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011A -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011A
KR20130078011A KR1020110146714A KR20110146714A KR20130078011A KR 20130078011 A KR20130078011 A KR 20130078011A KR 1020110146714 A KR1020110146714 A KR 1020110146714A KR 20110146714 A KR20110146714 A KR 20110146714A KR 20130078011 A KR20130078011 A KR 2013007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rder
building
entrance
cut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102011014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011A/ko
Publication of KR2013007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또는 지하층)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雨水) 또는 역류수(逆流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된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와 지하층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雨水)와 역류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매설되는 지중고정패널과, 그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회전축에 의해 일단이 선회되도록 결합되어 직립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는 차수가동패널, 상기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상기 차수가동패널을 선회작동시켜 상기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수패널구동부를 갖추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수패널구동부는 차수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직립 선회구동과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스크류로드,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인접한 수직프레임에 대응해서 각기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로드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차수가동패널에 전달하는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WATER CLOSING STRUCTURE FOR BUILDING AND/OR BASEMENT FLOOR}
본 발명은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또는 지하층)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雨水) 또는 역류수(逆流水)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기(雨期)나 태풍 등의 자연적인 조건으로 말미암아 집중호우가 내리게 되면 하수구 또는 배수구를 통해 집중된 우수가 오히려 역류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해서, 건물의 출입구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설계되기는 하지만, 예컨대 지하주차장이 시설되는 지하층의 출입구는 오히려 차량 등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 내부를 향해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환경적인 천재지변에 의해 특정한 지역에의 강수량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주택을 포함하는 건물에 설계된 배수구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가 유입되어 오히려 지상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라 지평면과 유사한 건물의 출입구를 통해 우수 또는 역류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특히 건물의 지하층으로는 우수 또는 역류수가 더욱 대량으로 유입되어 건물 또는 그 내부의 시설물이 침수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은 물론 침수된 시설물의 복구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지하철이라든지 지하도 또는 지하상가와 같은 다수인이 이용하는 지하시설물이 우수 또는 역류수에 의해 침수되면 그러한 지하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어 상당한 불편함과 경제적인 피해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물의 출입구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원 인가 및 차수모드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차수패널이 건물의 출입구를 막아줌으로써 우수라든지 역류수가 건물의 내부(특히, 지하층)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출입구와 지하층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雨水)와 역류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매설되는 지중고정패널과, 그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회전축에 의해 일단이 선회되도록 결합되어 직립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는 차수가동패널, 상기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상기 차수가동패널을 선회작동시켜 상기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수패널구동부를 포함하는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수패널구동부는 차수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직립 선회구동과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스크류로드,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인접한 수직프레임에 대응해서 각기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로드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차수가동패널에 전달하는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 및, 상기 차수패널구동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직립 선회작용을 지지하는 제 2스페이서와 접면로울러를 포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의 각 선단은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원활한 선회 작동을 위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축에 의해 선회하여 직립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과 상기 지중고정패널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해 고무재와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수밀패킹부재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수가동패널이 직립 상승되어 접면되는 건물의 출입구 양측 벽면과, 그 벽면에 접면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양단 중 어느 일측에 수밀패킹부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에 의하면, 건물(및 지하층)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역류수에 대해 차수가동패널이 전동모터와 스크류로드의 연동에 의한 간단한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건물(및 지하층)에 대한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차수가동패널이 직립되어 접면되는 건물의 출입구의 양측 벽면 또는 그 건물의 출입구의 양측 벽면에 접면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양단에 차수밀폐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차수가동패널과 그 차수가동패널이 회전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지중고정패널의 간극에 대허서도 차수밀폐부재를 부착하면 차수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에 구성되는 차수패널구동부의 분리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수장치는 바람직하게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건물의 출입구(도시는 생략)의 바닥면에 매설되면서 바닥면이 갖추어진 4각형상의 지중고정패널(10A)과, 그 지중고정패널(10A)에 대해 전원의 공급(즉, 전원스위치의 ON) 및 차수모드의 설정에 따라 직립되도록 선회해서 건물의 출입구를 막아 우수 또는 역류수가 건물의 내부 또는 지하층(예컨대 지하주차장 등)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수가동패널(10B)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은 건물의 출입구 부분을 그 지중고정패널(10A)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파내고나서 매설되고, 그 지중고정패널(10A)에 대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일측 양단에 형성된 회동축(12)에 의해 직립 상승 또는 원위치로의 하강작동된다.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은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평프레임(16)과, 상기 다수의 수평프레임(16)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8)이 대체로 4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수직프레임(16,18)상에는 우수 또는 역류수를 차단하기 위한 예컨대 철판재(도시는 생략)가 일체로 결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에 대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을 직립 상승 또는 원위치 하강시키기 위한 차수패널구동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차수패널구동부(20)는 전원의 ON시에 정/역회전 작동되는 전동모터(22)와 그 전동모터(22)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스크류로드(24) 및,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의 각 일단 사이에는 간격유지를 위한 제 1스페이서(Spacer)(28)가 개재되는 바, 그 제 1스페이서(28)의 양측은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의 상단에 형성된 제 1관통공(26a)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단은 각기 대응하는 고정부재(28a)를 통해 상기 인접한 수직프레임(18)에 대응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상기 제 1스페이서(28)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에서 상기 제 1관통공(26a)의 후방에 형성된 제 2관통공(26b)에는 상기 스크류로드(24)의 일단(24a)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로드고정부재(32)의 양단이 대응적으로 나사(32a)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의 타단에 형성된 제 3관통공(26c)에는 양단에 복수의 접면로울러(36)가 장치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직립상승동작을 지지하는 제 2스페이서(34)의 대응하는 단이 결합된다.
또, 상기 스크류로드(24)의 타단(24b)은 그 중앙의 요홈이 프레임고정브라켓(38)을 통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직립상승시 최상단이 되는 수평프레임(16)에 결합되는 바, 그 스크류타단(24)의 타단(24b)은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38)의 결합돌기(38a)에 결합핀(38b)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40은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38)의 보조브라켓으로,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에서 상기 제 1스페이서(Spacer)(28)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스크류로드(24)가 상기 전동모터(22)의 작동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원활한 직립상승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에 대해 상기 회동축(12)을 매개하여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대체로 중앙에 상기 전동모터(22)와 상기 스크류로드(24) 등을 포함하는 상기 차수패널구동부(20)를 조립(도 3 참조)하고나서,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을 차수작용이 필요한 건물의 출입구(또는 지하층의 출입구)의 내측(즉, 우수 또는 역류수에 대향하는 측)의 바닥면을 해당하는 건물차수장치의 높이에 대응하게 파내고서 전체의 구조를 매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중고정패널(10A)과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을 포함하는 전체의 구조가 매설된 상태에서는 출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예컨대 카페트 등의 덮개로 커버하면 유리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건물의 내측 또는 지하층의 내측으로 우수 또는 역류수에 대한 차수가 필요한 경우 예컨대 조작반(도시는 생략)상에서 전원스위치(도시는 생략)가 ON되고 차수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전동모터(22)가 상기 스크류로드(24)의 인출방향으로 회전(예컨대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로드(24)가 인출되어지는 경우 그 일단은 상기 제 1스페이서(28)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28a)를 통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상기 인접한 수직프레임(18)에 고정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38)(및 보조브라켓(40))을 매개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6)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이 상기 회동축(12)을 중심으로 직립을 위한 회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도 3과 도 5에 예시된 형태로 건물의 출입구(또는 지하층의 출입구)에 대한 우수 및/또는 역류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직립을 위한 상승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 2스페이서(34)에 결합된 상기 접면로울러(36)는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선회적인 상승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또,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선회적인 상승운동은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26)의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크류로드(24)에 의한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선회적인 상승작용을 위한 상기 전동모터(22)의 부하도 경감되게 된다.
그에 대해, 차수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전동모터(22)는 역회전하여 상기 스크류로드(24)가 인입되도록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차수가동패널(10B)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건물의 출입구(또는 지하층으로의 출입구)가 개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이 내부 또는 지하층으로의 우수 또는 역류수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이 직립 상승되어 접면되는 건물의 출입구 양측 벽면에 예컨대 고무재라든지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수밀패킹부재(도시는 생략)를 설치하거나, 건물의 출입구 벽면에 접면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양측에 고무재라든지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수밀패킹부재(도시는 생략)를 설치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회동축(12)에 의해 선회하여 직립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10B)과 상기 지중고정패널(10A)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바, 그 간극에 대해서도 고무재라든지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수밀패킹부재를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선회작용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간극밀폐구조로 제공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전면과 후면이 소정 위치 또는 상기 회동축(12)의 근방에는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완전직립위치를 검출하는 제 1리미트스위치(또는 포토커플러 등의 위치검출센서)와 원위치 복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리미트스위치(또는 포토커플러 등의 위치검출센서)를 설치해서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의 직립 및 원위치 복구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전동모터(22)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에 대해서는 정전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전동모터(22)에 의한 전동식 구조와는 별도로 수동으로 직립시키거나 원위치 복귀시키는 수동조작구조도 부가되면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에서는 상기 전동모터(22)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을 직립/원위치 복귀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스크류로드(24)가 적용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전동모터(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차수가동패널(10B)을 직립시키거나 원위치시킨다면 예컨대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어떠한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10A: 지중고정패널, 10B: 차수가동패널,
20: 차수패널구동부, 22: 전동모터,
24: 스크류로드, 26: 차수패널구동바,
28: 제 1스페이서.

Claims (3)

  1. 건물의 출입구와 지하층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雨水)와 역류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매설되는 지중고정패널과,
    상기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회전축에 의해 일단이 선회되도록 결합되어 직립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출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는 차수가동패널,
    상기 지중고정패널에 대해 상기 차수가동패널을 선회작동시켜 상기 우수와 역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수패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패널구동부는 차수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직립 선회구동과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스크류로드,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인접한 수직프레임에 대응해서 각기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로드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차수가동패널에 전달하는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 및, 상기 차수패널구동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직립 선회작용을 지지하는 제 2스페이서와 접면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차수패널구동바의 각 선단은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원활한 선회 작동을 위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 의해 선회하여 직립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과 상기 지중고정패널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해 고무재와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수밀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수가동패널이 직립 상승되어 접면되는 건물의 출입구 양측 벽면과, 그 벽면에 접면되는 상기 차수가동패널의 양단 중 어느 일측에 수밀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KR1020110146714A 2011-12-30 2011-12-30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KR20130078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14A KR20130078011A (ko) 2011-12-30 2011-12-30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14A KR20130078011A (ko) 2011-12-30 2011-12-30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11A true KR20130078011A (ko) 2013-07-10

Family

ID=4899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714A KR20130078011A (ko) 2011-12-30 2011-12-30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2069A (zh) * 2017-06-17 2017-10-10 丁文海 一种模块化畜牧养殖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2069A (zh) * 2017-06-17 2017-10-10 丁文海 一种模块化畜牧养殖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604B1 (ko)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442025B1 (ko) 지하 주차장 입구의 경사 진입로에 설치된 상하 회동식 침수 차단장치
KR101173259B1 (ko) 창문용 우수 유입방지장치
CN105569538A (zh) 一种具有双挡水板结构的顶降式防汛挡水门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JP3542537B2 (ja)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のロック装置
JP5816950B2 (ja) 構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ティング防水扉の構造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JP2015101929A (ja) 防水扉
JP2003027855A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JP2003082956A (j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KR101060610B1 (ko) 무빙 월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20130078011A (ko) 건물/지하층의 침수방지를 위한 차수장치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101191168B1 (ko) 지하통로용 차수막
KR102170492B1 (ko) 침수 차단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CN203729628U (zh) 地下车库防水淹没系统
JPH09209327A (ja) シャッター式防水フェ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