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758B1 -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758B1
KR101774758B1 KR1020170010309A KR20170010309A KR101774758B1 KR 101774758 B1 KR101774758 B1 KR 101774758B1 KR 1020170010309 A KR1020170010309 A KR 1020170010309A KR 20170010309 A KR20170010309 A KR 20170010309A KR 101774758 B1 KR101774758 B1 KR 10177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aped
clamp
channel
fron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1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3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common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bracket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ommo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슬래브(23)에 설치되는 달대파이프(20); 달대파이프(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되고, 양단에 각각 볼트고정부(31)(32)(41)(42)가 형성된 반원형의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 전방클램프(3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의 채널형가이드(34)(35); 채널형가이드(34)(35)에 형성되는 원호형장공(34h)(35h); 파이프(24)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25)의 단부가 용접되고, 채널형가이드(34)(35)의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각도조정판(50);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에 형성되고, 채널형가이드(34)(35)를 따라 미끄러지는 부채꼴모양의 슬라이드부(52)(54); 원호형장공(34h)(35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구멍(52h)(54h); 볼트구멍(52h)(54h)과 중심이 일치되게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용접되는 웰드너트(55)(56); 원호형장공(34h)(35h)과 볼트구멍(52h)(54h)을 통해 웰드너트(55)(5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7)(58)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달대파이프(20)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22); 전방클램프(30)의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핀(33a)(33b);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3)(4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Plumbing Fixture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파이프를 천장에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파이프에는 상수도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 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용 내열파이프 등이 있으며, 파이프가 설치되는 경로 중간을 파이프 고정장치를 이용해서 벽이나 천장의 슬래브에 고정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3)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12)를 달대너트(10a)(10b)(11a)(11b)를 이용해서 천장슬래브(17)에 설치된 달대볼트(10)(11)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설치하고, 행거바(12)에 형성된 수평장공(16)으로 삽입되는 유볼트(14)와 육각너트(15a)(15b)를 이용해서 파이프(13)를 행거바(12)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달대볼트(10)(11)의 위치에 따라 행거바(12)의 위치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파이프(13)가 설치되는 경로를 따라 행거바(12)의 위치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행거바(12)의 높낮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달대너트(10a)(10b)(11a)(11b)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번갈아가며 반복해야 하는데, 이때 행거바(12)의 수평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높낮이도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숙련을 필요로 하였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478588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3593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는, 천장슬래브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달대파이프; 달대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되고, 양단에 각각 볼트고정부가 형성된 반원형의 전방클램프와 후방클램프; 전방클램프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의 채널형가이드; 채널형가이드에 형성되는 원호형장공;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의 단부가 용접되고, 채널형가이드의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각도조정판; 수평각도조정판의 상하단에 형성되고, 채널형가이드를 따라 미끄러지는 부채꼴모양의 슬라이드부; 원호형장공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슬라이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구멍; 볼트구멍과 중심이 일치되게 슬라이드부에 각각 용접되는 웰드너트; 원호형장공과 볼트구멍을 통해 웰드너트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달대파이프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 전방클램프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한 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수직장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핀; 수직장공을 관통해서 후면으로 돌출된 걸림핀을 삽입하기 위해 후방클램프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방클램프(30)에 형성된 걸림핀(33a)(33b)을 달대파이프(20)의 둘레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수직장공(22) 중에 적절한 수직장공(22)에 끼우는 것에 의해 파이프(24)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25)의 높낮이와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24)가 설치되는 경로를 따라 행거바(25)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행거바(25)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볼트(57)(58)를 느슨하게 풀고 행거바(25)를 회전시키게 되면,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52)(54)가 채널형가이드(34)(35)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행거바(25)의 수평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행거바(25)의 각도를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림핀(33a)(33b)이 달대파이프(20)에 형성된 수직장공(22)과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된 관통구멍(43)(44)에 모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클램프(40)와 전방클램프(30)의 위치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핀(33a)(33b)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방클램프(3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형가이드(34)(35)의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클램프(30)의 휨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천장슬래브(23)에 설치되는 하나의 달대파이프(20)를 이용해서 행거바(25)를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24)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수평각도조정판(50)의 후면과 슬라이드부(52)(54)의 사이에 전방클램프(30)의 표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보강리브(51a)(51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각도조정판(50)과 슬라이드부(52)(54)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클램프에 수평각도조정판을 조립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확대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슬래브(23)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달대파이프(20); 달대파이프(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되고, 양단에 각각 볼트고정부(31)(32)(41)(42)가 형성된 반원형의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를 포함한다.
달대파이프(20)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원형으로 말아서 성형한 후 접합부를 용접해서 제조한 원형파이프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달대파이프(20)의 상단부에는 앵커볼트(21a)와 앵커너트(21b)에 의해 천장슬래브(23)에 고정되는 브래킷(21)이 용접되고, 브래킷(21)에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앵커볼트(21a)가 통과되는 복수의 구멍(부호 생략)을 천공한다.
볼트고정부(31)(32)(41)(42)에는 체결볼트(60)(62)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31h)(32h)(41h)(42h)이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며, 체결공(31h)(32h)(41h)(42h)으로 체결볼트(60)(62)를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체결볼트(60)(62)의 돌출된 끝 부분에는 체결너트(64)(66)를 결합해서 조임으로써,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가 달대파이프(20)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의 안쪽 오목한 밀착면은, 달대파이프(2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달대파이프(20)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한다.
후방클램프(40)의 상하단에는 부채꼴 모양의 보강판(45)(46)을 후방클램프(40)와 일체로 형성해서 후방클램프(4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전방클램프(3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의 채널형가이드(34)(35); 채널형가이드(34)(35)에 형성되는 원호형장공(34h)(35h); 파이프(24)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25)의 단부가 용접되고, 채널형가이드(34)(35)의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각도조정판(50);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에 형성되고, 채널형가이드(34)(35)를 따라 미끄러지는 부채꼴모양의 슬라이드부(52)(54)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클램프(30)의 상단부와 상부에 위치된 채널형가이드(34)가 만나는 부위를 수평하게 커팅해서 상부에 위치된 채널형가이드(34)를 전방클램프(30)로부터 분리한 다음 수평각도조정판(50)을 하측의 채널형가이드(35)에 끼운 후 분리된 상측의 채널형가이드(34)를 전방클램프(30)의 상단부에 용접해서 수평각도조정판(50)을 전방클램프(30)에 형성된 채널형가이드(34)(35)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측의 채널형가이드(34)의 하단부와 전방클램프(30)의 상단부가 만나는 접합부에 용접비드(37)를 형성한 다음 달대파이프(20)와 밀착되는 전방클램프(30)와 상측 채널형가이드(34)의 오목한 곡면을 그라인더와 같은 사상공구를 이용해서 돌출된 부분을 매끄럽게 연마한다.
이와 같이 전방클램프(30)와 수평각도조정판(50) 및 행거바(25)는 하나의 뭉치 형태로 조립공장에서 미리 조립된 후 현장으로 운반되어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간편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채널형가이드(34)(35)와 수평각도조정판(50), 슬라이드부(52)(54) 및 원호형장공(34h)(35h)은, 전방클램프(30)의 곡면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해서 수평각도조정판(50)과 슬라이드부(52)(54)가 부드러운 움직임을 갖도록 한다.
슬라이드부(52)(54)는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수평각도조정판(50)의 후면과 슬라이드부(52)(54)의 사이에는 전방클램프(30)의 곡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보강리브(51a)(51b)를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해서 수평각도조정판(50)과 슬라이드부(52)(54)의 휨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호형장공(34h)(35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구멍(52h)(54h); 볼트구멍(52h)(54h)과 중심이 일치되게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용접되는 웰드너트(55)(56); 원호형장공(34h)(35h)과 볼트구멍(52h)(54h)을 통해 웰드너트(55)(5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7)(58)를 포함한다.
웰드너트(55)(56) 중 상부에 위치되는 웰드너트(55)는 상부에 위치된 슬라이드부(52)의 밑면에 용접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웰드너트(56)는 하부에 위치된 슬라이드부(54)의 상면에 용접한다.
고정볼트(57)(58)를 웰드너트(55)(56)에 결합하기 전에 고정볼트(57)(58)에 와셔(57w)(58w)를 끼운 상태로 결합하면, 고정볼트(57)(58)에 의한 가압면적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달대파이프(20)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22); 전방클램프(30)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한 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수직장공(22)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핀(33a)(33b); 수직장공(22)을 관통해서 후면으로 돌출된 걸림핀(33a)(33b)을 삽입하기 위해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3)(44)을 포함한다.
걸림핀(33a)(33b)은, 수직장공(22)의 윤곽선과 일치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며, 예를 들면 전방클램프(30)의 후면에 두 개가 하나의 짝을 이루도록 전방클램프(3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걸림핀(33a)(33b)은 달대파이프(20)에 형성된 수직장공(22)과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된 관통구멍(43)(44)을 모두 통과해서 후방클램프(40)의 후면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해서 걸림핀(33a)(33b)이 달대파이프(20)와 후방클램프(40)에 모두 걸려서 지지되도록 한다.
도면 중 부호 26은 파이프(24)를 행거바(25)에 고정하기 위한 유볼트를 나타낸 것이고, 27과 28은 유볼트(26)에 결합되는 육각너트를 나타낸 것이며, 25h는 행거바(25)에 형성되어 유볼트(26)가 삽입되는 수평장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대파이프(20)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래킷(21)을 앵커볼트(21a)와 앵커너트(21b)를 이용해서 천장슬래브(23)에 고정하게 되면, 달대파이프(20)가 천장슬래브(23)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후 행거바(25)의 높이와 수평각도에 맞는 적절한 수직장공(22)을 선정한 다음 전방클램프(30)에 형성된 걸림핀(33a)(33b)을 선정된 수직장공(22)으로 삽입하면서 전방클램프(30)를 달대파이프(20)에 밀착시키게 되면, 걸림핀(33a)(33b)이 달대파이프(20)의 수직장공(22)을 관통해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그 다음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된 관통구멍(43)(44)을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핀(33a)(33b)에 일치시켜서 달대파이프(20)에 밀착시키게 되면,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핀(33a)(33b)이 관통구멍(43)(44)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데, 이때 볼트고정부(31)(32)(41)(42)에 형성된 체결공(31h)(32h)(41h)(42h) 간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된다.
이후 체결공(31h)(32h)(41h)(42h)으로 체결볼트(60)(62)를 삽입한 다음 체결볼트(60)(62)의 끝 부분에 체결너트(64)(66)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가 달대파이프(2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걸림핀(33a)(33b)을 수직장공(22)에 삽입할 때 달대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거바(25)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33a)(33b)을 수직장공(22)에 삽입할 때 달대파이프(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행거바(25)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를 달대파이프(20)에 결합할 때 수평각도조정판(50)과 행거바(25)는 이미 전방클램프(30)에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행거바(25)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달대파이프(20)에 지지된다.
한편, 행거바(25)의 수평각도를 더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드너트(55)(56)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57)(58)를 느슨하게 푼 다음 행거바(25)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행거바(25)에 용접되어 있는 수평각도조정판(50)이 전방클램프(30)의 곡면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52)(54)가 전방클램프(3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형가이드(34)(35)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평각도조정판(50)을 안내하게 되며, 고정볼트(57)(58)는 원호형장공(34h)(35h)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수평각도조정판(50)의 움직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행거바(25)의 각도를 조정한 다음 적절한 위치에서 행거바(25)를 정지시키고 풀려 있던 고정볼트(57)(58)를 다시 타이트 하게 조이면, 고정볼트(57)(58)와 웰드너트(55)(5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채널형가이드(34)(35)와 슬라이드부(52)(54) 및 와셔(57w)(58w)가 서로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즉, 고정볼트(57)(58)를 풀고 수평각도조정판(50)을 움직이게 되면, 행거바(25)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행거바(25)의 높낮이와 각도조정 작업을 마친 다음 유볼트(26)와 육각너트(27)(28)를 이용해서 파이프(24)를 행거바(25)에 고정한다.
외팔보 형태의 행거바(25)가 파이프(24)에 의해 수직하중을 받게 되면, 수평각도조정판(50)과 슬라이드부(52)(54)를 통해 채널형가이드(34)(35)로 하중이 전달되는데, 이때 수평각도조정판(5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리브(51a)(51b)에도 하중이 분산되면서 수평각도조정판(50) 및 슬라이드부(52)(54)의 휨강성이 향상된다.
20 : 달대파이프 21 : 브래킷
21a : 앵커볼트 21b : 앵커너트
22 : 수직장공 23 : 천장슬래브
24 : 파이프 25 : 행거바
25h : 수평장공 26 : 유볼트
27,28 : 육각너트 30 : 전방클램프
31,32,41,42 : 볼트고정부 31h,32h,41h,42h : 체결공
33a,33b : 걸림핀 34,35 : 채널형가이드
34h,35h : 원호형장공 37 : 용접비드
40 : 후방클램프 43,44 : 관통구멍
45,46 : 보강판 50 : 수평각도조정판
51a,51b : 보강리브 52,54 : 슬라이드부
52h,54h : 볼트구멍 55,56 : 웰드너트
57,58 : 고정볼트 57w,58w : 와셔
60,62 : 체결볼트 64,66 : 체결너트

Claims (1)

  1. 천장슬래브(23)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달대파이프(20);
    상기 달대파이프(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되고, 양단에 각각 볼트고정부(31)(32)(41)(42)가 형성된 반원형의 전방클램프(30)와 후방클램프(40);
    상기 전방클램프(3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호형의 채널형가이드(34)(35);
    상기 채널형가이드(34)(35)에 형성되는 원호형장공(34h)(35h);
    파이프(24)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바(25)의 단부가 용접되고, 상기 채널형가이드(34)(35)의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각도조정판(50);
    상기 수평각도조정판(50)의 상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채널형가이드(34)(35)를 따라 미끄러지는 부채꼴모양의 슬라이드부(52)(54);
    상기 원호형장공(34h)(35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구멍(52h)(54h);
    상기 볼트구멍(52h)(54h)과 중심이 일치되게 상기 슬라이드부(52)(54)에 각각 용접되는 웰드너트(55)(56);
    상기 원호형장공(34h)(35h)과 상기 볼트구멍(52h)(54h)을 통해 상기 웰드너트(55)(5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7)(58);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달대파이프(20)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22);
    상기 전방클램프(30)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한 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장공(22)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핀(33a)(33b);
    상기 수직장공(22)을 관통해서 후면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핀(33a)(33b)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후방클램프(4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3)(44);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20170010309A 2017-01-23 2017-01-23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177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9A KR101774758B1 (ko) 2017-01-23 2017-01-23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9A KR101774758B1 (ko) 2017-01-23 2017-01-23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758B1 true KR101774758B1 (ko) 2017-09-06

Family

ID=5992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09A KR101774758B1 (ko) 2017-01-23 2017-01-23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951A (zh) * 2020-01-16 2020-06-09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超高层建筑施工混凝土泵管固定结构
KR20210035552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CN115967059A (zh) * 2023-03-10 2023-04-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一种供电施工电缆安装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019372B1 (ko) * 2010-12-20 2011-03-07 (유)남양기술단 지중선로용 케이블 지지구조
KR101455679B1 (ko) * 2014-09-18 2014-10-3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019372B1 (ko) * 2010-12-20 2011-03-07 (유)남양기술단 지중선로용 케이블 지지구조
KR101455679B1 (ko) * 2014-09-18 2014-10-3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52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KR102640000B1 (ko) 2019-09-24 2024-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CN111255951A (zh) * 2020-01-16 2020-06-09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超高层建筑施工混凝土泵管固定结构
CN111255951B (zh) * 2020-01-16 2021-09-10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超高层建筑施工混凝土泵管固定结构
CN115967059A (zh) * 2023-03-10 2023-04-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一种供电施工电缆安装组件
CN115967059B (zh) * 2023-03-10 2023-05-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一种供电施工电缆安装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758B1 (ko) 공동주택용 파이프 고정장치
USRE45399E1 (en) Mounting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JP3359021B2 (ja) バー・ハンガーおよび取付クリップ組立体
US5351920A (en) Pipe support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US8061390B2 (en) Pipe hanger system with slidable pipe connection member
US3602468A (en) Roof support assembly for chimneys
AU2015201394A1 (en) Fastening device for making support frames of sanitary appliances
US20040094681A1 (en) Bracket element
US5259165A (en) Supporting metal fittings for double beams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101956557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2393613B1 (ko) 파이프 행거 구조체
KR100926329B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102097694B1 (ko) 빔 클램프
KR101891099B1 (ko)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JP2005194835A (ja) 排水ヘッダー連結の横枝管並列支持金具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20110004735U (ko) 파이프 배관용 클램프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JP4391456B2 (ja) 横枝管支持構造
JPH0715963Y2 (ja) 住戸内配管用トレンチ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KR950008895Y1 (ko) 배관파이프의 행거 고정장치
CN219912033U (zh) 一种用于固定管道的组合管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