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50B1 - 내풍압 셔터 구조 - Google Patents

내풍압 셔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50B1
KR101003550B1 KR1020080046141A KR20080046141A KR101003550B1 KR 101003550 B1 KR101003550 B1 KR 101003550B1 KR 1020080046141 A KR1020080046141 A KR 1020080046141A KR 20080046141 A KR20080046141 A KR 20080046141A KR 101003550 B1 KR101003550 B1 KR 10100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lats
wind pressure
guide rail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213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주)대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주)대주기업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08004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55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풍압 셔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슬랫과, 상기 슬랫의 단부가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단부에 고정되되 그 단부에 원형의 관절부가 형성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관절부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절형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압에 의해 슬랫이 휘더라도, 가이드레일에서 슬랫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랫이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어 슬랫을 승강하기 위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기간 셔터를 사용하더라도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슬랫 단부의 편마모가 없어 안정적으로 슬랫이 승강할 수 있어 풍압으로 인한 고장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내풍압, 셔터, 관절

Description

내풍압 셔터 구조 { shutter structure with reinforced windproof function }
본 발명은 내풍압 셔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풍압에 의해 셔터의 슬랫이 휘는 경우 슬랫의 단부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랫의 원활한 승강이 가능한 내풍압 셔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shutter)는 좁고 긴 강판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슬랫(slat)들이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 상부에 있는 셔터 케이스에 장착된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 및 하강하여 셔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셔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좁고 긴 형태의 슬랫(1)과, 슬랫(1)의 상부 일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슬랫(1)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와, 이 구동 모터(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모터(2)의 정/역회전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 박스(3)와, 슬랫(1)의 양 측 가장 자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슬랫(1)의 승강시에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과, 구동 모터(2)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슬랫(1)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샤프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셔터는 소방서 등이나 대형 차량이 이동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경우 그 슬랫(1)의 길이가 길어지며, 따라서, 강풍(强風)이 부는 경우에는 슬랫이 풍압(風壓)에 의해 변형되어 슬랫(1)이 가이드레일(4)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셔터의 개폐 작동이 불가능해진다.
물론 이와 같은 슬랫(1)의 양단부가 가이드레일(4)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높은 풍압에 의해 슬랫(1)이 휘거나 좌우로 이동시에 가이드레일(4)의 지지턱(4a)에 슬랫(1)의 단부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롤러(1a)가 접촉되므로 슬랫(1)이 가이드레일(4)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슬랫(1)이 휘는 경우 롤러(1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랫(1)의 기울어짐에 따라 롤러(1a)의 외주연(1b)이 가이드레일(4)의 지지턱(4a)에 고르게 밀착되지 못하고, 어느 하나의 롤러(1a)의 표면 가장자리만 접촉되고 그로 인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 박스(3)를 조작하는 경우 모터(2)의 과부하 및 불안정한 작동원인이 됨과 동시에 롤러(1a) 또는 가이드레일(4)의 지지턱(4a)의 편마모가 발생되어 장기간 셔터를 조작하는 경우 소음이 점차적으로 심해지고 셔터의 고장 및 파손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풍압에 의해 슬랫이 휘는 경우에도 슬랫이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슬랫의 단부 편마모를 줄여주고 안정적으로 슬랫이 주행할 수 있는 내풍압 셔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슬랫과, 상기 슬랫의 단부가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단부에 고정되되 그 단부에 원형의 관절부가 형성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관절부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절형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압에 의해 슬랫이 휘더라도, 가이드레일에서 슬랫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랫이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어 슬랫을 승강하기 위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기간 셔터를 사용하더라도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슬랫 단부의 편마모가 없어 안정적으로 슬랫이 승강할 수 있어 풍압으로 인한 고장을 줄여주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의 슬랫이 풍압에 의해 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는 다수의 슬랫(100)이 승강이 풍압에 의해 슬랫이 휘더라도 가이드레일(200)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랫(100)은 좁고 긴 강판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셔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슬랫(100)의 양단부는 가이드레일(200)의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가이드홈(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랫(100)의 단부를 향해 입구(212)가 형성되며, 그 입구(212)의 양측에는 지지턱(2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랫(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따라 승강되며 그 가이드홈(210)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관절형 이탈방지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관절형 이탈방지수단(300)은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향해 돌출되는 원형의 관절부(312)가 형성되는 회동부재(310)와, 상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따라 승강되는 이동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동부재(310)는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향해 연장부(313)가 형성되고, 그 연장부(313)의 단부에 원형의 관절부(312)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311)는 상기 슬랫(100)의 단부 관통공(110)에 일부가 삽입되고 그 슬랫(100)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112)을 따라 리벳, 나사,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114)을 관통시키고 고정부(311)의 표면에 형성된 지지공(311a)을 관통하여 체결해 줌으로서 슬랫(100)의 단부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2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관절부(312)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321)이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상기 회동부재(310)의 연장부(313)만 통과할 수 있는 지지공(3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를 상기 이동부재(320)의 안착공간(321)에 삽입하는 경우 관절부(312)는 안착공간(321)안에서 이탈되지 못하고 지지공(323)을 통해 연장부(313)만 노출된다.
또한,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10)의 상하측에는 지지공(113,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310)의 전단 상하측에는 상기 지지공(113,115)에 끼워지는 돌출편(327,329)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327,329)이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공(113,115)에 삽입됨으로 인해 강풍이 부는 경우 상기 슬랫(100)이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재(32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위치하게 되는데, 좌우로 분할되는 제1 및 제2몸체(322,324)로 이루어지며, 그 제1 및 제2몸체(322,3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체결공(322a,324a)이 형성되어 체결핀(325)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따라 이동부재(320)가 상하로 승강시에 가이드홈(210)에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이동부재(320)의 양측에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이 각각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을 상기 이동부재(320)에 고정하기 위 해 상기 제1 및 제2몸체(322,324)의 양측방향으로 축공(322b,324b)이 각각 형성되고, 그 축공(322b,324b)에는 수평축(340)이 관통 구비되고, 그 수평축(340)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수평축(340)의 양단 외주연에는 제1 및 제2지지홈(342,34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340)을 상기 이동부재(320)의 축공(322b,324b)에 먼저 끼워 관통시킨 후, 그 수평축(340)의 양단에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을 끼우고, 그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의 제1 및 제2지지홈(342,344)에 제1 및 제2스냅링(343,345)을 각각 끼워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이 상기 수평축(3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에는 스프링안착공(312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공(312a)에는 코일스프링(312b)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12b)의 타단부는 상기 수평축(340)의 중앙부에 가압되어 상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를 가압하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슬랫(100)이 풍압에 의해 휘는 경우 가이드레일(200)의 입구(212) 지지턱(214)에 슬랫(1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관절형 이탈방지수단(300)의 이동부재(320)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풍압에 의해 슬랫(100)이 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가 이동부재(320)의 전단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지만, 이동부재(320)는 풍압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따라서 이동부재(320) 의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제1 및 제2베어링(330,332) 모두가 가이드레일(200)의 입구(212) 지지턱(214)에 밀착되므로 안정적으로 슬랫(100)이 승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홈(210)의 지지턱(214) 전단에는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양측으로 라운드부(214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200)의 입구(212)를 협소하게 하기 위해 그 입구(212)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턱(214) 전단에 라운드부(214a)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풍압에 의해 슬랫(100)이 휘는 경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가 더욱더 넓은 범위의 회동 각도를 갖게 되어, 그 라운드부(214a)를 형성한 만큼 더욱더 큰 각도를 가지고 회동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풍압에 더욱더 능동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200)의 입구(212) 양측에는 가이드홈(210) 쪽으로 외부에서 벌레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러시(800)가 설치된다. 이때, 브러시(8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러시삽입홈(214b)이 가이드홈(210)의 입구(212) 양측에 형성되어 브러시(800)를 삽입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셔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셔터의 슬랫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슬랫이 풍압에 의해 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풍압 셔터의 슬랫이 풍압에 의해 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랫 200: 가이드레일
210: 가이드홈 212: 입구
214: 지지턱 300: 관절형 이탈방지수단
310: 회동부재 311: 고정부
312: 관절부 330: 이동부재
800: 브러시

Claims (5)

  1. 다수의 슬랫(100)과, 상기 슬랫(100)의 단부가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00)로 이루어지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고정되되 그 단부에 원형의 관절부(312)가 형성되는 회동부재(310)와, 상기 관절부(312)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320)로 이루어지는 관절형 이탈방지수단(3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슬랫(100)의 단부 상하측에는 지지공(113,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310)의 전단 상하측에는 상기 지지공(113,115)에 끼워지는 돌출편(327,32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10)는 상기 슬랫(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11)와, 상기 고정부(311)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을 향해 연장부(313)가 형성되고, 그 연장부(313)의 단부에 원형의 관절부(312)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3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부재(310)의 관절부(312)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321)이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상기 회동부재(310)의 연장부(313)가 통과할 수 있는 지지공(3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20)는 좌우로 분할되는 제1 및 제2몸체(322,324)로 이루어지며, 그 제1 및 제2몸체(322,3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체결공(322a,324a)이 형성되어 체결핀(325)으로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몸체(322,324)의 양측방향으로 축공(322b,324b)이 각각 형성되고, 그 축공(322b,324b)에는 수평축(340)이 관통 구비되고, 그 수평축(340)의 양단에는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 입구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턱(214)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베어링(330,3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210) 입구에 형성되는 지지턱(214) 전단 양측에는 라운드부(214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 셔터 구조.
  5. 삭제
KR1020080046141A 2008-05-19 2008-05-19 내풍압 셔터 구조 KR10100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141A KR101003550B1 (ko) 2008-05-19 2008-05-19 내풍압 셔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141A KR101003550B1 (ko) 2008-05-19 2008-05-19 내풍압 셔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213A KR20090120213A (ko) 2009-11-24
KR101003550B1 true KR101003550B1 (ko) 2010-12-29

Family

ID=4160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141A KR101003550B1 (ko) 2008-05-19 2008-05-19 내풍압 셔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64A (ko) * 2011-03-30 2014-05-20 소피네코 수직-개방 화물 취급 도어의 가요성 스크린을 위한 탄성 변형을 갖는 보유 장치
KR20170037041A (ko) 2015-09-25 2017-04-04 (주)대주기업 내풍압 셔터의 결합구조
KR101875345B1 (ko) * 2017-12-28 2018-07-06 정국 클립형 엔드락
CN108952534A (zh) * 2018-06-07 2018-12-07 广东创明遮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防风卷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298A (ja) * 2002-12-26 2004-07-29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KR100616322B1 (ko) * 1998-09-16 2006-08-28 베트로텍 생-고뱅(인터내셔널)아게 실내 밀폐를 위한 내화 요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22B1 (ko) * 1998-09-16 2006-08-28 베트로텍 생-고뱅(인터내셔널)아게 실내 밀폐를 위한 내화 요소
JP2004211298A (ja) * 2002-12-26 2004-07-29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64A (ko) * 2011-03-30 2014-05-20 소피네코 수직-개방 화물 취급 도어의 가요성 스크린을 위한 탄성 변형을 갖는 보유 장치
KR102040162B1 (ko) * 2011-03-30 2019-11-04 소피네코 수직-개방 화물 취급 도어의 가요성 스크린을 위한 탄성 변형을 갖는 보유 장치
KR20170037041A (ko) 2015-09-25 2017-04-04 (주)대주기업 내풍압 셔터의 결합구조
KR101875345B1 (ko) * 2017-12-28 2018-07-06 정국 클립형 엔드락
CN108952534A (zh) * 2018-06-07 2018-12-07 广东创明遮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防风卷帘
CN108952534B (zh) * 2018-06-07 2020-05-05 广东创明遮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防风卷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213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550B1 (ko) 내풍압 셔터 구조
CA2726888C (en) High speed rollup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JP5824150B2 (ja) 移動可能なドアリーフガイドを有する昇降ドア
WO2001048349A1 (en) Wind-resistant coiling door
US8011414B2 (en) Roll-up shutter with tiltable slots
KR100900738B1 (ko) 셔터 구조
KR101868807B1 (ko) 롤러셔터
KR200426771Y1 (ko) 셔터 구조
KR101272859B1 (ko) 윈드락 겸 롤러 장착형 다기능 내풍압 도어
KR20080098591A (ko) 산업용 롤러도어의 슬랫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충돌시 도어 손상 방지 방법
KR1008280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JP5180532B2 (ja) 伸縮門扉
AU2011201433B2 (en) A shutter assembly
CN219910573U (zh) 一种堆积门
KR10102329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JPH083310B2 (ja) 鎧戸式棒体シャッター
EP1413701B1 (en) Safety device for a sectional closing element, such as a door, a main door, a gate or suchlike
JP4048977B2 (ja) シャッター
KR200359598Y1 (ko) 셔터의 가이드 장치
WO2010149800A1 (es) Persiana arrollable con lamas móviles
KR102553622B1 (ko)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EP3872294B1 (en) Sliding bearing for a roller shutter motor
JP7204259B2 (ja) スライディング窓戸用環状ローラ装置を備えたスライディング窓戸システム
KR200447076Y1 (ko) 레일 조립체
KR200319609Y1 (ko) 롤링 스틸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