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96B1 -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 Google Patents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96B1
KR101580996B1 KR1020150113278A KR20150113278A KR101580996B1 KR 101580996 B1 KR101580996 B1 KR 101580996B1 KR 1020150113278 A KR1020150113278 A KR 1020150113278A KR 20150113278 A KR20150113278 A KR 20150113278A KR 101580996 B1 KR101580996 B1 KR 10158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ludge
foundation
river
guide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to KR102015011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이 범람할 때 물 위로 부력에 의해서 저절로 부상됨으로써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지면 아래의 사방 굴착면에 접하는 벽이 형성되고, 상기 사방의 벽 중 한쪽 벽 하부에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향해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초와, 상기 기초 일측의 지면 아래에 형성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상기 기초의 내부와 통하면서 상기 기초의 바닥보다 바닥이 낮게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슬러지 암거와, 상기 기초의 일측 벽 하부에 상기 기초의 내부 바닥과 강변의 호안이 통하도록 형성된 유입관과, 상기 기초의 바닥 가장자리에 세워진 다수 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기초의 바닥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대응되는 포스트 홀이 가장자리에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구조물이 설치된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상식 시설물을 포함하는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FLOATING TYPE FACILITIES}
본 발명은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기 직전부터 강물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부력에 의해서 저절로 부상됨으로써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 등에 의한 경제적 피해를 막음은 물론이고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구조물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범용성 편의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유원지, 야영지, 야외의 공공장소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공중의 편의를 위해 간이음식점, 간이매점, 음료수자판기, 위생용품자판기, 스낵자판기, 공중화장실, 안내소, 자전거보관소, 공연장 등의 각종 편의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근래에는 강변, 큰 시냇가, 야지 등과 같은 저지대와 둔치 등도 공원화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공공 편의시설물이 설치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저지대나 둔치에 설치되는 편의시설물은 기상이변 현상으로 인한 소나기성 장마를 비롯하여 국지성, 돌발성, 게릴라성 등의 기습 폭우 및 집중호우 시 또는 상류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함에 따른 홍수 시 등에 쉽게 침수되거나 유실 또는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그에 따른 인적, 물적 자원의 손실 등 경제적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적인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여 강이나 하천의 범람이나 수위 상승으로 인해 둔치 등의 설치장소가 물에 잠길 경우, 편의시설물이 물 위로 부력에 의해서 저절로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 등에 의한 경제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이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35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부양본체(300)와, 이 부양본체(300)를 지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기초구조물(100)과, 부양본체(30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기초구조물(100)에 세워진 가이드 포스트(200)와, 부양본체(300)가 가이드 포스트(200)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장치(4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은 홍수 등으로 인해 강물이 불어나서 범람하면 그 기초구조물(10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범람한 강물이 유입되면서 부양본체(300)가 부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둔치 등에 설치할 경우 강물과 함께 나뭇조각이나 플라스틱 따위의 각종 부유 쓰레기가 기초구조물(100)의 내부 공간으로 서서히 흘러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되면 부양본체(300)의 원활한 부상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물이 빠질 때 자칫 부양본체(300)가 기초구조물(100) 내에 갇힌 부유 쓰레기에 걸리면서 안정적으로 하강하지 못하는 데다 기초구조물(100)에 불완전하게 얹히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9-0085355(2009.08.07) 한국 등록특허 10-0783119(2007.12.07) 한국 등록특허 10-1248063(2013.03.26) 한국 등록특허 10-1469949(2014.12.01) 일본 특개2007-120012(2007.05.17) 일본 특개2006-233745(2006.09.07) 일본 특개2007-77758(2007.03.29)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기존의 수면 부상식 시설물이 갖는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기 직전부터 강물이 기초구조물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 및 채워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으로 강물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구조물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한 연구를 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구조물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지면 아래의 사방 굴착면에 접하는 벽이 형성되고, 상기 사방의 벽 중 한쪽 벽 하부에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향해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초와, 상기 기초 일측의 지면 아래에 형성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상기 기초의 내부와 통하면서 상기 기초의 바닥보다 바닥이 낮게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슬러지 암거와, 상기 기초의 다른 한쪽 벽 하부에 상기 기초의 내부 바닥과 강변의 호안이 통하도록 형성된 유입관과, 상기 기초의 바닥 가장자리에 세워진 다수 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기초의 바닥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대응되는 포스트 홀이 가장자리에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구조물이 설치된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설치장소가 물에 잠기더라도 부력체의 부력 및 가이드 포스트와 가이드 롤러 간의 슬라이딩 구름운동에 의해 구조물이 물 위로 부상되기 때문에 침수나 유실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강물이 범람하기 직전부터 부력체가 강물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부상하기 때문에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체가 한결 원활하고 신속하게 부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빠질 때에도 부유 쓰레기로 인해 부력체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지 못하거나 기초에 대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는 등의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기초의 내부 쪽에 위치하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상기 기초 내의 오수와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더 구비되고, 강변의 호안 쪽에 위치하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부유 쓰레기가 상기 유입관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이 더 구비됨으로써 강물이 차올랐다가 빠질 때 기초 내의 오수와 슬러지가 유입관으로 역류하거나 물이 차오를 때 강물에 부유하는 쓰레기가 유입관으로 들어가면서 유입관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부력체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기초와의 틈새를 막는 커버판이 구비됨으로써 평상시에 기초와 부력체 사이의 틈새로 시설물 이용자의 발이 빠지거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기 직전부터 기초의 내부와 강변의 호안이 통하도록 연결하는 유입관을 통해 기초의 내부공간으로 강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이로 인해 부력체가 강물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미리 부상됨으로써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체가 한결 원활하고 신속하게 부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물이 빠질 때에도 종래와 달리 부유 쓰레기로 인해 안정적으로 하강하지 못하거나 기초에 불완전하게 얹히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는 등의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안전하게 놓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중 유입관과 역류방지밸브 및 차단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의 일부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중 다른 형태의 가이드 롤러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국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의 기초 내로 강물이 유입되어 부력체와 시설물이 물 위로 부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의 부력체와 시설물이 지면보다 위로 부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은 크게 기초(10), 슬러지 암거(20), 유입관(30), 가이드 포스트(40), 부력체(50), 가이드 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초(10)는 내부에 부력체(5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지하공간을 갖도록 지면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를 한 후, 그 사방 굴착면에 콘크리트 타설 등의 방법으로 일정 높이의 벽(11)을 가지면서 바닥이 한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시공되며, 사방의 벽(11) 중에서 한쪽 벽(11)의 하부에는 내부공간에 쌓이는 슬러지 등을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10)의 바닥에는 평상시 부력체(50)를 일정 높이로 떠받치는 받침대(1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다.
즉, 받침대(13)는 부력체(50)가 기초(10)의 바닥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놓이도록 지지함으로써 둔치 등의 설치장소가 침수 시 강물이나 우수와 함께 떠내려와서 기초(10)의 바닥에 쌓이는 각종 쓰레기나 개흙 또는 슬러지 등으로 인해 부력체(50)가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기초(10)의 사방 벽(11) 중 어느 하나의 벽(11) 하부에는 둔치 등의 설치장소가 침수 시 유입되는 강물과 슬러지 등을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은 슬러지 배출구(12)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경사면(slope)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초(10)의 내부 지하공간으로 평상시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벽(11)의 상단은 지면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암거(20)는 한쪽이 슬러지 배출구(12)를 통해 기초(10)의 내부와 통하고, 그 바닥이 기초(10)의 바닥보다 낮게 기초(10)의 한쪽 지면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러지 암거(20)의 다른 쪽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구(12)를 통해 슬러지 암거(20) 내로 유입되는 강물이나 우수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오수관로와 연결하는 배수구(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슬러지 암거(20)의 바닥은 배수구(21)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경사면(slope)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러지 암거(20)의 상부는 별도의 덮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슬러지 암거(20)는 강물이 차올랐다가 빠질 때 기초(10) 내의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슬러지 또는 기초(10) 청소 시 배출되는 개흙이나 슬러지를 모아서 굴착기나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로 퍼낼 수 있도록 슬러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즉, 강이나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 기초(10) 내부공간에 슬러지가 쌓이면 주변에 악취를 풍기게 되고, 특히 슬러지와 토사가 가득 차면 부력체(50)의 원활한 승강 작동을 방해하므로 강물이 차올랐다가 빠질 때마다 고압수 등으로 기초(10)를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슬러지 암거(20)는 기초(10) 내부에서 슬러지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슬러지, 개흙 등을 임시로 저장한다.
유입관(30)은 기초(10)의 다른 한쪽 벽(11) 하부에 기초(10)의 내부 바닥과 강변의 호안(R)이 수평으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유입관(30)은 슬러지 암거(20)의 배수구(21)보다 지면과 가깝고 높은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관(30)을 통해 기초(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물의 양이 슬러지 암거(20)의 배수구(21)를 통해 오수관로 쪽으로 빠지는 강물의 양보다 훨씬 많아야 기초(10)의 내부공간에 강물이 차오를 수 있으므로 유입관(30)은 슬러지 암거(20)의 배수구(21)보다 그 지름이 크거나 많은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관(30)은 강물이 차오를 때 기초(10)의 내부공간으로 한결 수월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강변의 호안(R) 쪽 끝 부분이 기초(10) 쪽 끝 부분보다 약간 높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유입관(30)의 양단부 중 기초(10)의 내부 쪽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기초(10) 내의 오수와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70)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반대쪽 강변의 호안(R) 쪽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부유 쓰레기가 유입관(30)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80)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70)로는 밸브가 케이싱 내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입구 측의 압력이 출구 측보다 높을 때만 밸브가 밀어 올려져 유체가 유동하고, 출구 측 압력이 높아진 때는 압력차에 의해, 그리고 출입구 양측의 압력이 동일하게 된 때는 밸브 자체의 중량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의 스윙체크밸브(swing check valve)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각종 쓰레기를 걸러주는 차단망(80)으로는 강철 와이어로 이루어진 약 100~200 메쉬의 금속망(wire mesh)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관(30)은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기 직전부터 강물을 기초(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 및 유도하여 부력체(50)가 자연스럽게 부상되면서 시설물(S)을 물 위로 띄우도록 작용하고, 아울러 강물이 범람할 때에는 이미 기초(10)의 내부가 강물로 채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작용하므로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포스트(40)는 부력체(50) 및 시설물(S)의 승강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기초(10)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다수 개가 견고하게 세워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 포스트(40)의 상단부에는 부력체(50)의 부상 시 이탈을 방지하여 부력체(50)와 시설물(S)이 강물에 휩쓸러 떠내려가는 것을 막는 스토퍼(미부호)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포스트(40)는 그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링형인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기초(10)의 가장자리 중 사방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하여 사각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포스트(41)가 내장된 마치 로드 안테나와 같은 다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부력체(50)의 상승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롭게 신축 및 조절할 수도 있다.
부력체(50)는 부력을 갖는 중공체로 이루어져 기초(10)의 상측에서 가이드 포스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그 가장자리 중 사방의 코너 부분에 가이드 포스트(40)와 대응되는 포스트 홀(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력체(50)는 충분한 위치 에너지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질량과 함께 시설물(S)을 부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부력을 가져야 하므로, 위치 에너지와 부력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부력체(50)는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다수로 분할 및 구획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과 위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력체(50)의 상단 테두리에는 기초(10)의 벽(11)과 틈 사이를 막는 커버판(55)을 장착함으로써 평상시 부력체(50)와 벽(11)의 틈새로 시설물(S) 이용자의 발이 빠지거나 오물이나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부력체(50)의 저면이나 측면에는 시설물(S)이 완만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유도하면서 그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하강 시 기초(10)의 바닥이나 받침대(13) 등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완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로는 코일스프링, 공기주머니, 탄성고무 등과 같이 충격흡수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부력체(50)의 부상 및 하강을 방해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격의 전달을 막는 다양한 완충재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시설물(S)은 부력체(50)가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짐 등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부력체(5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시설물(S)의 일례로는 세면 및 용변 시설과 설비를 갖춘 공중화장실일 수 있다.
가이드 롤러(60)는 부력체(50)와 시설물(S)이 가이드 포스트(40)를 따라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 및 승강되도록 부력체(50)의 포스트 홀(51)들 각각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가이드 롤러(60)는 포스트 홀(51)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 포스트(40)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고정된 브래킷(미부호)에 의해 상하 양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60)는 부력체(50)의 한층 더 원활한 부상 및 하강 작동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깥쪽 면 둘레 즉, 가이드 포스트(40)의 바깥쪽 면 둘레와 접촉되는 면은 가이드 포스트(40)의 원형 바깥쪽 면 둘레와 대응되도록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곡선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개의 가이드 롤러(60)와 가이드 포스트(40) 사이는 약 1~3cm 정도의 유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의 작동 및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부력체(50)가 자중 및 시설물(S)의 하중에 의해 기초(10)의 지하공간 내 바닥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므로 시설물(S)이 지면 부근의 지상에 위치되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드나들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 홍수 등에 의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기 직전까지 수위가 상승하면 호안(R)으로 노출된 유입관(30)을 통해 강물이 기초(10)의 내부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이렇게 되면 부력체(50)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면서 시설물(S)을 강물이 이루는 수면보다 높게 물 위로 띄워서 위치시키므로 침수나 유실 피해를 방지하고, 아울러 강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부유 쓰레기 등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이후, 강물이 범람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기초(10)의 내부공간이 강물로 채워져 수위가 지면과 동일한 상태를 이루므로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가 기초(10)의 내부공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된다.
아울러 강물이 차올랐다가 빠질 때 기초(10) 내의 오수와 슬러지는 역류방지밸브(70)에 의해 유입관(30)으로 역류하지 않고, 강물이 차오를 때 강물에 부유하는 쓰레기는 차단망(80)에 의해 걸러지므로 유입관(30)이 막히거나 유입관(30)을 통해 부유 쓰레기가 기초(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 포스트(40)와 가이드 롤러(60)는 회전에 의한 상하 미끄럼 운동으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부력체(50)와 시설물(S)이 한층 원활하게 상승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부력체(50)와 시설물(S)은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가이드 포스트(40)와 가이드 롤러(60)의 슬라이딩 구름운동에 의해 완만하게 하강하므로 그 과정에서 시설물(S)이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은 유입관(30)의 안내 및 유도작용에 의해 강물이 범람할 때 부유 쓰레기가 기초(10) 내부공간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종래와 달리 강물이 차올랐다가 빠질 때 강물에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의 유입으로 인해 부력체(50)가 기초(10)의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걸림 없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기초(10)의 지하공간에 놓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은 강변 등에 설치하는 간이음식점, 간이매점, 음료수자판기, 위생용품자판기, 스낵자판기, 공중화장실, 안내소, 자전거보관소, 공연장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0: 기초 11: 벽
12: 슬러지 배출구 20: 슬러지 암거
21: 배수구 30: 유입관
40: 가이드 포스트 50: 부력체
51: 포스트 홀 55: 커버판
60: 가이드 롤러 70: 역지방지밸브
80: 차단망 90: 체크밸브

Claims (3)

  1. 지면 아래의 사방 굴착면에 접하는 벽(11)이 형성되고, 상기 사방의 벽(11) 중 한쪽 벽(11) 하부에 슬러지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구(12)를 향해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된 기초(10);
    상기 기초(10) 일측의 지면 아래에 형성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12)를 통해 상기 기초(10)의 내부와 통하면서 그 기초(10)의 바닥보다 바닥이 낮게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구(21)가 형성된 슬러지 암거(20);
    상기 기초(10)의 다른 한쪽 벽(11) 하부에 그 기초(10)의 내부 바닥과 강변의 호안(R)이 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관(30);
    상기 기초(10)의 바닥 가장자리에 세워진 다수 개의 가이드 포스트(40);
    상기 기초(10)의 바닥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40)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그 가이드 포스트(40)와 대응되는 포스트 홀(51)이 가장자리에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구조물(S)이 설치된 부력체(50);
    상기 부력체(50)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4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51)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60);
    상기 기초(10) 내의 오수나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기초(10)의 내부 쪽에 위치하는 상기 유입관(30)의 단부에 구비된 역류방지밸브(70); 및
    상기 유입관(30)으로 부유 쓰레기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변의 호안 쪽에 위치하는 그 유입관(30)의 단부에 구비된 차단망(80);
    을 포함하는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50)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기초(10)와의 틈새를 막는 커버판(55)이 더 구비된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KR1020150113278A 2015-08-11 2015-08-11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KR10158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78A KR101580996B1 (ko) 2015-08-11 2015-08-11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78A KR101580996B1 (ko) 2015-08-11 2015-08-11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96B1 true KR101580996B1 (ko) 2015-12-29

Family

ID=5508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78A KR101580996B1 (ko) 2015-08-11 2015-08-11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11B1 (ko) * 2017-02-28 2017-04-2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KR101792742B1 (ko) * 2017-05-25 2017-11-02 민혜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유닛 계류장치
KR20220086806A (ko) * 2020-12-17 2022-06-24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745A (ja) 2005-01-25 2006-09-07 Takeshi Hayashi 水害浮上建築物の浮体施工方法
JP2007077758A (ja) 2005-09-16 2007-03-29 Takeshi Hayashi 水害対応免震建築物
JP2007120012A (ja) 2005-10-25 2007-05-17 Shigeru Yaguchi 浸水防止用人工地盤
KR100783119B1 (ko) 2007-10-11 2007-12-07 김용재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KR20090085355A (ko) 2008-02-04 2009-08-07 김용재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KR101248063B1 (ko) 2012-10-25 2013-03-26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부양형 야외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JP2013241785A (ja) * 2012-05-21 2013-12-05 Shimizu Corp 防護装置
KR101469949B1 (ko) 2014-08-22 2014-12-08 주식회사 아이랜드 수면 부상식 시설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745A (ja) 2005-01-25 2006-09-07 Takeshi Hayashi 水害浮上建築物の浮体施工方法
JP2007077758A (ja) 2005-09-16 2007-03-29 Takeshi Hayashi 水害対応免震建築物
JP2007120012A (ja) 2005-10-25 2007-05-17 Shigeru Yaguchi 浸水防止用人工地盤
KR100783119B1 (ko) 2007-10-11 2007-12-07 김용재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KR20090085355A (ko) 2008-02-04 2009-08-07 김용재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JP2013241785A (ja) * 2012-05-21 2013-12-05 Shimizu Corp 防護装置
KR101248063B1 (ko) 2012-10-25 2013-03-26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부양형 야외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101469949B1 (ko) 2014-08-22 2014-12-08 주식회사 아이랜드 수면 부상식 시설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11B1 (ko) * 2017-02-28 2017-04-2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KR101792742B1 (ko) * 2017-05-25 2017-11-02 민혜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유닛 계류장치
KR20220086806A (ko) * 2020-12-17 2022-06-24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KR102422961B1 (ko) * 2020-12-17 2022-07-20 김용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KR101580996B1 (ko)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EP3565931A1 (en) A drain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469949B1 (ko) 수면 부상식 시설물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CN213296596U (zh) 一种城市绿地植物滞留带景观结构
CN113931286A (zh) 一种海绵城市蓄水排水结构
US4589798A (en) Drainage system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JP4603211B2 (ja) 昇降式越流堰
KR100781134B1 (ko) 고무보
CN210104942U (zh) 一种海绵城市蓄渗系统的蓄水池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JP7283353B2 (ja)
JP3125175U (ja) 排水装置用浮上式浮遊きょう雑物流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