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510B1 -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510B1
KR100989510B1 KR1020080086128A KR20080086128A KR100989510B1 KR 100989510 B1 KR100989510 B1 KR 100989510B1 KR 1020080086128 A KR1020080086128 A KR 1020080086128A KR 20080086128 A KR20080086128 A KR 20080086128A KR 100989510 B1 KR100989510 B1 KR 10098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rope
control
win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79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08008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510B1/ko
Priority to PCT/KR2009/004696 priority patent/WO2010027151A2/ko
Publication of KR2010002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의 유지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등기구의 유지보수작업시 지주의 일단에 형성된 점검구에 우선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점검구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작동로프와 연결되어 램프하우징 또는 등기구 구조물의 승강, 견인 및 회전을 수행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완료시킨 후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기구, 램프, 유지보수, 승강, 견인, 회전

Description

휴대용 착탈식작동기{User-Removable Device for Maintenance of Lighting Fixture}
본 발명은 등기구의 지상 유지보수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권취기 및 동력원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개별 지주들에 고정 설치되어 운용되는 기존 방식들과 달리 휴대 가능한 단일의 작업틀에 1개 이상의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지보수작업 완료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착되어 운용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나 인도에 주로 설치되는 등기구는 지주의 특성상 상기 램프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12m 이상 또는 6m정도의 고소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차량통행이 빈번한 도로 쪽을 향하여 설치된 관계로 램프의 교체 및 정비작업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커서 통상 작업 시에는 사다리차나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소작업 전용장비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유지보수 작업은 도로통제가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해 이러한 유지보수작업을 지상화 시키려는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 제시된 대안들의 경우 등기구 상단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등기구들이 차로쪽으로 승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위해 등기구 상단 구조물의 접철 또는 회전방식이 발전된 개념으로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용중인 등기구 구조물들을 철거하고 지주 점검구 내측에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내장된 신규 등기구 구조물을 설치해야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상기의 제한점으로 인해 기존 제시된 대안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기존 대안들을 적용하기위한 권취기 및 동력원이 기존 사용중인 지주의 협소한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없는 기술적,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기존 사용중인 구조물들을 철거하고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지주 내부공간에 적용된 신규 등기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이 적용됨으로 인해 막대한 초기설치비용 발생이 요구된다.
둘째, 점검구 내측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단일 지주에 다수의 등기구가 설치된 지주에는 적용시킬 수 없다.
셋째, 점검구가 형성될 수 없는 콘크리트지주 또는 벽면과 같은 곳에 설치된 등기구에는 기존 제시된 대안들이 적용 될 수 없다.
넷째,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점검구 내측에 설치됨으로 인해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권취기 또는 동력발생원이 파손되어 추락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섯째,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점검구 내측에 설치되어있는 관계로 작업자가 점검구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어 작업시야 확보가 어렵다.
여섯째,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설치된 점검구가 부주의로 개방된 경우에는 일반인이 권취기를 회전시키는 단순 조작만으로도 유지보수장치의 조작이 가능해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이 존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초기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감소시키고, 둘째, 단일 지주에 다수의 등기구가 적용된 경우에도 지상화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셋째, 콘크리트지주 또는 벽면에 설치된 등기구 틀에도 적용 가능하며, 넷째, 외부 충격에 의한 지주 손상시에도 추락이 발생되지 않으며, 다섯째, 유선조종기를 활용한 주변감시를 카능케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여섯째, 고정식이 아닌 휴대방식을 적용함으로 인해 일반인이 유지보수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와,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 견인, 회전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치된 작동모듈과, 상기 작동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작동로프를 포함하는 옥외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과, 상기 작동로프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로프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틀에 고정 설치된 권취작동블럭;과, 상기 권취작동블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권취작동블럭을 원격 제어하는 유선제어부;를 포함하여,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연결로프를 작동로프와 연결시킨 후 유선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권취작동블럭을 권취 작동시키고, 유지보수작업의 완료후에는 상기 연결로프와 작동로프를 분리시킴과 함께 상기 점검구로부터 완전히 탈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기존 사용중인 개별 지주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작업자가 휴대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사용중인 구조물들을 철거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지상화 유지보수장치의 초기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이 대폭 절감된다.
둘째,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기존 사용중인 개별 지주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작업자가 휴대하는 방식이므로 단일 지주에 설치된 다수의 등기구에 대해서도 지상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설치후 20년 이상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유지보수장치 자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셋째, 점검구가 존재하지 않는 콘크리트지주, 교량벽면 및 방음벽에 설치된 등기구 틀의 유지보수에도 적용 가능하다.
넷째, 주행 중인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점검구 부근이 손상되어도 등기구의 추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유선조종기를 이용해 작업자가 안전한 위치에서 주변상황을 주시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로부터 자유롭다.
여섯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소지해야만 유지보수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일반인에 의한 안전사고발생 가능성이 제거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등기구는 일측에 점검구(11)가 형성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40)를 구비한 램프하우징(30)이 결합된 수평지지대(20)와, 상기 램프하우징(30)의 승강, 견인, 회전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치된 작동모듈과, 상기 작동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작동로프와, 상기 작동모듈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점검구(11)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어콘넥터(66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1개 이상의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이 작업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지주(10)의 점검구(11)에 우선적으로 걸림되어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프 및 제어콘넥터와의 연결 및 권취 작동을 통해 유지보수작업을 완료시키고 상기 점검구(11)로부터 탈거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지주(10) 및 수평지지대(20)와 램프하우징(30)의 일정 부분에 각기 설치되어 승강, 견인, 회전작동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승강작동을 하기 위한 경우에는 승강모듈(200)로, 견인작동을 하기 위한 경우에는 견인모듈(300)로, 회전작동을 하기 위한 경우에는 회전모듈(400)로 용어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로프 또한 승강모듈(200)에서 연장되는 경우에는 승강로프(610)로, 견인모듈(300)에서 연장되는 경우에는 견인로프(630)로, 회전모듈(400)에서 연장되는 경우에는 회전로프(640)로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작동로프들 및 제어콘넥터가 배치된 지주(10)의 점검구(1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작동로프들 및 제어콘넥터(660)에는 각각의 기능이 명확하게 구분 인식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680)가 적용되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들 색상인식부(680)를 이용해 작업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작동로프들을 식별해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연결시킨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작업틀(110)과, 상기 작업틀(110)을 상기 점검구(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120)와, 상기 작업틀(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작동로프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로프가 구비된 권취작동블럭과, 상기 권취작동블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권취작동블럭을 먼거리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유선제어부(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권취작동블럭은 권취기와 동력구동원이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권취작동블럭은 그 기능에 따라 상기 승강모듈(200)의 작동을 위한 경우 승강블록(130)으로, 상기 견인모듈(300)의 작동을 위한 경우 견인블록(140)으로, 상기 회전블럭(400)의 작동을 위한 경우 회전블럭(150)으로, 그리고 상기한 작동모듈의 제어 기능을 위한 경우 제어블럭(160)으로 그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로프 또한 승강블록(130)에 구비된 경우 승강연결로프(135)로, 견인블럭(140)에 구비된 경우 견인연결로프(148)로, 회전블럭(150)에 구비된 경우 회전연결로프(158)로, 제어블럭(160)에 구비된 경우 제어연결로프(165)로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작업틀(11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 점검구(11)와 통하게 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1)의 주변으로 전면에 상기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 제어블록(160)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111)는 상기 점검구(11) 내측에 위치된 다수의 작동로프들과 이를 권취시키기 위한 상기 블록들(130, 140, 150, 160)을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도 5a/b는 상기 고정장치(12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고정장치(120)는 점검구(11)의 크기, 형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지주(10) 점검구(11)에 상기 작업틀(110)을 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장치(120)는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 하부에 ㄷ자형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1)의 하단에 걸림되는 하부 지지브라켓(121)과, 상기 작업틀(11)의 개방구(111) 상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받침판(124) 및 슬라이딩 덮개판(125)과, 일정 길이의 환봉을 U자 형태로 1차 구부림 성형한 후 중간 부위를 다시 구부림 성형하여 ㄷ자 형태의 걸림턱이 일단에 만들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반대측 원주면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받침판(124) 및 슬라이딩 덮개판(125)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섭동되면서 상기 점검구(11)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슬라이더(122)와, 상기 슬라이딩 덮개판(125)을 관통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핸들(123)로 이루어진다.
도 6a/b/c는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가 지주(10)의 점검구(11)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 3의 A-A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한 구성의 고정장치(120)에 의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가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상기 점검구(11)의 하부 모서리에 고정장치(120)의 하부 지지브라켓(121)을 먼저 걸림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핸들(123)을 회전시켜 풀어준다.
이렇게 고정핸들(123)이 풀어지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과 슬라이딩 덮개판(125)의 밀착력이 해제되면서 그 사이의 고정슬라이더(12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고정슬라이더(122)의 상하 섭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상승 이동시켜 점검구(11)의 상단 모서리에 밀착시킨 후, 다른 손으로 고정핸들(123)을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슬라이딩 덮개판(125)이 슬라이딩 받침판(124)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대로 작업자가 고정핸들(123)을 풀어준 후 고정슬라이더(122)를 하방으로 내려주면 점검구(11)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손쉽게 점검구(11)에서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슬라이더(122)의 섭동과 고정핸들(123)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크기, 형상이 다양한 지주들의 점검구(11)에 상하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a/b는 상기 승강블록(13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승강블록(130)은 상기 승강로프(610)에 연결되어 승강로프(61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블록(13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정역모터(131) 및 상기 승강정역모터(131)의 하측에 상기 승강정역모터(131)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승강정역모터(131)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차동기어(132)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종동기어(133)가 상기 승강차동기어(132)에 맞물림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의 상측에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통형의 승강권취롤(1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권취롤(134)에는 승강연결로프(135)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일단이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승강연결로프 고정볼트(136)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승강로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하강과정동안 점검구(11) 내측으로 풀려 들어가게 되고, 상승과정 동안에는 다시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상기 승강로프(61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지주(10) 상단의 램프하우징(30)을 지면 부분까지 승강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끝단부에는 승강로프(610)와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8a/b는 상기 견인블록(14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견인블록(140)은 상기 견인로프(630)에 연결되어 견인로프(63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견인블록(14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견인정역모터(141)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견인정역모터(141)와 동일축으로 연동 회전하는 원통형의 견인권취롤(142)이 상기 견인정역모터(141)의 외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권취롤(142)에는 견인연결로프(143)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일단이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견인연결로프 고정볼트(144)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견인로프(630)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는 과정 동안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감겨지고, 원위치되는 동안에는 견인권취롤(142)에 감긴 부분이 다시 풀리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상기 견인로프(62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승강연결로프(135)에 비해 그 길이가 짧은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연결로프(143)의 끝단부에는 상기 견인로프(630)와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9a/b는 상기 회전블록(15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회전블록(150)은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로프(64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블록(15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정역모터(151)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차동기어와(152), 및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원통형의 회전감김롤(15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에는 제1종동기어(154)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종동기어(154)에는 제2종동기어(155)가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종동기어(155)에는 풀림종동기어(156)가 맞물리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풀림종동기어(156)는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동력에 따라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풀림종동기어(156)에는 상기 풀림종동기어(156)에 연동 회전하도록 원통형의 회전풀림롤(157)이 동일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 각각에는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는 각각 그 일단이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에 회전연결로프 고정볼트(159)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그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호 대칭적으로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에 각각 감겨진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40)을 회전시키는 동안 일측 회전연결로프(158)은 감겨지게 됨과 함께 타측 회전연결로프(158)는 풀려지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서 분리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에도 한 쌍의 회전로프(640)과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b는 상기 제어블록(16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제어블록(160)은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블록(160)은 제어권취롤 회전축(161)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는 사각돌출부(162a)가 형성되어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어권취롤(162)과, 상기 제어권취롤(162)의 사각돌출부(162a)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권취롤(162)을 수동 회전시키는 소켓랜치(163), 및 상기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어권취롤(162)의 회전을 구속하는 원형걸림핀(164)과, 상기 제어권취롤(162)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는 제어연결로프(1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연결로프(165)는 상기 제어권취롤(162)에 제어연결로프 고정볼트(167)에 의해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제어권취롤(162)에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회전제어로프(6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회전제어로프(650)에서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제어로프(620)는 상기 승강모듈(200)의 작동을 인가 또는 억제하고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는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400)의 작동을 인가 또는 억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연결로프(165)는 램프하우징(30)의 승강을 위해 상기 승강모듈(200)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에 연결되며, 수평지지대(2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400)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어블록(160)은 정역모터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하는 상술한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과 달리 수동으로 작동되는데, 이는 제어블록(160)이 착탈제어로프(620)를 당겨 상기 승강모듈(200)의 걸림을 해제하거나 또는 회전제어로프(650)를 당겨 수평지지대 회전모듈(400)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므로 로프의 권취 길이가 매우 짧아 별도의 정역모터를 채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어블록(160)은 상기 소켓랜치(163)를 제어권취롤(162)의 사각돌출부(162a)에 결합하여 제어권취롤(16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어연결로프(165)가 권취되어 승강모듈(200) 또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400)의 작동이 인가하게 되고, 상기 원형걸림핀(164)을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해 제어권취롤(162)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인가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각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과 다수의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의 연결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링크(690)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과 다수의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의 선택적인 연결시 잘못 연결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에도 상기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에 부착된 색상인식부(680)에 대응하는 동일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상기 유선제어부(50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데, 작업자가 지주(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작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연결되는 별도의 조종기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상기 유선제어부(5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유선을 통해 접속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유선을 통한 접속을 위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는 퀵커넥터암컷(171)을 갖는 전기접속부(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퀵커넥터암컷(171)과 결합되는 퀵커넥터숫컷(5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전술한 제어콘넥터(660)를 통해 상기의 개별 모듈들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들로부터 작동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게 됨과 함께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작동스위치들과 조절레버, 표시등, 알람부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램프(40)의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작동장치들이 블록화되어 구비됨과 함께 지주(10) 자체에 장착되어 있는 방식이 아니라 지주(10)의 점검구(11)에 유지보수 작업시 고정되고 작업 후 탈거되는 휴대 방식이기 때문에 하나의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만으로 제한없이 광범위한 지역의 많은 등기구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그에 따라 각 지주(10)마다 별도로 유지보수를 위한 작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보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지주 점검구 내측의 작동로프들 및 제어콘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각 블록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b/c는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가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되는 단면 상태를 도 3의 "A-A" 선에 따라 나타내는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퀵링크를 통해 작동로프들과 연결로프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11 : 점검구
20 : 수평지지대 30 : 램프하우징
40 : 램프 50 : 원형튜브
60 : 전원공급선
100 :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110 : 작업틀
111 : 개방구 120 : 고정장치
121 : 하부 지지브라켓 122 : 고정슬라이더
123 : 고정핸들 124 : 슬라이딩 받침판
125 : 슬라이딩 덮개판 130 : 승강블록
131 : 승강정역모터 132 : 승강차동기어
133 : 승강종동기어 134 : 승강권취롤
135 : 승강연결로프 136 : 승강연결로프 고정볼트
140 : 견인블록 141 : 견인정역모터
142 : 견인권취롤 143 : 견인연결로프
144 : 견인연결로프 고정볼트 150 : 회전블록
151 : 회전정역모터 152 : 회전차동기어
153 : 회전감김롤 154 : 1차종동기어
155 : 2차종동기어 156 : 풀림종동기어
157 : 회전풀림롤 158 : 회전연결로프
159 : 회전연결로프 고정볼트 160 : 제어블록
161 : 제어권취롤 회전축 162 : 제어권취롤
162a : 사각돌출부 163 : 소켓렌치
164 : 원형걸림핀 165 : 제어연결로프
166 : 제어블록 덮개판 170 : 전기접속부
171 : 퀵컨넥터 암컷
200 : 승강모듈 300 : 견인모듈
400 : 회전모듈 500 : 제어부
510 : 퀵커넥터 수컷 610 : 승강로프
620 : 승강제어로프 630 : 견인로프
640 : 회전로프 650 : 회전제어로프
660 : 제어콘넥터 670 : 보호튜브
680 : 색상인식부 690 : 퀵링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4)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와,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 견인, 회전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치된 작동모듈과, 상기 작동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작동로프를 포함하는 옥외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과, 상기 작동로프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로프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틀에 고정 설치된 권취작동블럭;과, 상기 권취작동블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권취작동블럭을 원격 제어하는 유선제어부;를 포함하여,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연결로프를 작동로프와 연결시킨 후 유선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권취작동블럭을 권취 작동시키고, 유지보수작업의 완료후에는 상기 연결로프와 작동로프를 분리시킴과 함께 상기 점검구로부터 완전히 탈거가 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틀의 중앙에는 개방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 상기 권취작동블럭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권취작동블럭의 연결로프가 상기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작동로프와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작동블럭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정역모터와, 상기 승강정역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차동기어와, 상기 승강차동기어에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승강종동기어와, 상기 승강종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승강권취롤, 및 상기 승강권취롤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작동로프에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승강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작동블럭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견인정역모터와, 상기 견인정역모터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정역모터에 연동 회전하는 견인권취롤, 및 상기 견인권취롤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작동로프에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견인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작동블럭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정역모터와, 상기 회전정역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차동기어와,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회전감김롤과,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1종동기어에 맞물리는 제2종동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와 맞물리어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풀림종동기어와, 상기 풀림종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회전풀림롤, 및 상기 회전감김롤과 회전풀림롤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작동로프에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회전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작동블럭은,
    제어권취롤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제어블록 덮개판을 관통하는 사각돌출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제어연결로프가 감겨지는 제어권취롤과, 상기 제어권취롤의 사각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권취롤을 수동 회전시키는 소켓랜치, 및 상기 제어블록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어권취롤의 회전을 구속하는 원형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ㄷ자형의 걸림턱이 상기 작업틀의 개방구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의 하단에 걸림되는 하부 지지브라켓과, 상기 작업틀의 개방구 상부에 고정된 슬라이딩 받침판과 슬라이딩 덮개판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섭동되면서 상기 점검구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덮개판을 관통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슬라이더를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80086128A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KR10098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28A KR100989510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PCT/KR2009/004696 WO2010027151A2 (ko) 2008-09-02 2009-08-24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28A KR100989510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618A Division KR100989152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견인장치
KR1020090078629A Division KR100989154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KR1020090078609A Division KR100989151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79A KR20100027279A (ko) 2010-03-11
KR100989510B1 true KR100989510B1 (ko) 2010-10-22

Family

ID=4179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128A KR100989510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9510B1 (ko)
WO (1) WO20100271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339B1 (ko) * 2015-01-30 2015-09-18 제이에이치네트웍스(주) 지주 내장형 상하 이동식 시설물 관제장치
KR101720486B1 (ko) * 2015-09-21 2017-03-28 김문성 현수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CN105674193A (zh) * 2016-02-03 2016-06-15 徐梁 一种易安装路灯装置
WO2018235160A1 (ja) * 2017-06-20 2018-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レーダ装置及び周波数変調制御方法
CN108194889B (zh) * 2018-03-02 2024-01-30 河南海宇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应急用led警示灯
CN109210455B (zh) * 2018-09-17 2020-11-24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照明灯具
CN110296349B (zh) * 2019-07-15 2024-04-30 宁波英海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三面出光的led壁灯
CN112146022B (zh) * 2020-09-27 2022-12-13 浙江环艺电力照明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更换灯带的路灯及自动换灯方法
CN113466116B (zh) * 2021-06-25 2023-01-31 中核四达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碳钢防腐性能的装置
CN113970081B (zh) * 2021-10-09 2024-05-24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照明云端管理系统的智慧led路灯
CN114267190A (zh) * 2021-12-23 2022-04-01 无锡安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led交通信号灯
CN114811505B (zh) * 2022-04-24 2023-09-08 江苏中升照明有限公司 一种光伏太阳能路灯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CN118033526B (zh) * 2024-03-28 2024-07-16 苏州大弘兴半导体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高次谐波的缺陷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48Y1 (ko) 2003-02-04 2003-05-12 안복근 등기구 승강구조가 구비된 가로등
JP2006040841A (ja)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20080013086A (ko) * 2006-08-07 2008-02-13 최성돈 전등부 분리식 가로등의 구동권취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717A (en) * 1977-07-25 1982-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Luminaire lowering device with centering means
KR100351266B1 (ko) * 2000-04-28 2002-09-12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0345342Y1 (ko) * 2003-12-27 2004-03-18 신정훈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JP4279709B2 (ja) * 2004-03-03 2009-06-1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昇降式照明装置
KR100741525B1 (ko) * 2005-07-07 2007-07-23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448Y1 (ko) 2003-02-04 2003-05-12 안복근 등기구 승강구조가 구비된 가로등
JP2006040841A (ja)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20080013086A (ko) * 2006-08-07 2008-02-13 최성돈 전등부 분리식 가로등의 구동권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151A3 (ko) 2010-06-24
WO2010027151A2 (ko) 2010-03-11
KR20100027279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10B1 (ko)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KR101498645B1 (ko)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20070112594A (ko)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102237831B1 (ko) 도로의 차선안내장치
CN105162036A (zh) 电力维护平台
KR102038098B1 (ko) 차단기 인출장치
KR20110006018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CN206705557U (zh) 隔离刀闸吊装工具
KR20120095190A (ko)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101001687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216129274U (zh) 一种汽车检修装置
JP200718228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盤点検台装置
KR100965825B1 (ko)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2155830B1 (ko) 정보통신 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주
KR100830273B1 (ko) 태양광 집광판 승강장치
KR100534535B1 (ko) 교통 및 철도 현수용 신호등
KR200345342Y1 (ko)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KR200268448Y1 (ko) 지하구조물 점검용사다리
CN216649070U (zh) 一种机电安装用电缆架设支撑设备
CN203760906U (zh) 起吊装置
KR200347821Y1 (ko) 가로등의 파이프 굽힘장치
KR20100077072A (ko) 가로등 파이프 굽힘 및 램프 승하강장치
JP3056009B2 (ja) ボイラ炉内の足場ステージの吊り上げ装置とその吊り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