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56Y1 -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56Y1
KR200480456Y1 KR2020150001507U KR20150001507U KR200480456Y1 KR 200480456 Y1 KR200480456 Y1 KR 200480456Y1 KR 2020150001507 U KR2020150001507 U KR 2020150001507U KR 20150001507 U KR20150001507 U KR 20150001507U KR 200480456 Y1 KR200480456 Y1 KR 200480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ceiving groove
water
water leve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웅
김대운
정태호
장홍근
신규문
정영준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150001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출입구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 수납홈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수납홈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부 및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부가 일측에 구비된 차수판; 차수판의 네 모서리에 스프링의 탄성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 포스트 상단에 경첩을 매개로 설치되고 탄성이 있는 철판으로 구성된 '┌┐' 형상의 보조고정구; 밀착부가 밀착되는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수납홈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된 신축성물막이판; 및 베이스부 양측면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고, 수납홈으로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배가 이루어진 배수부;를 포함하고, 차수판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포스트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홀에 끼워져 차수판을 수직으로 고정하며, 차수판의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차수판을 수납홈에 고정하면서 차수판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힌지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점자블록으로 사용되고, 집중호우 등의 유사시에는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은 수압에서도 누수 없이 견고하게 설치되며, 차수판의 파손시 수납홈으로부터 차수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A Water-stop apparatus For Subway station entrance}
본 고안은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사에 출입할 수 있는 외부출입구에 설치되어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난 물이 지하시설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장치로서 평상시에는 점자블록으로 사용되고, 집중호우 등의 유사시에는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수판의 파손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장마철 집중호우 또는 국지성 호우에 의해 지하시설물 및 지하철 역사 등의 침수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지하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장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시설의 침수피해는 과거에도 발생하였으므로 평상시 지하철 출입구 외부나 역사 내, 또는 해당 건물의 일정 지점에 판형태로 이루어진 차수판을 보관하고, 침수피해 우려시에는 차수판을 옮겨 자물쇠, 볼트 등과 같은 잠금수단 또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지하시설의 외부출입구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차수장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1551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차수판을 설치하기 위해 보관장소에서 설치장소까지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차수판을 설치하여 고정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집중호우시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설치하기가 어려워 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입구를 갖는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보도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차수판 유실의 우려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집중호우시 차수판을 운반하지 않고 출입구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76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924호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평상시 출입구 일측의 보관함에 차수부재를 보관하였다가 집중호우시 차수부재를 즉각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등록특허 제10-0487672호의 기술은 차수부재 보관함이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 사람들의 통행에 장애물이 되고, 차수부재의 설치 후 밀폐력이 부족한 구조로 형성되어 강우량이 많을 시에는 별도의 모래주머니 등을 추가로 쌓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924호의 경우 차수문이 평상시에는 사람들의 통행로로 이용되고, 집중호우시에는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해 차수문이 들어올려지는 구조로서 사람들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었으나 유압발생기 등을 수납,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후상 차수장치의 구동이 한시적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장치들의 유지와 관리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파손 또는 고장시에도 교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15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76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924호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난 물이 지하시설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되, 평상시에는 사람들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 집중호우 등의 유사시에는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차수판을 설치할 수 있고, 차수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출입구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 상기 수납홈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부 및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부가 일측에 구비된 차수판; 상기 차수판의 네 모서리에 스프링의 탄성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경첩을 매개로 설치되고 탄성이 있는 철판으로 구성된 '┌┐' 형상의 보조고정구; 상기 밀착부가 밀착되는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된 신축성물막이판; 및 상기 베이스부 양측면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홈으로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배가 이루어진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판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상기 포스트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홀에 끼워져 차수판을 수직으로 고정하며, 상기 차수판의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상기 차수판을 상기 수납홈에 고정하면서 상기 차수판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힌지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수판 일측에는 차수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차수판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차수판의 상면보다 하면에 가까이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의 회동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수판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상기 보조고정구와 함께 신축성물막이판을 가압하여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의 바닥에는 보행자 통행시 상기 차수판의 저면과 수납홈의 바닥이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신축성이 있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수판 하판 일측에는 차수판이 설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문구를 포함한 반사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난 물이 지하시설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사람들의 통행로로서 점자블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 등의 유사시에는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차수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차수판의 보관 및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차수판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할 경우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편심된 위치의 회동축과 보조고정구에 의하여 높은 수압에도 누수없이 견고하게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차수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차수판이 수직으로 설치된 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발췌 확대도와 단면도.
도 5은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부, 차수판 및 포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C-C 부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3을 외부출입구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는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수납홈(110)이 형성된 베이스부(100); 지하철 역사 출입구 양측에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200); 수납홈(110)에 삽입설치되어 집중호우시 수직으로 들어올려져 지하로 유입되는 물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차수판(300); 스프링(410)의 탄성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차수판(40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 포스트(200) 상단에 설치된 보조고정구(500); 차수판(300)이 밀착되는 수납홈 일측(110) 및 양측 포스트(200) 내측에 부착된 신축성물막이판(600); 및 베이스부(100)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납홈(110)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수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 출입구는 바닥면(1)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출입구의 양측으로는 지하철 역사 출입구임을 표시하기 위한 입석(3)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출입구 바닥면(1)이나 입석(2)은 대리석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이와 같은 지하철 역사 출입구 바닥면(1)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형상의 수납홈(110)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베이스부(100)는 부식에 강하면서도 소정의 강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출입구의 바닥면(1)과 수평을 이루도록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부(100)와 바닥면(1)의 높이 차로 인한 보행자의 발 걸림 등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납홈(110)의 바닥 일측에는 평상시 보행자가 통행할 때 차수판(300)의 저면과 수납홈(110)의 바닥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기 위해 일정 두께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신축성이 있는 완충부재(8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20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한 쌍이 대칭으로 설치되되, 포스트(200)의 상부 일측에는 차수판(3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10)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200)는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수판의 밀착부(310)가 닿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너비만큼 일정길이 연장되어 차수판(30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되고, 고정홀(210)은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었으나, 포스트(200)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수판(300)은 베이스부의 수납홈(11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양측 포스트(200)의 내측 및 수납홈(100)의 일측에 밀착되게 형성된 밀착부(310)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부(320)가 일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수판(300)은 평상시에는 출입구의 바닥면(1)과 수평을 이루도록 수납홈(100)에 수납되어 보행자의 통행로로 이용되고, 집중호우시에는 지하로 유입되는 물을 막을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이때, 차수판(300)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소정의 강도 및 내식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수납홈(110)의 크기와 온도에 의한 변형 등을 고려하여 형성되되 차수판(300)이 수납홈(110)에 수납되었을 때 상·하 회동되기 위한 소정의 여유공간이 남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차수판(300) 일측에는 사용자가 차수판(300)을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330)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손잡이(330)의 단부에는 손잡이(330)가 차수판의 상판(300)에서 빠져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판의 하면 일측에는 차수판(300)이 설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포함된 반사시트(340)가 부착되어 통행자가 차수판(300)이 설치된 상태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차수판(300)은 측단면이 '┌┐' 형상이 되게 절곡되어 형성된 상판(350)과 상판(350)의 네 모서리에 단부에 결합된 하판(360)을 포함하여 중공인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판(350)의 저면 가운데에는 ┐형상의 지지부재(37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보행자의 통행시 차수판(300)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에 의해 차수판(300) 상면이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차수판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샤프트(400)는 스프링(410)의 탄성하에 소정의 범위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차수판(30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고, 일측에 슬라이딩샤프트(4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이동범위제한슬롯에 끼워져 사용자가 슬라이딩샤프트(400)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구(420)가 구비된다.
이때, 차수판(300) 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a)는 차수판(300)이 들어올려졌을 때 슬라이딩샤프트(400a)의 일측이 고정홀(210)에 끼워져 차수판(300)이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수판(300)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b)는 일측이 수납홈(110) 후부 양측에 구비된 삽입홀(111)에 끼워져 차수판(300)이 수납홈(110) 내에 고정하면서 차수판(300)이 들어올려져 수직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회동축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딩샤프트(400)의 구성에 의해 차수판(300)의 파손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가 차수판(300)을 수납홈(1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차수장치의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이때, 차수판(300)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b)는 차수판의 상면보다 하면 측에 가깝게 설치되어 차수판(300)의 상·하 회동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수판(300)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보조고정구(500)와 함께 신축성물막이판(600)을 가압하여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보조고정구(500)는 '┌┐' 형상의 탄성이 있는 철판으로 형성되어 포스트(200) 상단에 경첩(510)을 매개로 설치되며, 수직으로 설치된 차수판(300)의 상단 일측을 덮어 지지함으로써 수직으로 설치된 차수판(300)이 높은 수압을 받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축성물막이판(600)을 가압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조고정구(500)는 차수판(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샤프트(400a)에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차수판(300)이 앞 또는 뒤로 쓰러지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신축성물막이판(6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차수판의 밀착부(310)가 밀착되는 양측 포스트(200)의 내측과 수납홈(110)의 일측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신축성물막이판(600)는 물이 침투할 수 있는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수판(300)이 맞닿는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자형상의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신축성물막이판(6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연질 또는 경질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나, 수밀성이 높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부(700)는 베이스부(100) 양측면의 일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출입구 바닥면(1)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수납홈(110)에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구배가 이루어진다. 배수부(700)는 집중호우시 수납홈(110)에 유입된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차수판(300)에 가해지는 수압이 조절되도록 하면서, 집중호우 상황이 종료된 후에는 수납홈(110) 내에 수분 또는 이물질이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이물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부(700)는 종단면의 형상이 └┘형상으로 절곡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었으나 얼마든지 다른 형상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의 통행 중 신체 또는 소지품의 일부가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의 작동 과정 및 작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 바닥면(1)에는 베이스부(100)가 매립되어 설치되고, 베이스부(100)의 양측으로 한 쌍의 포스트(200)가 출입구의 입석(2)이나 난간측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10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배수부(700)가 바닥면(1)에 매립된다.
이때, 차수판(300)은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수납홈(110)에 삽입되어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b)를 매개로 고정되며,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지나다니는 통로로 이용된다.
집중호우 등에 의해 지하철 역사가 침수될 우려가 있는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지하철 역사 관리자는 차수판(300)에 구비된 손잡이(330)를 들어올려 잡고,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b)를 회동축으로 하여 차수판(300)을 상측으로 90°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운다.
차수판(3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밀착부(310)를 신축성물막이판(600)에 밀착시키고 차수판(300) 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a)를 조작하여 슬라이딩샤프트(400a)의 일측을 포스트에 구비된 고정홀(210)에 끼워 고정한 후, 양측 포스트(200) 상단에 결합된 보조고정구(500)를 덮어 포스트(200)에 고정된 차수판(300)의 상단 양측이 보조고정구(500)의 탄성에 의해 보강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차수판 회동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400b)와 보조고정구(500)의 구성에 의해 신축성물막이판(600)이 가압되어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차수판(300)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하판(360)에 부착된 반사시트(340)가 역사 출입구 정면에서 보이게 되어 통행자가 차수판(300)이 설치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수납홈(110)에 유입된 물은 배수부(700)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호우 상황이 종료되어 차수판(300)를 복귀시킬 때에는 수납홈(110)에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배수부(700)를 통해 대략적으로 제거한 후 보조고정구(500)를 젖히고, 고정홀(210)에 끼워진 전방부의 슬라이딩샤프트(400a)를 내측으로 조작하여 고정홀(210)에서 분리하고, 후방부의 슬라이딩샤프트(400b)를 매개로 차수판(30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출입구 바닥면(1)과 수평이 되도록 수납홈(110)에 삽입한다. 이때, 손잡이(330)는 차수판 상면에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밀어 내려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갑자기 불어난 물이 지하시설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면서, 차수판(300) 일측에 점자블록부(320)가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사람들의 통행로로서 점자블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집중호우 등의 유사시에는 차수판(300)을 운반할 필요없이 수납홈(110)에 수납된 차수판(300)을 들어올려 슬라이딩샤프트(400)를 통해 포스트(200)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차수판(30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샤프트(400)를 매개로 베이스부의 수납홈(110)에 설치되므로 차수판(300)의 파손이 발생한 경우 차수판(300)을 간단하게 수납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차수판의 회동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보조고정구(500)의 구성에 의하여 높은 수압에도 누수없이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지하철 역사 출입구 바닥면 2: 입석
100 : 베이스부 110 : 수납홈
111 : 삽입홀 200 : 포스트
210 : 고정홀 300 : 차수판
310 : 밀착부 320 : 점자블록부
330 : 손잡이 340 : 반사시트
350 : 상판 360 : 하판
370 : 지지부재 400 : 슬라이딩샤프트
410 : 스프링 420 : 조작구
500 : 보조고정구 510 : 경첩
600 : 신축성물막이판 700 : 배수부
800 : 완충부재

Claims (4)

  1. 지하철 역사 출입구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고, 상면에 사각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포스트;
    상기 수납홈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부 및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부가 일측에 구비된 차수판;
    상기 차수판의 네 모서리에 스프링의 탄성하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경첩을 매개로 설치되고 탄성이 있는 철판으로 구성된 '┌┐' 형상의 보조고정구;
    상기 밀착부가 밀착되는 양측 포스트 내측 및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된 신축성물막이판; 및
    상기 베이스부 양측면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홈으로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배가 이루어진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판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상기 포스트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홀에 끼워져 차수판을 수직으로 고정하며,
    상기 차수판의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상기 차수판을 상기 수납홈에 고정하면서 상기 차수판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힌지 역할을 하며,
    상기 차수판 후방부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샤프트는 차수판의 상면보다 하면에 가까이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의 회동축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수판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상기 보조고정구와 함께 신축성물막이판을 가압하여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바닥에는 보행자 통행시 상기 차수판의 저면과 수납홈의 바닥이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신축성이 있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4. 삭제
KR2020150001507U 2015-03-10 2015-03-10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0480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07U KR200480456Y1 (ko) 2015-03-10 2015-03-10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07U KR200480456Y1 (ko) 2015-03-10 2015-03-10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56Y1 true KR200480456Y1 (ko) 2016-05-27

Family

ID=5609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07U KR200480456Y1 (ko) 2015-03-10 2015-03-10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451A (ko) * 2018-02-14 2019-08-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230133543A (ko) * 2022-03-11 2023-09-19 (주)포스코이앤씨 전기차량의 소화장치
KR102649001B1 (ko) * 2023-09-14 2024-03-20 황재도 침수예방용 차수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131B1 (ko) * 2011-08-31 2012-04-03 박정식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1151039B1 (ko) * 2011-05-09 2012-06-13 호승호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039B1 (ko) * 2011-05-09 2012-06-13 호승호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KR101132131B1 (ko) * 2011-08-31 2012-04-03 박정식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451A (ko) * 2018-02-14 2019-08-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102035159B1 (ko) * 2018-02-14 2019-10-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20230133543A (ko) * 2022-03-11 2023-09-19 (주)포스코이앤씨 전기차량의 소화장치
KR102672415B1 (ko) * 2022-03-11 2024-06-04 (주)포스코이앤씨 전기차량의 소화장치
KR102649001B1 (ko) * 2023-09-14 2024-03-20 황재도 침수예방용 차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456Y1 (ko) 지하철 역사 외부출입구용 차수장치
US5481828A (en) Security post for automobiles
US8756869B1 (en) In-ground storm shelter with sliding door
US20070022678A1 (en) In-ground storm shelter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JP2006291580A (ja) 浮体利用の簡易防水板
JP2012172423A (ja)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0725352B1 (ko) 맨홀뚜껑 이탈방지장치
JP5746948B2 (ja) 避難用建物
JP2001032621A (ja) 防水扉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KR20140027688A (ko) 차수판 폐쇄장치
KR101014377B1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100516832B1 (ko) 지하도 출입구 차수장치
JP2007239205A (ja) 防水扉装置
US10435907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JP2619605B2 (ja) 防潮装置
JP2017186751A (ja) 建築物
JP6204451B2 (ja) 止水板装置
KR102567419B1 (ko) 슬라이딩 차수문
KR101251954B1 (ko) 상하 이동식 볼라드
JP2001152432A (ja) ゴム蝶番を用いた転倒型防水扉
KR102672319B1 (ko)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JPH0931936A (ja) 水防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