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13B1 - 파이프 행거 구조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행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13B1
KR102393613B1 KR1020200109059A KR20200109059A KR102393613B1 KR 102393613 B1 KR102393613 B1 KR 102393613B1 KR 1020200109059 A KR1020200109059 A KR 1020200109059A KR 20200109059 A KR20200109059 A KR 20200109059A KR 102393613 B1 KR102393613 B1 KR 10239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ndle
locking piece
pip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277A (ko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riority to KR102020010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없이 간편하게 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록킹해제 동작이 원활하고 직경이 다른 파이프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행거 구조체{ A pipe hanger structure}
본 발명은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없이 간편하게 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록킹해제 동작이 원활하고 직경이 다른 파이프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 냉난방을 위한 시스템에어컨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조화장치용 배관, 온수난방을 위한 난방용 배관, 급수와 배수를 위한 급배수장치용 배관, 조명기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관 등의 배관들을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배관들은 배관의 외주를 감싸서 결합하는 클램프 형태를 가지는 다수개의 행거를 통해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2346호에 개시된 파이프 행거를 나타낸다. 이는 연결편(211)이 제2개구(112)에 진입후 제1개구(111)측으로 후퇴하여 록킹되는 구조이므로 파이프를 헐겁게 지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부고정부재(210)를 위로 들어 올려서 탄성편(212)을 탄성변형시켜 록킹을 해제시키게 되는데 짧은 탄성편(212)의 탄성변형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부고정부재(210)를 파지하기 어렵고, 파이프 자체 무게로 인하여 상부고정부재(210)를 위로 들어 올려 록킹해제시키는 작업이 수월하지 못하다.
도 2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6638호에 개시된 파이프 행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해지손잡이(15')를 아랫쪽으로 힘껏 밀면 지지편(12')의 탄성력에 바깥쪽으로 밀려 체결돌기(16')가 체결공(22)에 빠져 해지된다고 살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해지손잡이(15')를 아랫방향으로 밀면 반원밴드(10')가 파이프와 간섭되어 해지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체결돌기(16')의 구조상 록킹은 수월하여도 해지는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367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행거(100)의 체결 해체작업시 탄성편(40)을 눌러 체결편(21a)이 통과될 수 있는 틈을 확보한 후 손잡이(21b)를 잡고 들어올려 해체하게 되는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탄성편(40)을 탄성변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4는 한국특허등록 제10-1645922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받침손잡이(8)와 결착밴드(2)의 가동손잡이(11)를 손가락 또는 가압공구로 양방향으로 가압하여 받침손잡이(8)와 가동손잡이(11) 사이의 간격을 좁혀 연결부(3)에 결합된 결착구(10)를 들어올려 빼내면서 결착밴드(2)를 이동시켜 체결 해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행거는 받침손잡이(8)와 가동손잡이(11) 사이의 간격을 좁힐때, 수직면부(9) 및 결착밴드(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와의 간섭에 의해서 무리한 힘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5776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 파이프 행거의 해체는 제 2 클램프부재(2)의 반원형부(21)를 밀어 올리면서 제 2 클램프부재를 시계방향으로 젖히거나, 송곳이나 드라이버로 제 1 클램프부재의 수직부분(13')의 걸림공(18)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돌기(26)를 밀어올리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힘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행거들은 직경이 다른 파이프를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는 없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2346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6638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367호 한국특허등록 제10-164592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57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파이프를 조임하고 풀림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경이 다른 파이프도 견고하게 조임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천정 슬라브에 매입시공된 포스트의 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밴드와, 하단부가 상기 고정밴드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정밴드의 상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밴드를 구비하여서, 상기 고정밴드와 회동밴드 사이에 파이프를 지지시키는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1밴드부와, 상기 제1밴드부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고 상하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랜싱가공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록킹편이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밴드는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2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고 상기 제1록킹편이 걸려지며 상기 손잡이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록킹편의 록킹해제가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록킹공이 형성된 제2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록킹공의 회동 경로와 같은 호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록킹공에 상기 제1록킹편이 록킹되었을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록킹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연장부가 회동될때 상기 록킹공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고정밴드와 회동밴드 사이에 클램핑 되었을때,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및 상기 고정부는 역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손잡이의 탄성변형으로 록킹이 해제될때 상기 회동밴드의 자중으로 인해 록킹해제 방향으로 상기 회동밴드가 회동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고정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고정부의 경계부분에 단턱이 형성되고,
삭제
상기 단턱과 제1록킹편의 자유단부 사이에 상기 제2연장부가 위치되어서 파이프가 클램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상기 제1록킹편과 이격되어 랜싱가공으로 제2록킹편이 형성되되,
상기 제2록킹편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록킹편의 경사면 중간부분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제2연장부가 제2록킹편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록킹편의 경사면 사이에 위치될때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첫째,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록킹해제시 탄성변형되는 부분이 파이프와 간섭되어 록킹해제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파이프와 간섭되지 않는 고정부(113)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114)를 하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 록킹이 해제되므로 록킹해제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둘째, 손잡이(114)는 록킹공(123)의 회동 경로와 같은 호형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므로, 회동밴드(120)의 회동시 록킹공(123)이 손잡이(114)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어서 신속한 해제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세째, 손잡이(114)에 제1록킹편(115)과 이격되어 제2록킹편(116)이 형성되므로, 직경이 다른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네째, 파이프(P)가 고정밴드(110)와 회동밴드(120) 사이에 클램핑 되었을때, 제1연장부(112)와 제2연장부(122) 및 고정부(113)가 역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형성되므로, 경사진 제2연장부(122)의 자중으로 인해 록킹해제 방향으로 회동밴드(120)가 능동적으로 원활하게 회동하여 해제 작업이 편리하다.
도 1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2346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6638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367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한국특허등록 제10-1645922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5776호에 개시된 행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행거 구조체에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행거 구조체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행거 구조체의 록킹 해제동작을 나타낸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 행거 구조체의 분리도면,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
본 발명 실시예의 행거 구조체는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파이프를 조임하고 풀림할 수 있도록 하며, 직경이 다른 파이프도 견고하게 조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파이프 행거(100)는 천정 슬라브에 매입시공된 포스트(10)의 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밴드(110)와, 하단부가 상기 고정밴드(11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정밴드(110)의 상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밴드(12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밴드(110)는 상기 파이프(P)의 일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1밴드부(111)와, 상기 제1밴드부(111)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2)와, 상기 제1연장부(11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3)와, 상기 고정부(113)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고 상하로 탄성변형 가능한 손잡이(114)와, 상기 손잡이(114)에 랜싱(lancing) 가공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1록킹편(115)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밴드(120)는 상기 파이프(P)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2밴드부(121)와, 상기 제2밴드부(121)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제2연장부(122)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잡이(114)가 관통되고 상기 제1록킹편(115)이 걸려지며 상기 손잡이(114)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록킹편(115)의 록킹해제가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록킹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록킹공(123)의 회동 경로와 같은 호형으로 벤딩되어서, 상기 록킹공(123)이 상기 손잡이(114)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고정부(113)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이들 경계부분에 단턱(117)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단턱(117)과 제1록킹편(115) 사이에 상기 제2연장부(122)가 위치되어서 파이프(P)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밴드부(111)에는 장공(1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밴드부(121)에는 상기 장공(11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12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손잡이(114)에 상기 제1록킹편(115)과 이격되어 제2록킹편(116)이 형성된 구조로서, 이는 직경이 다른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록킹편(116)도 상기 제1록킹편(115)과 마찬가지로 랜싱가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록킹편(116)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록킹편(115)의 경사면 중간부분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2연장부(122)가 제2록킹편(116)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록킹편(115)의 경사면 사이에 위치될때,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P)가 상기 고정밴드(110)와 회동밴드(120) 사이에 클램핑 되었을때, 상기 제1연장부(112)와 제2연장부(122) 및 상기 고정부(113)는 역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형성하였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4)의 단부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록킹을 해제시킬때, 경사진 상기 제2연장부(122)의 자중으로 인해 록킹해제 방향으로 상기 회동밴드(120)가 회동하여 원활한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행거 구조체(100)는 상기 고정부(113)의 구멍(113a)에 너트(20)를 리벳팅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포스트(10)에 너트(20)를 조임하여 행거 구조체(1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밴드부(111)와 제2밴드부(121) 사이에 파이프(P)를 배치시키고, 상기 회동밴드(120)를 회동시켜 록킹공(123)에 손잡이(114)가 통과되도록 하여 제1록킹편(115)이 록킹공(123)에 탄성록킹되도록 한다. 상기 록킹공(123)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제1록킹편(115)의 경사면이 슬라이딩될때 상기 손잡이(114)는 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록킹편(115)이 상기 록킹공(123)에 걸림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의 클램핑상태에서, 클램핑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14)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록킹편(115)이 상기 록킹공(123)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며, 이때 상기 역삼각형 구조의 일부분인 상기 제2연장부(122)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자중으로 인해 자연스레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록킹해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100...행거 구조체 110...고정밴드
111...제1밴드부 112...제1연장부
113...고정부 114...손잡이
115...제1록킹편 120...회동밴드
121...제2밴드부 122...제2연장부
123...록킹공 P...파이프

Claims (5)

  1. 천정 슬라브에 매입시공된 포스트의 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밴드와, 하단부가 상기 고정밴드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정밴드의 상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밴드를 구비하여서, 상기 고정밴드와 회동밴드 사이에 파이프를 지지시키는 파이프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10)는 상기 파이프(P)의 일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1밴드부(111)와, 상기 제1밴드부(111)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2)와, 상기 제1연장부(11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3)와, 상기 고정부(113)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고 상하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랜싱가공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록킹편(115)이 형성된 손잡이(114)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밴드(120)는 상기 파이프(P)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호형의 제2밴드부(121)와, 상기 제2밴드부(121)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손잡이(114)가 관통되고 상기 제1록킹편(115)이 걸려지며 상기 손잡이(114)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록킹편(115)의 록킹해제가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록킹공(123)이 형성된 제2연장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록킹공(123)의 회동 경로와 같은 호형으로 벤딩되고, 상기 록킹공(123)에 상기 제1록킹편(115)이 록킹되었을때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록킹공(12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연장부(122)가 회동될때 상기 록킹공(123)이 상기 손잡이(114)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파이프(P)가 상기 고정밴드(110)와 회동밴드(120) 사이에 클램핑 되었을때, 상기 제1연장부(112)와 제2연장부(122) 및 상기 고정부(113)는 역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손잡이(114)의 탄성변형으로 록킹이 해제될때 상기 회동밴드(120)의 자중으로 인해 록킹해제 방향으로 상기 회동밴드(120)가 회동되도록 되되,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고정부(113)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상기 손잡이(114)와 상기 고정부(113)의 경계부분에 단턱(117)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17)과 제1록킹편(115)위 자유단부 사이에 상기 제2연장부(122)가 위치되어서 파이프(P)가 클램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4)에 상기 제1록킹편(115)과 이격되어 랜싱가공으로 제2록킹편(116)이 형성되되,
    상기 제2록킹편(116)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록킹편(115)의 경사면 중간부분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제2연장부(122)가 제2록킹편(116)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록킹편(115)의 경사면 사이에 위치될때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구조체.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9059A 2020-08-28 2020-08-28 파이프 행거 구조체 KR10239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59A KR102393613B1 (ko) 2020-08-28 2020-08-28 파이프 행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59A KR102393613B1 (ko) 2020-08-28 2020-08-28 파이프 행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77A KR20220028277A (ko) 2022-03-08
KR102393613B1 true KR102393613B1 (ko) 2022-05-03

Family

ID=8081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59A KR102393613B1 (ko) 2020-08-28 2020-08-28 파이프 행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145B1 (ko) 2022-06-07 2023-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KR102573970B1 (ko)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U (ja) * 1997-06-02 1998-04-24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配管支持具
KR200362346Y1 (ko) 2004-06-18 2004-09-16 최규섭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200446638Y1 (ko) 2008-10-21 2009-11-16 박황경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00010367U (ko) 2009-04-14 2010-10-22 구성회 천정 배관용 행거
KR101150844B1 (ko) * 2010-05-06 2012-07-03 임정섭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KR101645922B1 (ko) 2016-04-08 2016-08-05 윤여문 배관 설치용 행거
KR20200095776A (ko) 2019-02-01 2020-08-11 황병환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145B1 (ko) 2022-06-07 2023-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KR102573970B1 (ko)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77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613B1 (ko) 파이프 행거 구조체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KR101881914B1 (ko) 스파이럴 덕트용 원터치 행거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US8782864B2 (en) System for preparing pre-assembled hanger supports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JP5199800B2 (ja) スレート葺屋根における新設屋根材取付方法及び取付け作業器
KR101645922B1 (ko) 배관 설치용 행거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US20110048759A1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210106756U (zh) 管道套管安装固定装置
KR100916185B1 (ko)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JP3966706B2 (ja) 排水桝
KR200440304Y1 (ko) 파이프 행거
KR100758182B1 (ko) 파이프 행거 클램프
KR20060115443A (ko)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슬라브 고정장치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JP2016034210A (ja) 太陽光発電パネル取付用クランプ金具
JP7307162B2 (ja) 配管支持具
KR20200023345A (ko) 시공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
KR200363128Y1 (ko) 배선관 지지장치
CN220038714U (zh) 中央空调风管连接支架
KR200452852Y1 (ko) 배관지지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9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729

Effective date: 202203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