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41Y1 -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41Y1
KR200444041Y1 KR2020080002128U KR20080002128U KR200444041Y1 KR 200444041 Y1 KR200444041 Y1 KR 200444041Y1 KR 2020080002128 U KR2020080002128 U KR 2020080002128U KR 20080002128 U KR20080002128 U KR 20080002128U KR 200444041 Y1 KR200444041 Y1 KR 200444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body
holding
pipe
bolt portion
tight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근
Original Assignee
최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근 filed Critical 최명근
Priority to KR2020080002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말뚝몸체(10); 말뚝몸체(10)와;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볼트부(20)와; 볼트부(2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조임캡(30)과; 볼트부(20)와 조임캡(30)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0) 사이를 실링함과 동시에 그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실링부재(40)와;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A vinyl house pos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란, 각종 농작물을 외부의 기온에 상관없이 사시사철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금속재질의 지주파이프의 양단을 매립하고, 설치된 지주파이프에 비닐을 덮어씌움으로써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그 내부를 보온함으로서 작물이 자라기에 적절한 온도로 실내온도를 맞추어주고, 이에 따라 겨울철에도 딸기나 참외등 여름철 작물이나, 화훼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 지주파이프에 있어서, 지면에 매립된 부분은 흙과 직접 접촉되고, 또한 빗물등에 의한 요인으로 지주파이프의 표면이 부식된다. 이러한 부식은 지주파이프의 수명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지주파이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흔들리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내구성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오랜시간이 지나더라도 지주파이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주파이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주파이프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지주말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제1실시예는,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말뚝몸체(10); 말뚝몸체(10); 상기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볼트부(20); 상기 볼트부(2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조임캡(30); 상기 볼트부(20)와 조임캡(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0) 사이를 실링함과 동시에 그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실링부재(40); 상기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5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20)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조임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제2실시예는,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말뚝몸체(110); 상기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120a)이 형성된 볼트부(120); 상기 볼트부(120)에 나사결합되어 그 볼트부(120)가 상기 지주파이프(P)를 조여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되는 조임캡(130); 상기 볼트부(120)와 조임캡(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140); 상기 말뚝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10)를 상기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15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120)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조임캡(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에 따르면, 지주파이프가 삽입되는 말뚝몸체와, 말뚝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캡과, 볼트부와 조임캡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재와, 말뚝몸체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오랜시간이 지나더라도 지주파이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주파이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금속성의 지주파이프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파이프를 쉽게 설치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의 시공이 용이해 진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주말뚝의 조립도로, 실링부재가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를 조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제1실시예는, 지면에 매립을 용이하도록 하단부에 원뿔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형성된 말뚝몸체(10)와;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볼트부(20)와; 내주면에 볼트부(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조임캡(30)과; 볼트부(20)와 조임캡(30)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0) 사이를 실링함과 동시에 그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실링부재(40)와;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50)와; 말뚝몸체(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와; 조임캡(30)이 볼트부(20)로부터 역풀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풀림방 지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주파이프(P)는, 비닐하우스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되며, 비나 눈으로부터 보호되고.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말뚝몸체(10)는, 외부로부터 타격이나 힘을 통하여 지면에 박혀지는 것이다. 이러한 말뚝몸체(10)는 산화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예를 들면, PP, PE, PVC등)류 플라스틱 재질로 되며, 전체적으로 기다란 관체 형상을 가진다. 즉 말뚝몸체(10)의 단면은 원형, 사가가형, 육각형, 팔각형등 다각형 형상으로 된다.
이때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지면이 단단하거나 잔돌이 묻혀있을 경우 잘 박혀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말뚝몸체(10)의 단부에 금속재질로 된 뾰족한 캡(미도시)을 씌움으로써 말뚝몸체(10)를 지면에 효과적으로 박을 수 있다.
말뚝몸체(10)의 삽입공(11) 내주면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수직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돌기(11a)는 지주파이프(P)를 삽입공(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말뚝몸체(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볼트부(20)는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그 외주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볼트부(20)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높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이 찰 수 있는 웅덩이에 설치할 경우, 물이 말뚝몸체(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볼트부(20)의 높이를 높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볼트부(20)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로 되고, 조임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역시 다중 나사산 구조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임 캡(30)의 회전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다중 나사산 구조란, 나사산이 2중 또는 3중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만약, 볼트부(20)의 나사산 및 조임캡(30)의 내주면 나사산이 단일 나사산 구조이고, 조임캡(30)을 6 바퀴 회전시켜 볼트부(20)에 결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본원에서와 같이 볼트부(20)의 나사산 및 조임캡(30)의 내주면 나사산이 2 중 나사산 구조일 경우에 3 바퀴, 또는 3중 나사산 구조일 경우 2 바퀴만 회전시키면, 조임캡(30)은 볼트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기술적 의미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시공할 때 지주파이프가 100 개 이상이 사용되고, 이 경우 지주말뚝은 지주파이프의 2 배수인 200 개이상 사용되어야 한다. 이때 조임캡(30)을 볼트부(20)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데, 조임캡(30)의 회전회수를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비닐하우스의 시공 시간 및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조임캡(30)의 내주면의 상단 모서리에는 후술할 실링부재(40)가 지주파이프(P)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내주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재(40)는, 볼트부(20)의 상단과 조임캡(30)의 내주경사면(3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임캡(30)이 볼트부(20)에 강하게 나사결합됨에 따라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실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실링부재(40)는, 고무나 실리콘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실링부재(4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조임캡(30)의 내주경사면(31)에 대향되는 외주경사면(41)이 형성된 구조로 구 현될 수 있다.
저지환형돌기(50)는,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해머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는데, 이때 저지환형돌기(50)는 말뚝몸체(10)에 박히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저지환형돌기(50)는 말뚝몸체(1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이탈방지부(60)는, 말뚝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말뚝몸체(10)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쇄기 형상으로 구현된다.
역풀림방지부(70)는, 조임캡(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풀림방지부(70)는, 조임캡(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와, 조임캡(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가 끼어지는 돌기홈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역풀림방지수단은,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71)와, 조임캡(3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돌기(71)가 끼어지는 돌기홈(72)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지주파이프(P)를 조임캡(30)의 관통공(31) 및 실링부재(40)를 관통한 후, 말뚝몸체(10)의 삽입공(11)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조임캡(30)이 볼트부(20)에 체결되는데, 조임캡(30)이 볼트부(20)에 강하게 체결되면서 조임캡(30)의 내주경사면(31)이 실링부재(40)의 외주경사면(41)을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도 1의 A 방향으로 실링부재(40)가 조여지고, 이에 따라 실링부재(40)는 지주파이프(P)를 압박하여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P)가 말뚝몸 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주말뚝의 조립도로, 실링부재가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를 조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제2실시예는, 지면에 매립을 용이하도록 하단부에 원뿔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말뚝몸체(110)와; 말뚝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120a)이 형성된 볼트부(120)와; 볼트부(120)에 나사결합되어 그 볼트부(120)가 지주파이프(P)를 조여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되는 조임캡(130)과; 볼트부(120)와 조임캡(130)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1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140)와; 말뚝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10)를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150)와; 말뚝몸체(1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60)와; 조임캡(130)이 볼트부(120)로부터 역풀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풀림방지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주파이프(P)는, 비닐하우스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되며, 비나 눈으로부터 보호되고.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말뚝몸체(110)는, 외부로부터 타경이나 힘을 통하여 지면에 박혀지는 것이다. 이러한 말뚝몸체(110)는 산화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예를 들면, PP, PE, PVC등)류 플라스틱 재질로 되며, 전체적으로 기다란 관체 형상을 가진다. 즉 말뚝몸체(11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등 다각형 형상으로 된다.
이때 말뚝몸체(110)를 지면에 박을 때, 지면이 단단하거나 잔돌이 묻혀있을 경우 잘 박혀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말뚝몸체(110)의 단부에 금속재질로 된 뾰족한 캡(미도시)을 씌움으로써 말뚝몸체(110)를 지면에 효과적으로 박을 수 있다.
말뚝몸체(110)의 삽입공(111) 내주면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수직돌기(111a)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돌기(111a)는 지주파이프(P)를 삽입공(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말뚝몸체(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볼트부(120)애는 세로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절개홈,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절개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부(120)는 선단으로 갈수록 전체적인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다. 이 경우, 조임캡(130)의 내주면의 내경은 일정하거나, 조임캡의 내주면이 역테이퍼질 수도 있다.
반대로, 조임캡(130)의 내경이 선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고, 볼트부(120)의 외경이 일정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임캡(130)은 렌치 또는 스패너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너트와 같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한편, 볼트부(120)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로 되고, 조임캡(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역시 다중 나사산 구조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임캡(130)의 회전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다중 나사산 구조란, 나사산이 2중 또는 3중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만약, 볼트부(120)의 나사산 및 조임캡(130)의 내주면 나사산이 단일 나사산 구조이고, 조임캡(130)을 6 바퀴 회전시켜 볼트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본원에서와 같이 볼트부(120)의 나사산 및 조임캡(130)의 내주면 나사산이 2 중 나사산 구조일 경우 3 바퀴, 또는 3중 나사산 구조일 경우 2 바퀴만 회전시키면, 조임캡(130)은 볼트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기술적 의미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시공할 때 지주파이프가 100 개 이상이 사용되고, 이 경우 지주말뚝은 지주파이프의 2 배수인 200 개이상 사용되어야 한다. 이때 조임캡(130)을 볼트부(120)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데, 조임캡(130)의 회전회수를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비닐하우스의 시공 시간 및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실링부재(140)는, 볼트부(120)와 조임캡(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임캡(130)이 볼트부(120)에 강하게 나사결합됨에 따라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실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링부재(140)는, 고무나 실리콘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실링부재(14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의 실링몸체(141)의 상단에 림(142)이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실링몸체(141)는 볼트부(120)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림(142)은 볼트부(1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조임캡(130)의 상단 내주면 모서리측에 위치된다.
저지환형돌기(150), 이탈방지부(160) 및 역풀림방지부(170)의 돌기(71) 및 돌기홈(72)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지주파이프(P)를 조임캡(130)의 관통공(131) 및 실링부재(140)를 관통한 후, 말뚝몸체(110)의 삽입공(111)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조임캡(130)이 볼트부(120)에 체결되는데, 조임캡(130)이 볼트부(120)에 강하게 체결되면서 볼트부(120)가 실링부재(140)를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도 5ㅇ의 A 방향으로 실링부재(140)의 실링몸체(141)가 조여지고, 한편으로 림(142)은 조임캡(130)의 상단 내주면 모서리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40)는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P)를 조여줌으로서 그 지주파이프(P)가 말뚝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주말뚝의 조립도로, 실링부재가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를 조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주말뚝의 조립도로, 실링부재가 실링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주파이프를 조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말뚝몸체 11 ... 삽입공
20 ... 볼트부 30 ... 조임캡
31 ... 내주경사면 40 ... 실링부재
41 ... 외주경사면 50 ... 저지환형돌기
60 .... 이탈방지부 70 ... 역풀림방지부
71 ... 돌기 72 ... 돌기홈
110 ... 말뚝몸체 111 ... 삽입공
120 ... 볼트부 121 ... 절개홈
130 ... 조임캡 140 ... 실링부재
141 ... 실링몸체 142 ... 림
150 ... 저지환형돌기 160 .... 이탈방지부
170 ... 역풀림방지부 171 ... 돌기
172 ... 돌기홈

Claims (14)

  1.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말뚝몸체(10);
    상기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볼트부(20);
    상기 볼트부(2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조임캡(30);
    상기 볼트부(20)와 조임캡(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0) 사이를 실링함과 동시에 그 지주파이프(P)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실링부재(40);
    상기 말뚝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를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5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20)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조임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몸체(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30)의 내주면의 상단 모서리에는 내주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부재(40)에는 상기 내주경사면(31)에 대항되는 외주경사면(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히우스 지주말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30)이 상기 볼트부(20)로부터 역풀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풀림방지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지주말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풀림방지부(70)는,
    상기 조임캡(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조임캡(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50)의 상부면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가 끼어지는 돌기홈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7. 그 내부에 지주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부식방지를 위하여 수지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말뚝몸체(110);
    상기 말뚝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나사산(120a)이 형성된 볼트부(120);
    상기 볼트부(120)에 나사결합되어 그 볼트부(120)가 상기 지주파이프(P)를 조여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파이프(P)가 관통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되는 조임캡(130);
    상기 볼트부(120)와 조임캡(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파이프(P)와 말뚝몸체(11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140);
    상기 말뚝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10)를 상기 지면에 박을 때, 그 말뚝몸체(110)가 지면 내부에 박혀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환형돌기(15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120)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조임캡(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다중 나사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몸체(1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말뚝몸체(110)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120)는, 세로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절개홈(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120)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130)은 선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130)이 상기 볼트부(120)로부터 역풀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풀림방지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풀림방지부(170)는,
    상기 조임캡(1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150)의 상부면중 어느 하나에 형 성되는 돌기와, 상기 조임캡(130)의 하부면과 저지환형돌기(150)의 상부면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가 끼어지는 돌기홈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KR2020080002128U 2008-02-18 2008-02-18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KR200444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28U KR200444041Y1 (ko) 2008-02-18 2008-02-18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28U KR200444041Y1 (ko) 2008-02-18 2008-02-18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041Y1 true KR200444041Y1 (ko) 2009-04-03

Family

ID=4134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128U KR200444041Y1 (ko) 2008-02-18 2008-02-18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41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65B1 (ko) * 2010-05-10 2010-12-31 정해철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골조 지지용 앵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KR200461713Y1 (ko) 2010-04-05 2012-07-31 김근식 농작물 지지봉 설치용 구멍 천공기
KR101184721B1 (ko) 2011-01-19 2012-09-20 이순교 현수막용 파이프 연결구
KR101312713B1 (ko) 2011-12-07 2013-10-01 오종찬 비닐하우스 파이프 지지대
KR200473277Y1 (ko) 2013-03-15 2014-06-20 보경산업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골조 고정구
KR101561437B1 (ko) 2015-03-27 2015-10-20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용 지주 조립체
KR101574633B1 (ko) * 2014-05-09 2015-12-0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우스용 앵커
KR20180067996A (ko) 2016-12-13 2018-06-21 김종화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기둥 및 기둥 시공 방법
KR101877326B1 (ko) * 2016-04-18 2018-07-11 (주)한국스틸파이프 지주 파이프용 말뚝
KR102034408B1 (ko) 2019-04-16 2019-10-18 홍성욱 침하방지 기능을 갖는 온실용 이중 기둥의 시공방법
KR200490898Y1 (ko) * 2019-05-31 2020-01-20 류현광 비닐하우스의 골조 파이프 고정용 조립체
KR20200089837A (ko) * 2019-01-18 2020-07-28 박준환 헬릭스 파일
KR102313950B1 (ko) * 2021-01-14 2021-10-15 임완수 말뚝베이스와 이것을 이용한 말뚝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13Y1 (ko) 2010-04-05 2012-07-31 김근식 농작물 지지봉 설치용 구멍 천공기
KR101003965B1 (ko) * 2010-05-10 2010-12-31 정해철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골조 지지용 앵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KR101184721B1 (ko) 2011-01-19 2012-09-20 이순교 현수막용 파이프 연결구
KR101312713B1 (ko) 2011-12-07 2013-10-01 오종찬 비닐하우스 파이프 지지대
KR200473277Y1 (ko) 2013-03-15 2014-06-20 보경산업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골조 고정구
KR101574633B1 (ko) * 2014-05-09 2015-12-0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우스용 앵커
KR101561437B1 (ko) 2015-03-27 2015-10-20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용 지주 조립체
KR101877326B1 (ko) * 2016-04-18 2018-07-11 (주)한국스틸파이프 지주 파이프용 말뚝
KR20180067996A (ko) 2016-12-13 2018-06-21 김종화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기둥 및 기둥 시공 방법
KR20200089837A (ko) * 2019-01-18 2020-07-28 박준환 헬릭스 파일
KR102325920B1 (ko) * 2019-01-18 2021-11-12 (주)흥덕이앤피 헬릭스 파일
KR102034408B1 (ko) 2019-04-16 2019-10-18 홍성욱 침하방지 기능을 갖는 온실용 이중 기둥의 시공방법
KR200490898Y1 (ko) * 2019-05-31 2020-01-20 류현광 비닐하우스의 골조 파이프 고정용 조립체
KR102313950B1 (ko) * 2021-01-14 2021-10-15 임완수 말뚝베이스와 이것을 이용한 말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041Y1 (ko)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AU2008255277B2 (en) Sealing element
US20090025332A1 (en) Anchoring system for posts
US20090026286A1 (en) Device for supporting in-ground sprinkler heads
JP2011169034A (ja) アンカーキャップ
KR101317332B1 (ko) 체결부재 및 차단부를 구비한 락볼트 및 너트 보호캡
CA2958242A1 (en) Landscape edging stake and method
KR101561437B1 (ko) 온실용 지주 조립체
KR101247565B1 (ko) 부식방지를 위한 밀폐형 캡 너트
KR20080006710U (ko) 이중결합 나사유닛
ES2938656T3 (es) Dispositivo, sistema y método de sellado
KR20050033595A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EP1471206A2 (en) Fastening means, and method for making a casing using such a fastening means.
CN109088368A (zh) 新型电缆管道封堵器
KR200444040Y1 (ko) 인삼밭 지주유니트
JPH0925742A (ja) 支柱の地中貫入支持具
KR100337779B1 (ko) 비닐하우스용 지주 보완재
JP4815520B2 (ja) 定着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安定化構造並びに法面安定化工法
KR20110019013A (ko) 비닐하우스용 지주말뚝
KR200353516Y1 (ko) 비닐하우스용 지주의 녹 방지장치
KR200386826Y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0920770B1 (ko) 인삼밭 지주유니트
KR200372662Y1 (ko) 지주용 캡
KR200227274Y1 (ko)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의 지주 고정장치
KR100500309B1 (ko) 비닐하우스용 프레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