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27151A2 -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27151A2
WO2010027151A2 PCT/KR2009/004696 KR2009004696W WO2010027151A2 WO 2010027151 A2 WO2010027151 A2 WO 2010027151A2 KR 2009004696 W KR2009004696 W KR 2009004696W WO 2010027151 A2 WO2010027151 A2 WO 201002715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pe
rotation
lamp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46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27151A3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Lim Yuseop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im Yuseop filed Critical Lim Yuseop
Publication of WO201002715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7151A2/ko
Publication of WO201002715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715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램프하우징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와,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에서 지주의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로프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와,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승강로프, 착탈제어로프, 견인로프,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 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본 발명은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된 옥외 등기구의 램프를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지 않고도 작업자 일인이 지상에서 편리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 등기구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와, 지주 상단 부분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도로나 인도를 비쳐주는 램프가 설치된 램프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소모성 부품인 램프의 교체는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으나 도로통제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교통정체를 유발시키고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곳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들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옥외 등기구의 정비 작업을 지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기존 사용 중인 지주의 철거 후 신규 설치 지주에만 적용 가능한 방식이므로 막대한 초기 설치비용이 요구된다.
둘째, 지주 내부에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을 고정 설치하여 로프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라 단일 지주에 설치된 복수의 등기구에 적용이 어렵고 자체의 유지보수를 별도로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사용중인 지주 및 등기구를 재활용하여 초기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감소시키고 단일 지주에 복수의 등기구들이 적용된 경우에도 각각의 등기구들에 모두 적용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와,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로프와,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견인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와,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와, 상기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로프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와,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승강로프, 착탈제어로프, 견인로프,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사용 중인 지주, 수평지지대 및 램프하우징의 신규 교체가 아닌 이들 구성품들의 간단한 개조와 승강, 견인 및 회전기능을 수행하는 독립 모듈부들을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기능별 모듈분할 적용방식을 지향함으로 인해 초기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옥외 등기구용 구성품들의 승강, 견인 및 회전을 위한 권취기, 동력발생원 및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품들로 이루어진 기능별 모듈들이 점검구 내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지 않고도 승강, 견인 및 회전을 구현가능하게 함으로 인해 단일 지주에 승강, 견인 및 회전을 구현하는 독립적인 모듈들의 동시 적용이 가능하고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모듈들의 설치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권취기 및 동력발생원의 유지보수 문제점도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지주 점검구 내측의 작동로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휴대용 착탈식작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각 블록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도 8, 도 9는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가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되는 단면 상태를 도 3의 “A-A”선에 따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퀵링크를 통해 작동로프들과 연결로프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가 설치된 상태의 램프하우징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따른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 도 24, 도 25, 도 26, 도 27은 상기 회전지지판이 회동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슬라이딩 웨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 도 30, 도 31은 상기 슬라이딩 웨지의 작동에 따라 램프하우징이 분리 하강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32, 도 33, 도 34는 램프하우징의 상승 복귀시 개방구 회동덮개판이 개방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의 설치 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도 36의 “B”와 “C”부분의 상세도,
도 3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 도 41, 도 42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의 견인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43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의 설치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력전달부와 회전모듈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도 53는 도 43의 각 지시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4 및 도 55는 회전구속 래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회전각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7은 도 56의 부분 확대도,
도 58 및 도 59는 조심베어링부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의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1는 도 43의 “L-L”선에 따른 로프간섭보호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주 11: 점검구
20: 수평지지대 30: 램프하우징
40: 램프 50: 원형튜브
60: 전원공급선
100: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110: 작업틀
111: 개방구 120: 고정장치
121: 하부 지지브라켓 122: 고정슬라이더
123: 고정핸들 124: 슬라이딩 받침판
125: 슬라이딩 덮개판 130: 승강블록
131: 승강정역모터 132: 승강차동기어
133: 승강종동기어 134: 승강권취롤
135: 승강연결로프 136: 승강연결로프 고정볼트
140: 견인블록 141: 견인정역모터
142: 견인권취롤 143: 견인연결로프
144: 견인연결로프 고정볼트
150: 회전블록 151: 회전정역모터
152: 회전차동기어 153: 회전감김롤
154: 1차종동기어 155: 2차종동기어
156: 풀림종동기어 157: 회전풀림롤
158: 회전연결로프 159: 회전연결로프 고정볼트
160: 제어블록 161: 제어권취롤 회전축
162: 제어권취롤 162a: 사각돌출부
163: 소켓랜치 164: 원형걸림핀
165: 제어연결로프 166: 제어블록 덮개판
170: 전기접속부 171: 퀵커넥터 암컷
200: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210: 반원형지지대
211: 회전지지판 회동개방구 220: 회전지지판
221: 회전지지판 회전축 222: 섭동유도경사면
223: 돌출걸림부 224: 슬라이딩웨지 누름핀 섭동구
225: 램프하우징 걸림구 226: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
227: 수컷소켓 체결구 230: 상부덮개 섭동판
231: 섭동판 인장스프링 232: 돌출경사면
233: 섭동판 리미트스위치 240: 수컷소켓
241: 수컷소켓전극 242: 전극결합 검출단자
250: 암컷소켓 251: 원형공간부
252: 회전지지판 삽입홈부 253: 암컷소켓전극
254: 전극결합 검출단자 260: 구속 솔레노이드
261: 솔레노이드 섭동웨지 262: 솔레노이드 마운팅블록
270: 슬라이딩웨지 271: 슬라이딩웨지 누름핀
272: 슬라이딩웨지 삽입부 273: 슬라이딩웨지 경사부
274: 슬라이딩웨지 압축스프링 280: 승강로프 지지롤러
291: 원형튜브 삽입구 292: 램프하우징 개방구
293: 개방구 회동덮개판 294: 힌지고정부
295: 비틀림스프링 296: 열림유도절곡부
3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310: 가이드레일
311: 전방고정구 312: 고정구브라켓
320: 섭동이동구 330: 램프하우징 연결로프
331: 원형고리 340: 방향전환구
341: 전환구브라켓 342: 방향전환 도르레
343: 견인로프 지지롤러 350: 슬라이더
351: 로프관통구 352: 동조용와이어
360: 견인로프 지지블록 361: 견인로프 경로형성부
4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 401: 체인
402: 체인스프로킷 403: 회전모듈 웜
404: 회전모듈 웜기어 405: 제1구동축
406: 제1구동기어 407: 제1종동기어
408: 제2구동축 409: 제2구동기어
410: 제2종동기어 411: 제3구동축
412: 제3구동기어 421: 제1지지부
422: 제2지지부 423: 제3지지부
424: 회전모듈 전산볼트 425: 웜지지대
426: 견인로프 방향전환부 427: 웜기어 하부지지대
428: “ㄷ”자형 개방부 430: 회전구속래치
431: 구속기어부 432: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
433: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 434: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
440: 회동축 441: 회동축종동기어
442: 회동축 이탈방지링 450: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460: 회전각도 감지부 461: 유동전극지지대
462: 유동전극 463: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463a: 고정축관통구 464: 고정전극지지대
465: 고정전극 466: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
466a: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 470: 조심베어링부
471: 조심베어링지지부 472: 등각개방구
473: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 474: 유동지지대 볼베어링
475: 볼베어링 회전축 476: 밀착경사면
477: 반달개방구 480: 로프간섭보호부
481: 로프관통홈 500: 제어부
510: 퀵커넥터 수컷 610: 승강로프
620: 착탈제어로프 630: 견인로프
640: 회전로프 650: 회전제어로프
660: 제어콘넥터 670: 보호튜브
671: 보호튜브콘넥터 680: 색상인식부
690: 퀵링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11)가 형성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40)를 구비한 램프하우징(30)이 결합된 수평지지대(20)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40)의 교체, 세척, 정비 등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램프하우징(30)을 선택적으로 승강, 견인,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램프하우징(3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와, 상기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와,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에서 상기 점검구(11)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작동로프들과, 상기 작동로프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와,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다수의 작동로프들이 배치된 지주(10)의 점검구(1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작동로프들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의 내부와 지주(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1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승강로프(610) 및 착탈제어로프(620)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의 내부와 지주(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1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견인로프(630)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에서 상기 지주(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점검구(1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로프(640) 및 회전제어로프(650)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660은 제어콘넥터로서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에 구비된 후술할 리미트스위츠들과 전기 접속되면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의 전기접속부(17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한 쌍의 회전로프(640), 회전제어로프(650)는 모두 무부하 상태로 점검구(11)의 내측에 위치하며, 후술할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권취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한 쌍의 회전로프(640), 회전제어로프(650)는 간섭 및 손상 방지를 위하여 보호튜브콘넥터(671)에 고정 지지되는 보호튜브(67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 로프들의 기능이 명확하게 구분 인식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68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는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지주(10)의 점검구(11)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다수의 작동로프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권취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유지보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점검구(11)로부터 탈거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작업틀(110)과, 상기 작업틀(110)을 상기 점검구(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120)와, 상기 작업틀(110)에 각각 배치되는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 제어블록(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틀(11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 점검구(11)와 통하게 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1)의 주변으로 전면에 상기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 제어블록(160)이 고정 배치된다.
상기 개방구(111)는 상기 점검구(11) 내측에 위치된 다수의 작동로프들과 이를 권취시키기 위한 상기 블록들(130, 140, 150, 160)을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고정장치(12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고정장치(120)는 점검구(11)의 크기, 형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지주(10) 점검구(11)에 상기 작업틀(110)을 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장치(120)는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 하부에 자형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1)의 하단에 걸림되는 하부 지지브라켓(121)과, 상기 작업틀(11)의 개방구(111) 상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받침판(124) 및 슬라이딩 덮개판(125)과, 일정 길이의 환봉을 U자 형태로 1차 구부림 성형한 후 중간 부위를 다시 구부림 성형하여 자 형태의 걸림턱이 일단에 만들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반대측 원주면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받침판(124) 및 슬라이딩 덮개판(125)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섭동되면서 상기 점검구(11)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슬라이더(122)와, 상기 슬라이딩 덮개판(125)을 관통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핸들(123)로 이루어진다.
도 7, 도 8, 도 9는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가 지주(10)의 점검구(11)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 3의 A-A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한 구성의 고정장치(120)에 의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가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상기 점검구(11)의 하부 모서리에 고정장치(120)의 하부 지지브라켓(121)을 먼저 걸림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핸들(123)을 회전시켜 풀어준다.
이렇게 고정핸들(123)이 풀어지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124)과 슬라이딩 덮개판(125)의 밀착력이 해제되면서 그 사이의 고정슬라이더(12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고정슬라이더(122)의 상하 섭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상승 이동시켜 점검구(11)의 상단 모서리에 밀착시킨 후, 다른 손으로 고정핸들(123)을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슬라이딩 덮개판(125)이 슬라이딩 받침판(124)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슬라이더(122)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대로 작업자가 고정핸들(123)을 풀어준 후 고정슬라이더(122)를 하방으로 내려주면 점검구(11)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손쉽게 점검구(11)에서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슬라이더(122)의 섭동과 고정핸들(123)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크기, 형상이 다양한 지주들의 점검구(11)에 상하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승강블록(13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승강블록(130)은 상기 승강로프(610)에 연결되어 승강로프(61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블록(13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정역모터(131) 및 상기 승강정역모터(131)의 하측에 상기 승강정역모터(131)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승강정역모터(131)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차동기어(132)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종동기어(133)가 상기 승강차동기어(132)에 맞물림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의 상측에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종동기어(133)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원통형의 승강권취롤(1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권취롤(134)에는 승강연결로프(135)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일단이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승강연결로프 고정볼트(136)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승강로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하강과정동안 점검구(11) 내측으로 풀려 들어가게 되고, 상승과정 동안에는 다시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상기 승강로프(61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승강연결로프(135)는 지주(10) 상단의 램프하우징(30)을 지면 부분까지 승강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상기 승강권취롤(134)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끝단부에는 승강로프(610)와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3는 상기 견인블록(14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견인블록(140)은 상기 견인로프(630)에 연결되어 견인로프(63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견인블록(14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견인정역모터(141)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견인정역모터(141)와 동일축으로 연동 회전하는 원통형의 견인권취롤(142)이 상기 견인정역모터(141)의 외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권취롤(142)에는 견인연결로프(143)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일단이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견인연결로프 고정볼트(144)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견인로프(630)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는 과정 동안 상기 견인권취롤(142)에 감겨지고, 원위치되는 동안에는 견인권취롤(142)에 감긴 부분이 다시 풀리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상기 견인로프(62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견인연결로프(143)는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승강연결로프(135)에 비해 그 길이가 짧은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연결로프(143)의 끝단부에는 상기 견인로프(630)와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는 상기 회전블록(15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회전블록(150)은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로프(64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블록(150)은 끝단부에 기어감속기가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정역모터(151)가 상기 작업틀(110)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차동기어와(152), 및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원통형의 회전감김롤(15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에는 제1종동기어(154)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종동기어(154)에는 제2종동기어(155)가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종동기어(155)에는 풀림종동기어(156)가 맞물리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풀림종동기어(156)는 상기 회전정역모터(151)의 회전동력에 따라 상기 회전차동기어(15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풀림종동기어(156)에는 상기 풀림종동기어(156)에 연동 회전하도록 원통형의 회전풀림롤(157)이 동일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 각각에는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가 그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는 각각 그 일단이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에 회전연결로프 고정볼트(159)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그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상호 대칭적으로 상기 회전감김롤(153)과 회전풀림롤(157)에 각각 감겨진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40)을 회전시키는 동안 일측 회전연결로프(158)은 감겨지게 됨과 함께 타측 회전연결로프(158)는 풀려지게 되며,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서 분리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에도 한 쌍의 회전로프(640)과 동일한 색의 색상인식부(68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및 도 17은 상기 제어블록(16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제어블록(160)은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를 권취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블록(160)은 제어권취롤 회전축(161)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는 사각돌출부(162a)가 형성되어 상기 작업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어권취롤(162)과, 상기 제어권취롤(162)의 사각돌출부(162a)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권취롤(162)을 수동 회전시키는 소켓랜치(163), 및 상기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어권취롤(162)의 회전을 구속하는 원형걸림핀(164)과, 상기 제어권취롤(162)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는 제어연결로프(1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연결로프(165)는 상기 제어권취롤(162)에 제어연결로프 고정볼트(167)에 의해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타단은 상기 작업틀(110)의 개방구(111)를 향하도록 제어권취롤(162)에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상기 개방구(111)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11) 내측의 상기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회전제어로프(6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유지보수작업의 완료 후에는 착탈제어로프(620) 또는 회전제어로프(650)에서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제어로프(620)는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작동을 인가 또는 억제하고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는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작동을 인가 또는 억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연결로프(165)는 램프하우징(30)의 승강을 위해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에 연결되며, 수평지지대(2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어블록(160)은 정역모터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하는 상술한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과 달리 수동으로 작동되는데, 이는 제어블록(160)이 착탈제어로프(620)를 당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걸림을 해제하거나 또는 회전제어로프(650)를 당겨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므로 로프의 권취 길이가 매우 짧아 별도의 정역모터를 채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어블록(160)은 상기 소켓랜치(163)를 제어권취롤(162)의 사각돌출부(162a)에 결합하여 제어권취롤(16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어연결로프(165)가 권취되어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또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작동이 인가하게 되고, 상기 원형걸림핀(164)을 제어블록 덮개판(166)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해 제어권취롤(162)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인가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각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과 다수의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의 연결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링크(690)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과 다수의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의 선택적인 연결시 잘못 연결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로프들(135, 143, 158, 165)에도 상기 작동로프들(610, 620, 630, 640, 650)에 부착된 색상인식부(680)에 대응하는 동일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68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 자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작업자가 지주(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작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연결되는 별도의 조종기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상기 제어부(5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유선을 통해 접속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유선을 통한 접속을 위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는 퀵커넥터암컷(171)을 갖는 전기접속부(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퀵커넥터암컷(171)과 결합되는 퀵커넥터숫컷(5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전술한 제어콘넥터(660)를 통해 후술할 리미트스위치들로부터 작동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게 됨과 함께 승강블록(130), 견인블록(140), 회전블록(1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작동스위치들과 조절레버, 표시등, 알람부저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등, 알람부저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는 램프(40)의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작동장치들이 블록화되어 구비됨과 함께 지주(10) 자체에 장착되어 있는 방식이 아니라 지주(10)의 점검구(11)에 유지보수 작업시 고정되고 작업 후 탈거되는 휴대 방식이기 때문에 하나의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만으로 제한없이 많은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그에 따라 각 지주(10)마다 별도로 유지보수를 위한 작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가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이 되는 바, 이하에서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방향에 대해 설명할 때 램프하우징(30) 쪽을 전방(앞)으로 하고 지주중심 쪽을 후방(뒤)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회전지지판(220)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 도 24, 도 25, 도 26, 도 27은 회전지지판(220)의 회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슬라이딩 웨지(270) 및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 도 30, 도 31는 암컷소켓(250)의 분리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32, 도 33, 도 34는 회동복귀시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의 개방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는 상기 수평지지대(20)의 일단 원형튜브(50)에 내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210)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2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지지판(220)과,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210)의 내부에 섭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에 연결되어 착탈제어로프(620)의 권취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후단부 상면을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상부덮개 섭동판(230)과,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전단측에 고정되는 수컷소켓(240)과, 상기 승강로프(610)에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램프하우징(30)에 고정되며, 상기 수컷소켓(240)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지지판(220)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완료시 상기 회전지지판(220)으로부터 분리되는 암컷소켓(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210)는 원통 형상을 반으로 분할한 것으로 구성품들의 지지 및 작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고정볼트(201)와 램프하우징 착탈모듈고정볼트 스페이서(202)를 사용하여 상기 원형튜브(50) 내측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반원형 지지대(21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이 회동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지지판 회동개방구(211)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후방 끝단 내측에는 반원형 지지대 후방덮개(212)가 조립된다.
상기 회전지지판(220)은 회동력 증대를 위하여 판상의 형태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는 중심에서 뒤쪽으로 편심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아래쪽으로 편심되어 회전지지판 회전축(22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후단부 하면에는 섭동유도 경사면(222)이 형성되고, 상기 섭동유도 경사면(222)의 위쪽에 돌출걸림부(223)가 수평하게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판 회전축(221)의 전후방향 앞쪽에는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 섭동구(224)가 형성되고 전단측에는 램프하우징 걸림구(22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 섭동구(224)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 사이에는 수컷소켓 체결구(227)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하측에는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닫힌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이 시작되면 개방되면서 회동완료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과 함께 회전지지판(220)이 회동 후 복귀되면 눌려 닫히면서 회동복귀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230)은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후단부 상면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에 연결되어 상기 착탈제어로프(620)가 당겨짐에 따라 후방 섭동되면서 상기 구속을 해제시키게 되며, 섭동판 인장스프링(231)이 구비되어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의 당김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23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섭동유도 경사면(222)과 대응 작용하여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복귀시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섭동되도록 유도하는 돌출경사면(2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덮개 섭동판(230)의 후방에는 섭동판 리미트스위치(233)가 설치되며, 상기 섭동판 리미트스위치(233)는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230)이 착탈제어로프(620)의 당겨짐에 따라 후방 섭동될 때 눌리면서 닫히고 그에 따라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이 인가되었다는 회동인가신호를 상기 제어콘넥터(660)를 통해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230)의 회동인가 후 2차적으로 회동을 구속 인가하는 구속 솔레노이드(26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돌출걸림부(223)을 구속하도록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230) 하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마운팅블록(262)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돌출걸림부(223)를 구속하고 있던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를 후방 이동시켜 구속을 해제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가 원위치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는 상기 착탈제어로프(620)의 당겨짐에 따른 상부덮개 섭동판(230)의 1차 회동인가에 뒤따르는 2차 회동인가이므로 상기 섭동판 리미트스위치(233)의 회동인가신호가 제어부(500)에 전송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500)의 작동스위치가 온(On)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는 상기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로부터 회동완료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50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됨과 함께 회동복귀신호가 전송된 경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컷소켓(240)은 분할된 반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양측면에 상기 수컷소켓 체결구(227)를 통해 고정되며, 그 전단면에는 상기 램프(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60)이 연결된 수컷소켓전극(241)이 구비된다.
상기 암컷소켓(250)은 상기 수컷소켓(240)과 동일한 축선상을 유지하며 수컷소켓(240)에 외삽되도록 후방측으로 원형공간부(251)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공간부(251)의 전방으로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회전지지판 삽입홈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공간부(251)에는 삽입된 수컷소켓(240)의 상기 수컷소켓전극(241)과 전기적 접속이 되어 통전됨으로써 상기 램프(40)에 전원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암컷소켓전극(253)이 구비되며, 암컷소켓전극(253)은 하강을 위해 상기 암컷소켓(250)이 수컷소켓(240)으로부터 분리되면 마찬가지로 상기 수컷소켓전극(241)로부터 분리되고 다시 상승하여 수컷소켓(240)에 결합되면 역시 수컷소켓전극(241)과 접속되어 램프(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수컷소켓전극(241)과 암컷소켓전극(253)은 분리 또는 접속의 용이성을 위해 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컷소켓전극(241)과 암컷소켓전극(253)에는 수컷소켓전극(241)과 암컷소켓전극(253)의 전기적 접속 개폐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접속신호를 전송하는 전극결합 검출단자(242, 25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판 삽입홈부(25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램프하우징 걸림구(225)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웨지(270)가 섭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 섭동구(224)에는 회전지지판(22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지지판 삽입홈부(252)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웨지(270)에 맞닿는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이 섭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웨지(270)는 상기 램프하우징 걸림구(225)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와,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과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에 섭동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웨지(270)가 섭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로부터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 웨지 경사부(273)와,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의 반대쪽에 삽입 설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웨지 압축스프링(2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웨지(270)는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에 삽입됨으로써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에 결합되도록 작용하고,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완료시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이 한 쌍의 반원형지지대(210)의 하단부에 눌려 하향 섭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웨지 경사부(273)가 눌리게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에서 분리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상기 암컷소켓(250)에는 상기 승강로프(610)가 연결되어 램프하우징(30)과 결합된 상기 암컷소켓(250)의 승강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승강로프(610)가 상기 점검구(11)로부터 상기 수평지지대(20)를 경유하여 상기 암컷소켓(2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반원형지지대(210) 및 수컷소켓(24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승강로프 경로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전원공급선(60)의 경로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승강을 위해서는 상기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에 결합되어 회동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회동에 따라 상기 승강로프(610)가 원활하게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로프 지지롤러(280)가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승강로프 지지롤러(280)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후단측과 이에 인접하여 한 쌍의 반원형지지대(210)의 내부 하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암컷소켓(250)에 결합되는 램프하우징(30)에는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시 상기 원형튜브(50)와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원형튜브(50)가 삽입되는 원형튜브 삽입구(291)의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원형튜브 삽입구(291)의 전방쪽으로 자 형태의 램프하우징 개방구(29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램프하우징 개방구(292)에는 이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이 결합되는데, 상기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하우징 개방구(292)의 양 측면에 힌지고정부(294)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고정부(294)에는 상기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을 탄성적으로 닫히게 하는 비틀림스프링(295)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의 후단부에는 상호 대칭적으로 절곡된 열림유도절곡부(29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은 하강을 위한 회전지지판(220)의 하향 회동시 원형튜브(50)에 의해 개방이 되고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비틀림스프링(295)의 복원력에 의해 닫혀지게 되는 바, 다시 상승하여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이 원형튜브(50)에 밀착될 때 원형튜브(50)의 외주면을 따라 자동적으로 개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작동에 대해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3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전지지판(220)은 상부덮개 섭동판(230)과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에 의해 모두 구속되어 회전이 억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탈제어로프(620)가 당겨지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덮개 섭동판(230)이 후방 섭동되면서 1차적으로 회전지지판(220)의 후단 상부면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며, 섭동판 리미트스위치(233)에서는 회동인가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회동인가신호의 전송에 따라 제어부(500)의 작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에 전원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회전지지판(220)의 돌출걸림부(223)를 구속하고 있던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가 후방 섭동되면서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지지판(22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이렇게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에 의한 구속까지 해제되면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지지판(220)은 전단측에 결합된 소켓류(240, 250), 램프하우징(30) 등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향 회동을 시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램프하우징(30)에 형성된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이 원형튜브(50)에 의해 개방되고 또한 회전지지판(220)에 눌려 닫혀져 있던 상기 회동완료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은 개방되면서 회동완료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회동완료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로부터 회동완료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구속 솔레노이드(260)에 인가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열화를 방지한다.
상기 회전지지판(220)의 회동과정에서 승강로프(610)는 한 쌍의 승강로프 지지롤러(280)에 의해 원활하게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안내된다.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전지지판(220)이 완전 회동하여 램프하우징(30)이 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한 상태가 되면, 회전지지판(22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이 한 쌍의 반원형지지대(210)에 눌려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 섭동구(224)를 따라 하향 섭동된다.(도 29, 도 30, 도 31 참조)
상기 하향 섭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271)에 상기 슬라이딩 웨지 경사부(273)가 눌리면서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램프하우징 걸림구(225)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암컷소켓(250)은 상기 회전지지판(220)으로부터 분리가 되며, 그에 따라 접속되어 있던 상기 수컷소켓전극(241)과 암컷소켓전극(253)이 분리되면서 램프(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함께 전극결합 검출단자(242, 254)가 접속 단락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되고, 분리된 후 상기 암컷소켓(250)은 상기 승강로프(610)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을 향해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강 후 상승하는 작동은 상기 하강 과정과 반대의 과정으로서 하강되었던 암컷소켓(250)이 승강로프(610)의 당겨짐에 따라 상승하면서 회전지지판(220)에 근접한 거리에 이르게 되면 도 32, 도 33, 도 3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램프하우징(30)의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에 형성된 열림유도절곡부(296)가 원형튜브(50)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승강로프(610)가 지속적으로 당겨짐에 따른 상승력으로 열림유도절곡부(296)가 원형튜브(50)의 외주면을 따라 조금씩 밀리면서 개방구 회동덮개판(293)이 회동을 하면서 개방이 된다.
그리고 암컷소켓(250)의 원형공간부(251)로 회전지지판(220)의 전단부와 수컷소켓(2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삽입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웨지 압축스프링(274)의 복원력에 의해 램프하우징 걸림구(225)에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272)가 다시 삽입되면서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에 결합이 된다.
이렇게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에 결합됨에 따라 다시 상기 수컷소켓전극(241)과 암컷소켓전극(253)이 전기접속을 하게 되어 램프(40)의 전원공급이 인가되고 전극결합 검출단자(242, 254)가 전기접속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기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260)에 자동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솔레노이드 섭동웨지(261)를 후방 섭동시킴으로써 회동되었던 회전지지판(2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암컷소켓(250)이 결합된 후에는 승강로프(610)의 당겨짐에 따라 회전지지판(220)이 상향 회동을 하게 되며, 반원형지지대(210)의 회전지지판 회동개방구(211)를 통하여 상부덮개 섭동판(230)과 맞닿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판(220)이 상부덮개 섭동판(230)과 맞닿음과 함께 계속 승강로프(610)가 당겨지면 회전지지판(220)의 섭동유도경사면(222)이 섭동판 인장스프링(231)을 신장시킴과 함께 상부덮개 섭동판(230)을 후방으로 섭동시키면서 계속 회동을 진행하게 되고, 회동이 완료되어 회전지지판(22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섭동판 인장스프링(231)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덮개 섭동판(230)이 다시 원위치되면서 회동복귀된 상기 회전지지판(220)을 다시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판(220)이 원위치로 회동복귀됨과 동시에 회동완료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는 다시 닫히면서 회동복귀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회동복귀신호에 따라 구속 솔레노이드(260)로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지지판(220)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작동 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도 35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관련부위와 방향전환구(34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은 슬라이더들(350)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 도 41, 도 42는 견인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10)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섭동이동구(320)와, 상기 섭동이동구의 하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램프하우징에 연결되는 램프하우징 연결로프(330)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지주방향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방향전환구(340)와,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섭동이동구(32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더(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수평지지대(20)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수평지지대(20)에 고정구 브라켓(312)으로 고정되는 전방고정구(311)에 전단부가 결합되고 후단부는 수평지지대(2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방향전환구(34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섭동이동구(320)는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외측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면에는 상기 견인로프(630)가 연결된다. 상기 섭동이동구(320)는 연결된 견인로프(630)가 권취됨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지주방향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램프하우징 연결로프(330)는 상기 섭동이동구(320)의 하부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연결된다.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연결될 때 상기 암컷소켓(25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연결되도록 램프하우징 연결로프(330)의 끝단에는 원형고리(3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램프하우징 연결로프(330)는 상기 섭동이동구(320)가 지주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 쪽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향전환구(340)는 상기 섭동이동구(320)에 연결된 상기 견인로프(630)를 방향 전환시켜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향전환구(340)는 전환구 브라켓(341)으로 수평지지대(20)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기 섭동이동구(320)에서 지주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로프(630)를 상기 램프하우징(30) 쪽으로 방향 전환을 시키는 방향전환 도르레(342)가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 도르레(342)의 전단 및 후단에는 견인로프(6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인로프(630)의 경로를 지지해주는 한 쌍의 견인로프 지지롤러(34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방향전환구(340)를 통해 방향 전환된 견인로프(630)는 중공의 가이드레일(3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전방고정구(311)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원형튜브(50)의 내측에 고정된 상기 반원형 지지대(210)의 하단에 설치된 견인로프 지지블록(360)과 상기 반원형 지지대(210)의 분할 면에 형성된 견인로프 경로형성부(361)를 통해 수평지지대(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지주(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11)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슬라이더(350)는 상기 섭동이동구(320)로부터 방향전환구(340)까지 연장된 견인로프(63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섭동이동구(320)의 후단측 가이드레일(310)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섭동이동구(320)에서 상기 방향전환구(340)로 연장되는 상기 견인로프(630)가 통과되도록 각각 로프관통구(351)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슬라이더(350)는 상기 견인로프(630)를 나선형태로 감싸는 동조용 와이어(352)에 의해 각각 상호 연결되며, 첫 번째 위치의 슬라이더(350)는 그 앞의 상기 섭동이동구(620)에 상기 동조용 와이어(352)로 연결된다.
이렇게 섭동이동구(320)와, 슬라이더(350) 상호간이 동조용 와이어(35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섭동이동구(320)가 견인로프(630)의 권취에 의해 지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350)들도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의 작동에 대해 도 40, 도 41, 도 4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의 작동은 상술한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작동을 통해 암컷소켓(250)이 회전지지판(2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때를 전제로 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견인로프(630)를 권취시켜 당겨주면 상기 섭동이동구(320)가 가이드레일(310)을 따라서 지주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섭동이동구(320)에 일단이 고정된 램프하우징 연결로프(330)는 원형고리(331)를 관통하고 있는 승강로프(610)(암컷소켓(250)이 분리되면서 원형고리(331)로부터 하향 이탈되고 원형고리(331)는 암컷소켓(250)에 연결된 승강로프(610)가 관통하게 됨.)를 지주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램프하우징(30)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섭동이동구(320)가 지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조용 와이어(352)로 연결된 슬라이더들(350)도 지주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고, 방향전환구(340)에 근접됨에 따라 점점 그 간격을 좁히면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섭동이동구(320)와 다수의 슬라이더들(350)은 방향전환구(340)쪽의 가이드레일(310)에 집합된다.
그리고 반대의 경우에는 견인로프(630)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로프(610)의 당겨짐에 따라 견인시와는 반대로 원형고리(331)가 상기 승강로프(610)에 의해 견인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섭동이동구(320) 및 다수의 슬라이더들(35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설치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 내지 도 61은 도 43의 각 지시선에 따른 회전동력전달부의 단면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54 및 도 55는 회전구속래치(430)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회전각도 감지부(460)의 분해 사시도, 도 57은 도 56의 확대도, 도 58 및 도 59는 조심베어링부(470)를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조립단면도, 도 61은 로프간섭보호부(48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를 지주(10) 상단 내부에 고정시키는 회전모듈 지지부와,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회전구속 래치(430)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축(440)과, 상기 회동축(440)에 결합되며 수평지지대(20)가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과,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각도 감지부(4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을 회전동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동축(44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최하단에는 체인(401)과 체인스프로킷(402)이 위치된다.
상기 체인(401)은 중간부분이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의 상부를 감싸며 그 양단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에 의해 상기 체인스프로킷(40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방향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에는 회전모듈 웜(403)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모듈 웜(403)에는 회전모듈 웜기어(404)가 맞물려 설치된다.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의 수평방향 회전력은 상기 회전모듈 웜(403)과 이에 맞물리는 회전모듈 웜기어(404)를 통해 수직방향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의 수직방향 회전동력은 다수의 평기어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기어회전부에 의해 상기 회동축(440)까지 전달이 된다.
상기 기어회전부는 세 개의 구동축이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 맞물림을 통해 구동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구동축(405)은 하단에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1구동기어(406)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며, 제2구동축(408)은 하단에 상기 제1구동기어(406)와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407)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2구동기어(409)가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축(405)과 함께 구동되고, 제3구동축(411)은 하단에 상기 제2구동기(409)와 맞물리는 제2종동기어(410)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3구동기어(412)가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축(405) 및 제2구동축(408)과 함께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모듈 지지부에 의해 지주(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는 다수 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지는데, 제1지지부(421)가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지주(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축(405)이 그 일측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421)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측에 제2지지부(421)가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지주(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440)이 그 중앙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421)와 제2지지부(422) 사이에는 제3지지부(423)가 다수 개의 전산볼트(424)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421)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구동축(411)이 그 일측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의 일측에는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전원공급선(60), 제어커넥터(660) 등과 같은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로프전선 경유홈(48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최하단에 위치된 회전모듈 웜(403)을 지지하는 한 쌍의 웜지지대(425)가 상기 제1지지부(421)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웜지지대(425) 하단에는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체인(401)의 이탈 방지를 위한 체인 이탈방지용 자형 개방부(428)가 형성된 웜기어 하부지지대(427)가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1지지부(421)와 상기 제3지지부(423) 사이에서 상기 제3지지부(423)를 지지하는 회전모듈 전산볼트(425) 두 개에 의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대략 반원 형태를 가지며, 그 내측면에는 상기 제1종동기어(407)와 기어 맞물림되는 구속기어부(431)가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관통하는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425)를 따라 원활한 상하 섭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425)에 외삽되는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432)가 각각 구비되며, 그 상부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432)에 외삽되면서 상기 제3지지부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433)과, 상기 제3지지부(423)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4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가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는 상기 회전구속래치(430)의 상면 중앙에서 상기 제3지지부(423)를 관통하도록 상승한 후 제3지지부(423)의 상면에 형성된 방향전환부(426)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하향됨으로써 상기 점검구(11)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가 당겨짐에 따라 제3지지부(423) 쪽으로 상승하면서 구속기어부(431)가 제1종동기어(407)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속기어부(431)와 제1종동기어(407)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인가되는 것이며, 이 때 상승된 회전구속래치(430)에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434)가 눌려지면서 맞물림 해제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상기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4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다시 구속기어부(431)가 제1종동기어(407)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440)은 상기 제3구동기어(421)와 맞물리는 회동축종동기어(441)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지지부(422)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에 결합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축(400)은 축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단과 하단의 원주면에 각각 링삽입홈(442a)이 형성되며, 상기 링삽입홈(442a) 각각에는 회동축 이탈방지링(442)이 삽입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 이탈방지링(442)은 E자 형상의 E-링(E-ring)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외삽된 수평지지대(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 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20)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동축(44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20)는 지주(10) 상단에 외삽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회전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는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함으로써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과 함께 회전되는 유동전극지지대(461)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의 상면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재질의 상면에는 유동전극(462)들이 호의 형태를 이루면서 중심으로부터 반경을 달리하여 다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에는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와 설정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46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상 작업자의 상기 제어부(500) 조작 실수로 인한 상기 수평지지대(20)의 과다 회전에 따른 옥외 전선 및 가로수와 같은 주변 장애물들과의 접촉을 사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초기 설치시 설치 작업자가 주변 여건에 적합하도록 상기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를 수평지지대(20)의 좌우 회전허용 범위에 해당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466)에 간단히 삽입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에는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이 그 중심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동축(440), 회전지지대 연결블럭(450), 유동전극지지대(461)가 모두 연동 회전하는 과정에서도 전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축으로서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기준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은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 중 상기 제3지지부(423)의 중심에 그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4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관통구(463a)를 경유하여 상단이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의 중심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의 상단에는 고정전극지지대(464)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전극지지대(464)의 일측에는 고정전극(46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는 상기 수평지지대(2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유동전극(462)들과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회전과 관계없이 위치가 고정된 고정전극(465) 상호 간의 접점 개폐에 따른 회전각도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90은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를 덮어주는 수평지지대 상부덮개(490)이다.
한편, 상기 회동축(440)에는 상기 회동축(44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축(440)의 중심을 상기 지주(1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조심베어링부(4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심베어링부(470)는 상기 회동축(440)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동축(440)과 함께 회전되며 상부면에 120도 간격으로 세 개의 등각개방구(472)가 형성된 조심베어링 지지부(471)와, 상기 조심베어링 지지부(471)의 각각의 등각개방구(472)에 조립되며 일단은 지주(10)의 내주면을 향하고 타단은 회동축(440)의 중심을 향하는 세 개의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와, 상기 각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의 지주(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일단에 유동지지대 볼베어링 회전축(47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은 상기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에 의해 지주(10)의 내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이 조립된 반대편에 형성된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476)들이 상호 간에 면 접촉을 이루어 회동축(440)의 회동시 중심을 지주(1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476)의 끝단 부분에는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 반달 개방구(47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심베어링부(470)의 조심기능 수행에 따른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이 지주(10)의 내주면에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을 통해 밀착되어 회전이 되기 때문에 지주(10)의 내측을 경유하는 로프들이나 전선들(예컨대, 상기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전원공급선(60), 제어콘넥터(660) 등)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심베어링부(470)의 상하측 회동축(440)에는 상기 로프나 전선들이 관통할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로프관통홈(481)이 형성된 로프간섭보호부(48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로프나 전선들이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의 로프관통홈(481)을 관통하여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들(473)의 사이를 지나며,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가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와 함께 회전이 되기 때문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로프관통홈(481)이 형성된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에 의해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들(473) 사이를 안전하게 통과한 로프들이나 전선들은 상기의 제2지지부(422), 제3지지부(423), 제1지지부(421)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로프전선 경유홈(48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지주(10)의 상기 점검구(11) 측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작동 전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구속래치(430)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지지대(20)는 회전이 불가능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회전동력전달부의 제1종동기어(407)가 회전구속래치(430)의 구속기어부(431)에 맞물림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축(440)은 회전이 불가능하며, 이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제어로프(640)의 권취작동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20)의 회전작동을 위해 회전제어로프(650)를 권취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구속래치(430)가 상승하면서 구속기어부(431)가 상기 제1종동기어(407)에서 상향 이탈되어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인가된다.
이렇게 회전동력전달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인가된 후 한 쌍의 회전로프(640)를 권취 작동시키면 연결된 체인(401)에 의해 체인스프로킷(402)에 회전동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회전동력이 상술한 회전모듈 웜(403)과 회전모듈 웜기어(404) 및 구동기어들(406, 409, 412)와 종동기어들(407, 410, 441)을 통해 회동축(440)에 전달되어 회동축(44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440)에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이 연동 회전하면서 이에 고정 결합된 수평지지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지지대(20)가 회전하는 과정동안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에서는 고정된 고정전극(465)과 회전되는 유동전극들(462) 사이에 계속적으로 접점의 개폐가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접점 개폐에 따른 회전각도신호가 상기 제어부(500)에 전송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램프(40)의 유지보수작업을 진행하는 사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사용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구성 및 작동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옥외 등기구의 정비작업을 수행할 지주(10)의 점검구(11)에 고정장치(120)를 통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를 부착 설치한 후, 점검구(11) 내측에 위치된 승강로프(610), 견인로프(630), 한 쌍의 회전로프(640)를 승강블록(130)의 승강연결로프(135), 견인블록(140)의 견인연결로프(143), 회전블록(150)의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158)에 연결시키고, 착탈제어로프(620)를 제어블록(160)의 제어연결로프(165)에 연결시키며, 제어콘넥터(660)를 전기접속부(170)에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전기접속부(170)의 퀵커넥터암컷(171)에 제어부(500)의 퀵커넥터숫컷(510)을 결합시켜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의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의 부착 및 로프들의 연결 및 전기접속을 완료한 후에 소켓랜치(163)를 제어권취롤(162)의 사각돌출부(162a)에 끼워 일정한 각도로 제어권취롤(162)을 수동 회전시키면 제어연결로프(165)에 연결된 착탈제어로프(620)가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200)의 상부덮개 섭동판(230)이 지주방향으로 후방 섭동되며, 섭동판 리미트스위치(233)로부터 제어부(500)로 신호가 전송된다.
작업자는 신호전송에 따른 표시등, 알람부저 등을 통해 상부덮개 섭동판(230)의 회동인가상태를 인식하게 되며, 곧바로 더 이상의 제어권취롤(162)의 회전을 멈추고 원형걸림핀(164)를 제어권취롤(162)에 끼워 상부덮개 섭동판(23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램프하우징 회전예비단계를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램프하우징 회전예비단계의 완료상태에서도 램프하우징(30)은 외관상 아무런 변화가 없으며 회동도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은 점검구(11)가 관리부주의로 일반인에게 개방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 점검구(11) 내측의 로프들을 잡아당기는 조작을 무심코 행할 수 있는 바, 이로 인한 램프하우징(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램프하우징 회전예비단계를 완료한 작업자가 램프하우징(30)의 승하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구속 솔레노이드(260)의 회동억제를 해제해야만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제어부(500)의 작동스위치를 온(On)시켜 구속 솔레노이드(26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램프하우징(30)이 하향 회동할 수 있는 램프하우징 회동준비 완료단계를 마무리한다.
지금까지의 과정동안 승강연결로프(135) 및 승강로프(610)에 승강권취롤(134)의 회전에 의한 당김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를 지속하고 있으므로 승강연결로프(135) 및 승강로프(610)는 최단거리를 유지하지 않는 완만한 굴곡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램프하우징 회동준비 완료단계가 마무리되면 중력 이외에는 램프하우징(30)에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승강로프(610)가 최단거리 상태로 전환되어 승강로프에 의한 구속력이 램프하우징(30)에 가해지지 시작할 때까지는 램프하우징(30)이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해 하향 회동하기 시작한다.
자중에 의한 램프하우징(30)의 하방 회동이 회동완료 검출용 리미트스위치(226)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어 표시등, 알람부저 등을 통해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면 램프하우징 승강예비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승강예비단계에서 작업자는 램프하우징의 승강작업의 진행을 위해 제어부(500)의 작동스위치 및 조절레버를 통해 승강정역모터(131)의 방향, 속도를 조절하여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승강로프(610)와 함께 승강연결로프(135)가 점검구(11)를 통해 지주(10) 내측으로 풀려들어가며 램프하우징(30)이 지면과 수직을 이룰 때까지 하향 회동이 진행된다.
이렇게 램프하우징(30)이 지면과 수직하게 회동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암컷소켓(250)의 회전지지판(220)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램프하우징 하강준비완료단계에 진입하게 되며, 전극결합 검출단자(242, 254)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작업자는 램프하우징 하강준비완료단계의 진입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램프하우징(30)의 하강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작업자는 유지보수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옥외 등기구의 주변여건을 고려하여 램프하우징(30)의 낙하위치를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램프하우징(30)의 낙하위치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어부(500)의 승강관련 작동스위치들만 조작하여 램프하우징(30)의 승하강을 계속 진행하면 되고, 램프하우징(30)이 적당한 위치로 하강을 완료하면 작동스위치들을 오프(Off)시킨 후 램프(40)의 교체, 세척 등 유지보수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주변여건상 램프하우징(30)의 낙하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또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낙하위치를 변경한 후 램프하우징(30)의 승하강을 진행해야만 하며, 상기 작업자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300) 또는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이미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하 정비를 수행해야하는 제품의 결합 및 분리와 그에 따른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하 승강을 수행하는 승강모듈부, 분리된 후 승강중인 제품에 연결된 승강로프의 궤적을 변경시켜 낙하위치 변경을 수행하는 견인모듈부, 제품 자체를 고정하고있던 구조물의 상단부분을 회전시켜 낙하위치를 변경시키는 회전모듈부, 정비작업이 요구되는 제품의 구조물 점검구 또는 벽면에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승강모듈부, 견인모듈부, 회전모듈부 관련 다수의 작동로프들과 연결되어 작동로프들의 권취조작을 통한 승강, 견인 및 회전조작을 수행한 후 작업자에 의해 탈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형의 파이프 일단에 고정되어있는 가로등의 유지보수를 지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본 발명은 동일한 설치 구조를 보이는 감시카메라, 교통단속기, 신호등의 유지보수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지상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접근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해야했던 조명타워의 램프교체, 이동통신의 송수신 장치, 옥외 항공관제등과 같은 장치들의 유지보수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44)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로프;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견인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에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를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을 지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작동하는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상기 지주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로프;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지주의 점검구에 결합됨과 함께 작업 후 상기 점검구로부터 탈거되며, 상기 승강로프, 착탈제어로프, 견인로프,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및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중앙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승강로프 및 착탈제어로프에 각각 연결되어 권취시키는 승강블록 및 제어블록이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중앙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견인로프에 연결되어 권취시키는 견인블록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중앙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에 각각 연결되어 권취시키는 회전블록 및 제어블록이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는, 중앙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에 착탈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작업틀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주변에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승강로프, 견인로프, 한 쌍의 회전로프와 각각 연결되어 권취시키는 승강블록, 견인블록, 회전블록과 상기 착탈제어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권취시키는 제어블록이 각각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9. 제 5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정역모터와, 상기 승강정역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차동기어와, 상기 승강차동기어에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승강종동기어와, 상기 승강종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승강권취롤, 및 상기 승강권취롤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승강로프에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승강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블록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견인정역모터와, 상기 견인정역모터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정역모터에 연동 회전하는 견인권취롤, 및 상기 견인권취롤에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견인로프에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견인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정역모터와, 상기 회전정역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차동기어와,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회전감김롤과,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맞물리는 1차종동기어와 상기 1차종동기어에 맞물리는 2차종동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동기어와, 상기 2차종동기어와 맞물리어 상기 회전차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풀림종동기어와, 상기 풀림종동기어와 동일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회전풀림롤, 및 상기 회전감김롤과 회전풀림롤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지며, 유지보수작업시 상기 점검구 내측의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에 각각 연결되고 작업 후 분리되는 한 쌍의 회전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2. 제 5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블록은,
    제어권취롤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제어블록 덮개판을 관통하는 사각돌출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제어연결로프가 감겨지는 제어권취롤과, 상기 제어권취롤의 사각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권취롤을 수동 회전시키는 소켓랜치, 및 상기 제어블록 덮개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권취롤의 삽입홈부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어권취롤의 회전을 구속하는 원형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3.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ㄷ”자형의 걸림턱이 상기 작업틀의 개방구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의 하단에 걸림되는 하부 지지브라켓과, 상기 작업틀의 개방구 상부에 고정된 슬라이딩 받침판과 슬라이딩 덮개판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섭동되면서 상기 점검구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덮개판을 관통해 상기 슬라이딩 받침판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슬라이더를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승강로프, 견인로프, 한 쌍의 회전로프, 착탈제어로프, 회전제어로프에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 원형튜브의 내측에 삽입 고정된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판;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의 내부에 섭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착탈제어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판의 후단부 상면을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상부덮개 섭동판;
    상기 회전지지판의 전단측에 고정되는 수컷소켓; 및
    상기 승강로프에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램프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수컷소켓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지지판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완료시 상기 회전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암컷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의 후방 섭동시 닫히면서 상기 램프하우징 회전지지판의 회동인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섭동판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판에 형성된 돌출걸림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구속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는 상기 섭동판 리미트스위치에서 회동인가신호가 전송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판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 또는 회동복귀시 개폐되면서 회동완료신호 또는 회동복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상태 검출용 리미트스위치로부터 회동완료신호가 전송된 경우에 상기 구속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자동 차단시키고, 회동복귀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자동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시 간섭 방지를 위해 개구된 회전지지판 회동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소켓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지지판의 전단부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걸림구에 삽입되어 암컷소켓이 상기 회전지지판에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웨지가 섭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판에는 회동완료시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의 하단부에 눌려 하향 섭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웨지를 눌러 섭동시킴과 함께 상기 램프하우징 걸림구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암컷소켓을 상기 회전지지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웨지는,
    상기 회전지지판의 램프하우징 걸림구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과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웨지 누름핀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웨지가 섭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가 램프하우징 걸림구로부터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 웨지 경사부; 및
    상기 슬라이딩 웨지 삽입부의 반대쪽에 삽입 설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웨지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소켓에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는 수컷소켓 전극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암컷소켓에는 상기 수컷소켓전극과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속을 하는 암컷소켓전극이 구비되되,
    상기 수컷소켓전극과 암컷소켓전극은 일정한 크기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간 면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소켓과 암컷소켓에는 상기 수컷소켓전극과 암컷소켓전극의 전기적 접속 개폐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극결합 검출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소켓에 연결된 상기 승강로프의 원활한 방향전환 및 이동을 지지하는 승강로프 지지롤러가 상기 회전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지지대의 내부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복귀시 상기 회전지지판에 눌리면서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이 후방 섭동되도록, 상기 회전지지판의 후단부 하면에는 섭동유도 경사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부덮개 섭동판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섭동유도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 돌출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판의 회동시 상기 램프하우징이 상기 원형튜브와 걸림되지 않도록 원형튜브가 삽입되는 램프하우징의 원형튜브 삽입구 하단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원형튜브 삽입구의 전방으로 램프하우징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비틀림스프링이 구비된 힌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이 상기 램프하우징 개방구의 양쪽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하우징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방구 회동덮개판의 후단부에는 상기 원형튜브의 하단에 밀착될 때 상기 개방구 회동덮개판이 자동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열림유도절곡부가 각각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8.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중공형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삽입 설치됨과 함께 그 상부면에 상기 견인로프가 고정 연결되어 상기 견인로프가 권취됨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지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섭동이동구; 및
    상기 섭동이동구의 하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램프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섭동이동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램프하우징을 상기 지주 쪽으로 견인하는 램프하우징 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지주방향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섭동이동구에 연결된 상기 견인로프를 방향 전환시켜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도록 안내하는 견인로프 방향전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로프 방향전환구는 상기 견인로프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전환 도르레와, 상기 방향전환 도르레에서 상기 견인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방향전환 도르레의 전후단측에서 각각 상기 견인로프의 경로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견인로프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섭동이동구에 연결된 견인로프가 통과되도록 각각 로프관통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섭동이동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견인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섭동이동구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슬라이더가 연동되도록 상기 섭동이동구와 슬라이더 상호간에는 상기 견인로프를 나선형태로 감싸는 동조용 와이어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3.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는,
    회전모듈 지지부에 의해 상기 지주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라 회전동력을 회동축에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제어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라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회전구속 래치;
    상기 회동축에 결합됨과 함께 지주 상단에 외삽된 수평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동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및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각도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각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을 수평방향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체인 및 체인스프로킷;
    상기 체인스프로킷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회전동력을 수직방향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듈 웜 및 웜기어; 및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에 결합되어 수직방향 회전동력을 상기 회동축을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평기어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기어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회전부는,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와 제1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와 제2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2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2종동기어와 제3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3구동기어; 및
    상기 제3구동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는 회동축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는,
    상기 지주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구동축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측의 지주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에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제3구동축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웜지지대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ㄷ”자형 개방부가 형성된 웜기어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제3 지지부의 일측에는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로프전선 경유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제3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의해 양단이 관통 지지됨과 함께 내측면에 상기 제1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속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제어로프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제어로프의 당겨짐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구속기어부와 상기 제1종동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는,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원활한 상하 섭동을 위해 섭동되는 구간의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외삽되는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와,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상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에 외삽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상하 섭동에 따른 상기 구속기어부와 상기 제1종동기어의 맞물림 해제여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0.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는 회전작동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이 상기 지주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자동 조정하는 조심베어링부가 설치되되, 상기 조심베어링부는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120°간격으로 상부면에 등각개방구가 형성된 조심베어링 지지부;
    일단은 상기 지주 내측 원주면을 향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조심베어링 지지부의 등각개방구에 조립되며, 각각 상호간에 면 접촉을 통해 회전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조정하는 세 개의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 및
    상기 조심베어링 지지대가 지주 내측 원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심베어링부의 상하측 회동축에는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일정한 크기의 로프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동됨으로써 상기 로프나 전선이 상기 조심베어링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간섭보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2.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상단 및 하단 원주면에는 링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삽입홈에는 축방향 이탈방지를 위한 회동축 이탈방지링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3.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과 연동하며, 그 상면에 다수의 유동전극이 호의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는 유동전극지지대;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의 중심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과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및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및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동전극들과 접점이 개폐되는 고정전극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전극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전극과 유동전극의 접점 개폐에 따른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각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에는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이 구비됨과 함께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PCT/KR2009/004696 2008-09-02 2009-08-24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WO2010027151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28 2008-09-02
KR1020080086128A KR100989510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151A2 true WO2010027151A2 (ko) 2010-03-11
WO2010027151A3 WO2010027151A3 (ko) 2010-06-24

Family

ID=4179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4696 WO2010027151A2 (ko) 2008-09-02 2009-08-24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9510B1 (ko)
WO (1) WO2010027151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193A (zh) * 2016-02-03 2016-06-15 徐梁 一种易安装路灯装置
WO2016122115A1 (ko) * 2015-01-30 2016-08-04 제이에이치네트웍스(주) 지주 내장형 상하 이동식 시설물 관제장치
CN108194889A (zh) * 2018-03-02 2018-06-22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应急用led警示灯
CN110296349A (zh) * 2019-07-15 2019-10-01 宁波英海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三面出光的led壁灯
CN112146022A (zh) * 2020-09-27 2020-12-29 山东口天环保设备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更换灯带的路灯及自动换灯方法
CN113970081A (zh) * 2021-10-09 2022-01-25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照明云端管理系统的智慧led路灯
US11249190B2 (en) * 2017-06-20 2022-02-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aser rada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equency modulation
CN114267190A (zh) * 2021-12-23 2022-04-01 无锡安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led交通信号灯
CN114811505A (zh) * 2022-04-24 2022-07-29 江苏中升照明有限公司 一种光伏太阳能路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86B1 (ko) * 2015-09-21 2017-03-28 김문성 현수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CN109210455B (zh) * 2018-09-17 2020-11-24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照明灯具
CN113466116B (zh) * 2021-06-25 2023-01-31 中核四达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碳钢防腐性能的装置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717A (en) * 1977-07-25 1982-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Luminaire lowering device with centering means
KR100351266B1 (ko) * 2000-04-28 2002-09-12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0312448Y1 (ko) * 2003-02-04 2003-05-12 안복근 등기구 승강구조가 구비된 가로등
KR200345342Y1 (ko) * 2003-12-27 2004-03-18 신정훈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JP2005251536A (ja) * 2004-03-03 2005-09-1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昇降式照明装置
JP2006040841A (ja) *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100741525B1 (ko) * 2005-07-07 2007-07-23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가로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01B1 (ko) * 2006-08-07 2008-03-07 최성돈 전등부 분리식 가로등의 구동권취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717A (en) * 1977-07-25 1982-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Luminaire lowering device with centering means
KR100351266B1 (ko) * 2000-04-28 2002-09-12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0312448Y1 (ko) * 2003-02-04 2003-05-12 안복근 등기구 승강구조가 구비된 가로등
KR200345342Y1 (ko) * 2003-12-27 2004-03-18 신정훈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JP2005251536A (ja) * 2004-03-03 2005-09-1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昇降式照明装置
JP2006040841A (ja) *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100741525B1 (ko) * 2005-07-07 2007-07-23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가로등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115A1 (ko) * 2015-01-30 2016-08-04 제이에이치네트웍스(주) 지주 내장형 상하 이동식 시설물 관제장치
CN105674193A (zh) * 2016-02-03 2016-06-15 徐梁 一种易安装路灯装置
US11249190B2 (en) * 2017-06-20 2022-02-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aser rada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equency modulation
CN108194889A (zh) * 2018-03-02 2018-06-22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应急用led警示灯
CN108194889B (zh) * 2018-03-02 2024-01-30 河南海宇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应急用led警示灯
CN110296349A (zh) * 2019-07-15 2019-10-01 宁波英海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三面出光的led壁灯
CN110296349B (zh) * 2019-07-15 2024-04-30 宁波英海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三面出光的led壁灯
CN112146022B (zh) * 2020-09-27 2022-12-13 浙江环艺电力照明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更换灯带的路灯及自动换灯方法
CN112146022A (zh) * 2020-09-27 2020-12-29 山东口天环保设备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更换灯带的路灯及自动换灯方法
CN113970081A (zh) * 2021-10-09 2022-01-25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照明云端管理系统的智慧led路灯
CN114267190A (zh) * 2021-12-23 2022-04-01 无锡安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led交通信号灯
CN114811505A (zh) * 2022-04-24 2022-07-29 江苏中升照明有限公司 一种光伏太阳能路灯
CN114811505B (zh) * 2022-04-24 2023-09-08 江苏中升照明有限公司 一种光伏太阳能路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510B1 (ko) 2010-10-22
WO2010027151A3 (ko) 2010-06-24
KR20100027279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7151A2 (ko)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WO2020013473A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WO2019177276A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WO2021206297A1 (ko)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WO2021010600A1 (ko) 아크 차단형 고속 스위칭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WO2017082571A1 (ko)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6104890A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WO2015137774A1 (en) Latch system for door
WO2015016660A1 (ko)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5008990A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WO2020184738A1 (ko) 로봇
WO2015088175A1 (en) Headrest folding apparatus
WO2020158964A1 (ko) 액션 로봇
WO2015026019A1 (ko) 이물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물처리방법
WO2017023111A2 (ko)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WO2023200102A1 (ko)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가선공법
WO2024080660A1 (ko) 이송 장치
WO2017160036A1 (ko) 전력선의 전원변동을 통신신호로 이용하는 전원제어 통신장치
WO2009131328A2 (en) Slide-type opening/clos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8074735A1 (ko)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자동교체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시추기
WO2015190812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1055947A2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WO2021080223A1 (ko)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WO2023003112A1 (ko)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WO2010036071A2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및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11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11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