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132B1 - 도로용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도로용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132B1
KR101077132B1 KR1020090133602A KR20090133602A KR101077132B1 KR 101077132 B1 KR101077132 B1 KR 101077132B1 KR 1020090133602 A KR1020090133602 A KR 1020090133602A KR 20090133602 A KR20090133602 A KR 20090133602A KR 101077132 B1 KR101077132 B1 KR 10107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abandoned
leg
rain
registration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134A (ko
Inventor
여인봉
이태구
여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Priority to KR102009013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1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는 배수구 내에 설치되는 몸체(10);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배수구 내에 지지하는 다리(20);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며 빗물에서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고액분리하고 협잡물 또는 협잡물을 저장하는 거름 바구니(30); 상기 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빗물을 배수시키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닫히게 되어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차단하는 개폐문(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막고 동시에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배수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빗물받이, 거름 주머니, 개폐문, 월류

Description

도로용 빗물받이{A rain-water drainer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 측면에 설치되어 강우시 도로면에 흐르는 유수를 제거하고, 우수가 흐르지 않을 때는 하수관로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기존의 배수관에 별도의 시공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용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의 유수가 집수되는 빗물받이가 매설되어 있고, 빗물받이와 연결되어 지하로 빗물이나 오수를 이송시키는 하수관이 매설된다. 빗물받이가 하수관과 연결되므로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해충이 빗물받이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빗물받이를 통하여 악취와 해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빗물받이 상부를 구성하는 그레이팅을 판자 등으로 덮어버릴 경우 정작 비가 올 때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쌓이게 될 경우 배수로를 막아 월류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비가 올 때 빗물받이의 역할을 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악취와 해 충의 유출을 방지하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배수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나 고안이 다수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6707호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에서는 차단판에 형성된 보조배수유입구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될 경우 그레이팅을 관통하여 형성된 부기와 차단판이 빗물이 차오름에 따라 상승하여 빗물을 배수시키는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용기를 배수구의 단턱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차단판이 그레이팅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배수구 위를 지나다니는 사람이나 차량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우며, 특히 트럭이나 버스 등 대형차량이 배수구 위에 주차하는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용기 내에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 경우 그레이팅 뿐 아니라 차단판과 부기를 통째로 들어내어야 하므로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없어 협잡물과 퇴적물이 쌓이게 되어 빗물받이가 오히려 월류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3514호 "악취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물"에서는 그레이팅 하부에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덮개를 구성하고 그 자동 개폐가 시소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장치를 일일이 각 배수구의 그레이팅 하부에 고정시켜 주어야 하므로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배수구 위를 지나다니는 사람이나 차량에 의한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배수로에 쌓여 월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지 못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43030호 "거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9763호 "하수유입맨홀 오물 걸림 부착바구니"에서는 그레이팅 하부와 배수구 상부에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미리 거를 수 있는 거름망 또는 오물 걸림 부착바구니를 설치한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거를 수는 있으나 그레이팅 하부에 거름망 또는 오물 걸림 부착바구니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배수구와는 달리 거름망 또는 오물 걸림 부착바구니가 설치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구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빗물받이를 통하여 악취와 해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0886호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서는 빗물받이 구체에 설치된 연결관에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설치한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배출시키고, 비가 오지 않을 때 악취와 해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거를 수 없고, 회전판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쉽게 쌓여 막힐 수 있어 월류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95930호 "악취방지용 우수통",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119호 "하수구 악취방지용 덮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5543호 "배수구의 역류장치"에서는 하수구에서 나오는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레이팅 하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발명 또는 고안은 그레이팅 하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나, 장치를 일일이 각 배수구의 그레이팅 하부에 고정시켜 주어야 하므로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배수구 위를 지나다니는 사람이나 차량에 의한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 지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발명 또는 고안들은 기존 배수구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기존 배수구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손상시켜야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기존 배수구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치의 경우 그레이팅 하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인 데, 이는 파손이 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막고 동시에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막고 동시에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배수구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게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는 배수구 내에 설치되는 몸체(10);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배수구 내에 지지하는 다리(20);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며 빗물에서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고액분리하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저장하는 거름 바구니(30); 상기 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빗물을 배수시키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닫히게 되어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차단하는 개폐문(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배수구 내에 설치되므로, 배수구의 크기 및 모양을 고려하여 배수구 내 공간 크기 및 모양에 맞추어 형성된다. 통상적인 배수구 내 공간이 육면체 형상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몸체(10)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는 거름 바구니(30)을 수납하기 위하여 비어 있어야 하고,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재질로는 철, 금속 합금, 비철금속 등의 금속재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재 등 부식이 잘 되지 않고 내구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몸체(10)의 상부에는 설치와 이송을 위한 손잡이(11)와 배수구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날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2)는 테두리는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는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10) 또는 날개부(12)가 배수구 벽면에 직접 밀착할 경우 설치시 기계적 마찰과 설치 후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몸체(10) 또는 날개부(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일정한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에는 배수구와 접촉 시 기밀성을 유지하고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12)와 완충부(13)가 형성됨에 의하여 노면에서 그레이팅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빗물받이 외부로 빠지지 않으면서도 완충부(13)가 그레이팅을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빗물받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3)는 연질재로서 기밀성을 유지하고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고, 날개부(12) 테두리에 고무 또는 실리콘 패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우레탄 등 연질재를 상기 날개부(12)에 강성 도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20)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를 배수구 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다리(20)는 상기 몸체(10)가 배수구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 를 가지고 이격될 수 있도록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배수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적인 배수구는 그 깊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제각각인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한 깊이를 가진 배수구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다리(20)는 상기 몸체(10)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상단부 다리(21)와 바닥에 지지되는 하단부 다리(22)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단부 다리(21)와 상기 하단부 다리(22)는 각각의 다리에 형성된 홈(23)을 통하여 볼트, 리벳, 핀 등의 통상적인 체결수단(24)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홈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또는 상반부 다리(21)와 하반부 다리(22)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반부 다리(21)에 하반부 다리(22)를 끼울 수 있고, 결합 방식은 다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25) 중 하나에 돌기(26)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다리 길이를 조절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물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거름 바구니(3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납되며, 빗물은 빠져나가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사출 그물 또는 타공판으로 형성되며,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손잡이(31)가 형성된다. 상기 거름 바구니(30) 바닥부는 테두리에 중앙부가 솟아있는 판형 스크린(32)이 얹혀 있는 상태로 형성이 되어, 협 잡물이나 퇴적물 제거 시 상기 판형 스크린(32)만을 들어내어 털어줌으로써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개폐문(40)은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40)은 개폐 기능을 담당하는 개폐판(41), 자동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무게 평형추(42),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무게 평형추(42)가 동작할 수 있도록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43)와 힌지샤프트(44)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문(40)은 강우시 빗물이 빗물받이로 유입되면 몸체에 저장되는 빗물의 무게로 인하여 자동으로 문이 열려 빗물을 배수하고, 빗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자동으로 문이 닫혀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문(4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무게 평형추(42)에 의하여 닫혀 있는 개폐문(40)에 몸체(10)에 저장된 빗물의 하중이 작용하여 개폐문(10)이 열리게 되고, 빗물이 빠져나가면 다시 무게 평형추(42)의 하중으로 인하여 개폐문(40)이 닫히게 된다.
상기 무게 평형추(42)는 개폐문의 회전축의 반대편에 개폐문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저울추와 같이 추를 매다는 방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설치한다.
특히, 강우량이 소량인 경우 소량의 빗물이 유입되어도 개폐문(40)이 작동할 수 있도록 개폐판(41) 끝단에 물이 담겨져서 일정한 하중이 작용될 수 있도록 저류부(45)를 형성하여 개폐문(40)의 작동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한다. 상기 저류부(45)는 요철형상, 반원형, 반사각면형상 등 빗물의 저류 및 개폐문(40)이 열렸을 때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는 별도의 거름바구니를 설치하지 않는 간략화한 구조로도 구성이 가능하고, 별도의 거름바구니가 구비되지 않는 대신, 배수구 내에 설치되며 바닥면이 경사를 두고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배수구 내에 지지하는 다리(20); 상기 경사진 바닥면(50)에 형성된 타공부(51) 및 저장부(52); 상기 바닥면(50)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문(70)과 수류유도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배수구 내에 설치되므로, 배수구의 크기 및 모양을 고려하여 배수구 내 공간 크기 및 모양에 맞추어 형성된다. 통상적인 배수구 내 공간이 육면체 형상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몸체(10)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재질로는 철, 금속 합금, 비철금속 등의 금속재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재 등 부식이 잘 되지 않고 내구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몸체의 바닥면(50)은 5~45°의 경사를 가지게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10°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바닥면(50) 면적의 약 50~75%는 타공부(51)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진 바닥면(5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타공부(51)는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거르고 빗물이 빠져나가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타공부(51)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바닥면(50)은 경사를 타고 내려오는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저장되는 저장부(52)로 형성된다. 상기 타공부(51)에는 고액 분리용 여과재를 설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거르도록 하였다. 상기 여과재는 웨지 필터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액 분리용 여과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과 같이 내구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50)의 하부에는 개폐문(70)과 수류유도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수류유도부(60)는 상기 타공부(51)를 통과한 빗물을 배수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공부(51)를 통과하는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부(51)의 가장자리와 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51)을 통과하는 빗물이 집수되고 집수된 빗물을 배수구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나, 상기 바닥면(50)과 평행하게 형성된 서랍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류유도부(60)의 끝단에는 개폐문(70)이 형성된다. 빗물은 상기 수류유도부(60)를 따라 개폐문(70)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빗물의 하중에 의하여 개폐문(70)이 열려 빗물을 배수하고, 빗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자동으로 문이 닫혀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개폐문(70)이 닫혀있더라도 상기 타공부(51)의 타공을 통하여 악취와 해충이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류유도부(60)는 상기 타공부(5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70)은 상기 타공부(51)가 끝나고 상기 저장부(52)가 시작되는 부분보다 경사 아랫 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타공부(51)가 상기 개폐문(70)과 상기 수류유도부(60)에 의하여 완전히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50) 하부에는 힌지(7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71)의 직경과 동일한 구경의 개폐문 힌지(72)가 개폐문(70)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71)와 상기 개폐판 힌지(57)에 힌지 샤프트(73)가 끼워지므로, 빗물이 개폐문(70)에 하중을 가하면 개폐문(70)이 들려지게 되고, 빗물이 다 빠져나가면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개폐문(70)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
상기 개폐문(7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100~120°의 각도를 형성하며 닫혀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몸체(10)의 상부에는 설치와 이송을 위한 손잡이(11)와 배수구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날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2)는 테두리는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는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10) 또는 날개부(12)가 배수구 벽면에 직접 밀착할 경우 설치시 기계적 마찰과 설치 후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몸체(10) 또는 날개부(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일정한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에는 배수구와 접촉 시 기밀성을 유지하고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12)와 완충부(13)가 형성됨에 의하여 노면에서 그레이팅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빗물받이 외부로 빠지지 않으면서도 완충부(13)가 그레이팅을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빗물받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3)는 연질재로서 기밀성을 유지하고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고, 날개부(12) 테두리에 고무 또는 실리콘 패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우레탄 등 연질재를 상기 날개부(12)에 강성 도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20)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를 배수구 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다리(20)는 상기 몸체(10)가 배수구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이격될 수 있도록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배수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적인 배수구는 그 깊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제각각인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한 깊이를 가진 배수구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다리(20)는 상기 몸체(10)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상단부 다리(21)와 바닥에 지지되는 하단부 다리(22)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단부 다리(21)와 상기 하단부 다리(22)는 각각의 다리에 형성된 홈(23)을 통하여 볼트, 리벳, 핀 등의 통상적인 체결수단(24)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홈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또는 상반부 다리(21)와 하반부 다리(22)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반부 다리(21)에 하반부 다리(22)를 끼울 수 있고, 결합 방식은 다리 길 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25) 중 하나에 돌기(26)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다리 길이를 조절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물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는 개폐문을 설치하여 비가 올 때는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개폐문이 닫혀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거름 바구니를 설치함으로써 협잡물이나 퇴적물이 배수구나 배수관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월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거름 바구니에 쌓이는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판형 스크린만을 청소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기존 배수구에 별도의 시공을 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다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기존 배수구에도 무리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몸체(10)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서 속이 빈 육면체 형상이고 3~20mm 두께로 형성하였다. 몸체(10)의 상부에는 손잡이(11)와 날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5~30mm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에는 폴리우레탄을 상기 날개부(12)에 강성 도포하여 완충부(13)를 형성하였다.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4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며, 각각의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각 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는 상단부 다리(21)와 바닥에 지지되는 하단부 다리(22)로 분리되어 구성하였다. 상기 상단부 다리(21)와 상기 하단부 다리(22)는 각각의 다리에 형성된 홈(23)을 통하여 볼트, 리벳, 핀 등의 통상적인 체결수단(24)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홈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였다.
거름 바구니(3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납되며, 사출 그물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크기와 같거나 5~10%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탈부착식 설치가 용이하게 하였고,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였다. 상기 거름 바구니(30) 바닥부는 테두리에 중앙부가 솟아있는 판형 스크린(32)이 얹혀 있는 상태로 형성하였다.
개폐문(40)은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에 2개를 마주보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개폐문(40)은 개폐판(41), 무게 평형추(42),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무게 평형추(42) 각각에 결합하는 힌지(43)와 힌지샤프트(44)로 구성하였다. 상기 개폐문(4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힌지샤프트(44)를 중심으로 개폐판(41)과 무게 평형추(42)이 마주보도록 형성하였고, 개폐판(41) 끝단에 반사각면 형상의 저류부(45)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몸체(10)는 비철 금속 재질로서 속이 빈 육면체 형상이고 3~10mm 두께로 형성하였으며, 각 면을 용접하여 형성하였다. 몸체(10)의 상부에는 손잡이(11)와 날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5~30mm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날개부(12)의 테두리에는 고무패킹을 상기 날개부(12)에 형성하여 완충부(13)를 형성하였다.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4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며, 각각의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각 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는 상단부 다리(21)와 바닥에 지지되는 하단부 다리(22)로 분리되어 구성하였다. 상기 상단부 다리(21)와 상기 하단부 다리(22)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상반부 다리(21)의 내경이 상기 하반부 다리(22)의 외경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도록 제작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상기 상반부 다리(21)에 돌기(26)를 형성하여 상기 하반부 다리(22)에 형성된 홈(25)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거름 바구니(3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납되며, 사출 그물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크기와 같거나 5~10%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탈부착식 설치가 용이하게 하였고,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였다. 상기 거름 바구니(30) 바닥부는 테두리에 중앙부가 솟아있는 판형 스크린(32)이 얹혀 있는 상태로 형성하였다.
개폐문(40)은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에 2개를 마주보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개폐문(40)은 개폐판(41), 무게 평형추(42),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무게 평형추(42) 각각에 결합하는 힌지(43)와 힌지샤프트(44)로 구성하였다. 상기 개폐문(4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힌지샤프트(44)를 중심으로 개폐판(41)과 무게 평형추(42)이 마주보도록 형성하였고, 개폐판(41) 끝단에 반사각면 형상의 저류부(45)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몸체(10)는 비철금속 재질로서 바닥면(50)이 10°의 경사를 가지게 형성된 육면체 형상이고, 비철 금속 재질로서 속이 빈 육면체 형상이고 3~10mm 두께로 형성하였으며 각 면을 용접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바닥면(50) 면적의 60%는 타공부(51)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진 바닥면(5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웨지 필터를 부착하였다. 상기 바닥면(50)의 나머지 부분은 저장부(52)로 형성되었다.
상기 바닥면(50)의 하부에는 개폐문(70)과 수류유도부(60)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수류유도부(60)는 상기 타공부(51)의 가장자리와 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50)과 평행한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개폐문(7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12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면(50)의 하부에 부착된 힌지(71)와 상기 힌지(71)에 끼워지는 힌지 샤프트(73)에 의하여 고정된다.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4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며, 각각의 다리(20)는 상기 몸체(10)의 각 모서리 하단에 부착되는 상단부 다리(21)와 바닥에 지지되는 하단부 다리(22)로 분리되어 구성하였다. 상기 상단부 다리(21)와 상기 하단부 다리(22)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상반부 다리(21)의 내경이 상기 하반부 다리(22)의 외경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도록 제작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상기 상반부 다리(21)에 돌기(26)를 형성하여 상기 하반부 다리(22)에 형성된 홈(25)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거름 바구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거름 바구니의 제작용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를 설치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다리의 상반부 다리와 하반부 다리가 결합한 부분을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빗물받이의 몸체의 바닥면만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몸체
11 : 손잡이
12 : 날개부
13 : 완충부
20 : 다리
21 : 상반부 다리
22 : 하반부 다리
23 : 홈
24 : 체결수단
30 : 거름 바구니
31 : 손잡이
32 : 판형 스크린
40 : 개폐문
41 : 개폐판
42 : 무게 중심추
43 : 힌지
44 : 힌지 샤프트
45 : 저류부
50 : 바닥면
51 : 타공부
52 : 저장부
60 : 수류유도부
70 : 개폐문
71 : 힌지
72 : 개폐문 힌지
73 : 힌지 샤프트
100 : 노면
101 : 그레이팅
102 : 배수구
103 : 배수관

Claims (27)

  1. 배수구 내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배수구 내에 지지하는 다리;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며 빗물에서 협잡물이나 퇴적물을 고액분리하고 협잡물 또는 협잡물을 저장하는 거름 바구니; 상기 몸체 바닥부에 형성되고 빗물을 배수시키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닫히게 되어 악취와 해충의 유출을 차단하는 개폐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완충부가 형성되어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
    상기 완충부는 날개부 테두리에 고무 또는 실리콘 패킹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질재를 상기 날개부에 강성 도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 물받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다리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에 부착된 상반부 다리와 배수구 바닥을 지지하는 하반부 다리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
    상기 상반부 다리와 상기 하반부 다리는 각각의 다리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
    상기 상반부 다리와 상기 하반부 다리는 통 형상이고, 상기 하반부 다리는 상기 상반부 다리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은 돌기와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거름 바구니는 사출 그물 또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
    상기 거름 바구니는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
    상기 거름 바구니는 바닥부의 테두리에 중앙부가 솟아있는 판형 스크린이 얹혀 있는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
    상기 개폐문은 개폐판과 무게 평형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
    상기 개폐판 끝단에는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5. 배수구 내에 설치되며 바닥면이 경사를 두고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배수구 내에 지지하는 다리; 상기 경사진 바닥면에 형성된 타공부 및 저장부;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문과 수류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테두리는 배수구 벽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완충부가 형성되어 배수구 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다리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항에 있어,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항에 있어,
    상기 상반부 다리와 상기 하반부 다리는 각각의 다리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항에 있어,
    상기 상반부 다리와 상기 하반부 다리는 통 형상이고, 상기 하반부 다리는 상기 상반부 다리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은 돌기와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바닥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5~45°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3. 제 15항에 있어,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 면적의 50~75%는 타공부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진 바닥면 상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바닥면에는 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항에 있어,
    상기 타공부에는 고액 분리용 여과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수류유도부는 상기 타공부의 가장자리와 밀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개폐문은 상기 수류유도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
    상기 개폐문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100~120°의 각도를 형성하며 닫혀있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받이.
KR1020090133602A 2009-12-30 2009-12-30 도로용 빗물받이 KR10107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02A KR101077132B1 (ko) 2009-12-30 2009-12-30 도로용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02A KR101077132B1 (ko) 2009-12-30 2009-12-30 도로용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134A KR20110077134A (ko) 2011-07-07
KR101077132B1 true KR101077132B1 (ko) 2011-10-27

Family

ID=4491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602A KR101077132B1 (ko) 2009-12-30 2009-12-30 도로용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92B1 (ko) 2013-10-25 2014-01-23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유량조절 및 역류방지장치
KR102209063B1 (ko) * 2020-11-16 2021-01-28 주식회사 한도펀칭 내식성이 우수한 우수 침투 여과통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39B1 (ko) * 2012-12-03 2013-08-01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160B1 (ko) 2010-03-22 2010-09-20 (주)보성건영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160B1 (ko) 2010-03-22 2010-09-20 (주)보성건영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92B1 (ko) 2013-10-25 2014-01-23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유량조절 및 역류방지장치
KR102209063B1 (ko) * 2020-11-16 2021-01-28 주식회사 한도펀칭 내식성이 우수한 우수 침투 여과통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134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US7040838B2 (en) High capacity catch basin filtration system with adjustable deflector ring
US8608956B2 (en) Curb inlet catch basin filtration apparatus
KR100835530B1 (ko)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조립체
US20020121466A1 (en) Sewer eco-collar for sump application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US20080164190A1 (en) Curbside gross pollution trap
EP2685016A1 (en) Shut-off device and drain with such a device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20140081280A (ko) 이물질 수거장치를 갖는 맨홀
US20040035772A1 (en) Grated drain basket with seal collar
KR101305971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2093866B1 (ko)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