부가 브래킷(50)의 저면에 밀착되는 순간 스프링새들(30)(31)과 파이프(20)의 상승은 정지되고, 이때부터 파이프받침구(40)로부터 파이프(20)를 향해 상측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면서 파이프(20)가 단단히 고정된다.
이때 파이프받침구(40)에 형성된 수직안내홈(44)(45)이 상향절곡편(54)(55)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받침구(40)가 상승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상향절곡편(54)(55)과 수직안내홈(44)(45)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인장볼트(70)를 돌려서 고정할 때 인장볼트(70)의 볼트머리가 바깥쪽 측방향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알렌-렌치(도시생략)와 같은 체결공구를 볼트머리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하나의 인장볼트(70)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곧 바로 강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20 : 파이프 21 : 앵커볼트
22 : 구조물 23 : 평와셔
24 : 스프링와셔 25 : 너트
30,31 : 스프링새들 30a,30b,31a,31b : 걸림훅
33 : 연결살 40 : 파이프받침구
41 : 오목받침면 42,43 : 반원뿔홈
44,45 : 수직안내홈 46,47 : 보강리브
50 : 브래킷 51,52 : 경사면
53a,53b,53c,53d : 꺾쇠 54,55 : 상향절곡편
56,57 : 고정부 56h,57h : 체결공
60,62 : 원추형쐐기 61 : 탭구멍
63 : 관통구멍 64,65 : 슬라이드면
70 : 인장볼트

Claims (3)

  1. 역(逆)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파이프(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스프링새들(30)(31);
    상기 스프링새들(30)(31) 간을 연결하는 연결살(33);
    상기 스프링새들(30)(31)의 하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훅(30a)(30b)(31a)(31b);
    상기 파이프(20)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받침면(41)이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받침구(40);
    상기 파이프받침구(40)의 저면에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반원뿔홈(42)(43);
    앵커볼트(21)에 의해 구조물(22)에 설치되는 브래킷(50);
    상기 브래킷(5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걸림훅(30a)(30b)(31a)(31b)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절곡되는 꺾쇠(53a)(53b)(53c)(53d);
    상기 반원뿔홈(42)(43)에 각각 끼워져서 미끄러지고, 상기 브래킷(5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상기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어느 한쪽 원추형쐐기(60)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61);
    상기 한 쌍의 원추형쐐기(60)(62) 중에서 나머지 다른 원추형쐐기(62)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63);
    상기 관통구멍(63)을 통해 상기 탭구멍(61)에 결합되고, 상기 원추형쐐기(60)(6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파이프받침구(40)를 통해 상기 파이프(20)를 상기 스프링새들(30)(31)에 밀착시키는 인장볼트(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받침구(40)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44)(45);
    상기 브래킷(50)의 전후방 가장자리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안내홈(44)(45)에 끼워지는 상향절곡편(54)(55);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0)의 상면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서로 역(逆) 브이(V)자 모양을 이루는 경사면(51)(52);
    상기 원추형쐐기(60)(62)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1)(52)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평평한 슬라이드면(64)(65);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1020180034311A 2018-03-26 2018-03-26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10189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11A KR101891099B1 (ko) 2018-03-26 2018-03-26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11A KR101891099B1 (ko) 2018-03-26 2018-03-26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099B1 true KR101891099B1 (ko) 2018-08-23

Family

ID=6345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11A KR101891099B1 (ko) 2018-03-26 2018-03-26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KR102632499B1 (ko) *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KR102632499B1 (ko) *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725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arrangements
US20090183443A1 (en) Universal structural attachment for seismic brace
KR101891099B1 (ko)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US11703150B2 (en) Fitting for brace member
US20100037554A1 (en)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KR101677891B1 (ko) 인양용 체결구
KR20190119570A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S6227285B2 (ko)
US8464987B1 (en) Adjustable conduit clamp
US20230392715A1 (en) Brace pipe attachment mechanism
KR101805361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US6783104B1 (en) Deformable clamp employed to stiffen hanger rod
JP4807832B2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KR101774758B1 (ko)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JP5156153B2 (ja) 配設体支持具
US20090200435A1 (en) Hanger rod stiffening clip
US4718266A (en) Pinch weld pull clamp
US3667711A (en) Hanger for pipes and conduits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101001094B1 (ko) 배선·배관용 클램프
JP7168978B2 (ja) 吊りボルト固定具
US7806375B1 (en) Retaining key
JPH0140268Y2 (ko)
JPH053377U (ja) 排水管の勾配設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