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38B1 - 셔터 구조 - Google Patents

셔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38B1
KR100900738B1 KR1020070072672A KR20070072672A KR100900738B1 KR 100900738 B1 KR100900738 B1 KR 100900738B1 KR 1020070072672 A KR1020070072672 A KR 1020070072672A KR 20070072672 A KR20070072672 A KR 20070072672A KR 100900738 B1 KR100900738 B1 KR 10090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guide rail
shape
esca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740A (ko
Inventor
양희주
Original Assignee
양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주 filed Critical 양희주
Priority to KR102007007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7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72Locking means to prevent slat dis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슬랫의 양단에 슬랫 이탈 방지구를 설치하여 강한 바람으로 인해서 슬랫이 휘어질 때 이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 홈에 걸려서 슬랫이 레일 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셔터 구조가 개시되며, 복수의 슬랫들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슬랫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구조는, 일측이 슬랫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가이드 레일의 홈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랫 이탈 방지구로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은 "ㅜ"자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시에 가이드 레일의 개방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중으로 결합하며,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의 양면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볼을 개재하여 접촉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 및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를 통해서 슬랫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은 폐쇄되어 기둥에 고정되며, 그 타측은 슬랫에 대향하여 개방되되 그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해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과 이중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랫, 이탈 방지구, 가이드 레일, 걸림턱, 이중 결합, 고리 형상, 볼

Description

셔터 구조{SHUTTER CONSTRUCTION}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셔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슬랫의 측면 일단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며 셔터 케이스 내의 롤러에 권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슬랫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슬랫 이탈 방지구와 가이드 레일의 결합 관계 및 가이드 레일에 실링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슬랫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결합된 형상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슬랫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결합된 형상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5: 슬랫
320: 슬랫 이탈 방지구
323: 볼
328: 고리 형상
330: 가이드 레일
333: 걸림턱
본 발명은 셔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랫의 양단에 슬랫 이탈 방지구를 설치하여 강한 바람으로 인해서 슬랫에 변형이 생길 때 이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에 걸려서 슬랫이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셔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shutter)는 좁고 긴 강판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슬랫(slat)들이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 상부에 있는 셔터 케이스에 장착된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 및 하강하여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첨부도면에서 도 1은 일반적인 셔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셔터(100)는 다수의 좁고 긴 형태의 슬랫(105), 슬랫(105)의 상부 일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10), 이 구동 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모터(110)의 정/역회전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 박스(115), 슬랫의 양측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슬랫(105)의 상승 및 하강 작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20), 및 구동 모터(110)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슬랫(105)을 감아 올리 거나 내리는 롤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슬랫의 측면 일단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며 셔터 케이스 내의 롤러에 권취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슬랫은 측면 일단이 가이드 레일(12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승 및 하강하게 되며, 가이드 레일(120) 상단에는 셔터 케이스(200)가 형성되는데 이 셔터 케이스(200) 내에 롤러(125)가 설치되어 슬랫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한다.
한편, 해변이나 평원과 같은 곳에서는 셔터를 설치한 건물이 강한 바람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슬랫의 내풍압 설계 기준은 45m/s 이하로서, 그 이상의 풍속에서는 풍력에 의해서 슬랫이 변형되어 슬랫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셔터의 개폐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59598호에서는, 슬랫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축을 설치하고, 이 축에는 일정 간격으로 축 주변에서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설치함과 동시에 각각의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는 안내부를 가이드 레일 내에 설치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슬랫이 풍력을 받아서 변형이 일어난다 할지라도, 가이드 레일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에 걸려서 축이 가이드 레일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59598호는 도 3 및 4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가 복잡해지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3 및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축(20) 주변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22, 22')가 지지턱(24, 24')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풍력에 의한 슬랫의 변형을 방지 또는 경감시켜야 하는데, 롤러(22, 22')가 축(20) 주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관계로 이 두 부재의 결합의 강도가 약화되어 슬랫의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5014호는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부재(22)를 사용하여 풍력에 의한 슬랫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했다. 즉, 가이드 부재(22)의 일단은 결합구(21)로서 슬랫의 끝단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ㅜ"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22)로 이루어져서, "ㅜ"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의 홈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려서 슬랫에 변형이 발생해도 슬랫이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
본 실용신안등록 제20-0365014호에서도, 가이드 부재(22)의 "ㅜ"자형 가이드(22)가 가이드 레일의 홈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리는 결합력을 이용한 슬랫 변형 방지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서 별로 진보되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고안자는 가이드 부재(22)로서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는바, 이로 인해서, 상기 참조 실용신안등록은 구조 및 재료의 특성상 셔터에 강한 풍압이 가해질 때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22)가 가이드 레일 홈 내에서의 잦은 마찰로 인해서 마모되기 쉽고, 이로 인해서 강풍시 슬랫이 변형될 때 가이드 부재(22)가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이 슬랫 끝단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슬랫 이탈 방지구에서, 그 타단이 가이드 레일 내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강풍시 슬랫이 변형되어도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이 슬랫 끝단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어 슬랫의 상승 및 하강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슬랫 이탈 방지구에서, 그 타단 중 가이드 레일 홈의 길이 방향 내측면과 접촉하는 면에 마찰 방지 볼을 형성하여 슬랫의 상승 및 하강 작용시 및 풍압 인가시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 내벽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의 내외측에 실링재를 설치하여 슬랫 이탈 방지구 및 슬랫과 밀착되게 하므로,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외부의 유해 오염물질 내지 각종 벌레 등이 셔터 내로 유입되거나, 외부 공기가 들어와 셔터 내의 온방 또는 냉방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슬랫들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슬랫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구조는, 일측이 슬랫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로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은 "ㅜ"자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될 때 가이드 레일의 개방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중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의 양면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볼을 개재하여 접촉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 및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를 통해서 슬랫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은 폐쇄되어 기둥에 고정되며, 그 타측은 슬랫에 대향하여 개방되되 그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해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과 이중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에서 "ㅜ"자 형상을 하고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ㅜ"자 형상의 양측면에는, 그 내부로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스프링 및 볼이 차례로 삽입되어 스프링의 척력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상기 "ㅜ"자 형상의 양측면이 볼을 개재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 양측면중 슬랫을 향하는 끝단에는 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의 개방측의 끝단에는 슬랫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은 H 빔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될 때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고리 형상과 슬라이드 레일의 걸림턱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들 레일의 개방측 끝단에 형성된 H 빔 형상의 걸림턱에는, 그 내측으로는 브러시가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랫 이탈 방지구와 밀착되며 그 외측으로는 고무 밀폐재가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랫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슬랫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슬랫 이탈 방지구 및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슬랫(305)은 종래의 슬랫과 유사하다. 즉, 본 발명의 각 슬랫(305)은 좁고 긴 강판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져서,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셔터를 이루게 된다. 각 슬랫의 양단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인 마감재(310)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이 고정된 마감재는 가이드 레일(330)의 입구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슬랫의 양단에 마감재(310)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간격으로 슬랫에 마감재 대신 슬랫 이탈 방지구(3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간격은 적절한 수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슬랫 이탈 방지구(320)는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일측이 슬랫에 삽입되는데, 대략 중간 부분에 턱(3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턱 부분까지 슬랫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타측 즉, 슬랫에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ㅜ"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330)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고정된다.
또한,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ㅜ"자 형상의 타측에서, 슬랫의 길이 방향 과 일치하는 방향의 가이드 레일(330) 내벽(331)과 접촉하는 슬랫 이탈 방지구의 양면(322)에는 각각 볼(323)이 형성되어 내벽(331)과의 마찰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ㅜ"자 형상 양면(322) 각각의 내부로 일정 깊이의 구멍(324)을 형성하고 이 구멍(324) 내부에 스프링(325)을 장착한 후, 볼(323), 예를 들면, 쇠 구슬을 삽입한다.
이때, 스프링(325)의 척력은 볼(323)을 상기 구멍(324) 밖으로 멀리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한다. 이 후에, 스프링(325) 및 볼(323)이 삽입된 구멍(324)을, 덮개(326)로 덮는데, 이 덮개는 중앙에 상기 볼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327) 등을 이용하여 덮개(326)를 구멍(324)이 형성된 "ㅜ"자 형상의 양면(3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볼(323)은 구멍(324)에 매립된 채로 일부가 덮개 밖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이 가이드 레일(330)의 내벽(331)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볼(323)의 노출 정도는 덮개(326)의 중앙에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을 크게 할수록 볼은 더 많이 노출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330)은 슬랫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일측이 폐쇄되어 기둥 등에 고정되며 타측은 슬랫(305)에 대향하여 설치되는데, 이 타측은 개방되어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타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30)의 개방된 타측 입구는 삽입된 슬랫 이탈 방지구(320) 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의 타측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슬랫 이탈 방지구(320)가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면, 슬랫 이탈 방지구는 가이드 레일(33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서는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부가 가이드 레일의 내벽(331)에 접촉하면서,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333)에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걸림턱(333)의 구조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레일의 타측, 즉 개방된 부분의 양 끝단이, 슬랫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의 타측, 즉 개방된 부분은 그 일측 보다 폭이 좁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은 그 끝단이 "ㅜ"자 형상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놓이게 되면,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의 양면(322)이 걸림턱(333)에 걸리게 된다.
또한,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의 양면(322) 일측 끝단, 즉 슬랫을 바라보는 쪽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고리 형상(328)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 레일 내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고정되고, 슬랫이 변형되므로 슬랫 이탈 방지구를 슬랫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 레일의 타측 개방부에서 이 두 부재는 이중으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가이드 레일의 걸림턱(333)과 슬랫 이탈 방지구의 고리 형상(328)이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랫 이탈 방지구와 가이드 레일의 결합 관계 및 가이드 레일에 실링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슬랫 이탈 방지구(320)는 가이드 레일(330)의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의 상측, 즉 끝단으로부터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랫이 변형되면, 슬랫 이탈 방지구(320)의 고리 형상(328)이 가이드 레일(330)의 개방된 부분의 걸림턱(333)에 이중으로 결합되어, 슬랫이 큰 풍속으로 충격을 받아서 변형되어도 슬랫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330)의 개방된 부분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브러시(410) 및 고무 밀페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330)의 개방된 끝 부분은 H 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H 빔의 내측에는 브러시(41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330)과 슬랫 이탈 방지구(320)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틈새를 통해서 먼지나 해충 등이 외부로부터 셔터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H 빔의 외측에는 고무 밀폐재(42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는 가이드 레일(330)과 슬랫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해서, 먼지나 해충은 물론이고, 외부의 공기가 셔터 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셔터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슬랫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슬라이딩 결합된 형상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풍속이 없거나 약해서 슬랫에 변형이 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330) 내의 일정 위치에 슬랫 이탈 방지구(320)가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의 양면(322)이 가이드 레일(330)의 내벽(331)에 접촉되어 있는데, 볼(323)이 스프링 장력에 의해서 상기 내벽과 접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과 슬랫 이탈 방지구는 상대적으로 약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걸림턱(333)과 슬랫 이탈 방지구의 고리형상(328)은 서로 밀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슬랫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슬랫 이탈 방지구가 결합된 형상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의 하부 방향에서 강풍이 불어서 슬랫이 도면의 위쪽을 향해서 변형이 생겼을 경우, 슬랫 이탈 방지구는 슬랫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또는 슬랫의 중심에서 약간 위쪽으로부터 잡아 당겨지게 된다. 이 변형이 더욱 커지게 되면, 일반적으로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셔터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셔터 구조에서는, 슬랫이 변형되어 슬랫 이탈 방지구를 심하게 잡아당기게 된다 할지라도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레일의 걸림턱(333)과 슬랫 이탈 방지구의 고리 형상(328)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슬랫 이탈 방지구가 슬랫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강풍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불어와서 슬랫을 주기적으 로 변형시킨다 할지라도,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 양면(322)과 가이드 레일의 내벽(331)은 그 사이에 볼(323)이 개재되어 접촉되므로 그 사이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과 마찰됨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의 작용으로 인해서 슬랫이 변형된 상태에서 슬랫이 상승 및 하강한다 할지라도 가이드 레일과 슬랫 즉, 슬랫 이탈 방지구 사이에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부드럽게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슬랫 이탈 방지구가 가이드 레일과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강풍시에도 슬랫이 변형되어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랫 이탈 방지구 마찰 방지 볼을 형성하여 슬랫의 상승 및 하강 작용시 및 풍압 인가시 슬랫 이탈 방지구와 가이드 레일 내벽 사이에서 야기되는 마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의 내외측에 실링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외부의 오염물질 및 해충 등이 셔터 내로 유입되거나, 외부 공기가 들어와 셔터 내의 온방 또는 냉방을 저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슬랫들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슬랫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구조에 있어서,
    일측이 슬랫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로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은 "ㅜ"자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될 때 가이드 레일의 개방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중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의 양면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볼을 개재하여 접촉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와;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를 통해서 슬랫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은 폐쇄되어 기둥에 고정되며, 그 타측은 슬랫에 대향하여 개방되되 그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해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과 이중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에서 "ㅜ"자 형상을 하고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ㅜ"자 형상의 양측면에는 그 내부로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스프링 및 볼이 차례로 삽입되어 스프링의 척력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상기 "ㅜ"자 형상의 양측면이 볼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ㅜ"자 형상 양측면중 슬랫을 향하는 끝단에는 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의 개방측의 끝단에는 슬랫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은 H 빔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될 때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고리 형상과 슬라이드 레일의 걸림턱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구조.
  4. 복수의 슬랫들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슬랫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구조에 있어서,
    일측이 슬랫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로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은 "ㅜ"자 형상을 하여 슬랫이 변형될 때 가이드 레일의 개방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중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의 양면은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볼을 개재하여 접촉되는 슬랫 이탈 방지구와;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를 통해서 슬랫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은 폐쇄되어 기둥에 고정되며, 그 타측은 슬랫에 대향하여 개방되되 그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해서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 "ㅜ"자 형상과 이중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랫 이탈 방지구의 타측에서 "ㅜ"자 형상을 하고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ㅜ"자 형상의 양측면에는 그 내부로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스프링 및 볼이 차례로 삽입되어 스프링의 척력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과 상기 "ㅜ"자 형상의 양측면이 볼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개방측 끝단에 형성된 H 빔 형상의 걸림턱에는 그 내측으로는 브러시가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랫 이탈 방지구와 밀착되며 그 외측으로는 고무 밀폐재가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슬랫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구조.
KR1020070072672A 2007-07-20 2007-07-20 셔터 구조 KR10090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2A KR100900738B1 (ko) 2007-07-20 2007-07-20 셔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2A KR100900738B1 (ko) 2007-07-20 2007-07-20 셔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870U Division KR200426771Y1 (ko) 2006-07-03 2006-07-03 셔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40A KR20080003740A (ko) 2008-01-08
KR100900738B1 true KR100900738B1 (ko) 2009-06-05

Family

ID=3921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72A KR100900738B1 (ko) 2007-07-20 2007-07-20 셔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648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튼형 에어스포일러
KR20180068576A (ko) 2016-12-14 2018-06-22 썬파크 주식회사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셔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40B1 (ko) * 2008-12-24 2009-07-29 김상철 루버
KR100940847B1 (ko) * 2009-03-11 2010-02-05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쇼 케이스용 나이트커버 장치
KR101683854B1 (ko) * 2016-05-10 2016-12-07 김채연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림막
SG10201905150PA (en) 2019-06-06 2021-01-28 Gliderol Doors S Pte Ltd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NZ762462A (en) 2019-06-06 2022-11-25 Gliderol Doors S Pte Ltd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KR102300878B1 (ko) * 2020-12-07 2021-09-09 석종민 방진용 롤스크린이 마련된 창문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95U (ja) * 1992-03-17 1993-10-1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ヤッターの耐風構造
KR100411633B1 (ko) * 2001-08-02 2003-12-18 대업(주) 이탈 방지용 셔터
KR20050026431A (ko) * 2005-01-26 2005-03-15 정근수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395U (ja) * 1992-03-17 1993-10-1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ヤッターの耐風構造
KR100411633B1 (ko) * 2001-08-02 2003-12-18 대업(주) 이탈 방지용 셔터
KR20050026431A (ko) * 2005-01-26 2005-03-15 정근수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648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튼형 에어스포일러
KR101616336B1 (ko) * 2014-05-30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튼형 에어스포일러
KR20180068576A (ko) 2016-12-14 2018-06-22 썬파크 주식회사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셔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40A (ko) 200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38B1 (ko) 셔터 구조
KR200426771Y1 (ko) 셔터 구조
JP6570838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200477570Y1 (ko)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KR101044100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
KR101354448B1 (ko) 산업용 롤러도어의 슬랫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충돌시 도어 손상 방지 방법
JP5353941B2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KR101003550B1 (ko) 내풍압 셔터 구조
JP5270945B2 (ja) 網戸装置
JP2007217915A (ja) 開閉装置の改修方法及びこの改修方法によって改修された開閉装置
EP2290189A2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a roller blind, in particular an external roller blind with guide rails, and roller blind assembly
AU785311B2 (en) A braking system for retracting screens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EP0619411A2 (en) Reversible blind
KR102296953B1 (ko) 내풍압 단열 셔터
JP4379162B2 (ja) 上吊引戸
CN219422595U (zh) 一种辅助行走件
CN211448454U (zh) 一种卷帘门门帘底部张紧装置
KR200143000Y1 (ko) 전동식 도어
CN214498851U (zh) 一种可排水的门窗框
KR102448167B1 (ko) 이탈방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행거식 출입문
JP2018109305A (ja) ロープ固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
KR101234771B1 (ko) 시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산업용 자동문
JP5323567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