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022A -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 Google Patents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022A
KR20110038022A KR1020117000356A KR20117000356A KR20110038022A KR 20110038022 A KR20110038022 A KR 20110038022A KR 1020117000356 A KR1020117000356 A KR 1020117000356A KR 20117000356 A KR20117000356 A KR 20117000356A KR 20110038022 A KR20110038022 A KR 2011003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eet
thin plate
piece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713B1 (ko
Inventor
프리드헬름 프레드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3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또는 산업용 방호를 제공하기 위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롤업 도어는 박판이나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 단편, 도어의 선택적인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리프팅 벨트로서 유연한 스트립, 각 박판의 외표면을 따라 단부에 근접하여 작동하는 연속적인 댐퍼닝 프로파일 및 도어가 상승됨에 따라 박판을 수납하고 도어가 하강됨에 따라 박판을 풀어주는 회전가능한 스파이럴 디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HIGH SPEED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본 발명은 롤업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 구멍을 덮기 위해 박판(lamella)이나 패널(panel)들이 포함된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leaf)을 갖는 산업용 롤업 도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낮은 레벨의 소음과 마모(wear)를 갖는 고속 방식으로 밀집하게 연속된 층(layer)의 산업용 롤업 도어 단편을 설치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제공한다.
공장, 창고, 주차장 등등과 같은 산업 시설은 안전을 제공할 뿐 아니라 파편 및 원치않는 기후 변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출입구를 덮거나 또는 기계장치를 보호하도록 롤업 도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가지는 산업용 롤업 도어는 출입구 좌측과 우측에 레일 프레임 부품과 상기 좌측과 우측 프레임 부품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박판 또는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 단편을 포함한다. 특정 유형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가 수직 설비로 제작되면, 리프팅 부품은 출입구에 설치된 회전축과 도어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 작동을 위해, 상기 회전축은 출입구를 개방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작동되어 도어 단편을 감아올리게 된다. 상기 회전축은 타방향으로 작동되어 도어 단편을 풀어서 출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보통 수직으로 작동하나, 각진(angled) 작동도 가능하다.
종래 산업용 롤업 도어는 작동시 다수의 문제점을 갖는다. 예컨대, 실질적으로 단단하고 평평한 박판은 안전 방벽을 제공함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긴 하나, 밀집한 형태로 감겨질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박판의 최초 층은 박판의 강성 때문에 회전축의 곡률을 따르지 못한다. 도어 단편이 회전축의 곡률을 따르지 못함으로 인해, 감긴 도어 단편은 도어 단편과 회전축 간에 상징적인(significant) 갭(gap)을 갖는 비대칭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단단한 도어 단편은 회전축에 대해 접선 방위(tangential orientation)를 가지게 된다. 추가 층은 추가 간격을 만드는 밑에 있는 층을 따를 수 없다. 회전축에 감긴 축소된 도어는, 단면도에서, 밀집하게 싸여진 대칭적이고 매끄러운 원형보다는 비대칭 다각 형상을 띠게 된다. 또한, 회전축에 감긴 추가 층들은 부적절하게 지지되는 앞선 층들 위에 적층되어, 앞선 층들을 중요(significant) 굽힘하중에 종속시키고 손상을 입히게 된다.
관련 문제점으로는 박판의 연속적인 층들 사이에 접촉으로 인한 소음과 마모가 있다. 도어의 승강 작동시 서로 접촉하는 박판의 층들은, 원치 않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박판 간 접촉은 소음 이외에 접촉 표면에 마모를 만들게 되고, 심미적으로 불쾌한 표시로 나타난다. 지속적인 마모는 도어의 완전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소음 및 손상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6,883,577호(이하, "577 특허" 라고 함) 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577 특허는 출입구 가장자리에 위치된 사이드 레일이나 프레임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와 함께 출입구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폭을 증가시킨 도어 단편 또는 박판을 제시한다. 회전축은 축의 중앙 부분부터 축의 바깥 단부까지 직경이 증가하는 나선형 표면을 갖는다. 전반적인 외부 표면 형상은 계단 모양의 원뿔(cone) 형상이다. 회전축이 도어를 상승시키도록 회전함에 따라, 폭이 좁은 도어 단편은 안쪽으로 위치된 원뿔 표면에 의해 첫번째로 채택된다. 다음, 폭이 넓은 도어 단편은 회전축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보다 큰 직경의 원뿔 표면에 채택된다. 완충 소재는 원형 표면과 박판 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회전 표면에 위치된다. 상기 원뿔 표면은 박판의 연속적인 층들 사이 공간을 유지하여 접촉에 의한 소음과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소음과 손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개선되어야 할 다른 문제점을 갖는다. 롤업 도어의 좌측 및 우측 단부를 적절하게 통제하고 가이드하기 위해, 사이드 프레임은 가장 넓은 폭의 박판 뿐만 아니라 가장 좁은 폭의 박판을 가이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가장 좁은 폭의 박판과 가장 넓은 폭의 박판을 모두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레일 깊이가 출입구 상부에서 더 깊고 출입구 바닥에서는 덜 깊어지게 테이퍼지거나, 또는 상기 레일은 가장 좁은 폭의 박판을 가이드하기에 충분한 깊이로 획일적으로 제작된다. 그러한 사이드 레일은 제조 비용이 비싸고 이용가능한 출입구 폭이 감소된다. 또한, 복합 회전축은 생산비와 중량을 증가시키고, 회전축 구동을 위한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박판은 필요에 의해 각종 길이로 마련된다. 이로 인해 대체를 위해 각종 길이의 박판을 필요로 하게 된다.
미국 특허 제5,307,859호(이하, "859 특허"라고 함)는 대체가능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시한 바 있으며, 그 출입구는 출입구를 개방하기 위해 축에 감기거나 또는 출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축에서 풀리기에 적절한 유연하고 투명한 시트 또는 커튼으로 덮어진다. 수평한 보강 멤버(stiffening member)는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수직 위치에 구성된다. 이 기술에 의하면, 충분한 두께의 두 개의 스트립(strip)은 커튼 상에 형성되어서, 상기 커튼이 올려지는 동안 각 스트립이 자체적으로 구르게 된다. 상기 커튼이 감길 때, 커튼의 앞면과 뒷면 간에 접촉은 제한되며, 상기 스트립 부근에는 어떤 접촉도 발생하지 않는다. 격리는 상기 커튼의 투명도를 한동안 유지한다. 투명도가 특정 경우에 바람직할지라도, 유연한 시트나 커튼은 파괴에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고속으로 조밀하게 감길 수 있고,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시 박판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롤업 도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산업용 방호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롤업 도어는 박판이나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 단편, 도어의 선택적인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리프팅 벨트로서 적어도 두 개의 유연한 스트립, 그리고 도어가 상승됨에 따라 박판을 감고(accept) 도어가 하강함에 따라 박판을 풀어주기 위해 스파이럴 디스크 및 각 박판의 외표면을 따라 각 단부에서 작동하는 댐퍼닝 프로파일(dampening profile)와 함께 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어 너비의 각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벨트를 구속하기 위해 설치된 엔드피스를 구성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박판을 위한 상기 엔드피스는 풍력에 저항하기 위해 윈드 앵커(wind anchor)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박판의 가장자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여하도록(구속하도록) 하기 위해 선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인접한 박판의 한 가장자리가 최소 부분적으로 탄성 멤버(resilient member)를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 멤버는 박판 간 접촉을 완화하여 소음을 완화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이거나, 또는 인접한 박판을 유연하게 결합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씰링하는 탄성 힌지(resilient hing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긴 박판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박판은 보통 납작한(평평한) 아치형의 C형 단면을 가지는데, 회전축을 향해 안쪽으로 마주하는 오목면과 아울러, 오목면과 볼록면을 가지도록 굽어진다. 상기 박판의 납작한 C형상은 매끄러운 윤곽일 수 있고, 또는 납작한 C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복수의 곡선 혹은 직선 세그먼트(segment)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판은 단단하거나 또는 통풍이나 시야를 위해 관통되어 확장되는 창문 형상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통풍이나 시야를 제한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일측 또는 양측이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통 밀집된 형상으로 감기게 되는 납작한(평평한) 아치형의 C형 단면을 가지는 긴 박판으로 구성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실질적으로 단단한 소재로 만들어진 긴 박판으로 구성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박판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긴 박판으로 구성된 산업용 롤업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롤업 도어는 고속으로 조밀하게 감길 수 있고,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시 손상으로부터 박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업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적인 정면도로서, 명백하게 박판은 스파이럴 디스크에 구속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부분적인 횡단면도로서, 완전히 감긴 도어의 일단부를 나타낸다(상기 도어의 타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구조를 이룬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디스크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닫힌 상태의 도어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박판이 스파이럴 디스크에 감긴 상태의 도어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첫번째 층 상부에 두번째 층을 만든 스파이럴 디스크에 감긴 박판이 구성된 도어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판의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되나, 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분야의 숙련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충분히 전달될 것이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참조 부호는 전체적인 형상에 있어 상응하는 부분이나 유사한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의 산업용 롤업 도어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도어로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어는 내부 출입구 폐쇄, 외부 출입구 폐쇄를 포함하여, 위험한 영역 주변, 예컨대 기계장치 주변에 안전한 경계선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출입구 또는 도어 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롤업 도어, 또는 안전한 경계선 혹은 방호를 제공하는 롤업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는 박판이나 패널들로 이루어진 도어 단편(leaf)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단편은 출입구 양측에 배열된 수직 사이드 레일이나 수직 가이드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엔드피스(endpiece)를 가지는 박판의 단부를 출입구 가로로 걸쳐놓기 위해 수평으로 배열된다. 상기 도어는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수직(혹은 세로) 이동용으로 형성되나, 각진 작동은 가능하다. 각 박판 단부는 엔드피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각 엔드피스는 리프팅 벨트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결과 각 박판은 상기 엔드피스를 통해 그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박판으로부터 독립된다. 따라서, 산업용 박판은 온전한 도어 구조체를 제거하거나 해체하지 않고 작동되어 부분적으로 폐쇄된 도어로 대체된다.
도어는 출입구 위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샤프트(회전축)로 박판을 감아서 회수함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박판은 갭(gap)이나 끊김이 거의 없이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상기 샤프트를 통해 감긴다. 박판 간 접촉에 의해 발생된 소음은 인접한 박판 층들 간에 갭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박판 일면에 댐퍼닝 프로파일(dampening profile)에 의해 감쇄되거나 완화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업 도어는 첨부한 도 1과 함께 설명되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부분적인 정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박판 또는 패널(11)들은 출입구에 개구 닫힘을 제공하기 위해 샤프트 아래로 모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어떤 박판도 회전가능한 샤프트(1)에 설치된 스파이럴 디스크(2) 상에 설치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의 가로방향 양측에 구성된 사이드 레일(20)은 출입구의 너비를 제한하여 슬롯(slot)이나 트랙(track) 안에 엔드피스(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부분 단면도는 도어의 일측(one) 가장자리에서 사이드 레일에 의해 가로막힘없는(unobstruct) 엔드피스(5)와 리프팅 벨트(6)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의 다른(second) 가장자리는 상기 사이드 레일과 같이 엔드피스(5) 및 리프팅 벨트(6)를 가지고 구성된다. 드라이브 시스템(22)은 도어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에 일방향으로 회전력 또는 회전토크를 공급하고, 상기 도어를 하강시키기 위해 샤프트에 타방향으로 회전력 또는 회전토크를 공급한다.
도 2는 회전가능한 샤프트(1)의 회전축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감긴 도어를 나타내며, 가늘고 긴 박판(11a~11f)의 두께(depth) d 는 샤프트(1) 상에 스파이럴 디스크(2)까지 감긴 연속적인 층들로 보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디스크(2)는 약 360°의 회전을 거쳐 R1에서 R2까지 부드럽게 이행(transition)하는 바깥 지름을 갖는다. 댐퍼닝 프로파일(3)은 스파이럴 디스크(2)의 외주연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도어가 완전히 오픈될 때 박판(11a)은 보통 샤프트(1) 및 박판 상부(11)에 근접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디스크(2) 표면(12)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박판(11a)은 리프팅 벨트(6)로 고정되고,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차례로 스파이럴 디스크(2)에 정지하게 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 도 4c에 도시된 박판의 횡단면은 일반적인 예시이다. 완전한 도면은 엔드피스를 제외하고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다.
또한,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닝 프로파일(4)은 박판 최상부, 박판(11a)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기계적인 수단이나 접착물을 포함하여 주지된 어떤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닝 프로파일(4)은 도어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외표면(14) 상에 연속적인 길이로 잇따른 모든 박판(11) 끝단부(18)에 위치한다. 상기 댐퍼닝 프로파일(4)은 끊김없이 연속적인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잇따른) 단편(segment)들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속적인 길이의 단일 댐퍼닝 프로파일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11f)은 외표면(14) 상에 댐퍼닝 프로파일(4) 없이 도시된다. 이는 비감김 시, 즉 출입구가 도어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때, 동일한 두 개의 박판 간 선형 거리를 초과하는 첫번째 박판(11a)부터 마지막 박판(11f)까지 감긴 도어의 주변을 둘러싸는(circumferential) 거리의 자연적인 결과이다. 도어가 감길 때, 상기 댐퍼닝 프로파일(4)은 박판(11)의 외표면(14) 상에서 작동하고, 그에 따라 선형 거리보다 더 긴 경로를 이동하게 되며, 도어가 완전히 감길 때 마지막 박판(11f)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도어의 댐퍼닝 프로파일(4)과 박판(11) 간에 상대적인 이동을 감안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댐퍼닝 프로파일(4)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보상 벨트 혹은 보상 멤버(9)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단편의 최하부 박판에 댐퍼닝 프로파일(4)의 하부를 부착시키도록 사용된다. 상기 보상 벨트는 탄성 멤버, 예컨대 스프링이나 고무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며, 도어가 감기지 않았을 때 도어 단편의 선형 길이와 도어가 감겼을 때 원주 거리 간에 차를 보상하는 첫번째 위치와 두번째 위치 사이에 신장가능하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디스크의 반지름 R2 는 스파이럴 디스크(2) 상에 댐퍼닝 프로파일(3)의 두께, 박판 상에 댐퍼닝 프로파일(4)의 두께 및 하나의 박판(11) 두께 t 의 합과 거의 동일한 크기만큼 R1 를 초과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스파이럴 디스크(2) 위 박판(11)의 첫번째 층은 매끄럽게 굽어지고, 박판의 잇따른 각 층은 최소의 단절과 함께 앞선 층의 댐퍼닝 프로파일(4) 상부에 매끄럽게 놓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11)은 보통 단면적으로 납작한(혹은 평평한) 아치형의 "C" 형상이 되며, 보통 오목한 내표면(13)과 볼록한 외표면(14)을 가지게 된다. 상기 박판 단면은 대체로 스파이럴 디스크(2)를 따르도록 선택되며, 더불어 부드럽게 감긴 표면과 치밀하게 감긴 도어 단편을 제공하기 위해 스파이럴 디스크(2) 상에 감긴 박판(11)의 연속적인 층들을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박판의 형상은 통상적이지 않으며, 박판의 강성(stiffness), 강도(rigidity) 및 미적 특질(aesthetic)을 비롯하여 감긴 도어 단편의 지름의 밀집도(compactness)를 제공함에 있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판은 평평한 중앙부(center portion, 21)와 바닥부(bottom portion, 15) 및 상단부(top portion, 16)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중앙부(21)로부터 떨어져서 굽어지고, 슬롯 또는 채널(22)을 제공한다.
도어 개구부의 높이, 스파이럴 디스크의 형상 및 박판의 수와 단면 사이에는 기하학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예컨대, 도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이게 되는 출입구 상부 높이는 3m 이고 박판 높이는 100㎜ 이다. 스파이럴 디스크(2)의 형상은 처음 굽어지는 층(첫번째 회전으로 형성된 층)에 8.5개의 박판(11)을 허용한다. 각 층은 감기게 되는 잇따른 층들을 위해 더 큰 지름을 형성하여 각 층에 더 많은 박판을 야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감겨올려진 도어는 스파이럴 디스크의 3 회전(turn)을 필요로 할 것이다.
엔드피스(5)는, 도 1과 도 2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박판(11)의 각 끝단부(18)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피스(5)의 타단은 안전하게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리프팅 벨트(6)의 중간 부분에 부착된다. 부착수단(19)은 주지된 어떤 수단, 예컨대 나삿니가 있는 패스너, 리벳, 이동가능한 스태플(staple) 또는 그 외의 것들일 수 있고, 리프팅 벨트(6)에 엔드피스(5)를 안전하게(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손상되거나 해진 구성요소들의 교체를 위한 이동(혹은 제거)이 가능하다. 도 6은 단지 예로서 임의의 부착수단(19)을 나타낸다. 상기 부착수단을 사용함은 해당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벨트(6)는 일단에서 스파이럴 디스크(2)에 고정되거나, 혹은 스파이럴 디스크(2)에 부착된 기계적인 구성요소나 링크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 벨트(6)는 스파이럴 디스크가 양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만큼 대체로 스파이럴 디스크(2) 표면과 동일한 거리로 이동된다.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엔드피스(5)를 가지는 리프팅 벨트(6)는 감아올려져서 박판이 스파이럴 디스크(2)에 감기도록 하여 출입구를 개방한다.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상기 리프팅 벨트(6)는 감겨올려진 위치로부터 풀려서, 도어 개구부를 덮도록 박판(11)을 풀어주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의 회전은 스파이럴 디스크(2)에 박판(11)이 감기도록 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박판(11)을 하강되게 하여 출입구를 폐쇄한다.
상기 박판(11)은 엔드피스(5)를 통해 리프팅 벨트(6)에 고정되기 때문에, 박판의 위치는 리프팅 벨트(6)에 의해 결정된다. 인접한 박판 사이에 기계적인 링크장치는 필요없으며, 따라서 각 박판은 오직 자신의 무게를 지탱한다. 또한, 박판(11)은 엔드피스(5)에 의해 각기 지지되므로, 손상되거나 닳은 박판(11)은 엔드피스(5)와 리프팅 벨트(6) 사이에 부착수단(19)을 분리함에 의해 도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개개의 박판(11)은 도어 단편의 하부 박판의 해체 없이 도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는 도어 작동의 위기(compromise) 없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박판(11)을 가지고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부(15)와 상단부(16)는 적어도 인접한 박판 부분에서 주요한 용도로 구성된다. 바닥부(15)와 상단부(16)를 사용함으로 인해 도어의 외표면(14)이나 내표면(13)에 직각을 이루는(perpendicular) 저항력에 의해 도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바닥부(15)와 상단부(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박판(11)의 인접한 부분에 서로 접촉을 회피하고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탄성 인서트(resilient insert)를 채택하여(accept) 구성된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로서 인접합 박판(11)의 바닥부(15)와 상단부(16)에 주지된 방법에 의해 탄성 힌지 멤버(resilient hinge member, 17)를 구성하기 위해 리시빙 채널(receiving channel, 8)이 형성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 힌지 멤버(17)는 도어를 열고 닫는 동안 박판을 구부러지도록 하기에 충분히 유연한 것이 좋다. 삽입 도중, 탄성 힌지 멤버(17)는 각각의 리시빙 채널로 탄성 힌지 멤버(17)를 밀어넣기 보다는, 꺾일 수 있고, 밀리거나 당겨질 수 있다. 상기 탄성 힌지 멤버(17)는 중앙부 및 리시빙 채널(8)로 제공되는 상단부와 바닥부에서 다양한 신축성이나 유연성을 가지게 된다. 리시빙 채널의 형상으로 인해, 탄성 힌지 멤버가 도어 단편의 이동 중 리시빙 채널(8)에 안전하게 삽입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더 견고한 상단부 재료와 바닥부 재료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체시 사이드 가이드로부터 도어를 분리하거나 박판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유연한 탄성 힌지 멤버는 박판이 손상되는 경우에 있어 연결된 박판에 대해 이점을 가지는데, 전체 박판을 교체하는 대신 손상된 박판만 교체함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힌지 멤버(17)는 인접한 박판 간에 실링(sealing)을 제공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힌지 멤버(17)는 실링을 제공하여 소음, 바람, 수분 등등의 전달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는 인접한 박판(11) 간에 접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인접한 바닥부(15)와 상단부(16)의 일부를 따라 가로놓이는 탄성 힌지 멤버(17)를 갖는다. 상기 탄성 힌지 멤버(17)는 인접한 박판(11)의 바닥부(15)와 상단부(16)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링크를 구성한다. 박판의 바닥부(15)와 상단부(16) 및 탄성 힌지 멤버(17)의 구성은,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구성을 이룬다. 해당 분야에 다른 적절한 구성들이 다양하게 주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내표면(13)과 외표면(14)은 끊김없이 형성되거나(solid),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및 시야 확보를 위해 내표면(13)과 외표면(14)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0)를 갖는다. 일예로, 조명과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미도시)를 개구부(10)에 설치하면 통풍이 감소하게 된다. 다른 예로, 박판(11)은 최대 빛 투과를 위해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착색되거나 표면처리된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체가능한 실시예로, 박판(11)은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소재로 가공될 수 있다. 다른 대체가능한 실시예로, 박판(11)은 탄성이나 유연성있는 소재,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가공될 수 있다.
박판(11)의 연속적인 층들은 스파이럴 디스크(2)의 회전가능한 샤프트(1)에 의해 감기게 되므로, 도 2 및 도 4c와 같이 앞서 감긴 층들에 의해 지지된다. 잇따른 층들의 박판(11)은 댐퍼닝 프로파일(4)에 의해 이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11)의 끝단부(18)는 샤프트(1)의 단부에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회전가능한 샤프트(1)의 양단부는 정렬된 박판(11)의 끝단부(18)와 함께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레일(20)은, 일관된(equal) 길이의 박판(11)과 더불어, 사이드 레일(20)과 엔드피스(5) 사이에 필요한 오버랩 양에 의해 결정되는 균일한(single)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레일은 필요한 만큼 박판(11)의 끝단부(18)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균일한 길이의 박판을 유지함은 교체 부품을 더욱 적게 필요로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도 1의 부분 절개 부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엔드피스(5)는 출입구 각 사이드의 사이드 레일(20)에 구성되는 트랙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레일(20)은 엔드피스(5)와 리프팅 벨트(6)를 구성하기 위해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어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어의 뒤쪽에서, 댐퍼닝 프로파일(4)은 박판의 각 가장자리 부분(18)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인다. 또한, 댐퍼닝 프로파일(4)은 사이드 레일(20)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드피스(5)가 단지 사이드 레일(20) 내에 설치되는(혹은 고정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레일(20)과 도어 사이에 더 많은 중첩(오버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강풍으로 인한 도어의 변위(displacement)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의 각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윈드 앵커(7)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1 : 샤프트
2 : 스파이럴 디스크
3,4 : 댐퍼닝 프로파일
5 : 엔드피스
6 : 리프팅 벨트
7 : 윈드 앵커
8 : 리시빙 채널
9 : 보상 멤버
10 : 개구부
11 : 박판
17 : 탄성 힌지 멤버
20 : 사이드 레일
22 : 드라이브 시스템

Claims (15)

  1. 사이드 레일과, 출입구 상단에 근사한 출입구 너비에 걸치는 크로스 피스(cross piece)가 설치된 출입구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한 산업용 롤업 도어에 있어서,
    좌측 단부, 우측 단부, 상단부, 바닥부, 내표면 및 외표면을 가지는 길고 단단한 각 박판이 복수로 구성되어 형성되는 도어 단편;
    상기 박판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리프팅 벨트;
    중간 부분에 있는 상기 리프팅 벨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박판의 단부에 조립된 엔드피스;
    박판 상부의 각 단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박판 단부의 외표면에 위치된 연속적이고 유연한 댐퍼닝 프로파일 스트립; 및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판을 연속적인 층으로 수납하고, 상기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판을 풀어주기 위해 마련된 나선 프로파일을 가지는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의 바닥부와 상단부는 적어도 인접한 부분이 서로 주요하게 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한 상단부와 바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는 탄성 멤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인접한 바닥부와 상단부의 일부는 상기 박판을 유연하게 결합하기 위해 탄성 힌지 멤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횡단면이 납작한 아치형의 "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적어도 일측이 투명한 소재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단단한 소재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균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박판 또는 그 일부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박판은 윈드 앵커를 가지는 엔드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댐퍼닝 프로파일 스트립은 첫번째 위치와 두번째 위치 사이에 전개될 수 있는 보상 멤버에 의해 도어 단편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상 멤버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 프로파일과 박판은 샤프트의 일방향 회전 시 밀접하게 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샤프트의 일방향 회전 시 연속적인 층으로 밀접하게 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KR1020117000356A 2008-06-06 2008-06-06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KR101566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8/066139 WO2009148460A1 (en) 2008-06-06 2008-06-06 High speed rollup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022A true KR20110038022A (ko) 2011-04-13
KR101566713B1 KR101566713B1 (ko) 2015-11-06

Family

ID=4034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356A KR101566713B1 (ko) 2008-06-06 2008-06-06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684064B2 (ko)
EP (1) EP2304154B1 (ko)
JP (1) JP5523450B2 (ko)
KR (1) KR101566713B1 (ko)
CN (1) CN102089491B (ko)
AU (1) AU2008357434B2 (ko)
BR (1) BRPI0822759B1 (ko)
CA (1) CA2726888C (ko)
ES (1) ES2476090T3 (ko)
MX (1) MX2010013234A (ko)
NZ (1) NZ589709A (ko)
RU (1) RU2471953C2 (ko)
TW (1) TWI479074B (ko)
WO (1) WO20091484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939B1 (ko) * 2014-05-13 2015-05-06 (주)나인인터내셔널 건축물의 외부공간활용을 위한 개폐식 커튼월 설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9491B (zh) * 2008-06-06 2013-10-23 阿尔巴尼国际公司 具有可卷起门片的高速卷帘门
DE102010020693A1 (de) * 2010-05-17 2011-11-17 Troodon Torsysteme Gmbh Tor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r Wandung
CN102052046A (zh) * 2010-11-29 2011-05-11 陈恺宇 卷帘式玻璃窗
US9260911B2 (en) * 2011-03-23 2016-02-16 Rytec Corporation Door panel for overhead roll-up doors and a method for creating the same
DE102011016266A1 (de) * 2011-04-06 2012-10-11 Stöbich Brandschutz GmbH Brand- oder Rauchschutzvorrichtung
NL1038868C2 (nl) * 2011-06-10 2012-12-11 Cornelis Elizabeth Rijlaarsdam Waterkering voor een doorgang.
CN102392592B (zh) * 2011-10-26 2013-06-05 四川博华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机电一体的隐形防护系统
DE112014000576T5 (de) 2013-01-28 2015-11-26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Rolllade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Zugangs
US9267326B2 (en) 2013-04-22 2016-02-23 Mckeon Rolling Steel Door Company, Inc.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WO2015144729A1 (en) * 2014-03-25 2015-10-0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Rolle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way
DE202014010821U1 (de) * 2014-08-21 2016-10-11 Troodon Torsysteme Gmbh Tor, insbesondere Hubtor,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r zwei verschiedene Temperaturzonen voneinander trennenden Wandung
DE102014115672A1 (de) 2014-09-11 2016-03-17 Hörmann Kg Dissen Rolltor mit Dämpfungskörper
US11834897B2 (en) * 2016-05-10 2023-12-05 Nicholas Jay Bonge, JR. Pet door system having semi-flexible pet door
DE102017118959A1 (de) * 2017-08-18 2019-02-21 Seuster Kg Tor, insbesondere Spiraltor
US11661778B2 (en) 2017-11-08 2023-05-3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High speed overhead door
USD855438S1 (en) 2018-03-22 2019-08-06 Clopay Building Products Company, Inc. Garage door cam
USD896616S1 (en) 2018-03-22 2020-09-22 Clopay Building Products Company, Inc. Garage door cam
US11105133B2 (en) 2018-04-17 2021-08-31 Clopay Building Products Company, Inc. High-speed sectional door
CN108868553B (zh) * 2018-06-13 2019-11-29 合肥市神雕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内置柔性防水机构的电动车库门
CN108868550A (zh) * 2018-06-21 2018-11-23 合肥驰峰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内置雨水收集防水机构的智能车库
CN108868554A (zh) * 2018-06-21 2018-11-23 合肥驰峰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密封卷帘板的智能车库
SG10201905150PA (en) 2019-06-06 2021-01-28 Gliderol Doors S Pte Ltd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CN112352088B (zh) * 2019-06-06 2022-04-12 格来得门业(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于减轻冲击力的卷帘门
CN111576586A (zh) * 2020-06-27 2020-08-25 徐仁贵 地下车库防淹排涝系统
WO2022136087A1 (en) 2020-12-22 2022-06-3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Roll door unit, roll-up door and use of a roll door unit for covering a door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033A (en) * 1978-03-08 1980-11-18 Firmaframe Nominees Proprietary Limited Roller door and frame combination
FR2439866A1 (fr) * 1978-10-23 1980-05-23 Cocude Rene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faces de tous elements d'equipement constitues de lames jointives et dont le fonctionnement se compose d'enroulements et de deroulements successifs
JPH0455185Y2 (ko) * 1985-12-11 1992-12-24
US5095965A (en) * 1989-10-13 1992-03-17 Hideo Higashiyama Shutter and a slat for the same
FR2683257A1 (fr) * 1991-11-05 1993-05-07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a fonctionnement peu bruyant.
JP2587007Y2 (ja) * 1992-12-28 1998-12-14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明かり取り構造
FR2733000B1 (fr) * 1995-04-14 1997-06-27 Simu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fermeture a enroulement
JPH1150767A (ja) * 1997-08-01 1999-02-23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巻取りドラムの保護バンド
US6065525A (en) * 1999-02-04 2000-05-23 Overhead Door Corporation Rollup door assembly
CN2521370Y (zh) * 2001-11-05 2002-11-20 姜长平 软体透明卷帘门
JP3875146B2 (ja) * 2002-05-31 2007-01-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巻き取り式シャッター装置の騒音抑制装置
US6883577B2 (en) * 2003-02-24 2005-04-26 Albany International Corp. Rollup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CN2763445Y (zh) * 2004-06-11 2006-03-08 武汉市金昌劲门业有限公司 快速卷帘门
US8371357B2 (en) * 2006-02-06 2013-02-12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ystem to guide the slats of an industrial roller door to reduce damages after crash
CN102089491B (zh) * 2008-06-06 2013-10-23 阿尔巴尼国际公司 具有可卷起门片的高速卷帘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939B1 (ko) * 2014-05-13 2015-05-06 (주)나인인터내셔널 건축물의 외부공간활용을 위한 개폐식 커튼월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9074B (zh) 2015-04-01
CA2726888C (en) 2015-12-01
CN102089491B (zh) 2013-10-23
BRPI0822759B1 (pt) 2018-10-16
WO2009148460A1 (en) 2009-12-10
US8684064B2 (en) 2014-04-01
RU2010150405A (ru) 2012-08-10
KR101566713B1 (ko) 2015-11-06
RU2471953C2 (ru) 2013-01-10
CN102089491A (zh) 2011-06-08
AU2008357434A1 (en) 2009-12-10
MX2010013234A (es) 2011-03-01
CA2726888A1 (en) 2009-12-10
EP2304154A1 (en) 2011-04-06
BRPI0822759A2 (pt) 2015-06-30
JP2011522981A (ja) 2011-08-04
AU2008357434B2 (en) 2016-03-10
NZ589709A (en) 2012-07-27
US20110265959A1 (en) 2011-11-03
BRPI0822759A8 (pt) 2017-12-19
ES2476090T3 (es) 2014-07-11
EP2304154B1 (en) 2014-03-26
JP5523450B2 (ja) 2014-06-18
TW200951291A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8022A (ko)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AU2003303970C1 (en) Rollup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US9637972B2 (en) Roll-up door and guide system therefor
KR100443546B1 (ko) 저마찰 에지를 갖는 말아올림형 도어
JP5148786B2 (ja) 産業用ゲート
WO20020157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locking a building opening
WO2007146510A3 (e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RU2421585C2 (ru) Промышленная дверь
EP0948699B1 (en) A roller shutter
AU7748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locking a building opening
RU2744129C1 (ru) Ворота
AU20002707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locking a building opening
EP13111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locking a building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