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30B1 - 주차장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30B1
KR101369730B1 KR1020130118961A KR20130118961A KR101369730B1 KR 101369730 B1 KR101369730 B1 KR 101369730B1 KR 1020130118961 A KR1020130118961 A KR 1020130118961A KR 20130118961 A KR20130118961 A KR 20130118961A KR 101369730 B1 KR101369730 B1 KR 10136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late
groove
water bloc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규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3011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구역에 형성된 차수홈에 설치되었다가 긴급 상황시 상승하여 상기 차수구역을 차수하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수홈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턱을 형성하는 차수프레임; 상기 차수홈에 구비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며, 승강시 상기 차수프레임과 밀폐형성되는 차수판; 및 상기 차수홈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차수판의 승강시 상기 차수판의 양측을 가이드하며, 상기 차수판과 밀폐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홍수 등의 재난시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하고, 이물질 등이 차수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계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장 차수장치{WATER BLOCKING DEVICE FOR PARKING PLACE}
본 발명은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 지면에 설치된 차수홈에 설치되었다가 홍수 등의 재난시 상승하여 주차장으로 유입되는 물을 신속히 차단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 상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수장치는 우수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설치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번호 제10-1166374호(차수장치)에서도 차수장치를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차수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비가 절감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차수판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시설유지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여야 하고, 긴급 상황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할 가능성을 안고 있었다.
또한, 자동으로 작동하는 차수장치도 고안되었으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지 못하여 정작 작동해야 할 시점에 고장 등으로 인한 오작동으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차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수구역의 지면에 차수홈을 형성하고 승강되는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시설물 설치를 위한 지상공간 확보없이 설치가 가능한 주차장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수홈 외부의 이물질 등이 차수홈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주차장 차수장치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홍수 등의 긴급 상황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주차장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주차장 차수장치는, 차수구역에 형성된 차수홈에 설치되었다가 긴급 상황시 상승하여 상기 차수구역을 차수하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수프레임; 승강수단; 차수판; 및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수판의 상부에는 제1밀폐부재 및 이물질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는 제2밀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에는 제3밀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수판의 양 측단에는 승강보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구역의 지면 하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치 않으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차수홈 외부의 이물질 등이 차수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인한 기계 오작동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밀폐부재, 제2밀폐부재 및 제3밀폐부재 등의 사용으로 차수판의 승강시 밀폐력을 유지함으로써, 누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승강보조수단을 구비하여 차수판의 승강시 차수홈과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승강축 부정합으로 인한 승강수단의 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강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승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홈에 차수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자창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태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차수판 승강시 내부 구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수구역에 형성된 차수홈(100)에 설치되었다가 긴급 상황시 상승하여 차수구역을 차수하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수홈(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턱을 형성하는 차수프레임(200); 차수홈(100)의 바닥 중심에 위치되는 승강수단(300); 승강수단(300)에 의해 승강되며, 승강시 차수프레임(200)과 밀폐형성되는 차수판(400); 및 차수홈(10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차수판(400)의 승강시 차수판(400)의 양측을 가이드하며, 차수판(400)과 밀폐형성되는 가이드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수홈(100)은 주차시설 등의 입구에 주차시설로 들어가는 길목을 완벽히 차단하도록 형성한다.
차수홈(100)의 깊이 및 폭은 승강수단(300)의 길이, 설치환경 및 차수판(400)의 제원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홈(10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거나, 내부에 별도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차수홈(100)의 내측 하부 중심에는 승강수단(30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300)은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하며, 차수판(400)의 높이를 고려하여 하부에 케미컬 앙카와 H빔 등으로 구성된 지지판을 설치할 수 있다.
차수판(400)의 하부는 개구되거나 승강수단(300)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며, 승강수단(300)의 상단부는 차수판(400)의 하부를 통해 차수판(400)의 내측 상단부 중심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300)의 하강시 차수판(400)은 차수홈(100)에 매립되며, 차수판(400)의 상단부에는 차수홈(100)의 상단부에 대응되어 차수홈(100)의 상단부를 폐쇄시킬 폐쇄프레임(450)이 결합된다.
폐쇄프레임(45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폐쇄프레임(450)의 하부에는 제1밀폐부재(41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폐부재(410)는 차수판(400)의 하강시 차수프레임(200)의 단턱 상부면에 밀폐되도록 접면된다.
승강수단(300)의 승강간격은 리미트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승강수단(3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수판(400)의 상부, 즉, 폐쇄프레임(450)의 양 측단에는 이물질 차단부재(430)가 더 구비되며, 차수판(400)의 하강시 차수판(400) 및 차수프레임(200) 상호 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 지면으로부터 차수홈(10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이물질 차단부재(430)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헤어 등을 사용하며,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차수프레임(200)과의 틈새를 막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수판(400)의 내측에는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보강편 등이 구비되어, 수압에 견디도록 설계된다.
승강수단(300)은 적어도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도록, 미도시 하였으나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400)의 하부에는 제2밀폐부재(420)가 더 구비되며, 상승시 차수홈(100)의 내측에 위치된 차수프레임(200)의 하부면과 접면되어 밀폐형성된다.
따라서, 차수판(400)의 승강시 제1밀폐부재(410) 및 제2밀폐부재(420)에 의해 항상 밀폐되도록 구성되며, 수밀감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차수판(400)의 양 측이 결합되는 가이드홈(5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홈(500)에는 제3밀폐부재(510)가 더 구비되어 소정의 밀폐력을 유지한채 차수판(400)에 접면되도록 형성되며, 차수판(400)의 승강시 차수판(400)과 밀폐력을 유지하게 된다.
제3밀폐부재(510)는 이중 밀폐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수판(400)의 양 측단에는, 가이드홈(500)의 좌우폭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차수판(400)의 승강시, 차수판(400)이 차수홈(100)과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보조하는 승강보조수단(440)이 더 구비된다.
승강보조수단(440)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수판(400)의 양측단 상하부에 각각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보조수단(440)의 설치시 가이드홈(500)과의 간극은 1~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보조수단(440)은 승강수단(300)의 승강시 즉, 차수판(400)의 승강시 차수판(400)이 수직상태로 승강되도록 보조하며, 승강 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수단(300)에 부하가 걸리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주차장 차수장치는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작동시키며, 긴급 상황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제1밀폐부재(410), 제2밀폐부재(420), 제3밀폐부재(510) 및 이물질 차단부재(430) 등의 구성으로 차수홈(100)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100 : 차수홈 200 : 차수프레임
300 : 승강수단 400 : 차수판
410 : 제1밀폐부재 420 : 제2밀폐부재
430 : 이물질 차단부재 440 : 승강보조수단
450 : 폐쇄프레임 500 : 가이드홈
510 : 제3밀폐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수구역에 형성된 차수홈에 설치되었다가 긴급 상황시 상승하여 상기 차수구역을 차수하는 주차장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수홈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턱을 형성하는 차수프레임;
    상기 차수홈의 바닥 중심에 위치되는 승강수단;
    하부가 개구되어 상부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홈의 내부 중심에 결합되고, 승강시 상기 차수프레임과 밀폐형성되는 차수판;
    상기 차수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의 하강시 상기 차수프레임의 상부면과 접면되어 밀폐형성되는 제1밀폐부재;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의 상승시 상기 차수프레임의 하부면과 접면되어 밀폐형성되는 제2밀폐부재;
    상기 차수홈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차수판의 승강시 상기 차수판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되어 소정의 밀폐력을 유지한채 상기 차수판에 접면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수판의 승강시 상기 차수판과 밀폐력을 유지하는 제3밀폐부재;
    상기 차수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좌우폭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의 승강시 상기 차수판이 상기 차수홈과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보조하는 승강보조수단; 및
    상기 차수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수판의 하강시 상기 차수판 및 상기 차수프레임 상호 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수홈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주차장 차수장치.
KR1020130118961A 2013-10-07 2013-10-07 주차장 차수장치 KR101369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61A KR101369730B1 (ko) 2013-10-07 2013-10-07 주차장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61A KR101369730B1 (ko) 2013-10-07 2013-10-07 주차장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30B1 true KR101369730B1 (ko) 2014-03-06

Family

ID=5064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961A KR101369730B1 (ko) 2013-10-07 2013-10-07 주차장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2B1 (ko) * 2019-05-30 2020-05-04 김병구 다목적 가이드레일형 차수방어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454A (ja) * 2002-05-23 2003-11-28 Hitachi Zosen Corp 昇降式防水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454A (ja) * 2002-05-23 2003-11-28 Hitachi Zosen Corp 昇降式防水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2B1 (ko) * 2019-05-30 2020-05-04 김병구 다목적 가이드레일형 차수방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818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101268509B1 (ko) 지하도 출입구 물막이 장치
KR101402200B1 (ko) 차수판 폐쇄장치
KR101369730B1 (ko) 주차장 차수장치
KR101010045B1 (ko) 유압 승강식 수문장치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JP58238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止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2325195B1 (ko)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81496B1 (ko) 셔터식 침수방지게이트
KR101014377B1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101351837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US11840882B2 (en) Water-blocking device
KR100990698B1 (ko) 잠수형 보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JP6190719B2 (ja) 防水扉の動作制御装置及び防水扉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2006170B1 (ko) 장애물에 의한 문비의 파손을 방지하는 인양식 수문
IT201600108874A1 (it) Barriera anti allagamento.
JP2015200084A (ja) 防水扉
JP2006316436A (ja) ポンプ付ゲート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