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664B1 -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664B1
KR102402664B1 KR1020200136724A KR20200136724A KR102402664B1 KR 102402664 B1 KR102402664 B1 KR 102402664B1 KR 1020200136724 A KR1020200136724 A KR 1020200136724A KR 20200136724 A KR20200136724 A KR 20200136724A KR 102402664 B1 KR102402664 B1 KR 10240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bracket
support
underground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595A (ko
Inventor
김동순
Original Assignee
김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순 filed Critical 김동순
Priority to KR102020013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6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압이나 지반 부분침하 등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는 암거가 부분침하될 시 상부지지로드가 인입되고, 상부지지로드가 인입된 만큼 하부지지로드가 인출되어 암거의 하면에 대해 지중관이 지지되는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지중관이 휨 변형을 완화할 수 있으며, 암거가 기울게 되더라도 지중관을 지지하는 브라켓 유닛과 지지로드의 각도가 가변되어 지중관에 인가되는 굽힘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underground pipe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압이나 지반 부분침하 등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이 휘어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 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이때, 전선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암거를 지하에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전선을 내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암거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로 굴착된 위치에 연속되게 다수열이 설치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지반침하 내지 지진 등에 의해 암거 주변으로 외력이 작용 시, 구조적인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거 간의 연결부분에 외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되게 배치된 암거들이 상호 다른 높이를 갖는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하여 암거들이 어긋나게 됨에 따라 전선은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연결부분이 파손되어 정전사태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95411 호에는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파형관의 연결부를 감싸며 보호하는 밀착커버와, 일측이 밀착커버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적어도 3개의 탄성지지대와, 탄성지지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밀착커버에서 방사상으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파형관의 연결부를 탄성지지하는 원호형의 이격커버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용 케이블보호관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5638 호에는 내측에 전선이 수용되는 커버부가 상하부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통해 플레이트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구성된 "송배전 케이블의 회수와 내진구조를 갖는 지중 전력구용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보호 장치는 전선의 일부 또는 연결부에 지진 또는 굴착작업으로 인한 외력이 발생할 때 이격커버가 유동하더라도 전선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쇠되어 전선이 일시적으로 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으나 영구적인 부분침하가 발생하여 이격커버가 침하되면 전선이 지지되는 위치 또한 하강하게 됨에 따라 전선의 연결부가 휘는 것을 완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95411 호 : 지중배전용 케이블보호관 연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5638 호 : 송배전 케이블의 회수와 내진구조를 갖는 지중 전력구용 보호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을 지지하는 암거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하강하게 될 시 지중관이 지지되는 위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지중관의 휨 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거가 기울어짐에 따라 지중관이 지지되는 각도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중관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지중관이 내재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암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암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할 시 하강되는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지중관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암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인입홈에 장착되되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상기 지중관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승강지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에 각각 장착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중 하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향되거나 하향되게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기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 시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중광회동간격유지유닛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반 침하시 상기 지중관들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회동 및 승강 보조지지유닛과; 상기 암거의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거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브라켓 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에 의해 격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지중관들 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지중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형성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각 단부에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각각 일부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및 제2클램프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중관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2클램프부가 마주하면서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은 일측이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부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암거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암거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상기 지중관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일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상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상부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브라켓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암거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브라켓유닛을 상승시키는 하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로드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로부터 가압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실린더 및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는 작동유체경유관과, 상기 작동유체경유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부터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암거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암거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로드와,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지지로드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지지로드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 사이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연장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한쌍의 지지실린더와, 각각의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부의 제1 공간 및 하부의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암거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상기 지중관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공간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을 감압되게하는 구획플랜지와, 일측이 상기 지지실린더의 상부의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실린더의 하부의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지지실린더의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작동유체경유관과, 상기 작동유체경유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암거가 기울도록 침하되어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실린더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브라켓 유닛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 유닛을 상기 지지실린더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지지유닛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의 양측부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고정부와, 각 상기 지지실린더에 고정설치되고 마주하는 각 상기 브라켓고정부와 축결합되어 좌우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결합부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유닛은 각 모서리 측에 각각 코너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고정부는 복수개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들 중 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의 상기 코너인입홈에 결합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지지실린더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결합부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몸체와, 각 상기 클램프몸체들의 상호 결합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편들과, 상기 클램프몸체들이 상호 결합되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편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수단들과, 어느 하나의 상기 클램프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블럭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들에 의해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는 암거가 부분침하될 시 지중관침하완화유닛에 의해 암거의 하면에 대해 지중관이 지지되는 위치가 상승됨으로써 지중의 휨변형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는 암거가 기울어짐에 따라 지지로드 및 지지실린더가 기울어지더라도 지지실린더에 대해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는 실린더결합부가 회전함에 따라 브라켓 유닛의 각도가 유지되어 지중관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대한 일부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암거들 중 일부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브라켓 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브라켓 몸체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2 브라켓 몸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으로부터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회동 및 승강보조지지유닛의 제2보조승강부재와 제2 회동부재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유닛에서 전후방측으로 바라본 제1 또는 제2 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9는 회동 및 승강 보조유닛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송배전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가 지반침하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단면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의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의 침화완화유닛 및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회동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암거들 중 일부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한 상태의 도 3의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지중관이 내재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암거(400)들에 각각 설치되며 암거(400)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할 시 지중관(3)을 상승시켜 지중관(3)이 변형되는 것을 완화하고 지중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거(400)는 일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암거(400)는 배치 방향을 따라 내측이 관통되며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중관(3)이 내재될 수 있게 각각의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된 상태이다.
암거(400)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과, 지지대(210,220)와,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과, 회동 및 승강보조지지유닛(600)과, 지중관침하방지유닛(7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지중관(3)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410)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암거(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지중관(3)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중관(3)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며 다수의 지중관(3)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유닛(100) 중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되어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을 지지하는 지지대(210,220)와, 브라켓유닛(100)에 의해 하나의 지중관(3)이 회동하더라도,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지중관(3) 연장방향의 전·후방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중관(3)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향되거나 하향되게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들의 전·후방 측에서 다수의 지중관(3)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유닛(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과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6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의 상하 이동을 보조지지하며, 지중관(3)의 승강에 따라 제1 및 제2지중광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이 승강할 수 있도록 브라켓(1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반 침하시 지중관(3)들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회동 및 승강 보조지지유닛(600)과, 암거(400)의 내측에서 브라켓 유닛(100)을 지지하게 설치되며 암거(400)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암거(400)에 대해 브라켓 유닛(100)을 상승시켜 지중관(3)의 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침하완화유닛(700)을 구비한다.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은 각각 브라켓(110)과, 지중관지지부재(150)와, 승강지지유닛(130)을 각각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룰수 있도록,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와, 하부와 타측부에 각각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에 대응되게 인입형성된 제 및 제2더브테일홈(115,11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110)은 내측에 지중관(3) 연장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112)와,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상호 대응되게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이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110)은 후술되는 승강지지유닛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분리구조를 갖는데,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가 상호 볼트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브라켓(110)은 종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횡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110)은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더브테일부(113), 제2더브테일부(114), 제1더브테일홈(115), 제2더브테일홈(116), 제1관통부(112), 제1인입홈(117), 제2인입홈(118), 코너인입홈(119)이 형성된다.
제1더브테일부(113)는 도 3를 참고하면, 브라켓(11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3a)와, 제2브라켓몸체(110b)의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13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13a)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13a)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면(A)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브라켓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단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13b)는 제1브라켓 몸체(110a)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10b)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13b)는 제1결합돌기(113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113a)와 접촉된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2결합돌기(113a, 113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2더브테일부(114)는 브라켓(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114a)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114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14a)는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14a)는 브라켓(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15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되 제1브라켓몸체의 일측부의 연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4결합돌기(114b)는 제1브라켓 몸체(110a)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4결합돌기(114b)는 제3결합돌기(114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3결합돌기(114a)와 함께 제2더브테일부(114)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5을 참조하면, 제 3 및 제4결합돌기(114a, 114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1더브테일홈(115)은 브라켓(1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결합돌기(113a, 113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0a,110b)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인입부(115a, 115b)에 의해 형성된다. 제2더브테일홈(116)은 브라켓(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3 및 제4결합돌기(114a, 114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0a,110b)의 타측부에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인입부(116a,116b)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는 제1 및 제2더브테일홈(115,116)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더브테일홈(115)과 제2더브테일홈(116)은 제1더브테일부(113)과 제2더브테일부(114)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에 각각 대응되게 코너인입홈(119)까지 연장형성된다.
제1관통부(112)는 브라켓(110)의 내측에 지중관(3)의 연장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브라켓몸체 각 내측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관통공(112a,112b)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브라켓(100)의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측 내주면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인입되어 후술되는 승강지지유닛(130)의 제1 및 승강지지부재(131,135)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가 형성된다.
제1 승강가이드부(121)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좌측단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제2승강가이드부(124)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우측단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1승강가이드부(121)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좌측 내주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에 인접한 측이 좌측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인입부(122)와, 제2브라켓몸체(110b)의 좌측내주면에서 제1브라켓몸체(110a)에 인접한 측에 제1가이드인입부(122)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가이드인입부(123)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2승강가이드부(124)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우측 내주면에서 제2브라켓몸체에 인접한 측이 우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3가이드인입부(125)와, 제2브라켓몸체의 우측내주면에서 제1브라켓몸체에 인접한 측에 제3가이드인입부(125)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4가이드인입부(126)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인입홈(117)은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제1관통부(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인입홈(117)은 제1관통공(112a)의 상방의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서 제1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관통공(112a)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승강가이드부(121)와 제2승강가이드부(124)보다 길게 연장되는 제1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a)와, 제2관통공(112b)의 상방의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의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브라켓몸체인입부(117a)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제2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c)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a,117c)는 제1관통부(112) 관통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하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1탄성부재(1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이탈방지턱(117b,117d)이 각각 형성된다. 제2인입홈(118)은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제1관통부(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제2인입홈(118)은 제1관통공(112a)의 하방의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관통공(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승강가이드부(121)와 제2승강가이드부(124)보다 길게 연장되는 제1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와, 제2관통공(112b)의 하방의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의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제2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c)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118c)는 제1관통부(112) 관통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2탄성부재(145)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 및 제4이탈방지턱(118b,118d)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인입홈(117, 118)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승강지지유닛(130)은 브라켓(110)의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에 장착되되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지중관에 대응되게 후술되는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지반 침하 시 지중관지지부재(15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지지유닛(130)은 제1승강지지부재(131)와, 제2승강지지부재(135)와, 제1탄성부재(141)와, 제2탄성부재(145)를 구비한다.
제1승강지지부재(131)는 상부가 제1인입홈(117)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가 제1관통부(12)로 돌출되되 하면이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상면과 접촉된다.
제1승강지지부재(131)는 상부가 제1인입홈(117)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며 좌우측 단부가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수용되는 제1인입홈장착부(132)와, 제1인입홈장착부(132)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지중관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1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를 구비한다.
제2승강지지부재(135)는 하부가 제2인입홈(118)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가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되 상면이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지지부재(150)의 하면과 접촉된다.
제2승강지지부재(135)는 제1승강지지부재(131)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하부가 제2인입홈(118)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가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며 좌우측단부가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수용되는 제2인입홈장착부(136)와, 제2인입홈장착부(136)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는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형상과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되게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으면,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인입된 형상과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이 인입된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141)은 제1인입홈(117)에 수용되어 제1승강지지부재(13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볼록한 판 스프링이 적용된다. 제2탄성부재(145)는 제2인입홈(118)에 수용되어 제2승강지지부재(135)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볼록한 판 스프링이 적용된다. 제1 및 제2탄성부재(141,145)는 지중관지지부재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좌우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인입홈(119)은 브라켓 유닛(100)의 브라켓(110)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브라켓(110)이 결합시 제1더브테일부(113)가 제1더브테일홈(115)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제2더브테일부(114)가 제2더브테일홈(116)에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코너인입홈(119)은 도 1,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에 상호 대응되는 모서리부분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인입형성된 제1 및 제2 단위코너인입홈(119a,119b)에 의해 형성된다.
브라켓 유닛(100)의 제1 및 제2브라켓 몸체(110a,110b)에는 각 하부 모서리에 코너인입홈(119)에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후술되는 고정블럭(911)이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판결합공(119c)이 각각 형성된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제1 및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137)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지지되게 장착되되,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3)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휨 발생시 지중관간격유지장치(1)에 대한 지중관(3)의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제1관통부(12)에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재(131,135)에 지지되어 내측으로 관통되는 지중관(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내측에 지중관(3)이 관통되어 지지 될 수 있도록 지중관(3) 외경에 대응되는 지중관지지공(152)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지중관지지공(152)의 관통방향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되 제1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의 하면과,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7)의 상면의 호형곡률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중관지지부재(150)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형성되게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제1승강지지부재(131)의 하면과 제2승강지지부재(135)의 상면이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외주면이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3)의 굽힘이나 회전시 외주면이 제1승강지지부재(131)의 하면과 제2승강지지부재(135)의 상면에 가이드 되어 지중관(3)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지중관지지부재(15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지중관지지공(152)에 관통장착된 지중관(3)이 신축되거나 휘어질때 지중관지지부재(150)의 내주면과 지중관(3)의 외주면의 마찰을 줄여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볼플렌지(158)를 구비한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볼플렌지(158)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플렌지(158)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중관지지부재(15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나사결합되는 플렌지몸체부(158a)와, 플렌지몸체부(158a)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플렌지몸체부(158a)의 단부에 일부 돌출되며 지중관의 외주면과 접촉시 구름운동이 가능한 장착되는 볼(158b)을 구비한다.
지지대(210,220)는 도 6를 참조하면 격자 형태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다. 지지대(210,220)는 지중관(3)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100)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들의 각 브라켓(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210)와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 유닛(100)들의 각 브라켓(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분된다.
제1 지지대(210)는 상호 결합된 브라켓(110)의 하부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대(210)는 후술할 하부지지로드(720)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될 수 있게 평평한 하면이 마련된 제1 지지대받침부(211)와, 상부가 제1 및 제2 인입부(115a, 115b)에 결합되도록 제1 지지대고정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 고정부(212)는 제1 및 제2 인입부(115a, 115b)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더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대고정부(212)는 제1 지지대받침부(21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 지지대받침부(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단은 제1 및 제2 인입부(115a,115b)의 형상에 대응되게 확장된 폭을 갖도록 연장형성된다.
제2 지지대(220)는 상호 결합된 브라켓(110)의 상부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대(220)는 후술할 상부지지로드(760)에 의해 하방으로 지지될 수 있게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제2 지지대(220)의 하부는 제1 더브테일부(113)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더브테일부(113)와 대응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지지대결합홈(22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은 지중관(3)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520)와,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520)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동간격유지부재(520)와 함께 지중관(3)을 감싸는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530)를 각각 구비한다.
회동간격유지부재(520)는 상하좌우로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에 의해 격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지중관(3)들 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중관(3)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형성된 링크부(521)와,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된 링크부(521)의 각 단부에 지중관의 외주면을 각각 일부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1클램프부(526)와 제2클램프부(527)를 구비한다.
링크부(521)는 도 1을 참고하면, 'X'자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대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중관(3)들의 이격거리 및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중관(3)들의 이격거리를 고정한다.
복수 개의 제1클램프부(526)는 링크부(521)의 일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로 나란하게 링크부(521) 방향으로 각각 인입형성 되어있다. 복수 개의 제2클램프부(527)는 링크부(521)의 타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나란하게 링크부(521) 방향으로 각각 인입 형성 되어있다.
회동간격부재(520)는 제1클램프부(526)와 제2클램프부(527)가 제2방향에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링크부(521)를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 및 도 8을 참고하면, 격자형태로 배열된 지중관(3)들 중 내측에 위치하는 지중관(3)은 제2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며 결합되는 제1클램프부(526)과 제2클램프부(527)들에 의해 지지된다.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530)는 지중관(3)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회동간격부재(5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클램프부(527)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1클램프부(526)에 각각 결합된다.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530)는 제1 및 제2클램프부(526,527)와 결합시 제2방향으로 링크부(52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장착된다.
제3클램프부재(530)는 양단부에 제1 및 제2클램프부재(526,527)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플랜지부(526a,527a)에 볼트 결합을 위한 제3플랜지부(530a)가 형성된다.
또한, 제3클램프부재(530)는 제1 및 제2클램프부(526,527)와 결합시 제2방향으로 링크부(52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단부에 링크부(52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620,640)의 단부와 결합되는 원형상의 회동부재결합축(531)이 형성된다. 회동부재결합축(531)은 후술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620,640)의 양측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 및 승강보조지지유닛(600)은 제1보조승강부재(610)와, 제1회동부재(620), 제2보조승강부재(630)와, 제2회동부재(640)를 구비한다.
제1보조승강부재(610)는 상하 좌우로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 중 제2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110)에 형성된 제2더브테일부(114)에 슬라이딩 장착가능한 더브테일홈(610a)이 형성되어 브라켓(110)에 대해 승강가능하며, 일측에 후술되는 제1회동부재(620)가 결합된다.
제1회동부재(620)는 제1보조승강부재(610)의 일측에 지중관(3)의 연장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과 타측이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부재(510,560)의 각 일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부재(510,560)의 일측에 위치한 제3클램프부재(530)에 각각 결합된다.
제1회동부재(620)는 제1보조승강부재(610)에 결합되는 중심측이 제1보조승강부재(610)에 결합된 제1힌지축(6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회동부재결합축(531)와 결합을 위한 제1결합축관통공(625)이 각각 형성된다.
제1회동부재(62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 중 일측의 브라켓(110) 단부에 대해 내측에 위치한 제3클램프부재(53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측 단부가 제3클램프부재(530)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형성된다.
제2보조승강부재(630)은 일측에 상하좌우로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의 중 제1보조승강부재(61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방향의 타측 가장자리의 브라켓(110)의 제2더브테일홈(116)에 장착가능한 더브테일(630a)이 형성되어 브라켓(1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에 후술되는 제2회동부재(640)이 결합된다.
제2회동부재(640)는 제2보조승강부재(6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과 타측이 제1회동부재(620)와 나란하게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부재(510,560)의 각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부재(510,560)의 타측에 위치한 제3클램프부재(530)와 결합되어 제1회동부재(620)의 회동 및 승강에 대응되게 구동된다.
제2회동부재(640)는 제2보조승강부재(630)에 결합되는 중심측이 제2보조승강부재(630)에 결합된 제2힌지축(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회동부재결합축(531)과 결합을 위한 제2결합축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제2회동부재(64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100) 중 타측의 브라켓(110)의 단부에 대해 내측에 위치한 제3클램프부재(53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측 단부가 제3클램프부재(530)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된다.
도 1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회동부재(620) 및 제2회동부재(640)의 양측 단부가 제3클램프부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각도를 줄일 수 있도록 회동부재결합축(531)을 관통하여 제3클램프부재(530)와 제1 및 제2회동부재(620,640)의 양측 단부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보조지지부재(6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지지부재(660)는 일측과 타측이 상하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30)에 각각 형성된 회동부재결합축(531)이 각각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회동부재(620,640)의 회동에 따라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과 지중관(3)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제3클램프부재(530)와 제1 및 제2클램프부재(526,527)에 장착되어 지중관(3)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이 가능한 볼을 갖는 볼플랜지(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중관침하완화유닛(700)은 일측이 브라켓 유닛(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부지지실린더(751)와, 일측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부공간에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암거(400)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암거(400)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지중관(3)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부공간에서 일측으로 인입되며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상부지지로드(760)를 포함하는 상부지지부(750)와,일측이 브라켓 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지지실린더(711)와, 일측이 하부지지실린더(711)의 내부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하부지지실린더(711)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암거(400)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하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하부지지실린더(711)로부터 인출되어 브라켓유닛(100)을 상승시키는 하부지지로드(720)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부(710)와, 하부지지실린더(711) 및 상부지지실린더(751)를 상호 연결하여 상부지지로드(760)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유체가 하부지지실린더(711)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되어 하부지지로드(72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작동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한다.
상부지지실린더(751)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이 차단된 원통형상이다. 상부지지실린더(751)는 하부가 제2 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부지지실린더(751)는 제2 지지대(220)와 볼트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지지실린더(751)는 상부에 상부지지로드(760)의 일부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부지지로드(760)는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과 상부지지로드바디(762)로 구분된다. 상부지지로드바디(762)는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지지로드바디(762)는 길이방향의 일측의 일부가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는 상부지지로드바디(762)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지지로드바디(762)의 상단부에는 상부지지로드바디(762)의 연장방향을 따라 더 큰 외경을 갖게 연장형성되어 상부지지로드바디(762)로부터 암거(400)의 내측 상면에 인가되는 지중관(3)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상부받침판재(76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받침판재(763)는 암거(400)와 볼트결합되어 브라켓 유닛(100)이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실린더(751)의 내부공간은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지지로드(761)의 상부에서 상부지지로드바디(762)가 인입됨에 따라 확장되며 내부가 감압되는 제1 공간(753)과,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부지지로드바디(762)가 인입됨에 따라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에 의해 가압되는 제2 공간(754)으로 구획된다. 상부지지실린더(751)는 상부 외측에 제1 공간(753)과 연통되어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이 연결될 수 있는 제1 작동유체연결구(미도시)와, 하부 외측에 제2 공간(754)과 연통되어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이 연결되는 제2 작동유체연결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부지지부(750)는 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유압유 또는 가스의 공급에 따라 실린더가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된 공지의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하부지지실린더(711)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이 차단된 원통형상이다. 하부지지실린더(711)는 상부가 지1 지지대받침부(21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지지실린더(711)는 제1 지지대받침부(211)와 볼트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하부지지실린더(711)는 하부에 하부지지로드(720)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 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하부지지로드(720)는 하부지지로드피스톤(721)과 하부지지로드바디(722)로 구분된다. 하부지지로드바디(722)는 하부지지실린더(7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지지로드바디(722)는 길이방향의 일측의 일부가 하부지지실린더(711)의 관통공을 통해 하부지지실린더(7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게 결합된다. 하부지지로드피스톤(721)은 하부지지로드바디(722)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부지지실린더(72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부지지실린더(72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지지로드바디(722)의 하단부에는 하부지지로드바디(722)의 연장방향을 따라 더 큰 외경을 갖게 연장형성되어 하부지지로드바디(722)로부터 암거(400)의 내측 하면에 인가되는 지중관(3)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부받침판재(72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판재(723)는 암거(400)와 볼트결합되어 브라켓 유닛(100)이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실린더(711)의 내부공간은 하부지지로드피스톤(721)에 의해 구획된다.
하부실린더(711)의 내부공간은 하부지지로드피스톤(721)의 상부에서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을 통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2 공간(754)와 연결되어 내부에 작동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부피가 확장되며 하부지지로드(720)를 가압 인출시키는 제3 공간(713)과, 하부지지로드피스톤(721)의 하부에서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을 통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1 공간(753)과 연결되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1 공간(753)이 감압됨에 따라 내부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4 공간(714)로 구획된다.
이를위해 하부지지실린더(711)는 하부 외측에 제4 공간(714)과 연통되어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이 연결될 수 있는 제4 작동유체연결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부 외측에 제3공간(713)과 연통되어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이 연결될 수 있는 제3 작동유체연결구(미도시)가 형성된다.
하부지지부(710)은 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유압유, 또는 가스의 공급에 따라 실린더가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된 공지의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작동부는 상부지지로드(760)가 인입됨에 따라 상부지지실린더(751)로부터 가압배출되는 작동유체가 하부지지실린더(7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부지지실린더(711) 및 상부지지실린더(751)을 상호 연결하는 작동유체를 형성하는 작동유체경유관(780)과, 작동유체경유관(780)에 설치되어 작동유체가 하부지지실린더(711)로부터 상부지지실린더(75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785)를 포함한다.
작동유체경유관(780)은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2 공간(754)과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3 공간(713)을 연결하여 제2 공간(754)이 압축 및 가압됨에 의해 제2 공간(754)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제3 공간(713)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과,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1 공간(753)과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4 공간(714)을 연결하여 제1 공간(753)이 확장 및 감압됨에 의해 제4 공간(714)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제1 공간(753)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으로 구분된다.
제1 및 제2 작동유체경유관(781,782)은 내부식성 금속 튜브 또는 가요성 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785)는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 또는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에 설치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785)는 작동유체가 일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되, 그 역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은 차단하는 공지의 체크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역류방지밸브(785)는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에서 작동유체가 제2 공간(754)으로부터 제3 공간(713)으로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되 제3 공간(713)으로부터 제2 공간(754)으로 유동하는 것은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에서 제 4공간(714)으로부터 제1 공간(753)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되 제1 공간(753)으로부터 제4 공간(714)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750)가 브라켓 유닛(100)의 상부 양측에 한쌍이 설치되고, 하부지지부(710)가 브라켓 유닛(100)의 하부 양측에 한쌍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토압이 가중되거나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되지 않는 지중관(3)이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지중관(3)이 하방으로 휘어질 때, 브라켓유닛(100)에 장착된 지중관지지부재(150)가 지중관(3)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브라켓유닛(100)의 지중관(3)의 외주면에 발생 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써 지중관(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하나의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되더라도,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에 의해 지중관지지부재(150)의 회동방향에 따라 격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지중관(3)들이 동시에 상향되거나 하향하게 되므로, 지중관들이 상향 또는 하향시에도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1)는 회동 및 승강 보조지지유닛(600)에 의해 제1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이 상승되거나 하향되는 이동거리만큼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60)이 하향되거나 상승이 유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승강지지유닛(130)에 의해 지중관(3)이 상하방향으로 탄성있게 지지되므로, 지반 침하시 제2탄성부재(145)는 이완되고, 제1탄성부재(141)가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지중관지지부재(150)가 브라켓(110)에 대해 상승시, 제1 및 제2보조승강부재(610,630)가 침하되는 브라켓(110)에 대해 상승 가능하므로, 지중관(3)의 지중관지지부재(150)에 지지된 부분과,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510,560)에 지지된 부분이 동시에 상승될 수 있어 지중관(3)의 전체 휨 발생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도 2을 참조하면, 암거(400) 주변의 토양이 외부환경, 지진, 외력에 의해 암거(400)는 이웃하는 다른 암거와 단차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침하하게 되는데, 이때 침하되는 암거(400)의 자중은 지중관(3)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지중관(3)은 양단부가 침하되지 않은 이웃한 다른 암거에 의해 지지되며 상방으로 반력이 발휘된다. 이로인해 자중관(3)의 하중에 의한 가압력이 상부지지부(750)에 집중적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때, 상부지지로드(760)의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이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2 공간(754)에 충진된 작동유체를 가압하게 된다.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2 공간(754) 내의 작동유체는 상부지지로드피스톤(761)에 의해 가압되며 제1 작동유체경유관(781)을 통해 유출되어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4 공간(714) 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지지실린더(751)의 제1 공간(753)이 확장되며 감압되는데, 이때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을 통해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4공간(714) 내 작동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3 공간(713)내에 작동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제3 공간(713)이 가압 및 확장되며 하부지지로드(720)가 가압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4 공간(714) 내의 작동유체는 제2 작동유체경유관(782)을 통해 유출되게 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부(710)가 암거(400)의 하면에 대해 브라켓유닛(100)을 지지하는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암거(400)가 하강된 만큼 하부지지부(720)가 지중관(3)을 지지하는 높이를 보상하여 지중관(3)이 휘는것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침하되지 않은 암거 또는 침하가 완료되어 일정 시간이 지난 암거(400) 내의 지중관(3)의 하중은 하부지지부 (710)에 의해 암거(4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지지되는데, 이때 하부지지로드(72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하부지지실린더(711)의 제3 공간(713) 내 작동유체는 역류방지밸브(785)에 의해 유출이 차단되기 때문에 하부지지로드(720)가 인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를 통해 지중관(3)의 자중에 의해 높이가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되면서 지중관(3)에 발생되는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브라켓(110)에 대한 지중관(3)의 굽힘 정도를 완화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중관(3)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하향되거나 상향되므로 외력에 의해 지중관이 휘어지더라도 송배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지반침하시 지중관(3)의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과,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의 전·후방측에서 지지되는 부분이 동시에 승강이 가능하므로 지중관의 휨 발생을 줄여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는 승강지지유닛(130)과, 회동 및 승강조보유닛(600)에 의해 지반 침하 시 지중관(3)의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과,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의 전·후방측에서 지지되는 부분이 동시에 승강이 가능하므로 지중관(3)의 휨 발생을 줄여 지중관(3)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변형 방지장치는 지중관(3)을 지지하는 암거(400)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할 시 부분침하된 암거(400)의 내측 하면에 대해 지중관(3)이 지지되는 높이를 상승시켜 지중관(3)의 휨 변형을 완화킴으로써 지중관(3)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변형방지장치(1)의 상부지지부(750) 및 하부지지부(710)의 양측에 설치됨으로써 브라켓유닛(100)이 좌우 양측의 높이를 상호 독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음에 의해 암거(400)가 좌우측으로 기울더라도 브라켓유닛(100)의 좌우측이 돌아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변형방지장치(2)가 도시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변형방지장치(2)의 지중관 침하완화유닛(800)과, 회동지지유닛(900) 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브라켓 유닛(100)의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0a,110b)에는 각각 모서리에 제1 및 제2 단위 코너인입홈(119a,119b)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브라켓몸체(110a,110b)가 상호 결합됨에 의해 제1 및 제2 코너인입홈이 하나의 코너인입홈(119)를 형성하도록 상호 연통된다. 또한 브라켓 유닛(100)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가장자리에서 상부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코너인입홈(119)과,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코너인입홈(119)이 상호 연통되어 더 큰 크기를 갖는 하나의 육면체 형상을 갖는 코너인입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 유닛(100)의 제1 및 제2브라켓 몸체(110a,110b)에는 각 하부 모서리에 코너인입홈(119)에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후술되는 고정블럭(911)과 결합되는 지지판결합공(119c)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2)의 지중관침하완화유닛(800)은 암거(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쌍이 설치되는 지지로드(820)와, 지지로드(820)에 설치되어 브라켓유닛(100)을 지지하며 지지로드(8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지지실린더(810)와, 지지로드(820)에 설치되어 지지실린더(8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플랜지(825)와, 지지실린더(810)가 상승되게 작동유체의 유동을 통제하는 작동부와, 지지실린더(810)에 대해 브라켓유닛(10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동지지유닛(900)을 구비한다.
지지로드(820)는 환봉 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로드(820)의 일측은 암거(40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암거(400)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지지로드(820)는 지중관(3)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이 설치된다. 한쌍의 지지로드(820)는 사이에 브라켓유닛(100)이 수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지지실린더(810)는 내측에 지지로드(820)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하부에 지지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실린더(810)는 내주면이 지지로드(82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로드(8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지지실린더(810)는 지지로드(820)의 연장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로드(8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지지실린더(81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결합된 브라켓 유닛(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브라켓 유닛(1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지지실린더(810)의 내부공간은 구획플랜지(825)에 의해 상부의 제1 공간(811)과, 하부의 제2 공간(812)으로 구획된다.
구획플랜지(825)는 각각의 지지실린더(8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지지로드(82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다. 구획플랜지(825)는 지지로드(8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지로드(8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획플랜지(825)의 외경은 지지실린더(8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됨으로써 지지실린더(8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구획플랜지(825)는 암거(400)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지중관(3)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제1 공간에 충진된 작동유체를 감압시킴과 동시에 제2 공간을에 충진된 작동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구획플랜지(825)는 제1 공간(811)과 제2 공간(812)을 구획하는 데에 있어 작동유체가 작동부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오링과 같은 씰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작동부는 각각의 지지실린더(810)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작동부를 통해 지지실린더(810)의 제1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체가 제2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작동부는 작동유체경유관(831)과 역류방지밸브(832)로 구분될 수 있다. 작동유체경유관(831)은 일측이 지지실린더(810)의 상부에 제1 공간(811)과 연결되게 설치되고 타측이 지지실린더(810)의 하부에 제2 공간(812)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작동유체경유관(831)은 금속 튜브 또는 가요성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832)는 작동유체가 제2 공간(812)으로부터 제1 공간(811)로 유입되는 것은 통과시키되, 제2 공간(812)으로부터 제1 공간(811)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회동지지유닛(900)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브라켓유닛(100)에 양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고정부(910)와, 각 지지실린더(820)에 설치되고 마주하는 각 브라켓고정부(910)와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결합부(920)들을 구비한다.
브라켓 고정부(910)는 복수개가 상하좌우로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들 중 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에 결합되는 고정블럭(911)과, 고정블럭(911)으로부터 지지실린더(81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회전축(915)을 포함한다.
고정블럭(911)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들 중 좌우 가장자리에서 상부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코너인입홈(119)과, 이와 인접한 수직하방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코너인입홈(119)이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블럭(911)은 지지실린더(810)를 마주하는 일측에 후술할 회전축(915)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1 체결공(912)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브라켓유닛(100)을 마주하는 타측에는 제1 체결공(912)과 동일한 곡률중심의 위치에서 제1 체결공(91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제1 체결공(912)과 연통되게 인입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축체결나사(916)가 회전하지 않게 장착될 수 있는 체결나사결합공(913)이 마련된다.
고정블럭(911)은 상부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하부 모서리 측 코너인입홈(119)과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100)의 상부 모서리 측 코너인입홈(1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에 배치된 브라켓유닛(100)의 지지대결합공(119c)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블럭결합공(914)가 형성되어 고정블럭(911)이 제1 및 제2 브라켓몸체(110a,110b)와 나사결합 된다. 회전축(915)은 고정블럭(911)의 지지실린더(82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회전축(915)은 제1 체결공(912)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스크류볼트이다. 회전축(915)은 양단부가 회전축체결나사(916)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회전축(915)은 일측이 제1 체결공(9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 체결나사(916)가 체결됨에 의해 설치된다.
실린더결합부(920)는 상호 결합되어 지지실린더(820)를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몸체(922)와, 클램프몸체(922)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게하는 결합편(923)들과, 결합편들(923)을 체결하는 체결수단들을 갖는 실린더결합클램프(921)와, 하나의 클램프몸체(922)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927)과, 지지편(927)들에 의해 양단부가 고정되며 내측에 회전축(91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928)을 갖는 실린더 힌지를 포함한다.
클램프몸체(922)는 지지실린더(8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편(923)들은 상호 결합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편(923)들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다른 결합편(923)들과 동축을 이루는 내측 위치에 클램프결합공(924)이 관통형성된다.
체결수단은 클램프조임볼트(925)와 클램프조임너트(926)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몸체(922)들이 지지실린더(8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클램프조임볼트(925)가 결합편(923)의 클램프결합공(924)에 삽입되고 클램프조임너트(926)가 체결되어 클램프몸체(922)들이 지지실린더(810)를 조이도록 조임력이 발휘된다.
또한 지지편(927)들은 하나의 클램프몸체(922)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축(915)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다. 지지편(927)들의 사이에 회전축(915)이 자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지지판(928)은 회전축(915)의 단면보다 더 큰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판(928)은 양단부가 지지편(927)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지지판(928)의 내측에는 제1 체결공(912)과 동일한 직경의 제2 체결공(929)이 관통 형성된다. 지지판(928)은 회전축(915)이 제2 체결공(929)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915)의 타측단부에 회전축 체결나사(916)이 체결됨으로써 지지블럭(911)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블럭(911)과 지지판(928)의 사이에는 내측에 회전축(915)이 끼워질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싱(917)이 끼워짐으로써 고정블럭(911)과 지지판(928)이 상호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작용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암거(400)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와 단차를 형성하며 침하할때, 지지로드(820)은 하강하는 암거(40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중관(3) 및 브라켓 유닛(100)과 고정설치된 지지실린더(810)는 이웃하는 암거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지중관(3)을 통해 상방으로 인가되는 반력이 발휘되며 구획플랜지(820)와 지지실린더(810) 사이의 제2 공간(812) 내 작동유체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실린더(810)의 제1 공간(811) 내 작동유체를 감압하게 된다. 이로인해 제2 공간(812)의 작동유체가 작동유체경유관(831)을 통해 제1 공간(811)으로 유입되며 지지실린더(81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후 암거(400)의 하강이 완료되면 지중관(3)의 하중은 브라켓 유닛(100)을 통해 지지실린더(810)에 인가된다. 지지실린더(810)에 인가되는 하중은 지지로드(820)에 대해 하방으로 작용하며 제1 공간(811) 내 작동유체를 가압하나 역류방지밸브(832)에 의해 제1 공간(811) 내 작동유체가 제2 공간(81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지지실린더(810), 브라켓유닛(100) 및 지중관(3)의 높이는 유지되게 된다.
한편, 암거(400)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각도가 변화되게 기울게 되어 암거(400)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지지로드(820), 지지실린더(810)가 기울게 되더라도 브라켓 유닛(100)에 고정설치된 고정블럭(911)과 실린더결합부(920)가 상호 회동하게 되며 브라켓유닛(100)이 지지실린더(810)에 대해 지지되는 각도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2)는 암거(400)가 부분침하 시 암거(400)의 하면에 대해 지중관(3)이 지지되는 높이를 상승시켜 지중관(3)의 휨 변형을 완화킴으로써 지중관(3)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암거(400)가 기울어짐에 따라 브라켓유닛(100)이 지지실린더(810)에 대해 회동되면서 지중관(3)이 지지되는 각도가 유지되어 외력에 의해 암거(400)가 기울어지게 침하되더라도 지중관의 휨 변형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유닛(100)이 좌우 양측의 높이를 상호 독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음에 의해 암거(400)가 좌우측으로 기울더라도 브라켓유닛(100)의 좌우측으로 돌아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는 도면에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 장치
100 : 브라켓 유닛 110 : 브라켓
130 : 승강지지유닛 131 : 제1 승강지지부재
135 : 제2 승강지지부재 141 ; 제1 탄성부재
145 : 제2 탄성부재 150 ; 지중관지지부재
210 : 제1 지지대 220 : 제2 지지대
510 : 제1 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 520 : 회동간격유지부재
521 : 링크부 526 : 제1 클램프부
527 : 제2 클램프부 530 : 제3클램프부재
531 : 회동부재결합축 560 : 제2 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
600 : 회동 및 승강보조지지유닛 610 : 제1 보조승강부재
620 : 제1 회동부재 630 : 제2 보조승강부재
640 : 제2 회동부재 700, 800 : 지중관침하완화유닛

Claims (5)

  1.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지중관이 내재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암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암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할 시 하강되는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지중관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암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인입홈에 장착되되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상기 지중관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승강지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에 각각 장착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중 하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향되거나 하향되게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기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 시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중광회동간격유지유닛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반 침하시 상기 지중관들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회동 및 승강 보조지지유닛과;
    상기 암거의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거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브라켓 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에 의해 격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지중관들 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지중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형성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각 단부에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각각 일부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및 제2클램프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중관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2클램프부가 마주하면서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은
    일측이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부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암거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암거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상기 지중관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상기 상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일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상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상부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브라켓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암거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브라켓유닛을 상승시키는 하부지지로드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로드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로부터 가압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실린더 및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는 작동유체경유관과, 상기 작동유체경유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하부지지실린더로부터 상기 상부지지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
  2. 삭제
  3.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지중관이 내재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암거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암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할 시 하강되는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지중관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 변형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암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인입홈에 장착되되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상기 지중관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승강지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에 각각 장착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중 하나의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향되거나 하향되게 다수의 상기 지중관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과 상기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 시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중광회동간격유지유닛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반 침하시 상기 지중관들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회동 및 승강 보조지지유닛과;
    상기 암거의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거가 이웃하는 다른 암거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상기 암거에 대해 상기 브라켓 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지중관의 휨변형을 완화시키는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중관회동간격유지유닛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에 의해 격자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지중관들 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지중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형성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각 단부에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각각 일부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및 제2클램프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중관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부와 상기 제2클램프부가 마주하면서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회동간격유지부재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복수 개의 제3클램프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침하완화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암거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암거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로드와,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지지로드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 사이에 작동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연장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한쌍의 지지실린더와,
    각각의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부의 제1 공간 및 하부의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암거가 하강함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암거들로 연장된 상기 지중관으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공간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공간을 감압되게하는 구획플랜지와,
    일측이 상기 지지실린더의 상부의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실린더의 하부의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지지실린더의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작동유체경유관과, 상기 작동유체경유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가 기울도록 침하되어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실린더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브라켓 유닛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 유닛을 상기 지지실린더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지지유닛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의 양측부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고정부와, 각 상기 지지실린더에 고정설치되고 마주하는 각 상기 브라켓고정부와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결합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유닛은 각 모서리 측에 각각 코너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고정부는 복수개가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들 중 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된 브라켓 유닛의 상기 코너인입홈에 결합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으로부터 상기 지지실린더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결합부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지실린더를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몸체와, 각 상기 클램프몸체들의 상호 결합되는 양 단부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편들과, 상기 클램프몸체들이 상호 결합되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편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수단들을 갖는 실린더결합클램프와;
    어느 하나의 상기 클램프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블럭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들에 의해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지지판을 갖는 실린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방지장치.
KR1020200136724A 2020-10-21 2020-10-21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KR10240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4A KR102402664B1 (ko) 2020-10-21 2020-10-21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4A KR102402664B1 (ko) 2020-10-21 2020-10-21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95A KR20220052595A (ko) 2022-04-28
KR102402664B1 true KR102402664B1 (ko) 2022-05-26

Family

ID=8144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24A KR102402664B1 (ko) 2020-10-21 2020-10-21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1307B (zh) * 2022-08-17 2022-11-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安装沟
KR102600570B1 (ko) * 2023-01-09 2023-11-09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간 간격 유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50B1 (ko) * 2017-05-04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894912B1 (ko) * 2018-01-16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251A (en) 1993-02-26 1995-09-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and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strument using the same
KR100795411B1 (ko) 2007-08-14 2008-01-17 박혜숙 지중배전용 케이블보호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50B1 (ko) * 2017-05-04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894912B1 (ko) * 2018-01-16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95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664B1 (ko)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CN108699795B (zh) 用于引导和支撑基础部件的具有多个导向机构的支架
KR930001631B1 (ko) 경사진 해상에 대해 조절가능한 이동성 근해 잭엎선대
KR101650473B1 (ko)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GB2065197A (en) Multiple bore marine risers
US7726910B2 (en) Interactive leg guide for offshore self-elevating unit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US20080053661A1 (en) Pipe guides and methods of guiding pipes in snubbing units
US3412981A (en) Marine platform support assembly
KR102213361B1 (ko) 버팀보 연결구
GB2252081A (en) Offshore platform
US3794141A (en) Device for adapting the lengths of a pair of legs, such as those of a ladder, to unevenness of a supporting surface
KR101771450B1 (ko)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US4007914A (en) Jacking mechanism
AU2014267082B2 (en) Device for anchoring a raceway mounting of a seabed-to-surface facility
CN104832122A (zh) 一种水下泥层可回收多级伸缩固定腿
CN111911188A (zh) 一种高压力隧道卸压装置的安装方法
CN217519346U (zh) 一种管道沟槽开挖支护装置
US4388025A (en) Guard for offshore structure
JP7526617B2 (ja) 住宅の浮上構造及びこの住宅の浮上構造に用いられる連結部材
KR102365670B1 (ko) 상수관 또는 하수관용 결합형 신축 받침대
CN114043436B (zh) 一种用于海底管道悬空段的维修支撑夹具
CN109112976A (zh) 一种拱脚维修装置及实现拱脚多自由度变位的维修方法
CN210263123U (zh) 一种市政管道支撑件
CN1061407C (zh) 将建筑结构物底座隔开的刚度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