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37B1 - 온실용 지주 조립체 - Google Patents

온실용 지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37B1
KR101561437B1 KR1020150043122A KR20150043122A KR101561437B1 KR 101561437 B1 KR101561437 B1 KR 101561437B1 KR 1020150043122 A KR1020150043122 A KR 1020150043122A KR 20150043122 A KR20150043122 A KR 20150043122A KR 101561437 B1 KR101561437 B1 KR 10156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astening
column
pile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4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용 기둥 또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주 조립체로서, 땅 속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말뚝 부재와,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는 그 원주면에 나사 홈을 갖는 다수의 체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체결부로 눌러서 고정시킴으로써, 기둥 또는 프레임과 말뚝을 가변적으로 연결해서 결합할 수 있고, 말뚝의 깊이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실용 지주 조립체{Support assembly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용 지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땅 속에 고정되어 온실의 프레임 혹은 기둥을 지지하는 지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은 일반적으로 골조 구조로 시공되며, 지붕과 벽체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로는 기둥이나 말뚝 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온실용 말뚝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단순한 원뿔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말뚝을 땅 속에 박거나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말뚝에 기둥이나 프레임을 체결하고 고정함으로써, 온실의 기초 구조가 완성된다.
종래의 온실용 지주 말뚝의 일례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4041호(특허문헌 1)에 의하면, 지주 파이프가 삽입되는 말뚝 몸체의 상부에 지주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설치된 볼트부 및 조임 캡과, 볼트부와 조임 캡 사이에 설치된 실링 부재와, 말뚝 몸체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 환형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지주 파이프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지주 말뚝을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783호(특허문헌 2)에 의하면, 지주 하단에 플라스틱재의 말뚝을 결합하고, 말뚝보다 직경이 큰 별도의 보강 디스크를 말뚝에 결합하여 땅 속에 매립함으로써, 보강 디스크의 지지력에 의해 말뚝이 뽑히거나 침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지주 말뚝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리 온실과 같이 프레임이나 기둥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스파이럴 강관 말뚝 등을 사용하여 온실의 기초를 더욱 견고하게 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5601호(특허문헌 3)에 의하면, 진동과 소음이 없이 원활하게 매설할 수 있는 스파이럴 강관 말뚝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실용 기초 구조들은 매립 고정된 말뚝에 대해 기둥의 방향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말뚝의 깊이도 조절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기둥의 방향이 조절 가능하도록 기둥과 말뚝의 결합 부분에 공간적인 여유를 주는 경우에는 결합력이 떨어져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말뚝과 기둥을 더욱 안정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방향이나 깊이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온실용 지주 조립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4404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73783호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0-001560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온실용 기초 구조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 또는 프레임과 말뚝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 기둥의 방향이나 말뚝의 깊이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온실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실용 지주 조립체는 기둥 또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주 조립체로서, 땅 속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말뚝 부재와,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끼울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사 홈을 갖는 다수의 체결 구멍이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체결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몸통부에 접합되고 평판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의 체결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 구멍을 통해 상기 기둥 또는 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의 체결 구멍은,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 부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측에 접합되는 돌출 나사부로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하는 원호형의 패드부가 접합되고, 상기 원호형의 패드부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 부재는 그 하단부가 스파이럴 형태인 강관 말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에는, 말뚝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 조립체는 반원통의 양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수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말뚝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뚝지지 부재의 체결부가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싸서 체결함으로써, 상기 말뚝지지 부재가 상기 말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의 표면이 상기 말뚝 부재가 매립된 지면을 눌러서 상기 말뚝 부재가 지면 아래로 침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실용 지주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말뚝이 매립 고정된 상태에서 기둥의 연결부를 통해 기둥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기초 시공을 확실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넓은 면적을 갖는 원호형 패드를 이용하여 기둥의 연결부와 말뚝을 접착 고정하고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기둥과 말뚝을 결합할 수 있다.
셋째, 간단한 구조의 핸들을 이용하여 말뚝의 매립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 작업이 편리하다.
넷째, 기둥과 말뚝이 고정 결합된 이후에도, 연결부를 조절하여 기둥과 말뚝의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기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기초 시공에서 유지 보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말뚝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지반에 매립된 말뚝이 더 이상 침하하지 않고 일정한 매립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고 정밀한 온실 기초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서 말뚝 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서 연결 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지주 조립체의 연결 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서 연결 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부가 장착된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서 연결 부재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가 온실용 기둥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서의 말뚝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지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지주 조립체는 온실의 기둥 또는 프레임(이하, 기둥이라고 통칭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땅 속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말뚝 부재(100)와,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연결 부재(200)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뚝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스파이럴 형태인 강관 말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에는 관통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10)에 막대 형태의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여 말뚝 부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핸들을 이용하여 말뚝 부재(100)를 회전시킴으로써 말뚝 부재(100)를 땅속에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뚝 부재(100)와 기둥(40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매립 깊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200)는 온실의 기둥(400)과 말뚝 부재(1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말뚝 부재(100)에 연결되는 몸통부(210)와, 몸통부(210)와 말뚝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220)와, 기둥(400)에 연결되는 머리부(230)로 구성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연결 부재(200)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몸통부(210)는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원주면에 다수의 체결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구멍(211)은 그 내면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체결부(220)는 나사 머리를 갖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 구멍(211)과 체결부(220)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를 눌러서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체결 구멍(211)이 몸통부(210)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둥의 직경이나 하중 등에 따라 그 개수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220)가 체결되는 부분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체결 구멍(211)이 몸통부(210)의 외주면 측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몸통부(210)의 외주면 측에 돌출 나사부(212)를 더 접합시켜 체결 구멍(211)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돌출 나사부(212)는 통상적인 너트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몸통부(210)에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220)가 체결 구멍(211)과 돌출 나사부(212)에 모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220)가 더욱 견고하게 몸통부(2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말뚝 부재(100)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 부재(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체결부(220)와 체결 구멍(211) 사이에 와셔(washer)(221)를 추가적으로 끼워 넣을 수도 있다.
한편, 연결 부재(200)의 변형례로서,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와 연결 부재(200)의 접촉 면적을 더 넓힐 수 있는 체결부(240)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원호형 패드부(241)를 갖는 체결부(24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체결부(240)가 장착된 연결 부재(200)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체결부(240)의 일단에는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일 수 있게 하는 원호형의 패드부(241)가 접합된다. 원호형의 패드부(241)는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패드부(241)와 말뚝 부재(100)의 밀착력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체결부(240)는, 도 4에 나타낸 체결부(220)와는 달리,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나사 머리가 없는 볼트 형태(A)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체결 부(240)의 일단에 패드부(241)가 접합되어 있으므로, 체결부(220)를 몸통부(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체결부(240)의 타단이 나사 머리를 갖지 않도록 하고, 별도의 너트(242)로서 체결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 7에 나타낸 또 다른 변형례와 같이, 연결 부재(200)를 제작할 때에, 나사 머리를 갖는 체결부(250)를 몸통부(210)의 체결 구멍(211)에 미리 삽입하고 패드부(251)를 접합하여, 체결부(250)가 몸통부(210)에서 착탈이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 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둥(400)에 연결되는 머리부(2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통부(220)에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머리부(230)는 표면에 다수의 체결 구멍(231)을 가지며, 체결 구멍(231)을 통해 기둥(40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부(230)가 2개의 체결 구멍(231)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체결 구멍(231)에 나사 홈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가 온실의 기둥(4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조립체에 의하면, 연결 부재(200)를 통해 기둥(400)의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하면서도, 말뚝 부재(100)와 기둥(400)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기초 시공을 확실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기둥(400)이 고정 결합된 이후에도, 연결 부재(200)의 체결부(220, 230, 250)를 조절하여, 연결 부재(200)와 말뚝 부재(100)의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초 시공 이후에도 기둥(400)의 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온실의 기초 시공에서 유지 보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지주 조립체가 시공된 후에, 지반에 매립된 말뚝 부재(100)가 침하되어 안정된 온실 구조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침하는 지반이 연약한 경우에 많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주 조립체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말뚝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낸 말뚝지지 부재(300)는 반원통 형상으로서 그 양단 부분이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는 체결부(310)와, 체결부(310)와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말뚝지지 부재(3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체결부(310)가 말뚝 부재(100)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싸서 말뚝 부재(10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310)에 형성된 체결 구멍(311)에 볼트 등으로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말뚝지지 부재(300)가 말뚝 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말뚝 부재(100)에 고정 결합된 말뚝지지 부재(300)는, 그 지지부(320)의 표면이 지면에 맞닿아서 말뚝 부재(100)가 지면 아래로 침하되지 않게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말뚝 부재(100)는 일정한 매립 깊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온실의 기초 시공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지주 조립체는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텐트나 천막과 같은 소형 구조물부터 건물이나 시설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시공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말뚝 부재 110: 관통 구멍
200: 연결 부재 210: 몸통부
211: 체결 구멍 212: 돌출 나사부
220, 240, 250: 체결부 221: 와셔
241, 251: 원호형 패드부 242: 너트
230: 머리부 231: 체결 구멍
300: 말뚝지지 부재 310: 체결부
311: 체결 구멍 320: 지지부
400: 기둥

Claims (7)

  1. 기둥 또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주 조립체로서,
    땅 속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말뚝 부재와,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끼울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사 홈을 갖는 다수의 체결 구멍이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체결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몸통부에 접합되고 평판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의 체결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 구멍을 통해 상기 기둥 또는 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체결 구멍은,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 부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측에 접합되는 돌출 나사부로 더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하는 원호형의 패드부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의 패드부는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뚝 부재는 그 하단부가 스파이럴 형태인 강관 말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에는, 말뚝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원통의 양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수직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말뚝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말뚝지지 부재의 체결부가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싸서 체결함으로써, 상기 말뚝지지 부재가 상기 말뚝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의 표면이 상기 말뚝 부재가 매립된 지면을 눌러서 상기 말뚝 부재가 지면 아래로 침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조립체.
KR1020150043122A 2015-03-27 2015-03-27 온실용 지주 조립체 KR10156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22A KR101561437B1 (ko) 2015-03-27 2015-03-27 온실용 지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22A KR101561437B1 (ko) 2015-03-27 2015-03-27 온실용 지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37B1 true KR101561437B1 (ko) 2015-10-20

Family

ID=5439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122A KR101561437B1 (ko) 2015-03-27 2015-03-27 온실용 지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23Y1 (ko) * 2015-12-10 2017-06-16 김홍민 지주각도조절식 침하방지구
RU195659U1 (ru) * 2019-11-21 2020-02-0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5664U1 (ru) * 2019-11-21 2020-02-0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6019U1 (ru) * 2019-11-28 2020-02-1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6025U1 (ru) * 2019-11-28 2020-02-14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041Y1 (ko) 2008-02-18 2009-04-03 최명근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041Y1 (ko) 2008-02-18 2009-04-03 최명근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23Y1 (ko) * 2015-12-10 2017-06-16 김홍민 지주각도조절식 침하방지구
RU195659U1 (ru) * 2019-11-21 2020-02-0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5664U1 (ru) * 2019-11-21 2020-02-0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6019U1 (ru) * 2019-11-28 2020-02-13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RU196025U1 (ru) * 2019-11-28 2020-02-14 Петр Сергеевич Москвитин Свайная опора для теплиц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437B1 (ko) 온실용 지주 조립체
US9422710B2 (en) Method for attaching flooring to a drain assembly
ES2211833T3 (es) Unidad de montaje compuesto por un elemento estructural y, al menos, un tornillo.
JP2017031584A (ja) 鉄筋支持具および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用鉄筋の設置方法
JP5752389B2 (ja) 他物固定具
JP3194864U (ja) 高さ調整式杭
JP4346044B2 (ja) 斜面安定装置
JP2006207286A (ja) 芯出し機能付き螺旋杭
JP5747053B2 (ja) 基礎杭及び支持基礎体
US10519686B2 (en) Supporting post improvements
KR101984006B1 (ko) 링 파일
JP5409436B2 (ja) 建物基礎用金具および建物基礎構造
JP2010090702A (ja) 建築用ファスナー
KR20110000536U (ko) 입상 배관파이프 지지장치
JP2007285016A (ja) アンカーボルト装置
KR200482379Y1 (ko) 동바리
KR101743162B1 (ko) 비대칭 너트를 이용한 앵커볼트 고정구
JP6255195B2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用支持体
JP5437856B2 (ja) 柱梁接合構造
JP3197391U (ja) 高さ調整式杭
JP2020147988A (ja) ボルト支持ユニット
JP3094728U (ja) 床 束
JP5956019B2 (ja) 他物固定具
JP5956018B2 (ja) 他物固定具
JP2015105533A (ja) 他物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