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645A - 차수벽 - Google Patents

차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645A
KR20200056645A KR1020180140565A KR20180140565A KR20200056645A KR 20200056645 A KR20200056645 A KR 20200056645A KR 1020180140565 A KR1020180140565 A KR 1020180140565A KR 20180140565 A KR20180140565 A KR 20180140565A KR 20200056645 A KR20200056645 A KR 2020005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plate
bottom plate
convex
overlap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225B1 (ko
Inventor
홍도찬
Original Assignee
홍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도찬 filed Critical 홍도찬
Priority to KR102018014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의 상부를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기립판을 포함하며, 바닥판은 그 하면에서 상면으로 볼록한 바닥 볼록부를 포함하고, 기립판은 바닥판의 하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후면에서, 바닥판의 상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전면으로 볼록하고, 바닥 볼록부와 연결된 기립 볼록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유체를 가두거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수벽{The fluid barrier}
본 발명은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차수벽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가둘 수 있다. 따라서, 집중 강수 등에 의해 유체가 범람하는 경우, 차수벽을 이용하여, 유체의 범람을 차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차수벽들이 서로간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수벽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일정 각도 회전되지 않아 복수의 차수벽들이 곡선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수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은,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의 상부를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기립판을 포함하며, 바닥판은 그 하면에서 상면으로 볼록한 바닥 볼록부를 포함하고, 기립판은 바닥판의 하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후면에서, 바닥판의 상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전면으로 볼록하고, 바닥 볼록부와 연결된 기립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판은 그 일 가장자리로부터 타 가장자리로 연장되며, 바닥 볼록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 1 바닥 중첩부와 제 2 바닥 중첩부를 더 포함하며, 기립판은 제 1 바닥 중첩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기립 중첩부와 제 2 바닥 중첩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기립 중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판은, 제 1 바닥 중첩부에 배치된 제 1 결합부, 및 제 2 바닥 중첩부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결합부는 제 2 바닥 중첩부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결합부의 내경 및 외경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기립 중첩부는 제 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곡면과 가이드홀을 가지고, 제 1 기립 중첩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기립 볼록부를 사이에 두고 제 2 기립 중첩부로부터 이격된 기립 밀착부, 및 기립 밀착부로부터 기립 볼록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기립판의 후면에서 상면으로 들어간 기립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벽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수벽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수벽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를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상호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수벽 중 어느 하나를 제 2 결합부 또는 제 1 결합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수벽을 직선 뿐만아니라 곡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수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벽을 복수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수벽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수벽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의 결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결합부 또는 제 2 결합부의 적층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1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 1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수벽(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 2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10)은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판(100) 및 바닥판(100)의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100)의 상부를 향하는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기립판(200)을 포함한다.
바닥판(100)은 그 하면(100a)에서 상면(100b)으로 볼록한 바닥 볼록부(110)를 포함한다. 기립판(200)은 바닥판(100)의 하면(100a)으로 이어지는 기립판(200)의 후면(200a)에서, 바닥판(100)의 상면(100b)으로 이어지는 기립판(200)의 전면(200b)으로 볼록하고, 바닥 볼록부(110)와 연결된 기립 볼록부(210)를 포함한다. 바닥 볼록부(110)의 평면상 폭은 바닥판(100)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타 가장자리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기립 볼록부(210)는 바닥 볼록부(110)와 연결되어, 기립판(2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바닥 볼록부(110)와 기립 볼록부(210)는 유체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바닥판(100)과 기립판(200)의 강도를 높인다.
또한, 바닥판(100)은 그 일 가장자리로부터 타 가장자리로 연장되며, 바닥 볼록부(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 1 바닥 중첩부(130)와 제 2 바닥 중첩부(150)를 더 포함한다. 즉, 제 1 바닥 중첩부(130)는 제 3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 2 바닥 중첩부(150)는 제 4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기립판(200)은 제 1 바닥 중첩부(130)로부터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제 1 기립 중첩부(230)와 제 2 바닥 중첩부(150)로부터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제 2 기립 중첩부(250)를 더 포함한다. 즉, 제 1 기립 중첩부(230)는 제 3 가장자리로부터 제 1 방향(a)으로 연장되고, 제 2 기립 중첩부(250)는 제 4 가장자리로부터 제 1 방향(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수벽(10)을 복수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차수벽(10)은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제 1 바닥 중첩부(130)는 다른 하나의 제 2 바닥 중첩부(150)의 상면에 배치되어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제 1 기립 중첩부(230)는 다른 하나의 제 2 기립 중첩부(250)의 전면에 배치되어 중첩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바닥 중첩부(130)는 제 2 바닥 중첩부(150)의 두께에 대응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가둘 수 있는 차수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100)은 제 1 바닥 중첩부(110)에 배치된 제 1 결합부(170) 및
제 2 바닥 중첩부(150)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17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제 2 결합부(190)를 더 포함한다. 제 2 결합부(190)는 제 2 바닥 중첩부(15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수벽(10)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 2 기립 중첩부(250)는 제 2 결합부(19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곡면과 가이드홀(251)을 가진다. 제 1 기립 중첩부(230)는 제 1 방향(a)을 따라 연장되며, 기립 볼록부(210)를 사이에 두고 제 2 기립 중첩부(250)로부터 이격된 기립 밀착부(231) 및 기립 밀착부(231)로부터 기립 볼록부(210)를 향하여 연장되며, 기립판(200)의 후면(200a)에서 상면(200b)을 향하여 들어간 기립 오목부(235)를 포함한다.
제 2 기립 중첩부(250)의 곡면은 평면상 제 2 결합부(190)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기립 밀착부(231)는 제 2 기립 중첩부(250)에 밀착되게 기립 오목부(235)로부터 기립판(200)의 전면(200a)에서 후면(200b)으로 적어도 일부 절곡된다. 제 2 기립 중첩부(250)의 곡면으로, 기립 밀착부(231)는 제 2 결합부(190)를 중심으로 제 2 기립 중첩부(250)의 곡면을 따라 밀착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기립 밀착부(231)는 삽입돌기(231a)를 가질 수 있다. 삽입돌기(231a)는 가이드홀(251)에 삽입되어 기립 밀착부(2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수벽(10)의 하면(100a)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 1 바닥 중첩부(130)는 바닥판(100)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타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이로써, 기립 밀착부(231)가 제 2 결합부(19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1 바닥 중첩부(130)는 지면으로부터 바닥판(100)의 상부를 향하여 이격된 바닥 오목부(135)와 바닥 오목부(135) 보다 지표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바닥 밀착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밀착부(131)는 제 2 바닥 중첩부(15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수벽(10)은 바닥판(100)의 하면(100a)에 배치된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300)는 바닥판(100)과 지면의 밀착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결합부(170)와 제 2 결합부(190)의 결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차수벽(10) 중 어느 하나의 제 2 결합부(190)는 다른 하나의 제 1 결합부(17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 2 결합부(190)는 제 1 결합부(170)로부터 평면상 상하 좌우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차수벽(10)들이 서로 연결될 때, 제 1 결합부(170)와 제 2 결합부(190)의 결합은 서로 연결된 차수벽(10)들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차수벽(10)들은 유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190)의 내경 및 외경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결합부(170)의 내경 및 외경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즉, 제 1 결합부(170)와 제 2 결합부(190)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 2 결합부(190)가 제 1 결합부(170)에 매끄럽게 삽입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의 차수벽(1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제 2 결합부(190)를 중심으로 매끄럽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부(170)와 제 2 결합부(190)의 돌출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제 2 결합부(190)의 돌출 높이가 제 1 결합부(170)의 돌출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차수벽(10)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 1 결합부(170)는 제 1 바닥 중첩부(130)에 배치된 관통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 2 결합부(190)가 제 1 결합부(170)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결합부(170)의 주변을 둘러싼 실링 부재(3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결합부(170) 또는 제 2 결합부(190)의 적층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차수벽(10)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제 1 결합부(170)는 다른 하나의 제 1 결합부(170)에 삽입된다. 제 2 결합부(190)도 마찮가지이다. 제 1 결합부(170)와 제 2 결합부(190)의 내경 및 외경이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복수의 차수벽(10)을 수직으로 적층하더라도, 상하로 배치된 차수벽(10)이 밀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차수벽
100 : 바닥판
110 : 바닥 볼록부
130 : 제 1 바닥 중첩부
150 : 제 2 바닥 중첩부
170 : 제 1 결합부
190 : 제 2 결합부
200 : 기립판
210 : 기립 볼록부
230 : 제 1 기립 중첩부
250 : 제 2 기립 중첩부
300 : 실링부재

Claims (5)

  1.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의 상부를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기립판을 포함하며,
    바닥판은 그 하면에서 상면으로 볼록한 바닥 볼록부를 포함하며,
    기립판은 바닥판의 하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후면에서, 바닥판의 상면으로 이어지는 기립판의 전면으로 볼록하고, 바닥 볼록부와 연결된 기립 볼록부를 포함하는 차수벽.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판은 그 일 가장자리로부터 타 가장자리로 연장되며, 바닥 볼록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 1 바닥 중첩부와 제 2 바닥 중첩부를 더 포함하며,
    기립판은 제 1 바닥 중첩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기립 중첩부와 제 2 바닥 중첩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기립 중첩부를 더 포함하는 차수벽.
  3.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판은,
    제 1 바닥 중첩부에 배치된 제 1 결합부; 및
    제 2 바닥 중첩부에 배치되며, 제 1 결합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결합부는 제 2 바닥 중첩부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된 차수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결합부의 내경 및 외경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차수벽.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기립 중첩부는 제 2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곡면과 가이드홀을 가지고,
    제 1 기립 중첩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기립 볼록부를 사이에 두고 제 2 기립 중첩부로부터 이격된 기립 밀착부; 및
    기립 밀착부로부터 기립 볼록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기립판의 후면에서 상면으로 들어간 기립 오목부를 포함하는 차수벽.
KR1020180140565A 2018-11-15 2018-11-15 차수벽 KR10213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65A KR102135225B1 (ko) 2018-11-15 2018-11-15 차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65A KR102135225B1 (ko) 2018-11-15 2018-11-15 차수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45A true KR20200056645A (ko) 2020-05-25
KR102135225B1 KR102135225B1 (ko) 2020-07-17

Family

ID=7091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65A KR102135225B1 (ko) 2018-11-15 2018-11-15 차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481B1 (ko) * 2024-01-29 2024-04-12 이로란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25A (ja) * 1997-05-12 2001-12-04 シグルト・メリン 液体せき止め保護堤防を形成するためのせき止め装置
KR101471468B1 (ko) *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101898870B1 (ko) * 2017-12-14 2018-09-14 (주)아이엘케이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25A (ja) * 1997-05-12 2001-12-04 シグルト・メリン 液体せき止め保護堤防を形成するためのせき止め装置
KR101471468B1 (ko) *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101898870B1 (ko) * 2017-12-14 2018-09-14 (주)아이엘케이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481B1 (ko) * 2024-01-29 2024-04-12 이로란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225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01974B2 (en) Percolation block element, percolation block, and transport unit
CA2426389A1 (en) Slot drain
CN105939939A (zh) 能够叠放的合成材料容器
KR102135225B1 (ko) 차수벽
US9085891B2 (en) Stud elevator
KR101974240B1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TWI716542B (zh) 蓄積單元
CA118047S (en) Analyte-determining meter
US7185470B1 (en) Retaining wall block
JP6127089B2 (ja) 消波ブロック
EP2687642A1 (en) Irrigation and/or drainage assembly
CN103332358A (zh) 一种交叉隔板
JP6105071B2 (ja) 水平及び垂直方向への同時結合が可能な容器
JP2009013756A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JP2018197578A (ja) 保護カバー接続体
KR101713894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JP6825972B2 (ja) 埋設ボックス
JP6937155B2 (ja) 基礎パッキン用スペーサ
KR20200142308A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US20200370297A1 (en) Wall system
CN107405995B (zh) 用于塑料燃料箱的组装挡板
JP6259260B2 (ja) 目地排水部材および外壁の排水構造
JP6760852B2 (ja) 構造体
KR102145064B1 (ko) 몰탈 유출 방지용 조립식 보드 결합구조
EP1980684A2 (en) Railing for a scaffold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