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70Y1 -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Google Patents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570Y1 KR200477570Y1 KR2020140004731U KR20140004731U KR200477570Y1 KR 200477570 Y1 KR200477570 Y1 KR 200477570Y1 KR 2020140004731 U KR2020140004731 U KR 2020140004731U KR 20140004731 U KR20140004731 U KR 20140004731U KR 200477570 Y1 KR200477570 Y1 KR 2004775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fixing member
- slat
- coupled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내풍압 셔터의 슬랫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과 윈드락을 일체로 구성하되, 이를 촘촘하게 슬랫의 양 측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슬랫을 고속으로 승하강 시키더라도 윈드락이 파손되지 않아 내풍압 셔터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또한, 셔터의 상부에서 슬랫이 감기더라도 감긴 직경이 작아지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 벽 또는 기둥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돌기와 후면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접촉부가 상기 전면돌기와 후면돌기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외측 및 내측 걸림턱; 및 상기 내측 걸림턱의 외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슬랫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양측 벽 또는 기둥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돌기와 후면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접촉부가 상기 전면돌기와 후면돌기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외측 및 내측 걸림턱; 및 상기 내측 걸림턱의 외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슬랫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내풍압 셔터의 슬랫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락과 윈드락을 일체로 구성하되, 이를 촘촘하게 슬랫의 양 측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슬랫을 고속으로 승하강 시키더라도 윈드락이 파손되지 않아 내풍압 셔터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또한, 셔터의 상부에서 슬랫이 감기더라도 감긴 직경이 작아지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 격납고, 발전소, 공장, 플랜트 등 산업용 시설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샤프트가 장착된 내풍압 셔터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내풍압 셔터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하되, 플렉시블한 복수의 슬랫(slat)이 결속된 셔터를 감아올리거나 내려서 즉, 상승 또는 하강시켜 문을 개폐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건축물은 주로 바람막이가 없는 벌판, 평야지대에 건설되므로 필히 내풍압 셔터가 출입구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내풍압 셔터는, 강한 풍속의 바람에 견딜 수 있는 고강도의 금속 또는 합금 재료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내풍압 셔터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슬랫들이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 상부에 있는 셔터 박스에 장착된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 및 하강하여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내풍압 셔터는 다수의 좁고 긴 형태의 슬랫, 슬랫의 상부 일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이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 박스, 슬랫의 양측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 작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 및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슬랫을 감아올리거나 내리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풍압 셔터는 시설물의 출입문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의 하나의 셔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셔터를 고정하는 고정기둥인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레일과 셔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가 및 셔터를 이루는 다수의 슬랫들을 연결하는 엔드캡은 태풍 등의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강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상기한 일반적인 엔드락의 경우 복수의 슬랫 하나 걸러 하나씩 결합하고, 엔드락이 삽입되지 않은 슬랫에 네 개 또는 다섯 개 걸러 하나씩 듬성듬성하게 윈드락이 삽입되며, 이러한 윈드락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딩 됨으로서 셔터를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윈드락을 듬성듬성 삽입하는 것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윈드락을 촘촘하게 결합할 경우 셔터의 상부에서 슬랫을 감을 때 그 직경이 엄청나게 커지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긴 슬랫의 직경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윈드락을 듬성듬성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엔드캡 및 윈드락을 촘촘하게 삽입할 경우 작업공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유도 있게 된다.
게다가 정작 외부의 강풍 및 충격은 슬랫을 통해 윈드락으로 전달되며, 윈드락은 듬성듬성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충격력을 견디지 못해 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슬랫을 고속으로 감아올릴 경우 윈드락이 듬성듬성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되는 속도를 이기지 못해 윈드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내풍압 셔터의 슬랫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과 윈드락을 일체로 구성하되, 이를 교번으로 슬랫의 양 측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슬랫을 고속으로 승하강 시키더라도 가이드에서 슬랫을 지탱하는 힘이 분산되어 내풍압 셔터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셔터의 상부에서 슬랫이 감기더라도 감긴 직경이 작아지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 벽 또는 기둥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돌기와 후면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접촉부가 상기 전면돌기와 후면돌기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외측 및 내측 걸림턱; 및 상기 내측 걸림턱의 외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슬랫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은, 단면적이 상기 접촉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슬랫이 감겨졌을 시 포개어지기 용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은, 실외를 기준으로 실외측의 곡면보다 실내측의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100)는, 양측 벽 또는 기둥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 결합되되, 양 단부에 슬랫이 결합되는 윈드락을 가이드 하는 전면돌기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전면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전면돌기와 대칭되도록 후면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후면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는, 결합되었을 시 평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되, 상기 고정부재 및 후면부재는 평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칭되는 'ㄱ'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는 평단면의 형상이 'ㄴ'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후면부와 후면부재의 후면부가 서로 포개어 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부 단부에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부 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후면부재는, 각각이 포개어지는 후면부에 전방을 향하여 함몰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와 전면부재의 전면부는, 외부의 충격에 상기 전면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을 연결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내풍압 셔터의 슬랫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과 윈드락을 일체로 구성하되, 이를 촘촘하게 슬랫의 양 측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슬랫을 고속으로 승하강 시키더라도 윈드락이 파손되지 않아 내풍압 셔터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셔터의 상부에서 슬랫이 감기더라도 감긴 직경이 작아지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윈드락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슬랫이 구동부에 의해 말려 올라갈 시 금속재인 가이드레일 본체간에 생기는 소음 및 마찰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배면도이고, 도 1d는 도 1a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슬랫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구동부에 의해 셔터 상부로 감아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구비된 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슬랫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구동부에 의해 셔터 상부로 감아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구비된 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배면도이고, 도 1d는 도 1a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슬랫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구동부에 의해 셔터 상부로 감아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결합된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슬랫이 가이드레일 본체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이 구비된 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210)은, 양측 벽 또는 기둥(30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100)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 사이에 개재되는 접촉부(211)와, 상기 접촉부(211)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접촉부(211)가 상기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 및 상기 내측 걸림턱(214)의 외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슬랫(200)에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걸림턱(213)은 내측 걸림턱(214)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작업자 또는 작업용 공구가 쉽게 파지하여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걸림턱(213)과 상기 내측걸림턱(214)보다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수평방향이란, 내풍압 셔터가 설치된 상태에서 횡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211)는 슬랫(200)이 강풍에 의해 실내측으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간을 이동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드락(2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슬랫(200)이 구동부(400)에 의해 말려 올라갈 시 금속재인 상기 가이드레인 본체(100)간에 생기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레일 본체(100)와의 마찰도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접촉부(21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은, 상기 슬랫(200)이 감겨졌을 시 포개어지기 용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은, 실외를 기준으로 실외측의 곡면보다 실내측의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중간부분이 상기 접촉부(211)보다 돌출된 볼록부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곡면(215), 및 양단이 상기 접촉부(211)보다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실내측곡면(215)에 대응하는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곡면(216)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211)가 상기 볼록부와 돌출부에 의해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211)의 양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0)이 구동부(400)에 의해 말려 올라갈 시 윈드락(210)은 서로 포개어지게 되는데, 각각의 윈드락(210) 및 슬랫(200)이 서로 접촉되되,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로 인해 원활하게 말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은 상기한 접촉부(211)의 수직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돌기(121, 131)간을 접촉부(211)가 이동 즉 왔다 갔다 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에 의해 윈드락(210)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윈드락(210)은, 슬랫(200)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교번되도록 즉 하나 건너 하나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길이방향 즉, 수직으로 연결되는 각 슬랫(200)간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윈드락(210)을 가이딩 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가이드레일 본체(100)의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므로 슬랫(200)을 고속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본체(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인 본체(100)는, 크게 고정부재(110), 전면부재(120) 및 후면부재(13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 전면부재(120) 및 후면부재(130)가 결합되었을 시에는 평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100)로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10), 전면부재(120) 및 후면부재(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측 벽 또는 기둥(30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11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10)는, 평단면의 형상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부(112)와 측면부(113)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0)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전면돌기(121)와 대칭되도록 후면돌기(131)가 돌출형성되는 후면부재(1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부재(130)는 상기한 고정부재(110)와 대칭인 형상 즉 '┌'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부(132)와 측면부(13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의 측면부(113)에는 삼각홈이 형성되므로 육각 스크류볼트 또는 앵커와 같은 고정수단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간격으로 결합할 수 있기 되어 고정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0)의 전방에 결합되되, 양 단부에 슬랫(200)이 결합되는 윈드락(210)을 가이드 하는 전면돌기(121)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전면부재(12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부재(120)는 평단면의 형상이 'ㄴ'형으로 형성되며, 전면부(122)와 측면부(123)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0)의 측면부(113) 단부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재(120)의 전면부(122)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돌기(121)와 전면부재(120)의 전면부(122)는, 외부의 충격에 상기 전면부재(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을 연결하는 보강부(125)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전면돌기(121) 및 후면돌기(131)의 끝단은 고정부재(110)의 측면부(113) 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윈드락(210)이 가이드레인 본체(10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고정부재(110)의 후면부(112)와 후면부재(130)의 후면부(132)는 서로 포개어 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측면부(113) 단부에 상기 전면부재(120)의 전면부(122) 단부가 결합되어 평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0) 및 후면부재(130)는, 각각이 포개어지는 후면부(112, 132)에 전방을 향하여 함몰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14, 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함몰부(114, 134)가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가이드레일 본체(100)의 규모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함몰부(114, 134)는 상기 고정부재(110) 및 후면부재(130)를 결합할 시 육각 스크류볼트(피스)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육각 스크류볼트(미도시)의 머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부재(110)가 벽면(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부재(120) 및 후면부재(130)의 측면부(123, 133)의 단부에는 모헤어(500)가 결합된다. 이는 가이드레일 본체(100)의 내측으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가이드레일 본체 110 : 고정부재
112 : 후면부 113 : 측면부
114 : 함몰부 120 : 전면부재
121 : 전면돌기 122 : 전면부
123 : 측면부 130 : 후면부재
131 : 후면돌기 132 : 후면부
133 : 측면부 134 : 함몰부
200 : 슬랫 210 : 윈드락
211 : 접촉부 212 : 삽입부
213 : 외측 걸림턱 214 : 내측 걸림턱
300 : 벽 또는 기둥 400 : 구동부
500 : 모헤어
112 : 후면부 113 : 측면부
114 : 함몰부 120 : 전면부재
121 : 전면돌기 122 : 전면부
123 : 측면부 130 : 후면부재
131 : 후면돌기 132 : 후면부
133 : 측면부 134 : 함몰부
200 : 슬랫 210 : 윈드락
211 : 접촉부 212 : 삽입부
213 : 외측 걸림턱 214 : 내측 걸림턱
300 : 벽 또는 기둥 400 : 구동부
500 : 모헤어
Claims (7)
- 슬랫(200)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교번되도록 하나 건너 하나씩 결합되는 윈드락으로서,
상기 윈드락은,
양측 벽 또는 기둥(30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본체(10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간을 이동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접촉부(211);
중간부분이 상기 접촉부(211)보다 돌출된 볼록부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곡면(215), 및 양단이 상기 접촉부(211)보다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실내측곡면(215)에 대응하는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곡면(21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211)가 상기 볼록부와 돌출부에 의해 전면돌기(121)와 후면돌기(13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211)의 양 단부에 구비된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 및
상기 내측 걸림턱(214)의 외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슬랫(200)에 삽입되는 삽입부(212);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걸림턱(213, 214)이 상기 접촉부(211)의 수직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곡면(216)보다 상기 실내측 곡면(215)이 완만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걸림턱(213)은 내측 걸림턱(214)보다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100)는,
양측 벽 또는 기둥(30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의 전방에 결합되되, 윈드락(210)을 가이드 하는 전면돌기(121)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전면부재(120); 및
상기 고정부재(110)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전면돌기(121)와 대칭되도록 후면돌기(131)가 돌출형성되는 후면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10), 전면부재(120) 및 후면부재(130)는,
결합되었을 시 평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되,
상기 고정부재(110) 및 후면부재(130)는 평단면의 형상이 'ㄱ'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120)는 평단면의 형상이 '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의 후면부(112)와 후면부재(130)의 후면부(132)가 서로 포개어 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측면부(113)의 단부에 상기 전면부재(120)의 전면부(122) 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 및 후면부재(130)는,
각각이 포개어지는 후면부(112, 132)에 전방을 향하여 함몰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14, 134)가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121)와 전면부재(120)의 전면부(122)는, 외부의 충격에 상기 전면부재(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을 연결하는 보강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731U KR200477570Y1 (ko) | 2014-06-23 | 2014-06-23 |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731U KR200477570Y1 (ko) | 2014-06-23 | 2014-06-23 |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570Y1 true KR200477570Y1 (ko) | 2015-06-24 |
Family
ID=5351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4731U KR200477570Y1 (ko) | 2014-06-23 | 2014-06-23 |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570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6910A (ko) * | 2016-11-21 | 2018-05-30 | 정국 | 단열 내풍압 셔터 |
KR102211279B1 (ko) * | 2020-05-06 | 2021-02-04 | 이진성 | 알루미늄 내풍압 고속 셔터 |
KR102413134B1 (ko) * | 2021-04-16 | 2022-06-24 | 비제이도어 주식회사 | 단열성 및 소음차단성이 강화된 승강식 도어패널 구조체 |
KR20240052468A (ko) | 2022-10-14 | 2024-04-23 | 엔에이치기공 주식회사 | 셔터 슬랫의 유동방지 구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502Y1 (ko) * | 2004-08-30 | 2004-12-04 | 양희주 | 건물용 셔터의 투명 슬랫 |
KR200429772Y1 (ko) * | 2006-08-16 | 2006-10-27 | 이경호 | ㄷ형가이드를 갖는 셔터 |
-
2014
- 2014-06-23 KR KR2020140004731U patent/KR20047757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502Y1 (ko) * | 2004-08-30 | 2004-12-04 | 양희주 | 건물용 셔터의 투명 슬랫 |
KR200429772Y1 (ko) * | 2006-08-16 | 2006-10-27 | 이경호 | ㄷ형가이드를 갖는 셔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6910A (ko) * | 2016-11-21 | 2018-05-30 | 정국 | 단열 내풍압 셔터 |
KR101912425B1 (ko) * | 2016-11-21 | 2018-10-26 | 정국 | 단열 내풍압 셔터 |
KR102211279B1 (ko) * | 2020-05-06 | 2021-02-04 | 이진성 | 알루미늄 내풍압 고속 셔터 |
KR102413134B1 (ko) * | 2021-04-16 | 2022-06-24 | 비제이도어 주식회사 | 단열성 및 소음차단성이 강화된 승강식 도어패널 구조체 |
KR20240052468A (ko) | 2022-10-14 | 2024-04-23 | 엔에이치기공 주식회사 | 셔터 슬랫의 유동방지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7570Y1 (ko) |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 |
US6901705B1 (en) | Guide rail for a sliding closure having a guide groove with a groove filling device | |
CA3004045C (en) | Panel and panel system | |
KR100900738B1 (ko) | 셔터 구조 | |
JP6292853B2 (ja) | 密閉式開閉装置 | |
US20150101767A1 (en) | Non-cord window blind assembly | |
EP3091149A1 (en) | Modular fence | |
KR200476849Y1 (ko) | 내풍압 셔터용 가이드레일 | |
US20160237744A1 (en) | Panel assembly | |
JP4456158B2 (ja) |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 |
KR101027799B1 (ko) | 전동 개폐형 차고문 | |
WO2010131320A1 (ja) |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 |
RU120690U1 (ru) | Порог напольный | |
JP4251354B2 (ja) | 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 |
KR200419080Y1 (ko) | 비닐하우스 측면 환기용 다각형 기둥말이 파이프 | |
KR200410653Y1 (ko) | 안전장치를 구비한 롤업 도어 | |
KR20170037041A (ko) | 내풍압 셔터의 결합구조 | |
JP7445586B2 (ja) | シャッター装置の座板押え具及びその座板押え装置 | |
KR200458350Y1 (ko) | 교실창호 | |
JP7349865B2 (ja) |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 |
KR20090102458A (ko) |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 |
JP7359626B2 (ja) |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 |
JP7349864B2 (ja) |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 |
JP4441752B2 (ja) |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持ち上げ防止装置 | |
JP2007332616A (ja) | 開閉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