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975B1 -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975B1
KR101722975B1 KR1020160049016A KR20160049016A KR101722975B1 KR 101722975 B1 KR101722975 B1 KR 101722975B1 KR 1020160049016 A KR1020160049016 A KR 1020160049016A KR 20160049016 A KR20160049016 A KR 20160049016A KR 101722975 B1 KR101722975 B1 KR 10172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level
handrail
brack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영
김원규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6004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통행로로 이용하다가 위험수위시에는 기립하여 하천수가 제내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힌지부에 의해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력체를 포함한 차수판과 차수판의 기립시 난간의 파손방지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하는 난간 기립부로 구성되어, 통행로와 차수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힌지부를 개조하여 차수판과 기초 콘크리트 사이를 지수하기 위한 제1 지수부재의 시공이 쉽게 이루어져 시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난간 기립부의 작동바와 전도방지밴드 및 스페이서를 현장에서 손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non-power type flood defens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통행로로 이용하다가 위험수위시에는 기립하여 하천수가 제내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에는 물의 범람시 불어나는 하천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방을 설치한다.
하지만, 최근에 급격한 도시화와 이상기후 및 호우 강도가 커짐에 따라 제방의 높이를 최초 설계하였을 때보다 예상 강우량이 많아지게 되어 근래에는 제방에 별도의 홍수방지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홍수방지벽은 콘크리트 고정벽이나 부력에 의해 전도 및 기립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지면 아래에 홈을 형성하여 하천수 유입시 부력을 이용하는 형태, 또는 수위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홍수방지벽이 기립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조의 콘크리트 고정벽은 하천 접근성이나 경관성이 좋지 않고, 제방 인근에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나 터파기 등의 공사를 할 수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제방 인근에 보도 또는 산책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를 설치하기 위한 여유공간 및 작업여건이 여의치 않음으로써 홍수방지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060호(2012.08.16)『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로 이용하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보행로가 부력체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가 기립하여 차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동 플레이트 하측의 제1 지수부재 및 측면의 측면 구조물에 혀성된 제2 지수부재에 의해 지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유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차수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등록특허를 보완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4959호(2015.04.20.) 『침수방지용 홍수벽』을 제안한 바 있다.
(특허문헌 1) KR10-1176060 B1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특허문헌 2) KR10-1514959 B1 침부상비용 홍수벽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 2 들은 현장에 적용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특허문헌 1, 2에서의 차수판은 정상수위시에는 통행로로 이용되고 홍수 수위시에는 기립하여 물막음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에, 차수판의 기립 후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차수판이 전도되어야 할 때에 차수판의 기립된 각도가 90°에 너무 가까워서 자동으로 차수판이 전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수판과 기초 콘크리트 사이의 지수를 위해 힌지 하부에 지수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술한 지수재는 차수판이 기립할 때를 감안하여 여유롭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시 이를 차수판과 기초 콘크리트 사이에 억지로 끼워 넣어야 함으로써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위의 발명들은 현장 구조물에 설치되어야 하는 만큼 아무리 정교하게 제작한다 할지라도 현장 여건 상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위의 특허문헌들은 현장 적용시 현장 상황에 맞게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평상시에는 통행로로 이용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제내지로 하천의 물이 범람하지 않도록 기립하여 여유고가 부족한 위치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2 지수부재를 통해 수위 상승시 제내지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지수부재의 중앙 부분을 제1, 2 힌지 사이에 배치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제2 지수부재는 차수판 사이에만 형성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간 기립부를 구성하여 정상수위시에는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차수판의 기립시에는 차수판과 일직선이 되도록 난간을 기립시켜 난간의 파손 방지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간을 기립시키는 난간 기립부의 작동바를 길이 가변이 되도록 구성하여 시공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방지밴드의 일측을 고정하는 브라켓의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을 장공홈으로 형성하여 시공시 오차가 있더라도 설계자가 의도한 대로 차수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스페이서를 통해 고정부와 차수판의 수평을 오차 없이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수위 상승시 부력체에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차수판이 통행로로 이용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부력체 및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기립되어 물막음을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의 제1, 2 힌지에 형성된 제1, 2 수직면 사이의 공간부에 제1 지수부재의 중앙부분이 배치되어 제1 지수부재의 설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을 확보하면서, 차수판과 차수판 사이 공간에만 제2 지수부재를 결합하여 지수 효율성을 높이면서 시공비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난간 기립부의 정면 플레이트 및 작동바에 의해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차수판의 기립시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운동하여 난간을 기립시킴으로써 난간의 파손 방지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난간 기립부의 작동바를 턴버클 형태로 제작하여 시공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현장에서 쉽게 보정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수판의 기립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전도방지밴드의 일측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을 장공홈 형태로 형성해 길이 가변이 가능해져 현장 여건에 맞게 전도방지밴드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도방지밴드를 통한 차수판의 최대 기립각도를 80 ∼ 85°로 제한하여 차수판의 기립 이후 전도시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차수판을 브라켓에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스페이서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고정부와 차수판의 수평을 현장에서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전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의 난간 기립부, 브라켓 및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a)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작동바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1의 X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1, 2 지수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1의 Y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전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천 인근의 여유고가 부족한 제방 등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행자의 통행로로 이용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물막음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고정부(1)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천인근의 여유고가 부족한 제방에 형성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C)에 볼트(B)에 의해 결합하여 보행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부(1)는 각파이프(P)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마감재(D)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브라켓(10)은 상술한 기초 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초 콘크리트(C)에 볼트(B)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수직바(13)와 상기 수직바(13)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바(14) 및 수평바(14)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직바(13)와 수평바(14)에 형성되는 보강대(15)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차수판(30)은 상술한 고정부(1)와 힌지(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평상시에는 고정부(1)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행자의 통행로로 이용되다가 하측면에 형성된 부력체(31)에 의해 수위 상승시 기립됨으로써 하천의 물의 범람시 물이 제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차수판(30)은 앞서 설명한 고정부(1)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각파이프(P)를 이용해 프레임을 형성한 후 상측면에 고정부(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D)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난간(40)은 고정부(1)와 결합하는 차수판(30)의 반대편 일단에 결합하여 차수판(30)이 전도된 상태여서 고정부(1)와 함께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행로 역할을 할때에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쌍의 지주(41)와 지주(41) 사이에 형성되는 가드레일(4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난간 기립부(70)는 차수판(30)이 전도상태에서 기립하거나, 기립상태에서 전도할 때에 난간(40)의 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난간 기립부(70)는 슬라이딩 본체(50)와 작동바(60)로 구성된다.
우선, 슬라이딩 본체(5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난간(40)이 설치된 위치의 차수판(30) 하측면에 결합되어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 및 전도되는 차수판(30)과 함께 기립 및 전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본체(50)는 차수판(30)이 하천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난간(40)에 형성된 지주(41) 중 하천과 마주보는 정면과 맞닿을 수 있는 정면 플레이트(51)가 구성되고, 상기 정면 플레이트(51)의 양 측면으로는 정면 플레이트(51)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측면 플레이트(52)가 형성되어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에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정면 플레이트(51) 및 측면 플레이트(52)에 의해 내부에 지주 이동홈(5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차수판(30)보다 더 돌출된 부분에는 지주 이동홈(54)으로 난간(40)의 지주(41)가 이동하기 전에 정면 플레이트(51)에 의해 지주(41) 하단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지주 결합홈(53)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측면 플레이트(52) 내측에는 장공홈 형태의 슬라이딩홈(52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난간(40)을 구성하고 있는 지주(41)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홈(52a)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 및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회전축(41a)을 구비하여 차수판(30)의 전도시 난간(40)의 지주(41)가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사선방향으로 타공되어 있는 지주 결합홈(53)내에 삽입되어 있다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차수판(30)의 기립시 제1 회전축(41a)이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져 지주 이동홈(54)으로 지주(41)의 하단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41a)은 지주(41)에 나사홀을 형성한 후 이 나사홀에 체결할 수 있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 제1 회전축(41a)을 형성하여 체결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작동바(60)는 일측은 난간(40)을 구성하는 지주(41)에 형성된 제1 회전축(41a)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타측은 브라켓(10)의 보강대(15) 측면에 제2 회전축(11)을 형성한 후 이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바(60)는 차수판(30)이 전도되어 통행로로 이용될 경우에는 난간(40)이 수평방향으로 전도된 차수판(30)과 대략 90°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수위 상승에 의해 차수판(30)이 기립되어 있을 경우에는 차수판(30)이 기립된 수직방향에서 연장된 형태로 난간(40)을 기립시킬 수 있도록 지주(41) 하단을 슬라이딩 시키도록 작동한다.
즉, 차수판(30)의 전도시에는 난간(40)의 지주(41)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축(41a)이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52a) 중 정면 플레이트(51)와 인접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차수판(30)과 난간(40)이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고, 차수판(30)의 기립시에는 정면 플레이트(51)와 먼거리에 있는 위치의 슬라이딩홈(52a)에 제1 회전축(41a)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차수판(30)과 같은 방향으로 난간(40)이 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에, 상술한 작동바(60)는 턴버클과 같은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지주(41)에 형성된 제1 회전축(41a)과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홀(61a)과 나사산을 형성한 제1 나사홈(61b)으로 구성된 제1 작동바(61)와 브라켓(1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홀(62a)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홈(62b)으로 이루어진 제2 작동바(62) 및 상기 제1, 2 작동바(61, 62)의 제1, 2 나사홈(61a, 62a)에 결합하는 길이 가변바(63)로 제작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시 길이 가변시켜 차수판(30)의 전도 및 기립시 차수판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때에 간섭 발생을 없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C)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1)와 수위 변동에 의해 가동하는 차수판(30)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힌지부(20)는 제1, 2 힌지(21, 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힌지(21)에는 차수판(30)과 마주하는 고정부(1)의 측면에 맞닿으며 고정부(1)의 두께만큼의 길이를 갖는 제1 수직면(21a)과 상기 제1 수직면(21a)에서 절곡되어 기초 콘크리트(C)에 결합하는 제2 수평면(21b)으로 이루어지고, 제2 힌지(22)에는 제1 힌지(21)의 제1 수직면(21a)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22a)과 이 제2 수직면(22a)에서 절곡되어 차수판(30)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제2 수평면(22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힌지부(20)는 고정부(1)와 차수판(30)과 설치될 때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분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정부(1) 및 차수판(30)에 형성된 마감재(D)와 동일한 수평선상 내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힌지부(20)는 차수판(30)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는 제1 힌지(21)의 제1 수직면(21a)과 제2 힌지(22)의 제2 수직면(22a)이 마주보도록 평행한 상태로 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제1 힌지(21)가 결합된 고정부(1) 하측의 기초 콘크리트(C)와 제2 힌지(22)의 차수판(30) 하측면에 양 단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 내로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지수부재(E1)가 설치되어 차수판(30)과 기초 콘크리트(C) 사이의 수평방향 지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수판(30) 사이에는 제2 지수부재(E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차수판(30)의 기립시 차수판(30)이 기립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전도방지밴드(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도방지밴드(80)를 구성하기 위해 일단은 차수판(30)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제1 전도방지밴드 결합홀(32)을 형성하여 고정결합하고, 타단은 브라켓(10)의 수평바(14)에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12)을 형성하여 고정결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술한 전도방지밴드(8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고,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12)은 수평바(14)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장공홀 형태로 형성하여 전도방지밴드(80)의 설치시 차수판(30)의 기립시 기립되는 각도가 80 ∼ 85°의 각도로 최대 기립될 수 있도록 제2 전도방지 결합홀(12) 내에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의 수평바(14)와 차수판(30)의 하측면이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9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스페이서(90)는 스페이서 나사부(91)와 스페이서 나사부 머리(92)로 구성되고, 이 스페이서(90)의 스페이서 나사부(91)가 결합할 수 있도록 수평바(14)에 나사홀(14a)을 형성하여 스페이서(90)를 결함함으로써, 시공시 차수판(30)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차수판(3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스페이서(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수판(30)의 하측면에 부력체(31)를 제작하여 결합하여 차수판(30)을 제작한다.(차수판 제작단계)
이때에, 상기 차수판(30)의 하측에는 난간 기립부(70)를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딩 본체(50)를 용접 또는 볼트(B)/너트(N)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어야만 한다.
한편, 제방 중 하천과 인접한 지반의 기초공사를 위채 기초 콘크리트(C)를 타설 및 양생하고, 제방 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C)의 상측면으로 매커니컬 앵커볼트 형태의 볼트(B)를 삽입한 후에 각파이프(P)와 마감재(D)를 이용하여 고정부(1)를 결합하고, 너트(N)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고정부(1)를 기초 콘크리트(C)에 설치하도록 한다.(고정부 설치단계)
다음으로, 상술한 제방에 양생한 기초 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하는 면에 매커니컬 앵커 형태의 볼트(B)를 삽입한 상태에서 브라켓(20)을 결합한 후 너트(N)를 체결하여 브라켓(20)의 설치를 완료한다.(브라켓 설치단계)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 설치단계에서의 고정부(1) 하측의 기초 콘크리트(C) 상측면에 힌지부(20)의 제2 힌지(22)에 형성된 제2 수평면(22b)을 결합하고, 차수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차수판(30)을 브라켓(20)의 수평바(14) 상측에 배치한 후 고정판(1)에 결합한 힌지부(20) 중 제1 힌지(21)의 제2 수직면(21b)을 차수판(30)의 하측면에 결합하여 차수판(30)을 설치한다.(차수판 설치단계)
다음으로, 상술한 차수판(30)에 난간(40)을 결합하여 난간(40)을 설치한다.(난간 설치단계)
즉, 난간(40)의 지주(41) 하단을 난간 기립부(70)의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지주 결합홈(53)에 결합하고, 난간 기립부(70)의 작동바(60) 양 단 중 일측 브라켓(1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1)에 결합하고, 타측은 슬라이딩 본체(50)의 지주 이동홈(54)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지주(41) 하단에 제1 회전축(41a)을 체결하여 난간(40) 및 난간 기립부(70)를 결합하여 난간(4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난간 기립부(70)의 작동바(60)를 턴버클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힌지부(20), 차수판(30), 난간(40) 및 난간 기립부(70)의 설치시 각 구성들을 제작할 때에 발생하는 오차 및 현장 환경에 의해 설치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작동바(60)의 길이를 가변하여 차수판(30)의 전도, 기립시 난간(40)이 난간 기립부(70)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차수판(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전도방지밴드(80)를 차수판(30) 및 브라켓(10)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전도방지밴드 설치단계)
여기서, 상기 전도방지밴드 설치단계시 전도방지밴드(80)의 일측이 결합하는 브라켓(10)의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12)은 장공홈 형태로 형성하여 차수판(30)이 완전히 기립되었을 때에 대략 80 ∼ 85°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변시켜 결합함으로써, 하천의 수위 상승 이후 정상수위를 유지하려 할때에 차수판(30)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판 설치단계에서 차수판(30)의 설치시 차수판(30)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브라켓(10)의 수평바(14)와 이격되도록 브라켓(10)의 수평바(14)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9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90)는 높이조절이 되는 만큼 차수판(30)의 설치시 고정부(1)의 수평면과 차수판(30)의 수평면의 수평이 맞도록 스페이서(9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판 설치단계 이후에는 차수판(30)의 설치시 차수판(30)을 고정부(1)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20)를 설치한 후에는 제1 지수부재(E1)를 결합하는 제1 지수부재 설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다수의 차수판(30) 사이의 지수를 위한 제2 지수부재 설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 지수부재(E1)의 설치는 일단은 차수판(30)의 하측면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은 기초 콘크리트(C) 중 브라켓(10)이 결합된 면에 결합한 후 제1 지수부재(E1)의 중앙 부분을 제1, 2 힌지(21, 22)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하여 차수판(30) 및 기초 콘크리트(C) 사이의 지수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으면서 시공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홍수 방어벽(100)은 하천의 수위가 정상수위일 때에는 고정부(1)의 마감재(D) 부분과 차수판(30)의 마감재(D)가 수평을 이루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행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에, 난간(40)은 난간 기립부(50)의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된 정면 플레이트(51)에 지주(41)의 일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난간 기립부(70)의 슬라이딩 본체(50) 및 작동바(60)에 의해 지주(41) 하단에 형성된 제1 회전축(41a)이 난간(40)을 고정하고 있어, 보행자가 난간(40)에 기대더라도 난간(40)의 기립상태를 유지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의 수평바(14)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9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차수판(30)의 설치시 고정바(1)와 차수판(30) 상측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하천 수위가 정상수위에서 위험수위까지 도달하게 되면 수위에 의해 차수판(30)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31)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어 차수판(3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힌지부(20)를 중심축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하천과 제내지 사이를 차단시켜 하천의 제내지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때에, 차수판(30)의 하측에는 난간 기립부(70)의 슬라이딩 본체(50)에 난간(40)의 지주(41)에 형성된 제1 회전축(41a)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41a)에는 일단이 브라켓(10)의 제2 회전축(1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일정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작동바(6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수판(30)이 힌지부(20)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기립이 이루어지게 되면, 난간(40)의 지주(4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회전축(41a)이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홈(52a)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차수판(30)의 기립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작용은 차수판(30)에 결합된 슬라이딩 본체(50)의 회전 중심점과 작동바(60)의 회전 중심점이 다른 상태에서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된 지주 결합홈(53)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능한 것이다.
즉, 차수판(30)의 회전 중심점은 힌지부(20)이고, 작동바(60)의 회전 중심점은 제1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주(41) 하단이 슬라이딩 본체(50)의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타공된 지주 결합홈(53)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수판(30)의 가동시 서로 다른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회전 반경으로 슬라이딩 본체(50)와 작동바(60)가 회전하기 때문에 지주(41)의 제1 회전축(41a)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바(60)가 슬라이딩 홈(52a)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면서 난간(40)의 회전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회전축(41a)이 슬라이딩 본체(50)의 슬라이딩홈(52a)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난간(40)의 지주(41)는 슬라이딩 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지주 이동홈(54)으로 삽입되면서 난간(40)이 차수판(30)과 마찬가지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1)와 차수판(30)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는 제1, 2 힌지(21, 22)로 구성된 힌지부(20)에 제1 지수부재(E1)를 결합하여 위험수위시 기초 콘크리트(C)와 차수판(3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특히, 상술한 힌지부(20)는 제1, 2 힌지부(21, 22)에 각각 제1, 2 수직면(21a, 22a)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후에 그 공간으로 제1 지수부재(E1)의 중앙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제1 지수부재(E1)의 설치과정이 단순해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차수판(30) 사이에는 차수판(30) 사이의 이격된 공간만을 지수하기 위한 제2 지수부재(E2)가 형성되어 시공성 향상은 물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10)과 차수판(30)을 연결하는 전도방지밴드(80)를 설치하여 차수판(30)이 제내지 방향으로 기립될 때 및 범람하는 하천수에 의해 차수판(30)이 제내지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전도방지밴드(80)의 설치시 브라켓(10)의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12)을 장공홈 형태로 형성하여 차수판(30)이 기립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전도방지밴드(80)를 이용하여 차수판(30)이 대략 80 ∼ 85°의 각도로 기립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차수판(30)의 기립시 90°에 가까이 기립될수록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에서 자력으로 차수판(30)의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술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하천수에 의해 차수판(30)이 부력을 형성하여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차수판(30)의 높이가 낮아 하천수의 범람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수판(30)이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자립으로 전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10)에 스페이서(90)를 형성하여 브라켓(10)의 수평바(14)와 차수판(30)의 하측면 사이로 하천수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차수판(30)의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페이서(90)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한 후 설치시 스페이서(9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부(1)의 상측면과 차수판(30)의 상측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고정부(1), 브라켓(10), 차수판(30)은 정확한 치수로 제작을 하더라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구조물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장 내의 변수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설치 위치에서 간단하게 스페이서(9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수판(30)의 기립 이후 하천의 수위가 정상수위로 낮아지게 되면 차수판(30)에 작용하였던 부력이 제거되면서 차수판(30)이 전되되고, 이와 동시에 차수판(3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되었던 난간(40)은 난간 기립부(70)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되, 차수판(30)이 완전히 전도된 상태에서는 차수판(30)의 수평면과 대략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로 이용되다가 홍수위시에는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립되어 하천의 물이 범람하지 않도록 작용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평상시에는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난간(40)이 난간 기립부(70)에 의해 차수판(30)의 기립과 함께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여 난간(40)의 파손 방지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도방지밴드(80) 및 스페이러(90)를 설치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B : 볼트 N : 너트 D : 마감재 C : 기초 콘크리트
1 : 고정부
E1 : 제1 지수부재 E2 : 제2 지수부재
10 : 브라켓
11 : 제2 회전축 12 :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 13 : 수직바
14 : 수평바 15 : 보강대
20 : 힌지부
21 : 제1 힌지 21a : 제1 수직면 21b : 제1 수평면
22 : 제2 힌지 22a : 제2 수직면 22b : 제2 수평면
30 : 차수판
31 : 부력체 32 : 제1 전도방지밴드 결합홀
40 : 난간
41 : 지주 41a : 제1 회전축 42 : 가드레일
70 : 난간 기립부
50 : 슬라이딩 본체
51 : 정면 플레이트 52 : 측면 플레이트 52a : 슬라이딩홈
53 : 지주 결합홈 54 : 지주 이동홈
60 : 작동바
61 : 제1 작동바 61a : 제1 결합홀 61b : 제1 나사
62 : 제2 작동바 62a : 제2 결합홀 62b : 제2 나사
80 : 전도방지밴드
90 : 스페이서
91 : 스페이서 나사부 92 : 스페이서 나사부 머리
100 : 무동력 홍수 방어벽

Claims (8)

  1. 기초 콘크리트(C)의 상측에 결합하여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정부(1);
    상기 기초 콘크리트(C) 중 하천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며 한쌍이 한조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10);
    상기 고정부(1)와 힌지부(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정상 수위시에는 고정부(1)와 함께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위 상승시에는 부력체에 의해 기립하여 하천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차수판(30);
    상기 차수판(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제1 회전축(41a)을 포함하는 지주(41)와 가드레일(42)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난간(40);
    상기 힌지부(20)를 중심으로 기립 및 전도되는 차수판(30) 하측의 양 단에 배치되며, 난간(40)에 형성된 지주(41) 중 하천과 마주보는 정면과 맞닿을 수 있는 정면 플레이트(51)와 상기 정면 플레이트(51)의 양 측면으로는 정면 플레이트(51)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측면 플레이트(52)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정면 플레이트(51) 및 측면 플레이트(52)에 의해 내부에 지주 이동홈(5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52)에는 지주(41) 하단에 결합된 제1 회전축(41a)과 결합하여 회전운동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공홈 형태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홈(52a)이 형성되며, 상기 정면 플레이트(51)와 측면 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되어 난간(40)의 지주(41) 하단이 결합하되, 차수판(30)이 부력에 의해 상승시 지주(41)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타공된 지주 결합홈(53)으로 구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본체(50)와,
    일측은 난간(40)에 형성된 지주(41)의 제1 회전축(41a)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한쌍의 브라켓(10) 일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1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차수판(30)의 전도시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차수판(30)의 일측에 난간(40)이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차수판(30)의 기립시에는 수직상태로 기립된 차수판(30)과 같은 방향으로 수직되게 난간(40)이 기립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바(60)로 구성된 난간 기립부(70); 및
    일단은 차수판(30)에 제1 전도방지밴드 결합홀(32)을 형성하여 볼트(B)에 의해 고정 결합하고, 타측은 브라켓(10)의 일단에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12)을 형성하여 볼트(B)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전도방지밴드(8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전도방지 결합홀(12)은 장공홀 형태로 형성하여 차수판(30)의 최대 기립시 전도방지밴드(80)에 의해 지지되는 차수판(30)의 각도가 80 ∼ 85°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상기 난간 기립부(70)의 작동바(60)는 난간(40)의 지주(41)에 결합된 제1 회전축(41a)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 결합홀(61a)과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홈(61b)으로 이루어진 제1 작동바(61)와 브라켓(1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결합홀(62a)과 제2 나사홈(62b)으로 이루어진 제2 작동바(62)와 상기 제1, 2 작동바(61, 62)의 제1, 2 나사홈(61b, 62b)에 결합하여 길이를 가변하기 위한 길이 가변바(63)로 구성되어 작동바(60)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 중 차수판(30)의 하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차수판(30)을 브라켓(10)으로 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9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페이서(9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페이서 나사부(91)와 스페이서 나사 머리부(92)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0)는 차수판(30)과 마주하는 고정부(1)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수직면(21a)과 상기 제1 수직면(21a)에서 절곡되어 기초 콘크리트(C)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수평면(21b)으로 이루어진 제1 힌지(21)와, 상기 제1 힌지의 제1 수직면(21a)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22a)과 상기 제2 수직면(22a)에서 절곡되어 고정부(1)와 마주하는 차수판(30)의 측면에 결합하는 제2 수평면(22b)을 포함하고 있는 제2 힌지(22)로 구성하여, 제1 지수부재(E1)를 차수판(30)의 하측면 및 기초 콘크리트(C)에 결합하되, 제1, 2 힌지(21, 22)의 제1, 2 수직면(21a, 22a) 사이에 제1 지수부재(E1)의 중앙 부분을 배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30)과 차수판(30) 사이에는 제2 지수부재(E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7. 삭제
  8.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무동력 홍수 방어벽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각파이프를 이용해 제작한 프레임의 상측에 마감재를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부력체 및 난간 기립부의 슬라이딩 본체를 결합하여 차수판을 제작하는 차수판 제작단계;
    기초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각파이프를 이용해 제작한 프레임을 볼트를 이용해 결합하고, 그 상측으로 마감재를 결합하여 고정부를 설치하는 고정부 설치단계;
    기초 콘크리트 중 하천과 마주하는 측면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단계;
    상기 차수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차수판을 힌지부를 이용하여 고정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브라켓의 상측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를 형성해 차수판과 고정부의 수평을 맞춰 설치하는 차수판 설치단계;
    상기 차수판의 하측에 형성된 난간 기립부의 슬라이딩 본체의 지주 결합홈에 난간의 지주 하단부를 결합하고, 지주 하단부에 제1 회전축을 결합하기 전에 브라켓의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작동바의 타측을 배치한 후 제1 회전축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하되, 제1 회전축이 슬라이딩 본체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하여 난간을 설치하는 난간 설치단계;
    상기 차수판과 브라켓에 형성된 제1, 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을 이용하여 전도방지밴드를 결합하되, 장공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전도방지밴드 결합홀 내에서 전도방지밴드의 위치를 가변하여 차수판의 최대 기립시 80 ∼ 85°가 되도록 조절하여 전도방지밴드를 설치하는 전도방지밴드 설치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 홍수 방어벽 시공방법.
KR1020160049016A 2016-04-22 2016-04-22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16A KR101722975B1 (ko) 2016-04-22 2016-04-22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16A KR101722975B1 (ko) 2016-04-22 2016-04-22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975B1 true KR101722975B1 (ko) 2017-04-19

Family

ID=5870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016A KR101722975B1 (ko) 2016-04-22 2016-04-22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718A (zh) * 2019-03-31 2019-05-28 李孝兵 一种活动式防浪墙
KR20210086591A (ko) * 2018-11-07 2021-07-0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기능을 구비한 교량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8-24 (주)에스엔비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1342920B1 (ko) 2013-09-26 2013-12-18 (주)대한엔지니어링 가동보 개폐장치
KR101455186B1 (ko) * 2014-07-18 2014-10-28 주식회사 삼안 침수방지용 홍수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60B1 (ko) 2012-05-31 2012-08-24 (주)에스엔비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1342920B1 (ko) 2013-09-26 2013-12-18 (주)대한엔지니어링 가동보 개폐장치
KR101455186B1 (ko) * 2014-07-18 2014-10-28 주식회사 삼안 침수방지용 홍수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91A (ko) * 2018-11-07 2021-07-0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기능을 구비한 교량 구조
KR102291951B1 (ko) 2018-11-07 2021-08-24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기능을 구비한 교량 구조
CN109811718A (zh) * 2019-03-31 2019-05-28 李孝兵 一种活动式防浪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304B1 (en) Self-climbing system for scaffold units in construction works of buildings
US6247273B1 (en) Adjustable form brace
US11066794B2 (en) Brace for erecting a bollard fence
KR101722975B1 (ko) 무동력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1597B1 (ko)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US10639556B2 (en) System for a tilting amusement ride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176067B1 (ko)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JP5291611B2 (ja) 高浸水を防止する設備
KR102172875B1 (ko) 수평조절 및 처짐방지가 가능한 교량 점검로
KR102162039B1 (ko) 전도식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EP2503077A1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adaptable to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having a variable vertical projection
KR101605023B1 (ko) 다단식 홍수 방어벽
KR20120065306A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CN108487847B (zh) 伸缩立柱的提拉式闸门
KR101199472B1 (ko) 방호벽용 방수문
CN110453706A (zh) 用于渠道边坡修复的水下蓬式围堰
JPH0544202A (ja) 橋梁高欄補修用足場構造及び橋梁高欄補修用足場の吊り金具構造
CA2618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KR101875144B1 (ko) 침수방지용 무빙월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