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689B1 - 배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689B1
KR102121689B1 KR1020190029175A KR20190029175A KR102121689B1 KR 102121689 B1 KR102121689 B1 KR 102121689B1 KR 1020190029175 A KR1020190029175 A KR 1020190029175A KR 20190029175 A KR20190029175 A KR 20190029175A KR 102121689 B1 KR102121689 B1 KR 10212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platform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락현
Original Assignee
최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락현 filed Critical 최락현
Priority to KR102019002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providing constant supporting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관을 지지하여, 하측으로 처지거나 배관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는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40)가 배관(1)을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배관(1)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가 배관(1)의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1)의 진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지지장치{pipe supporter}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관을 지지하여, 하측으로 처지거나 배관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배관은 여러개의 관을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거나, 배관을 상호 끼움결합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배관은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관의 경우, 행거 등을 연결하여 배관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행거는 설치가 복잡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배관을 지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80238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관을 지지하여, 하측으로 처지거나 배관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대(20)의 관통공(21)에 나사결합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20)의 둘레면에는 상기 장공(12)을 통해 지지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출부(23)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13)이 표시되어, 상기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된 배관(1)이 하측으로 처져서 지지대(40)가 하강될 경우, 관리자가 상기 눈금(13)을 읽어서 배관(1)이 처진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나사축(50)과, 하측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61)이 상기 나사축(50)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는 오목홈(62)이 형성된 지지블록(60)과,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60)의 오목홈(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측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된 가압부재(70)와, 상기 지지블록(6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70)가 하강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40)가 정해진 높이 이상 하강될 경우 상기 가압부재(70)의 고정을 해제하여 가압부재(70)가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잠금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80)은 상기 오목홈(6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63)에 오목홈(62)의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시 선단부가 상기 가압부재(70)의 걸림턱(61)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며 상면에는 랙기어(81a)가 형성된 래칫볼트(81)와, 상기 지지블록(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랙기어(81a)에 치합된 구동기어(82)와, 상기 지지블록(6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공(6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82)에 치합되는 랙기어(83a)가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블록(6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푸쉬바(83)와, 상기 푸쉬바(83)의 하측에 구비되어 푸쉬바(8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보조스프링(84)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40)가 하강되어 상기 푸쉬바(83)를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푸쉬바(83)에 의해 구동기어(82)가 회전되면서 래칫볼트(8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래칫볼트(81)와 가압부재(7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70)가 상승되어, 상기 지지대(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는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40)가 배관(1)을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배관(1)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가 배관(1)의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1)의 진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승강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잠금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배관(1)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는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케이스(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에는 사각형의 고정판(1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11)을 상기 배관(1)의 하측에 위치된 바닥면(2)이나 받침대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에는 중앙부에 관통공(14a)이 형성된 상판(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공(12)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양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대(20)는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형태에 대응되는 원형의 링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1)에는 나사산(22)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장공(12)을 통해 지지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출부(23)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13)이 표시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이 상기 승강대(2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승강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지지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대(20)의 관통공(21)에 나사결합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를 이용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241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2)은 상기 연장부(41)에 비해 지름이 큰 원판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케이스(10)를 상기 배관(1) 하측의 바닥면(2)이나 받침대의 상면에 올려놓고, 상기 지지대(40)를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1)과 연장부(41)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대(40)가 승강되어, 지지대(40)의 상면이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이 하강되면, 상기 탄성부재(30)가 압축되면서, 상기 지지대(40)와 승강대(20)가 하강되어, 상기 배관(1)을 적절한 힘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20)가 하강되면 상기 돌출부(23)가 하강됨으로, 관리자는 상기 눈금(13)을 읽음으로써, 배관(1)이 하강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지지장치는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40)가 배관(1)을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배관(1)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가 배관(1)의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1)의 진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대(20)의 관통공(21)에 나사결합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40)를 회전시켜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높이에 설치된 배관(1)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20)의 둘레면에는 상기 장공(12)을 통해 지지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출부(23)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13)이 표시됨으로, 상기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된 배관(1)이 하측으로 처져서 지지대(40)가 하강될 경우, 관리자가 상기 눈금(13)을 읽어서 배관(1)이 처진 높이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관리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배관(1)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나사축(50)과, 하측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61)이 상기 나사축(50)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는 오목홈(62)이 형성된 지지블록(60)과,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60)의 오목홈(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측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된 가압부재(70)와, 상기 지지블록(6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70)가 하강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40)가 정해진 높이 이상 하강될 경우 상기 가압부재(70)의 고정을 해제하여 가압부재(70)가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잠금수단(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블록(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대(40)의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나사축(50)에 결합되어, 지지블록(60)을 회전시키면, 나사축(50)의 나사착용에 의해 지지블록(60)이 승강되어, 지지블록(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80)은 도 9에 ??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6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63)에 오목홈(62)의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시 선단부가 상기 가압부재(70)의 걸림턱(61)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며 상면에는 랙기어(81a)가 형성된 래칫볼트(81)와, 상기 지지블록(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랙기어(81a)에 치합된 구동기어(82)와, 상기 지지블록(6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공(6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82)에 치합되는 랙기어(83a)가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블록(6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푸쉬바(83)와, 상기 푸쉬바(83)의 하측에 구비되어 푸쉬바(8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보조스프링(84)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60)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공(63)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공(63)과 연통되는 공간부(65)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82)는 상기 공간부(6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공(64)은 상기 공간부(65)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82)는 둘레면이 상기 래칫볼트(81)와 푸쉬바(83)의 랙기어(81a,83a)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측방향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쉬바(83)는 상단의 높이가 상기 잠금수단(80)에 의해 하강되도록 고정된 가압부재(70)의 상단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길이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대(40)가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배관(1)이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하강될 경우, 상기 지지대(40)가 하강되면서 배관(1)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이 과도하게 하강되어 지지지대(40)의 지지판(42)이 상기 푸쉬바(83)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푸쉬바(83)에 의해 구동기어(82)가 회전되면서 래칫볼트(8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래칫볼트(81)와 가압부재(70)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러한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70)가 상승되어, 상기 지지대(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배관(1)이 상기 탄성부재(30)와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 함께 지지되어, 배관(1)이 더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지지장치는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나사축(50)과, 하측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61)이 상기 나사축(50)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는 오목홈(62)이 형성된 지지블록(60)과,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60)의 오목홈(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측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된 가압부재(70)와, 상기 지지블록(6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70)가 하강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40)가 정해진 높이 이상 하강될 경우 상기 가압부재(70)의 고정을 해제하여 가압부재(70)가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잠금수단(8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배관(1)이 과도하게 하측으로 처질 경우, 상기 탄성부재(30)와 압축코일스프링(72)이 함께 배관(1)을 지지함으로써, 배관(1)이 과도하게 하측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케이스 20. 승강대
30. 탄성부재 40. 지지대

Claims (3)

  1. 지지케이스(1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승강대(20)와,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승강대(20)에 결합되며 배관(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대(20)의 관통공(21)에 나사결합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4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20)의 둘레면에는 상기 장공(12)을 통해 지지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출부(23)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13)이 표시되어,
    상기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된 배관(1)이 하측으로 처져서 지지대(40)가 하강될 경우, 관리자가 상기 눈금(13)을 읽어서 배관(1)이 처진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나사축(50)과,
    하측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61)이 상기 나사축(50)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는 오목홈(62)이 형성된 지지블록(60)과,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60)의 오목홈(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측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된 가압부재(70)와,
    상기 지지블록(6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70)가 하강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40)가 정해진 높이 이상 하강될 경우 상기 가압부재(70)의 고정을 해제하여 가압부재(70)가 지지대(40)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잠금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80)은
    상기 오목홈(6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63)에 오목홈(62)의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시 선단부가 상기 가압부재(70)의 걸림턱(61)의 상단에 걸리도록 되며 상면에는 랙기어(81a)가 형성된 래칫볼트(81)와,
    상기 지지블록(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랙기어(81a)에 치합된 구동기어(82)와,
    상기 지지블록(6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공(6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82)에 치합되는 랙기어(83a)가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블록(6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푸쉬바(83)와,
    상기 푸쉬바(83)의 하측에 구비되어 푸쉬바(8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보조스프링(84)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40)가 하강되어 상기 푸쉬바(83)를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푸쉬바(83)에 의해 구동기어(82)가 회전되면서 래칫볼트(8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래칫볼트(81)와 가압부재(7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70)가 상승되어, 상기 지지대(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KR1020190029175A 2019-03-14 2019-03-14 배관지지장치 KR10212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75A KR102121689B1 (ko) 2019-03-14 2019-03-14 배관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75A KR102121689B1 (ko) 2019-03-14 2019-03-14 배관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689B1 true KR102121689B1 (ko) 2020-06-10

Family

ID=7108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175A KR102121689B1 (ko) 2019-03-14 2019-03-14 배관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9921A (zh) * 2021-04-16 2021-08-27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l型主辅簧恒力弹簧支吊架
KR20220001235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80B1 (ko) * 2006-01-17 200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하는 배관 서포트장치
KR101240612B1 (ko) *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802385B1 (ko) 2015-08-31 2017-11-2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80B1 (ko) * 2006-01-17 200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하는 배관 서포트장치
KR101240612B1 (ko) *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1802385B1 (ko) 2015-08-31 2017-11-2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35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CN113309921A (zh) * 2021-04-16 2021-08-27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l型主辅簧恒力弹簧支吊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689B1 (ko) 배관지지장치
US20190331566A1 (en) Bearing System for Rock Mechanics Test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Multi-Field Coupling in Deep Earth
CN202012712U (zh) 平板电视的壁挂装置
CN109346032B (zh) 一种用于钢琴脚轮的安装设备
KR20170104680A (ko) 테이블 리프트
CN213445918U (zh) 一种建筑机械施工塔式起重机塔身结构
CN116296841A (zh) 脚手架竖向极限稳定承载能力试验装置及方法
CN210530368U (zh) 一种伸缩式建筑施工卸料平台
US20200046133A1 (en) Stop Structure for Mattress of Electric Bed
JP2002120094A (ja) 開先合せ用架台
US4197795A (en) Press operating mechanism
CN208644499U (zh) 一种用于激光焊接的压合夹具装置
KR102055251B1 (ko) 농업용 대차 레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장치
CN206265379U (zh) 一种化纤打包机的承压底座
CN112504206A (zh) 一种用于轴承自检的装置
CN113491397B (zh) 悬挂式置物架的支撑柱
KR20100104210A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출몰식 연설탁자
CN205994082U (zh) 一种双层床的上床板与下床板的连接结构
CN205714042U (zh) 一种一体式钻头上卸扣装置
CN219933407U (zh) 一种千斤顶固定架
CN215488412U (zh) 抗震支架布点载荷自动测算系统
CN213741629U (zh) 一种墙体与承重柱连接的预埋抗震支架
KR20150001000U (ko) 선박 블록 받침 기구
CN208439264U (zh) 一种室内用智能家具搬运装置
CN214104106U (zh) 一种窗帘的免打孔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