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28Y1 - 유수 범람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 범람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28Y1
KR200258028Y1 KR2020010029359U KR20010029359U KR200258028Y1 KR 200258028 Y1 KR200258028 Y1 KR 200258028Y1 KR 2020010029359 U KR2020010029359 U KR 2020010029359U KR 20010029359 U KR20010029359 U KR 20010029359U KR 200258028 Y1 KR200258028 Y1 KR 200258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derground facility
prevention device
vert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수
Original Assignee
손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수 filed Critical 손정수
Priority to KR2020010029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28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장마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발생된 급격한 유수를 차단하여 지하 시설물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진출측 연결부재(212)와, 이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결부재(214,216)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후단부에 상기 진출측 연결부재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진입측 연결부재(218)가 구성되어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210)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입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220)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좌,우측 및 진입측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진출측 연결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230)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선단측 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252)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2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유수 범람방지 장치{A WATER INFLOW CUTOFF}
본 고안은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시설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마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한 급격한 유수가 지하 시설물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차로 등에는 교통소통의 원활함 및 보행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도로의 레벨 보다 하부측, 즉 지하방향으로 지하차도 또는 지하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사회가 고도화 및 현대화됨에 따라 도시에서는 부족한 공간으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점차적으로 지하 시설물들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날로 증가되는 자동차로 인한 주차공간 부족으로 인해 백화점, 아파트 등의 대형 건물에서는 필수적으로 지하주차장이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하 시설물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마나 지구온난화 등으로 발생되는 국지적인 폭우에 대비한 시설물이 전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장마나 폭우시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심각한 정체현상이 발생되어 도로교통이 마비되거나 심할 경우 지하차도 내에서 범람한 유수에 갇히게 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백화점과 같은 상업시설 및 아파트와 같은 주거시설의 지하공간 내부로 유수가 범람하여 건물 및 시설의 안전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 시설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장마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발생된 급격한 유수를 차단하여 지하 시설물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진출측 연결부재와, 이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후단부에 상기 진출측 연결부재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진입측 연결부재가 구성되어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입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좌,우측 및 진입측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진출측 연결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좌,우측 연결부재의 선단측 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개폐구동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부와, 이 구동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에 맞물림되어 전후진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로드가 실린더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고, 지하 시설물로 유입되는 유수가 채워져 수용되도록 소정 위치에 유수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수저수부에 채워지는 유수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레벨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레벨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유수의 시간당 유입량과 기 입력된 해당 지하 시설물의 시간당 배수처리량과 비교하여 유수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구동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부가 작동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완전 닫힘상태 및 완전 개방상태가 감지되어 개폐구동부의 구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닫힘 및 개방감지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기상청 단말기 및 재해대책본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베이스 시키기 위한 통신모듈부가 구성되어 이 통신모듈부에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개폐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출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일측 수직부재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일측 수직부재와 접한 측벽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베이스부재, 120,220,320:수직부재,
130,230,330:차단부재, 140,240,340:구동수단,
250:제어부, 260:레벨감지부,
270:통신모듈부, 272:수동입력부,
274:닫힘감지부, 276:개방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는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진출측 연결부재(112)와, 이 진출측 연결부재 (11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결부재(114,116)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114,116)의 후단부에 상기 진출측 연결부재(112)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진입측 연결부재(118)가 구성되어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진출측 연결부재(112)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입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122)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진출측, 좌,우측 및 진입측 연결부재(112,114, 116,118)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진출측 연결부재(1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 (130)와, 상기 차단부재(130)의 내면상에 로드(144)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110)의 내부 지면상에 실린더(142)가 매설되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130)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140)이 포함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40)은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필요한 유압펌프, 유압탱크, 유압호스 등의 유압유니트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 시설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상술한 유수 범람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집중호우 등의 급격한 강우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평상시에는 차단부재(130)가 베이스부재(110)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차단부재(130)의 상면으로 차량이나 보행자가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격한 강우현상이 발생되어 지하 시설물의 침수가 예상되면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작동시켜 유수의 유입경로를 차단하면 되는데, 즉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수단(140)이 작동되어 그 로드(144)가 전진되면 차단부재(13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수직부재(120)와 밀착되는 바, 이때 구동수단(14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차단부재(130)에 의한 유수의 유입경로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하 시설물을 유수의 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짜여져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210)가 구성되는 바, 상기 베이스부재(210)는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 진입로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진출측 연결부재(212)와, 이 진출측 연결부재(21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결부재(214,216)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 (214,216)의 후단부에 상기 진출측 연결부재(212)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진입측 연결부재(218)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부재(210)의 진출측 연결부재(212)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입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222)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220)와, 상기 베이스부재(210)의 진출측, 좌,우측 및 진입측 연결부재(212,214,216,218)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진출측 연결부재(2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220)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230)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214,216)의 선단측 하부에 설치되고 로드(244)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23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252)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230)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2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10)를 구성하는 각 연결부재(212,214,216,218)는 'ㄱ'형강 또는 'ㄷ'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재(23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강으로 다수 개의 보강부재(232)가 용착되어 그 상면으로 차량 등이 진행하여도 일정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된 것이며, 상기 베이스부재 (210) 및 수직부재(220)에는 지면 및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과 콘크리트로 일체화되는 과정에서 견고하게 양생되어 지지되도록 철근과 같은 다수 개의 지지부재 (219,229)가 용착된다.
상기 구동수단(240)은 개폐구동부(25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246)와, 이 구동모터부(24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미도시)와 이 구동기어에 맞물림되어 전후진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로드(244)가 실린더(242)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리고 상기 스크류실린더의 로드(244)는 다수의 로드가 안테나 형태로 중첩되게 끼워진 구조이므로 한정된 실린더내에서도 로드 행정거리가 크고 이에 따라 상술한 제 1실시예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을 굴착하여 실린더를 설치할 필요없이 베이스부재(210)상에 그대로 조립하면 되므로 그 설치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시설물로 유입되는 유수가 채워져 수용되도록 소정 위치에 유수저수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유수저수부에 채워지는 유수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레벨감지부(260)가 설치되며, 상기 레벨감지부(260)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유수의 시간당 유입량과 기 입력된 해당 지하 시설물의 시간당 배수처리량과 비교하여 유수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구동부(252)를 구동되도록 제어부(250)가 작동되고, 상기 차단부재 (230)의 완전 닫힘상태 및 완전 개방상태가 감지되어 개폐구동부의 구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닫힘 및 개방감지부(274,276)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수저수부(도시되지 않음)는 예컨대 상기 베이스부재(210)의 진입측 앞쪽이나 베이스부재(210)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이물질의 제거을 위한 여과커버가 형성된 통 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닫힘감지부 (274)는 차단부재(2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베이스부재(210)에 안착됨이 감지되어 구동수단(240)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차단부재(230)와 대응되는 베이스부재의 내부에 수밀적으로 감지센서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개방감지부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부재의 밀착된 상태가 감지되어 구동수단이 작동이 차단되도록 감지센서나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재(22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기상청 단말기(280) 및 재해대책본부 단말기(290)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베이스 시키기 위한 통신모듈부(270)가 구성되고, 이 통신모듈부(270)에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개폐구동부(25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컨대 특정지역의 집중호우시에 해당 지역의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작동시켜 침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상청 단말기(280) 및 재해대책본부 단말기(290)측에도 네트워트망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튤부가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고,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272는 수동으로 구동수단(240)을 작동시켜 차단부재 (23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입력부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230)가 베이스부재(210)내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부재(230)의 상면으로 차량이나 보행자가 원활하게 통행되는 상태에서 집중호우가 발생될 경우 수동입력부(272)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250)가 개폐구동부(252)를 구동시켜 구동수단(240)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작용설명에서와 같이 차단부재(23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수직부재(220)와 밀착되므로 유수의 유입경로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하 시설물을 유수의 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는 지하 시설물의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인이 없어서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집중호우에 의해 지하 시설물측으로 유수가 유입되면 유수저수부에 이 유수가 채워지게 되고 그 레벨이일정 범위를 넘게 되면 레벨감지부(26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250)에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개폐구동부(252)를 구동시켜 구동수단 (240)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수의 유입경로가 차단되는데, 이때 수직부재(220)측에 설치된 개방감지부(274)에 차단부재(230)의 개방된 상태가 감지되면서 이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어 개폐구동부(252)의 구동을 차단하게 되므로 더 이상 차단부재(230)가 수직부재(220)측으로 회동되지 않고 정지된다.
반대로,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유수의 범람위험이 해소되어 차단부재(230)를 베이스부재(210) 내부로 원위치 시킬 경우 차단부재(230)의 닫힘위치가 정상 위치에 이르게 되면 닫힘감지부(274)에 감지되고 이 감지신호에 의한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수단(240)의 작동이 중지되면서 안정된 닫힘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기상청에서 호우가 예상되면 해당 기상청 단말기(280) 또는 재해대책본부 단말기(290)를 통해 유수 범람방지 장치의 통신모듈부(270)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통신모듈부(270)에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250)는 개폐구동부(252)를 구동시켜 구동수단(240)을 작동시키게 시키게 되므로 차단부재(230)에 의한 유수의 유입경로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하 시설물을 유수의 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310)와, 상기 베이스부재 (310)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출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322)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320)와, 상기 수직부재(32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일측 수직부재(32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330)와, 상기 일측 수직부재와 접한 측벽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33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3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수 범람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지하 시설물의 일측 벽면상에는 수납부(350)가 요입 형성되어 평상시에 상기 차단부재(330)가 외부로 돌출되어 통행에 불편을 끼치거나 부식되지 않도록 된다.
한편, 상술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서 구동수단(340)은 상기 제 2실시예의 도 5의 블록도에 나타난 구성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세부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작용은 상술한 제 2실시예와 유사한 작용으로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게 되는데, 다만 차단부재(330)가 지하 시설물의 입구 또는 출구측의 벽면에 위치되므로 유수 범람방지 장치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의하면, 지하 시설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장마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발생된 급격한 유수를 차단하여 지하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2 및 제 3실시예에 나타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의하면 설치을 위해 별도로 지면을 굴착할 필요가 없고, 원거리 및 무인으로도 유수 범람방지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지하 시설물의 침수와 같은 자연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진출측 연결부재와, 이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후단부에 상기 진출측 연결부재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진입측 연결부재가 구성되어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연결부재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입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진출측, 좌,우측 및 진입측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진출측 연결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선단측 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개폐구동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부와, 이 구동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에 맞물림되어 전후진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로드가 실린더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로 유입되는 유수가 채워져 수용되도록 소정 위치에 유수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수저수부에 채워지는 유수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레벨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레벨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유수의 시간당 유입량과 기 입력된 해당 지하 시설물의 시간당 배수처리량과 비교하여 유수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구동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부가 작동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완전 닫힘상태 및 완전 개방상태가 감지되어 개폐구동부의 구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닫힘 및 개방감지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50)에는 기상청 단말기(280) 및 재해대책본부 단말기(290)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베이스 시키기 위한 통신모듈부(270)가 구성되어 이 통신모듈부(270)에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개폐구동부(252)를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
  5. 지하 시설물의 입,출구측에 설치되어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된 유수 범람방지 장치에 있어서,
    지하 시설물 입,출구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입구 및 출구측 바닥면상에 매설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설치되어 그 외측이 지하 시설물의 양측벽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진출측과 대응되는 수직면 상에 수밀용 패킹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게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일측 수직부재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양쪽 수직부재에 밀착되어 지하 시설물의 내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일측 수직부재와 접한 측벽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범람방지 장치.
KR2020010029359U 2001-09-24 2001-09-24 유수 범람방지 장치 KR200258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59U KR200258028Y1 (ko) 2001-09-24 2001-09-24 유수 범람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59U KR200258028Y1 (ko) 2001-09-24 2001-09-24 유수 범람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486A Division KR20030024368A (ko) 2001-09-18 2001-09-18 유수 범람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028Y1 true KR200258028Y1 (ko) 2001-12-29

Family

ID=7310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359U KR200258028Y1 (ko) 2001-09-24 2001-09-24 유수 범람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59B1 (ko) *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리프팅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306089B1 (ko) * 2013-05-13 2013-09-09 (주)디엠씨코리아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CN113529646A (zh) * 2020-04-20 2021-10-22 华侨大学 一种以滑块配合轨道的智能阻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59B1 (ko) *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리프팅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KR101306089B1 (ko) * 2013-05-13 2013-09-09 (주)디엠씨코리아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CN113529646A (zh) * 2020-04-20 2021-10-22 华侨大学 一种以滑块配合轨道的智能阻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14B1 (en)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US5460462A (en)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US4892440A (en) Water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US4997312A (en) Water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50040441A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1442025B1 (ko) 지하 주차장 입구의 경사 진입로에 설치된 상하 회동식 침수 차단장치
JP3283209B2 (ja) 防水板の自動操作機構
KR200258028Y1 (ko) 유수 범람방지 장치
JP2003082956A (ja) 地下施設浸水防水シャッター装置
KR102427167B1 (ko)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JP2003027855A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US7037031B2 (en) Automatic barricade for low water crossings
KR20030024368A (ko) 유수 범람방지 장치
KR102095166B1 (ko)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3933B1 (ko)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JP2012072622A (ja) 雨水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および管理方法
KR102569525B1 (ko)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GB2464959A (en) Flood defe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217438827U (zh) 自动应急防洪闸门系统
CN113699932A (zh) 一种防洪结构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101339178B1 (ko) 홍수 예방을 위한 다목적 저류조와 빗물 유입 구조
CN111101451A (zh) 隧道交通雨水淹没时无电智能控制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