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525B1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525B1
KR100741525B1 KR1020050061015A KR20050061015A KR100741525B1 KR 100741525 B1 KR100741525 B1 KR 100741525B1 KR 1020050061015 A KR1020050061015 A KR 1020050061015A KR 20050061015 A KR20050061015 A KR 20050061015A KR 100741525 B1 KR100741525 B1 KR 10074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ylindrical cam
ground
fix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037A (ko
Inventor
유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유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유흥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Priority to KR102005006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5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2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capable of being elongated or shortened by the insertion or removal of intermediat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Abstract

개시된 가로등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주와, 일단부에 램프가 구비된 회동지주와, 고정지주와 회동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부재와 회동부재를 결합하는 힌지기구와,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와 고정지주를 결합하는 원통캠유닛 및 회동지주가 힌지기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윈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로등에 의하면, 램프가 설치된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다단으로 절첩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작업자로 도심의 교통정체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가로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가로등, 원통캠

Description

가로등{Street lamp}
도 1은 종래의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등에서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통캠유닛에서 회전부재의 작동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가로등에서 원통캠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회동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도 2에 도시된 가로등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로등 110... 고정지주
120... 회동지주 130... 연결부재
140... 원통캠유닛 141... 원통캠
142... 가이드홀 143... 회전부재
150... 힌지기구 160...윈치기구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및 인도를 밝혀주기 위해 도로의 중앙이나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나 인도에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가로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로등은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지주와 평형암 및 램프를 포함한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로등(10)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지주(20)와, 이 고정지주(2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도로쪽으로 연장된 평형지주(30)과, 이 평형지주(30)의 단부에 결합된 램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40)는 지하나 그밖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고정지주(20)의 내부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램프(40)에는 탈착하여 교체할 수 있는 투명의 커버(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램프(40)는 일정기간 후에는 램프(40)내 또는 커버(41)표면에 눈, 비, 먼지, 자동차매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고, 램프(40) 내 전구(42)교환을 해야 되기 때문에 일정간격으로 커버(41)를 청소하고 램프(40)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일련의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가 행해져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가로등(10)은, 일반적으로 그 높이가 높기 때문에 특히 램프(40)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굴절크레인을 동원해야 하며, 이 때문에 크레인 조종사와 보조작업자 등 최소한 2명의 작업인원이 소요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10)은 도로에서 크레인을 정차시키고 가로등(40)의 유지보수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도심의 교통정체를 유발하며, 고도작업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최소한의 작업자만으로도 도심정체를 유발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로등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주와, 일단부에 램프가 구비된 회동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회동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결합하는 힌지기구와, 상기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지주를 결합하는 원통캠유닛 및 상기 회동지주가 상기 힌지기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윈치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캠유닛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주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캠과,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홀에 구속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유도되어 회동 또는 승하강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통캠유닛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시키는 유압쇼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원통캠유닛에는,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홀을 감싸고, 상기 회전부재의 승하강이동에 대하여 간섭이 없도록 자바라형식의 플렉시블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치기구는,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된 권취부재와, 상기 회동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된 다수의 드럼 및 일단이 상기 회동지주의 일단부와 연결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드럼에 의해 유도되는 윈치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윈치와이어가 상기 다수의 드럼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권취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윈치와이어가 감겨지고 풀어지면서 상기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회동지주는, 상기 회동지주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되는 상기 회동지주는 사각형 또는 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기구는, 사용자가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주는, 상기 원통캠유닛이 장착된 제1고정지주와, 상기 제1고정지주와 탈착이 가능한 제2고정지주를 포함하여, 상기 제1고정지주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지주가 분리탈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등에서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주(110)와, 일단부에 램프(40)가 구비된 회동지주(120)와, 상기 고정지주(110)와 상기 회동지주(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와, 상기 회동지주(120)가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기 회동부재(120)를 결합하는 힌지기구(150)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상기 회동지주(12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기 고정지주(110)를 결합하는 원통캠유닛(140)과, 도 3에 도시된 상기 회동지주(120)가 상기 힌지기구(150)의 힌지점(150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윈치기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주(110)는, 중공인 형태로 상기 회동지주(120)의 램프(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선이 내재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지주(120)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회동지주(120)의 일측에 결합된 힌지기구(150)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힌지기구(150)는, 일반적인 힌지기구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기 회동지주(120)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회동지주(12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힌지기구(150) 뿐만 아니라 다른 회동가능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원통캠유닛(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주(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한쌍의 나선형의 가이드홀(142)이 형성된 원통캠(141)과, 이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에 구속되어 상기 가이드홀(142)을 따라 유도되어 상기 원통캠(141)에 대해 회동 또는 승하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142)에 관통되도록 연결바(17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 (130)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회전부재(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은 서로 방향이 다른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143)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홀(142)을 따라 양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홀(142)은 그 수와 그 형상을 달리하여 상기 회전부재(143)의 회동방향과 이동궤적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캠(141)은 상기 고정지주(1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고정지주(110)에 부착 또는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원통캠유닛(140)에는, 상기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을 감싸고, 상기 회전부재(143)의 승하강이동에 대하여 간섭이 없도록 자바라형식의 플렉시블커버(145a, 145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치기구(160)는,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된 권취부재(161)와, 상기 회동지주(120)와 상기 고정지주(110)에 설치된 다수의 드럼(162a, 162b)과, 일단이 상기 회동지주(120)의 일단부와 연결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부재(161)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162a, 162b)에 의해 다수번 감겨지고 유도되는 윈치와이어(16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윈치기구(160)는, 상기 윈치와이어(163)가 상기 다수의 드럼(162a, 162b)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권취부재(16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윈치와이어(163)가 감겨지고 풀어지면서 상기 회동지주(120)를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 향으로 회동시키며, 상기 권취부재(161)는 작업자가 직접 레버(미도시)를 통해 작동되거나, 작동스위치와 연결된 모터에 의해 상기 윈치와이어(163)를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주(110)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지주(110)에 설치된 드럼(162b)으로 연결된 원치와이어(163)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이때 발생하게 되는 마찰 또는 간섭 등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주(110)의 상부에 만곡부재(16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재(161)는 상기 윈치와이어(163)가 반대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성기어식 또는 스프링식으로 그 구조를 개선할 수도 있으며, 부가하여 상기 권취부재(161)에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윈치와이어(16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윈치와이어(163)를 권취하는 장치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권취부재(161)를 포함한 윈치기구(160) 뿐만 아니라 윈치와이어(163)를 권취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에서 상기 고정지주(110)는, 상기 원통캠유닛(140)이 장착된 제1고정지주(111)와, 이 제1고정지주(111)와 탈착이 가능한 제2고정지주(112)를 포함하여, 상기 제1고정지주(111)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지주(112)가 분리탈착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회동지주(120)를 회동 및 승하강시키고, 더불어 다단절첩된 상기 회동지주(120)를 확장시켜 램프 (40)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캠유닛(140)과 이 원통캠유닛(140)과 연결된 연결부재(130) 및 회동부재(120)를 한번에 교체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종래의 가로등의 적용에도 용이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통캠유닛에서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홀을 따라 회동 또는 승하강하는 회전부재의 작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원통캠유닛(140)은 상기 회전부재(143)를 상기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을 따라 회동 또는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유압쇼바(17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쇼바(17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주(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이동 또는 회동할 수 있는 이동피스톤(171)을 포함한다.
상기한 유압쇼바(17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3)의 회동 또는 승하강하는 작동원리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회전부재(143)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지주(110)의 내부에 위치한 연결바(172)가 결합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바(172)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도면에 나타난 화살표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이동피스톤(171)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유압쇼바(170)는,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이 동피스톤이 승하강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피스톤(171)과 연결된 연결바(172)와 상기 회전부재(143)가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재(143)를 상기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을 따라 회동 또는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피스톤(171)과 연결바(172)는, 상기 회전부재(143)의 승하강 및 회전이동에 의한 상기 연결바(172)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볼조인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43)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유압쇼바(170) 뿐만 아니라 권취와이어와 권취장치를 통해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 외 다른 수단으로도 실시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가로등에서 원통캠유닛을 통해 회동지주가 회동 또는 승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a는 상기 회동지주(120)가 상기 힌지기구(150)의 힌지점(150a)을 기준으로 윈치기구(160)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 상태에서 유압쇼바(170)를 통해 상기 원통캠(141)의 가이드홀(142)을 따라 회전부재(143)를 이동시키면,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주(120)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또는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에서 상기 회동지주(120)는, 상기 회동지주(120)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 사각형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지주(120)가 다단절접되는 각 단부사이에는 회동지주(120)의 절첩과정을 원활하도록 볼베어링 등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형 또는 사각형 외에 그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회동지주(120)를 절첩시키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치기구(160)로 할 수 있으며 또는 그 외 별도의 모터나 리모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회동지주(120)의 구조 때문에, 작업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100)의 램프(40)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때, 원하는 위치로 가로등(100)의 회동지주(120)의 길이를 가변시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힌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기구(150)는 사용자가 회동지주(120)를 지면에 대해 힌지점(150a)을 중심으로 수직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수단(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8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작동레버(182)와,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각도조절홀(181) 및 상기 작동레버(182)에 탄력성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80)의 작동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182)를 상기 각도조절홀(18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각도조절홀(181)에 형성된 걸림턱에 작동레버(182)를 끼운후 고정시킨다. 이때 작동레버(182)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에 끼운후 탄력적으로 작동 레버(182)를 지지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조절수단(180)은 일반적인 수동레버식의 각도조절수단으로써, 구체적인 작동과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수단은(180) 본 발명에 예시된 구조 외에도 다른 변용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b는 도 8a의 상태에서 상기 힌지기구(150)의 힌지점(150a)을 중심으로 상기 윈치기구(160)에 의해 상기 회동지주(120)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8c는 상기 회동지주(120)가 도 8b의 상태에서 원통캠유닛(140)을 통해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작업자가 굴절크레인이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윈치기구(160)와 원통캠유닛(140)의 조작으로도 원하는 위치에 램프가 구비된 상기 회동지주(120)를 위치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도 8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도 8c의 상태에서 램프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동지주(120)를 안테나식으로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상기 회동지주 (120)의 일단에 고정식 CC카메라 또는 현재 널리보급되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송수신기 및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용장비 등을 설치적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신호등, 휴게소, 톨게이트의 가로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적용하여 작업자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상기 회동지주(120)가 힌지기구(150)의 힌지점(150a)을 중심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굴절크레인이나 사다리를 이용하여 가로등의 유지보수 및 관리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이 때문에 작업자의 인원을 최소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0)은, 원통캠유닛(140)과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되는 회동지주(120)에 의해 상기 회동지주(120)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최소한의 작업자만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로등의 유지보수 및 관리작업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굴절크레인을 동원하거나 사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크레인 조종사와 보조작업자의 인원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인원을 1인으로까지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다.
둘째,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램프가 결합된 회동지주를 위치되게 할 수 있 기 때문에,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도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주와;
    일단부에 램프가 구비된 회동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회동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결합하는 힌지기구와;
    상기 회동지주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지주를 결합하는 원통캠유닛; 및
    상기 회동지주가 상기 힌지기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윈치기구를 포함하는 가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캠유닛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주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캠과,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홀에 구속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유도되어 회동 또는 승하강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캠유닛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시키는 유압쇼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캠유닛에는,
    상기 원통캠의 가이드홀을 감싸고, 상기 회전부재의 승하강이동에 대하여 간섭이 없도록 자바라형식의 플렉시블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기구는,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된 권취부재와,
    상기 회동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설치된 다수의 드럼 및
    일단이 상기 회동지주의 일단부와 연결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드럼에 의해 유도되는 윈치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윈치와이어가 상기 다수의 드럼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권취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윈치와이어가 감겨지고 풀어지면서 상기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주는,
    상기 회동지주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식으로 다단절첩되는 상기 회동지주는 사각형 또는 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사용자가 회동지주를 지면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는,
    상기 원통캠유닛이 장착된 제1고정지주와,
    상기 제1고정지주와 탈착이 가능한 제2고정지주를 포함하여,
    상기 제1고정지주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지주가 분리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로등.
KR1020050061015A 2005-07-07 2005-07-07 가로등 KR10074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15A KR100741525B1 (ko) 2005-07-07 2005-07-07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15A KR100741525B1 (ko) 2005-07-07 2005-07-07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037A KR20070006037A (ko) 2007-01-11
KR100741525B1 true KR100741525B1 (ko) 2007-07-23

Family

ID=3787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015A KR100741525B1 (ko) 2005-07-07 2005-07-07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5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151A2 (ko) * 2008-09-02 2010-03-11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KR100989152B1 (ko) 2009-08-25 2010-10-20 임유섭 등기구 견인장치
KR101067379B1 (ko)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88B1 (ko) * 2010-02-22 2012-04-02 주식회사 필엔지 회전형 가로등
KR101892465B1 (ko) * 2017-01-16 2018-08-31 김상우 절첩식 가로등 암
CN106939994A (zh) * 2017-03-22 2017-07-11 合肥仁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喷水和自发电功能的升降路灯
CN108534057B (zh) * 2018-03-07 2021-02-23 深圳市永恒光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和保养的安全可靠的太阳能路灯
CN109051779A (zh) * 2018-08-17 2018-12-21 湖州亨力木业有限公司 一种木门涂漆后检查装置
KR102101899B1 (ko) * 2019-10-28 2020-04-1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소음 및 미세먼지 저감 스프레이 트리구조
KR102607352B1 (ko) * 2023-01-20 2023-11-29 이종윤 학교용 가로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87A (ko) * 2000-04-28 2000-07-05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040081499A (ko) * 2003-03-13 2004-09-22 최성돈 전등기구 분리식 가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87A (ko) * 2000-04-28 2000-07-05 최성돈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040081499A (ko) * 2003-03-13 2004-09-22 최성돈 전등기구 분리식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151A2 (ko) * 2008-09-02 2010-03-11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WO2010027151A3 (ko) * 2008-09-02 2010-06-24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KR101067379B1 (ko)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0989152B1 (ko) 2009-08-25 2010-10-20 임유섭 등기구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037A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525B1 (ko) 가로등
US8164483B1 (en) Portable electro-mechanical signal system
US7476006B2 (en) Automated lighting system with extendable and retractable light units
US9074753B1 (en) Lighting poles with accessible electrics
KR100701788B1 (ko) 승강 회전식 가로등
KR101621016B1 (ko) 수리가 용이한 가로등 및 신호등 지주
KR101934361B1 (ko) 가로등
KR102249180B1 (ko) 틸팅 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CN112443794A (zh) 一种多功能救援路灯
KR200169474Y1 (ko) 다목적 전등주
CN218300748U (zh) 一种配电线路运维检修装置
KR102428674B1 (ko) 길이 조절 가능한 가로등 장치
US20150070916A1 (en) Lighting poles with accessible electrics
KR100965203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대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200222865Y1 (ko) 가로등
KR20180003168U (ko) 안전 표지장치
KR200187739Y1 (ko) 절곡이 가능한 전등주
KR101892465B1 (ko) 절첩식 가로등 암
KR101673258B1 (ko) 디밍 제어 기능이 구비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주
KR200299943Y1 (ko) 가로등 승하강 장치
KR200187738Y1 (ko) 절곡이 가능한 전등주
CN219174161U (zh) 一种灯具检修平台
KR100704073B1 (ko) 굴절식 가로등
CN211232645U (zh) 一种可弯曲路灯
CN219916487U (zh) 一种移动交通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