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612B1 -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612B1
KR101240612B1 KR1020100106020A KR20100106020A KR101240612B1 KR 101240612 B1 KR101240612 B1 KR 101240612B1 KR 1020100106020 A KR1020100106020 A KR 1020100106020A KR 20100106020 A KR20100106020 A KR 20100106020A KR 101240612 B1 KR101240612 B1 KR 10124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late
screw memb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626A (ko
Inventor
김태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는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 배관과 접촉하여 그 배관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배관에 대해 이격되는 제1방향 및 그 제1방향과는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제2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유류 또는 배기 가스와 같은 유체들이 유동되는 복수의 배관들이 설치된다.
상기 배관들은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을 향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유체들이 유동된다. 이때, 상기 선박의 진동 또는 상기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길게 연장 형성된 상기 배관에는 진동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진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거나,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배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선박에는 선박을 구성하는 선체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의 일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배관의 내부에 액화된 천연 가스와 같은 극저온 유체 또는 배기가스와 같은 고온 유체가 유동되는 경우, 배관은 반경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된다. 이때, 일반적인 배관 지지 장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선체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서, 배관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경우, 배관에 대하여 효율적인 지지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배관의 팽창 방향에 대하여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배관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하여 배관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지 못하여, 배관 지지 장치가 마련되는 지점에서 배관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력의 인가 또는 배관의 자체 변형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배관이 안정적으로 선체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배관과 접촉하여 그 배관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에 대해 상기 제1지지부로 이격되는 방향인 제1방향 및 그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암나사부와, 일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으로의 통과가 방지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는 2세트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들은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압력이 작용되는 제1판; 상기 제1판과 상기 배관 사이에 상기 제1판에 대해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판; 및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 사이에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머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간격은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및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간격과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의 높이의 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배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의 원호형 단면을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돌출부들에 고정되는 상기 배관이 접촉되는 배관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또는 상기 배관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배관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가 배관을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은 도 1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도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도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배관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가 배관을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선체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1)는 선체(60)에 배관 수용 공간(61)이 마련된 상태에서, 배관 수용 공간(61) 내의 선체(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1)는 선체(60)의 배관 수용 공간(61)에 배치되는 배관(2)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연장 형성되는 배관(2)에 대하여 선체(60)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 또는 배관(2)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배관(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선체(60)에 형성되는 배관 수용 공간(61)은 선체(60)에 형성되는 다른 공간, 일례로 화물창 공간 또는 거주 공간과 같은 공간과 구획되거나 상기 공간들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의 일부는 선체(60)에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배관(2)에 접촉되어 배관(2)을 지지하며 선체(60)에 고정된 상기 일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도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도에서, 배관과 배관 지지 장치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와, 탄성수단과,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지지부(10)는 일례로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관 수용 공간(61)과 접하는 선체(60)의 일면에 용접과 같은 고정 방식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10)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포함되는 제1암나사부(53) 및 제2암나사부(54)가 마련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20)는, 일측은 배관(6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배관(60)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부(10)로 이격되는 방향인 제1방향(D1) 및 상기 제1방향(D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지지부(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20)는 제1판(21)과, 제2판(22)과, 연결브래킷(23)과, 돌출부(25)와, 배관 지지판(27)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판(21)은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부(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판(21)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관통공(211)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포함되는 제1나사부재(51) 및 제2나사부재(52)의 일부가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판(22)은, 제1판(21)과 이격되게, 제1판(21)과 배관(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브래킷(23)은 제1판(21)과 제2판(22) 사이에 위치되어, 제1판(21)과 제2판(22)을 연결한다. 이때,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판(21)과 제2판(22) 사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이격 공간(24)이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25)는 제2판(22)에서 상기 제2방향(D2)으로 돌출되며,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배관 지지판(27)은 배관(2)과 접촉된 상태에서, 배관(2)의 외주면 일부에 둘러지도록, 배관(2)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의 원호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배관 지지판(27)의 양 단부에는 각각 돌출부(25)들이 연결된다. 배관 지지판(27)의 양 단부에 돌출부(25)들이 연결됨에 따라서, 배관(2)으로부터 배관 지지판(27)으로 인가되는 외력 또는 배관 지지판(27)으로부터 배관(2)으로 인가되는 지지력이 분산되어 상호 간에 작용됨으로써, 상기 외력 또는 상기 지지력의 집중에 따른 배관(2)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수단은 복수의 스프링 부재(40)들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스프링 부재(40)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40)의 일측은 제1지지부(10)에 접하고 타측은 제2지지부(20)의 제1판(21)에 접하여, 제2지지부(20)의 제1판(21)에 대한 상기 제2방향(D2)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수단은 스프링 부재(40)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일측 및 타측이 각각의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탄성 가압을 수행하는 일례로 가스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배관(2)이 선체(60)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60)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10)와, 배관(2)과 접촉되는 제2지지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에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일부가 제1판(21)의 관통공(211)을 관통하는 상기 제1나사부재(51) 및 상기 제2나사부재(52)와, 제1지지부(10)에서 상기 제2방향(D2)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제1암나사부(53) 및 상기 제2암나사부(5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상기 나사부재(51,52) 및 상기 암나사부(53,54)들은 일례로 2세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나사부재(51)의 일측 및 제2나사부재(52)의 일측은,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각각 제1암나사부(53) 및 제2암나사부(54)에 체결된다. 이때, 제1나사부재(51) 및 제1암나사부(53) 사이의 체결높이 및 제2나사부재(52) 및 제2암나사부(54) 사이의 체결높이에 의하여,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나사부재(51) 및 제2나사부재(52)의 일단부에는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53) 및 제2암나사부(54)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되는 수나사부(512,522)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1나사부재(51) 및 제2나사부재(52)가 관통공(211)을 완전하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부(511,521)가 형성된다.
이때, 머리부(511,521)는, 제1나사부재(51) 및 제2나사부재(52)가 제1암사나부(53) 및 제2암나사부(54)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20)의 제1판(21) 및 제2판(22) 사이의 이격공간(24)에 위치되며, 머리부(511,521)의 머리 높이(h2)(도6참조)는 이격공간(24)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머리부(511,521)는 일례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에 수나사부(512,522)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공(211)은 제1나사부재(51) 및 제2나사부재(52)가 각각 관통되는 두 개의 관통공(211)들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두 개의 관통공(211)들이 하나의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머리부(512)의 직경은 관통공(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머리부(512)가 관통공(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머리부(512)와 관통공(211) 사이에 관통공(211)보다 큰 직경의 와셔 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각각의 세트를 구성하는 제1나사부재(51) 및 제1암나사부(53)와, 제2나사부재(52) 및 제2암나사부(54)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나사부재(51)의 나사부(512)와 제1암나사부(53)에 형성되는 나선홈이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나사부재(52)의 나사부(522)와 제2암나사부(54)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가 설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선박의 시운전 과정에서, 배관(2)에서 어느 지점에 일정 기준 이상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배관(2)의 상기 지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점에 인접되는 선체(60)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가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는 제2지지부(20)가 배관(2)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이 설정된 상태로, 선체(60)에 설치된다.
배관 지지 장치(1)의 제1지지부(10)를 선체(60)에 고정시켜, 선체(60)에 대한 배관 지지 장치(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지지부(20)의 배관 지지판(27)이 배관(1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을 조절한다.
도 3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일례로 한 쌍의 스패너(S1,S2)로 마련되는 체결 공구를 이격 공간(24)에 삽입하여, 각각의 스패너(S1,S2)에 각각 제1나사부재(51)의 머리부(511) 및 제2나사부재(52)의 머리부(521)를 물린다.
그리고, 한 쌍의 스패너(S1,S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홈이 형성되는 제1회전방향(R1) 및 상기 제1회전방향(R2)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시켜, 제1암나사부(53)에 대한 제1나사부재(51)의 체결위치 및 제2암나사부(54)에 대한 제2나사부재(52)의 체결위치가 상기 제2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나사부재(51)의 체결위치 및 제2암나사부(54)에 대한 제2나사부재(52)의 체결위치가 상기 제2방향(D2)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 부재(40)들로부터 상기 제2방향(D2)으로 탄성 가압되는 제2지지부(20) 또한 상기 제2방향(D2)으로 이동된다.
배관 지지판(27)의 일면이 배관(2)의 일부에 접촉되면,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간격에 대한 조절을 중지한다. 이때, 제2지지부(20)는 제1판(21)의 일면이 제1나사부재(51)의 머리부(511) 및 제2나사부재(52)의 머리부(512)에 걸림으로써, 스프링 부재(40)들의 탄성 가압력에 의한 상기 제2방향(D2)으로의 이동이 중지된다.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 조절과정에서, 한 쌍의 스패너(S1,S2)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 명 또는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동시에 제1나사부재(51) 및 제1암나사부재(53)를 포함하는 제1간격조절수단 및 제2나사부재(52) 및 제2암나사부재(54)를 포함하는 제2간격조절수단의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가 배관(2)에 가해지거나 배관(2)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감쇄시키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배관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배관(2)의 유동되는 유체의 온도가 상온보다 고온일 경우, 상온 상태의 배관(2)은 반경 방향으로 일정 비율만큼 열팽창하게 된다.
이때, 배관(2)의 열팽창에 의하여 발생되는 외력은 배관(2)에 접하는 제2지지부(20)로 전달되며, 상기 외력에 대응되는 간격(h3)만큼 제2지지부(2)는 상기 제1방향(D1)으로 이동된다. 상기 간격(h3)은 상기 외력을 스프링 부재(40)들의 탄성 계수로 나눈 값에 대응된다.
즉, 제2지지부(20)는 스프링 부재(40)에 의해 상기 제2방향(D2)으로 가해지는 힘 및 배관(2)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D1)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서, 제1판(21)과 제2판(22)의 간격(h1)과 나사부재(51,52)의 머리부(511,521)의 높이(h2)의 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어, 상기 외력을 감쇄시킨다.
상기 외력이 감쇄됨에 따라서 배관(2)이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배관 지지 장치(1)에 의한 지지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서, 배관 지지 장치(1)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관(1)의 지지 위치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 지지 장치(1)의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이 배관(2)의 열팽창에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따라서 가변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선체(60)로부터 배관(10)으로 전달되는 힘 또는 배관(10) 내부에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서 배관(10)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진동에 따라서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간격이 가변되어 배관(2)을 지지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박의 배관(2)과 접촉되어 배관(2)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장치(1)의 일부가 선체(60)와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 수단으로부터 탄성 가압력을 제공받음으로써, 배관(10)으로부터 또는 배관(10)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관(10)이 파손되지 않도록 배관(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배관 지지 장치 2 : 배관
10 : 제1지지부 20 : 제2지지부
51, 52 : 나사부재 40 : 스프링부재
60 : 선체

Claims (6)

  1.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배관과 접촉하여 그 배관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관에 대해 상기 제1지지부로 이격되는 방향인 제1방향 및 그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암나사부와,
    일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으로의 통과가 방지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는 2세트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재들은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있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압력이 작용되는 제1판;
    상기 제1판과 상기 배관 사이에 상기 제1판에 대해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판; 및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 사이에 상기 나사부재의 상기 머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간격은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및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간격과 상기 나사부재의 머리의 높이의 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배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의 원호형 단면을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돌출부들에 고정되는 상기 배관이 접촉되는 배관 지지판;을 구비하는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20100106020A 2010-10-28 2010-10-28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24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20A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20A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26A KR20120044626A (ko) 2012-05-08
KR101240612B1 true KR101240612B1 (ko) 2013-03-06

Family

ID=4626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20A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6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KR102121689B1 (ko) * 2019-03-14 2020-06-10 최락현 배관지지장치
KR102229241B1 (ko)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20220001235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KR102632499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59B1 (ko) * 2013-07-12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200484985Y1 (ko) * 2013-10-10 2017-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동성 수평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또는 덕트의 지지장치
KR200486620Y1 (ko) * 2013-10-17 2018-06-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량물 가이드 장치
JP6554213B1 (ja) * 2018-07-25 2019-07-3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ケミカルタンカーマニホールド用スライディングプレート
CN113120173B (zh) * 2021-05-27 2022-05-24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软管吊座架及油船
KR102475903B1 (ko) * 2021-12-16 2022-12-09 주식회사 제이유테크기술사사무소 높이 조절이 용이한 파이프 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455A (ja) * 2008-12-02 2010-06-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配管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455A (ja) * 2008-12-02 2010-06-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配管支持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KR102121689B1 (ko) * 2019-03-14 2020-06-10 최락현 배관지지장치
KR102229241B1 (ko)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KR20220001235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KR102489025B1 (ko)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고정 새들
KR102632499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26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612B1 (ko)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101936382B1 (ko) 이중 배관의 지지체
WO2016208478A1 (ja) アキュムレータ
KR100931545B1 (ko)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KR101948112B1 (ko)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KR101942265B1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EP2402636A1 (en) Device for supporting industrial pipelines
CN204785099U (zh) 带有缓冲拉伸碟簧的防振支架
JP5941433B2 (ja) コンポーネントの動き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JP5674335B2 (ja) 支持手段
JP4585414B2 (ja) 振動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2019044861A (ja) ボルト連結具
KR101479121B1 (ko) 수격 방지 장치
CN105526412A (zh) 一种手轮的抬高装置及具有该抬高装置的阀门
KR20210001817U (ko) 지그장치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KR101775473B1 (ko) 진동 저감 장치
KR20150000771U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설치 조립체
JP4343156B2 (ja) 減温管
KR101507149B1 (ko)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 지지구조체
RU220178U1 (ru) Опорный узел сотовой панели
KR101422595B1 (ko) 액화물 저장 탱크의 멤브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