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83B1 - 하수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83B1
KR100675583B1 KR1020060065667A KR20060065667A KR100675583B1 KR 100675583 B1 KR100675583 B1 KR 100675583B1 KR 1020060065667 A KR1020060065667 A KR 1020060065667A KR 20060065667 A KR20060065667 A KR 20060065667A KR 100675583 B1 KR100675583 B1 KR 10067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rame
backflow prevention
plates
back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영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6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하수의 빠른 유속을 감속시켜 유입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하수가 급격히 하수관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하여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10)이 하부 양측에 연통 설치되는 집수 맨홀(20)과, 상기 집수 맨홀(20)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수관(10)의 상부를 감싸는 요입홈(42)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거름망(44)이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이물질 거름틀(40)과, 상기 이물질 거름틀(4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상단은 집수 맨홀(20) 상단 내주면의 걸림턱(22)에 체결되는 역류 방지틀(50)과,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에는 반원 형상의 고정편(74)이 돌출 형성되는 제 1,2 유속 감속판(70)(72)과,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각 하부의 역류 방지틀(50)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집수 맨홀(20)의 내측면에 만곡 형성된 가이드 장홈(2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상부에는 하수의 역류 발생시 상승하여 제 1,2 유속 감속판(70)(72) 타단의 고정편(74)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돌출편(84)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부력공(8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타측에는 배수망(88)이 설치되어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 1,2 역류 차단판(80)(82)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집수 맨홀, 이물질 거름틀, 역류 방지틀, 유속 감속판, 역류 차단판

Description

하수 역류 방지장치{Sewage flowing backward interrup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수관 20; 집수 맨홀
22; 걸림턱 24; 가이드 장홈
30; 스틸 그레이팅 40; 이물질 거름틀
42; 요입홈 44; 거름망
46; 나선축 50; 역류 방지틀
52; 체결공 54; 고정 볼트
60; 높낮이 조절용 너트 70; 제 1 유속 감속판
72; 제 2 유속 감속판 74; 고정편
80; 제 1 역류 차단판 82; 제 2 역류 차단판
84; 돌출편 86; 부력공
88; 배수망
본 발명은 하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하수의 빠른 유속을 감속시켜 유입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하수가 급격히 하수관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하여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차도 경계석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여 집수 맨홀이 설치되는 데, 이와 같은 집수 맨홀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집수 맨홀이 설치되고, 이 집수 맨홀에는 상부에 스틸 스레이팅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집수 맨홀은 집중 호우나 기타의 외부적 요건으로 인하여 하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을 때 스틸 그레이팅을 통해 집수 맨홀로 유입된 하수가 하수관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역으로 역류되어 도로 등에 쏟아져 나오게 되므로 인해 가로등의 감전 사고나 도로를 이동하는 차량들이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 20-312025 호가 제안되었으나, 방지막 체결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막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역류시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작용력이 약해 역류 방지막이 맞닿은 부분을 통해 하수가 흘러 역류를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하수의 빠른 유속을 감속시켜 유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하수가 급격히 하수관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됨에 따라 하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의 역류로 인한 수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하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수관이 하부 양측에 연통 설치되는 집수 맨홀과, 상기 집수 맨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수관의 상부를 감싸는 요입홈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이물질 거름틀과, 상기 이물질 거름틀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상단은 집수 맨홀 상단 내주면의 걸림턱에 체결되는 역류 방지틀과, 상기 역류 방지틀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에는 반원 형상의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는 제 1,2 유속 감속판과,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 각 하부의 역류 방지틀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양측은 집수 맨홀의 내부 양측면에 만곡 형성된 가이드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상부에는 하수의 역류 발생시 상승하여 제 1,2 유속 감속판 타단의 고정편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부력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타측에는 배수망이 설치되어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 1,2 역류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역류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거름틀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나선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역류 방지틀 각각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상기 나선축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역류 방지틀의 하단 모서리부와 이물질 거름틀 상단 모서리부 사이를 관통하는 나선축에는 회전시킴에 따라 역류 방지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용 너트가 삽입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하수 역류 방지장치는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차도 경계석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여 하수관(10)이 하부 양측에 연통 설치된 사각 형상의 집수 맨홀(20)이 매설되고, 뚜껑의 역할을 하는 스틸 그레이팅(30)이 얹혀지도록 집수 맨홀(2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단 내주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 맨홀(20)의 내부에는 상기 하수관(10)의 상부를 감싸는 요입홈(42)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거름망(44)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이물질 거름틀(40)이 삽 입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거름틀(4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역류 방지틀(50)이 안착되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이때 상기 이물질 거름틀(4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나선축(46)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각 하단 모서리부에는 상기 나선축(46)이 관통하는 체결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하단 모서리부와 이물질 거름틀(40) 상단 모서리부 사이를 관통하는 나선축(46)에는 회전시킴에 따라 역류 방지틀(5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용 너트(60)가 상기 나선축(46)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역류 방지틀(5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는 상기 집수 맨홀(20) 상단 내주면의 걸림턱(22)에 고정 볼트(54)로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거름틀(40)의 상단에 상기 역류 방지틀(50)이 안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역류 방지틀(5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각각의 높낮이 조절용 너트(6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높낮이 조절용 너트(60)가 상기 나선축(46)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역류 방지틀(50)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높낮이 조절용 너트(60)를 회전시켜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2 유속 감속판(70)(72)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각각의 타단에는 반원 형상의 고정편(7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각 하부의 역류 방지틀(50)의 타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타단 양측은 상기 집수 맨홀(20)의 내부 양측면에 만곡 형성된 가이드 장홈(24)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의 일단은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은 타단은 자유로운 상태이며,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일단은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타단 양측은 상기 집수 맨홀(20)의 내부 양측면에 만곡 형성된 가이드 장홈(24)에 삽입되어 작동시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 장홈(24)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상부에는 하수의 역류 발생시 상승하여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타단의 고정편(74)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돌출편(84)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부력공(8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타측에는 배수망(88)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나 지면 내부에 하수 역류 방지장치를 매설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30)을 통해 유입된 하수는 유입량이 많은 경우 유속이 증가하게 되는 데, 상기 스틸 그레이팅(30)을 통해 낙하하는 하수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유속 감속판(70), 제 1 역류 차단판(80)의 배수망(88), 제 2 유속 감속판(72), 제 2 역류 차단판(80)의 배수망(88), 이물질 거름틀(40)의 거름망(44)을 따라 흐르면서 유속이 대폭 감속된 상태로 낙하하여 상기 하수관(10)을 통해 흘려 보내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 맨홀(20) 양측의 하수관(10)으로 흐르던 하수가 장마철과 같은 우기에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상기 하수관(10)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됨에 따라 집수 맨홀(20)의 상부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하수의 역류가 발생하게 되면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유속 감속판(70), 제 1 역류 차단판(80), 제 2 유속 감속판(72), 제 2 역류 차단판(80)은 각각 별다른 움직임이 없이 최초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하수의 역류로 인한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각각의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부력공(86)이 부력으로 인해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이 상승하여 상기 각각의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돌출편(84)이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타단의 고정편(74)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2 역류 차단판(80)(82)이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과 밀착되어 공간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상기 집수 맨홀(20)의 상부로 하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하수의 빠른 유속을 감속시켜 유입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다량의 하수가 급격히 하수관을 통해 흐르지 못하게 됨에 따라 하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의 역류로 인한 수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인해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하수관(10)이 하부 양측에 연통 설치되는 집수 맨홀(20)과,
    상기 집수 맨홀(20)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수관(10)의 상부를 감싸는 요입홈(42)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거름망(44)이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이물질 거름틀(40)과,
    상기 이물질 거름틀(4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는 집수 맨홀(20) 상단 내주면의 걸림턱(22)에 체결되는 역류 방지틀(50)과,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에는 반원 형상의 고정편(74)이 돌출 형성되는 제 1,2 유속 감속판(70)(72)과,
    상기 제 1,2 유속 감속판(70)(72) 각 하부의 역류 방지틀(50)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양측은 집수 맨홀(20)의 내부 양측면에 만곡 형성된 가이드 장홈(2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의 상부에는 하수의 역류 발생시 상승하여 제 1,2 유속 감속판(70)(72) 타단의 고정편(74)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돌출편(84)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부력공(86)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타측에는 배수망(88)이 설치되어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 1,2 역류 차단판(80)(8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역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거름틀(40)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나선축(46)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역류 방지틀(50) 각각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상기 나선축(46)이 관통하는 체결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역류 방지틀(50)의 하단 모서리부와 이물질 거름틀(40) 상단 모서리부 사이를 관통하는 나선축(46)에는 회전시킴에 따라 역류 방지틀(5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용 너트(6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20060065667A 2006-07-13 2006-07-13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067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67A KR100675583B1 (ko) 2006-07-13 2006-07-13 하수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67A KR100675583B1 (ko) 2006-07-13 2006-07-13 하수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583B1 true KR100675583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667A KR100675583B1 (ko) 2006-07-13 2006-07-13 하수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93B1 (ko) * 2010-02-22 2014-05-12 김정산 맨홀에서 역류 감지 및 이의 방지장치
CN110593386A (zh) * 2019-10-24 2019-12-20 新昌县彭诚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有助于污水分离的卫浴室用地漏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39950
20-0284881
20-029242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93B1 (ko) * 2010-02-22 2014-05-12 김정산 맨홀에서 역류 감지 및 이의 방지장치
CN110593386A (zh) * 2019-10-24 2019-12-20 新昌县彭诚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有助于污水分离的卫浴室用地漏
CN110593386B (zh) * 2019-10-24 2020-12-01 台州市旭龙业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有助于污水分离的卫浴室用地漏
CN110593386B8 (zh) * 2019-10-24 2020-12-25 台州旭龙业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有助于污水分离的卫浴室用地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30B1 (ko)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조립체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0591741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WO2018122561A1 (en) A drain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224119B1 (ko)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101580996B1 (ko)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JP4603211B2 (ja) 昇降式越流堰
KR200423927Y1 (ko) 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1359138B1 (ko) 하수관거용 해양 오염방지 장치
KR100895422B1 (ko) 하수구의 이물진입방지 및 악취 배출방지용 맨홀덮개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180091160A (ko) 역류 방지 배수 그레이트
KR200312015Y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용 집수 맨홀 구조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