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266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266B1
KR100351266B1 KR1020000022686A KR20000022686A KR100351266B1 KR 100351266 B1 KR100351266 B1 KR 100351266B1 KR 1020000022686 A KR1020000022686 A KR 1020000022686A KR 20000022686 A KR20000022686 A KR 20000022686A KR 100351266 B1 KR100351266 B1 KR 10035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arm
street lamp
drum
light fixture
str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487A (ko
Inventor
최성돈
Original Assignee
최성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돈 filed Critical 최성돈
Priority to KR102000002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266B1/ko
Priority to KR2020000012725U priority patent/KR200198087Y1/ko
Publication of KR2000003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기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주의 하부에 장착된 윈치기구의 조작으로 가로등의 평형팔이 하방으로 회전되고 평형팔의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전등기구가 지상에서 소망하는 높이까지 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등과 부품의 교체 및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윈치기구의 조작에 의하여 전등기구 및 평형팔이 원상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a streetlight which is simply maintained}
본 발명은 전등기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최상단에 있는 전등기구를 수작업에 의하여 지상으로 하강시켜 부품의 교체 및 청소 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인도를 밝혀줄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로의 중앙이나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은 크게 가로등주와 평형팔 그리고 전등기구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가로등은 지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로등주(1)와 이 가로등주(1)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도로쪽으로 연장된 평형팔(2)과 이 평형팔(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전등기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등기구(3)는 지중으로부터 가로등주(1)의 내부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전등기구(3)에 구비되는 전등(5)은 투명한 커버(4)를 탈거한 후 교체할 수 있다.
이와같이 설치된 가로등들은 설치초기에 외형상의 아름다움이나 청결함으로 주변환경과 조화롭게 보여질 수 있으나 눈, 비, 먼지, 자동차 매연 등으로 더럽혀지면서 보기 흉하게 되며, 특히 전등기구의 커버가 오염되고 전등의 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 간격으로 커버를 청소하고 및 전등을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로등들은 높이가 크기 때문에 특히 전등기구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크레인을 동원하여야 하고 크레인 조종사와 보조작업자 등 최소한 2명의 작업인원이 소요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로에서 크레인을 정차시키고 가로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심의 교통정체를 유발하고 고도작업에 위험이 따르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주의 하부에 윈치기구를 장착하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윈치기구의 조작으로 가로등의 평형팔이 하방으로 회전되고 평형팔의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전등기구가 지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등과 부품의 교체 및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윈치기구의 조작에 의하여 전등기구 및 평형팔이 원상복귀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등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가로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평형팔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평형팔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나타낸 가로등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래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윈치기구의 우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래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윈치기구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평형팔이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평형팔에서 전등기구가 분리되면서 하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난타낸 가로등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가로등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로등주 11; 점검구용 도어 12; 제1삽입공 13; 제2삽입공
20; 평형팔 21; 공간부 22; 통공 23; 제1플러그
24; 제2잭 25; 핀홀 30; 전등기구 31; 커버
32; 전등 33; 고정공 34; 제1잭 40; 엘보우
41; 핀홀 42; 도르레 43; 제2플러그 50; 윈치기구
51; 드럼 52; 드럼축 53; 브라켓 54; 와이어
55a; 휠 55b; 스토퍼 55ba; 끼움홈 60; 케이스
61; 장공 62; 제1삽입공 63; 제2삽입공 C; 전력선
C1; 전선 P; 핀
본 발명은 지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로등주(10)와 이 가로등주(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도로쪽으로 연장된 평형팔(20)과 이 평형팔(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등기구(30)로 구성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평형팔(20)이 상기 가로등주(10)의 상단부에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단은 상기 가로등주(10)의 상단에 고정하고 상단은 상기 평형팔(20)의 중간 임의위치에 지렛대식으로 연결한 엘보우(40)와, 드럼(51)에 권취된 와이어(54)의 일단이 복수개의 도르레(26)(42)에 의해 유도되고 가로등주(10) 및 평형팔(2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전등기구(30)의 후단에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가로등주(10)의 하부에 설치한 윈치기구(50)로 구성하여, 상기 윈치기구(5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평형팔(20)은 엘보우(40)에서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평형팔(20)의 선단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등기구(30)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54)의 단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평형팔(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로등주(10), 평형팔(20), 전등기구(30), 엘보우(40) 그리고 윈치기구(50)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가로등주(10)와 평형팔(20)과 전등기구(30)가 회전 또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가로등주(10)와 평형팔(20)과 전등기구(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또는 비철금속재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데 예시된 가로등주(1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사각,육각 등 다각형이나 원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시한 바와같이 평형팔(20)의 두께와 폭은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게 제조하는 것이 외관상으로도 좋고 무게중심이 후단부에 가깝게 위치하게 됨으로 상하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형팔(20)의 내부에는 두 줄의 전선(C1)과 두 줄의 와이어(54)가 통과되는 통공(22)이 각각 상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형팔(20)의 선단부에는 전등기구(30)측의 제1잭(34)과 접속되는 제1플러그(2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팔(20)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21)에의 뒤쪽에는 한쌍의 도르레(26)가 동축에 설치됨과 아울러 공간부(21)의 앞쪽에는 엘보우(40)측 제2플러그(43)와 접속되는 제2잭(24)이 내설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팔(20)의 중간과 후단부와의 중간에 엘보우(40)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41)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엘보우(40)의 상측 선단부에 지렛대식으로 연결된다.
전등기구(30)는 통상적인것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착탈가능한 투명한 커버(31)의 안쪽에서 전등(32)이 소켓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등기구(30)는 그 후단에 제1잭(34)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술한 평형팔(20)의 후단에 있는 제1플러그(23)와 접속된다. 또한, 평형팔(20)을 통과한 두 와이어(54)의 연장단부가 전등기구(30)의 후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공(33)을 통하여 각각 고정된다.
예시된 엘보우(40)는 일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 "형으로서 상부가 상하및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서 그 상측 선단부에는 평형팔(20)과 지렛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핀홀(4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엘보우(40)의 후면에는 평형팔(20)의 제2잭(24)과 접속되는 제2플러그(4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플러그(43)에는 지중으로부터 가로등주(10)의 내부로 연장된 전력선(C)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엘보우(40)의 후면에는 제2플러그(43)의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2조의 도르레(42)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보우(40)의 하부는 4각 단면으로써 가로등주(10)의 상단 외주면에 끼운상태에서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시된 가로등주(10)는 사각기둥형태로서 1m 정도의 높이에 윈치기구(50)가 설치된다.
도 1, 도 6a 및 도 6b에 예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치기구(50)는 가로등주(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래치(55)를 가지며 2줄의 와이어(54)가 권취된 드럼(51)과 이 드럼(5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핸들(56) 및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레버(57)로 구성된다.
상기한 드럼(51)의 외주면 중간에 있는 분할디스크의 양쪽편에 각각 와이어(54)가 권취되어 있으며, 드럼축(52)의 일단은 각형단면으로써 별도로 구비되는 크랭크형 핸들(56)을 끼워 수작업으로 드럼(5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핸들(56) 대신에 모터를 연결하여 드럼(51)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핸들(56)을 끼우는 반대쪽에는 휠(55a)과 스프링으로 탄지된 스토퍼(55b)로 구성된통상의 래치(5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래치(55)를 구성하는 스토퍼(55b)의 외측으로 각형으로된 끼움홈(55ba)을 형성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레버(57)를 연결한 후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드럼(51)은 브라켓(53)에 의하여 가로등주(10)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기기 및 외관 보호와 안전을 위하여 플라스틱재 또는 비철금속재로된 박스형태의 케이스(60)에 내장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케이스(60)를 구비할 경우에는 와이어(54)를 통과시키기 위한 장공(61)을 상면에 형성하고 우측면에는 각각 핸들(56)을 드럼축(52)에 연결하기 위한 제1삽입공(62)을 형성하고 우측면에는 레버(57)를 스토퍼(55b)에 연결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반원형으로 된 제2삽입공(63)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잭(24)과 제1플러그(23)에 전선(C1)을 연결하게 되며, 가로등주(10)의 상단에 엘보우(40)를 볼트로 체결하고 엘보우(40)의 핀홀(41)과 평형팔(2)의 핀홀(25)을 통하여 엘보우(40)의 상단에 평형팔(2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핀(P)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윈치기구(50)의 드럼(51)에 권취된 두줄의 와이어(54)를 가로등주(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시켜서 엘보우(40)의 두 도르레(42)와 평형팔(20)의 후단에 있는 도르레(26)에 차례로 건 다음 평형팔(20)의 좌우 양쪽 통공(22)을 통하여 평형팔(2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통과시키고 그 단부는 각각 전등기구(30)의 후단에 있는 고정공(33)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로등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평형팔(20) 및 전등기구(30)가 도로를 향하도록 가로등주(10)가 도로변에 설치되고 전력선(C)은 지중으로부터 가로등주(10)의 내부로 연장시켜 제2플러그(43)에 연결하면 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와이어(54)가 윈치기구(50)의 드럼(51)에 최대한 감긴상태에서는 제2플러그에 제2잭(24)이 접속되고 제1잭(34)에는 제1플러그(23)가 접속되므로 전력선(C)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등기구(30)의 전등(32)을 점등시킬 수 있고 래치(55)가 록킹상태를 유지하여 평형팔(20) 및 전등기구(30)가 도로쪽을 향하게 됨으로 평상시의 가로등 기능을 하게 된다.
만약, 전등기구(30)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핸들(56)을 드럼축(52)에 연결하고 레버(57)를 스토퍼(55b)에 끼움홈(55ba)에 연결한 후 레버(57)를 당기면 휠(55a)에서 스토퍼(55b)가 이격됨으로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면 평형팔(20)이 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잭(24)은 제1플러그(23)와 분리된다. 이때 핸들(56)을 잡고 와이어(54)의 풀림속도를 억제하여 평형팔(20)의 회전속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평형팔(2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회전하여 전등기구(30)가 지면을 향한다. 이후, 와이어(54)를 더 풀면 전등기구(30)가 평형팔(20)에서부터 분리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쪽으로 더욱 하강하게 된다.
전등기구(30)가 작업하기에 적당한 높이로 하강하면 레버(57)에서 힘을 제거하거나 스토퍼(55b)와 분리시켜 래치(55)를 록킹시키고 이때에는 핸들(56)에서 손을 떼고 있어도 전등기구(30)는 하강하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전등(32)과 부품의 교체 및 오염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하면 된다.
한편,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핸들(56)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54)가 권취기구의 드럼(51)에 감기게 되고 처음에는 전등기구(30)가 상향으로 당겨져서 평형팔(20)에 결합되고 이와동시에 제1플러그(23)와 제1잭(34)이 접속된다. 이후, 와이어(54)가 계속 드럼(51)에 감겨지면서 평형팔(20)의 후단에 있는 도르레(26)에 힘이 걸리면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평형팔(20)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평형팔(20)이 완전히 원상태로 회전되면 제2잭(24)과 제2플러그가 접속된다. 이때에는 평형팔(20) 및 전등기구(30)는 평상시의 모양을 갖추게 되고 핸들(56)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래치(55)가 드럼(51)을 록킹시켜주고 이 상태에서 전력선(C)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전등(32)을 점등시킬 수 있다.
부언하여, 전력선(C)을 따라 전등(32)에 공급되는 전압이 고압이기 때문에 윈치기구(50)를 작동하기 전에는 통상 1차전압측에 구비되는 임의의 스위치(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한 다음에 작업을 하면 상기한 잭과 플러그간의 착탈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기존의 구조로 제조되었거나 이미 설치된 가로등주(10)를 그대로 이용하여 윈치기구(50)를 적절히 설치하고 엘보우(40)와 평형팔(20)과 전등기구(30)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윈치기구(50)를 가로등주(10)의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케이스(60)를 구비하여 윈치기구(50)를 보호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대비할 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윈치기구(50)를 가로등주(10)의 하부에 내장시켜 외관을 단순하게 하고 윈치기구(50)를 보호하기 의한 별도의 구비하지 않아도 되나, 제2실시예와 작동 및 사용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윈치기구(50)가 가로등주(10)에 내장되기 때문에 드럼(51)에 감긴 두 개의 와이어(54)가 가로등주(1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엘보우(40)에 설치되는 2조의 도르레중 한쌍의 도르레(42)는 엘보우(40)의 내부에 설치하여 와이어(54)를 걸어 엘보우(40)의 외부로 유도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또한, 가로등주(10)의 양쪽면에 각각 핸들(56)을 삽입시켜 드럼축(52)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제1삽입공(12)과 레버(57)를 삽입시켜 스토퍼(55b)에 연결할 수 있는 제2삽입공(13)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윈치기구(50)를 설치 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한 점검구용 도어(11)를 구비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개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사용 및 작동이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가로등주(10)의 상단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평형팔(20)을 수직으로 회전시키고 이 평형팔(20)에 결합된 가로등주(10)를 지상에 가깝게 하강시켜 전등기구(30)를 유지보수한 후 다시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별도의 사다리나 특수차량이 없이 적은 인원으로도 간단히 가로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가로등 보수로 인한 도심의 교통정체를 유발시키지도 않고 고도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들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지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로등주(10)와 이 가로등주(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도로쪽으로 연장된 평형팔(20)과 이 평형팔(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등기구(30)로 구성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평형팔(20)이 상기 가로등주(10)의 상단부에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단은 상기 가로등주(10)의 상단에 고정하고 상단은 상기 평형팔(20)의 중간 임의위치에 지렛대식으로 연결한 엘보우(40)와, 드럼(51)에 권취된 와이어(54)의 일단이 복수개의 도르레(26)(42)에 의해 유도되고 가로등주(10) 및 평형팔(2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전등기구(30)의 후단에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가로등주(10)의 하부에 설치한 윈치기구(50)로 구성하여, 상기 윈치기구(5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평형팔(20)은 엘보우(40)에서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평형팔(20)의 선단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등기구(30)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54)의 단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평형팔(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팔(20)의 내부에는 두 줄의 전선(C1)과 두 줄의 와이어(54)가 통과되는 통공(22)이 각각 상하 좌우측에 형성되고, 평형팔(20)의 선단부에는 전등기구(30)측의 제1잭(34)과 접속되는 제1플러그(23)가 구비되며, 상기평형팔(20)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21)에는 한쌍의 도르레(26)가 동축에 설치됨과 아울러 엘보우(40)측 제2플러그(43)와 접속되는 제2잭(24)이 내설되며 상기 제2플러그(43)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C)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기구(50)는 일측에 래치(55)를 가지며 2줄의 와이어(54)가 권취된 드럼(51)과, 이 드럼(5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핸들(56)과, 상기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레버(5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1)은 그 드럼축(52)의 일단을 각형단면으로형성함으로서 이 드럼축(51)의 일단에 상기 핸들(56)을 연결하여 상기 드럼(5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래치(55)는 휠(55a)과 스프링으로 탄지된 스토퍼(55b)로 구성된 통상의 것을 상기 핸들(56)을 끼우는 반대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55b)의 외측으로 각형의된 끼움홈(55ba)을 형성함으로서 이 끼움홈(55ab)에 레버(57)를 연결하여 래치(55)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기구(50)가 가로등주(10)의 외주면 또는 가로등주(50)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20000022686A 2000-04-28 2000-04-28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035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686A KR100351266B1 (ko) 2000-04-28 2000-04-28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2020000012725U KR200198087Y1 (ko) 2000-04-28 2000-05-04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686A KR100351266B1 (ko) 2000-04-28 2000-04-28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725U Division KR200198087Y1 (ko) 2000-04-28 2000-05-04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487A KR20000037487A (ko) 2000-07-05
KR100351266B1 true KR100351266B1 (ko) 2002-09-12

Family

ID=1966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686A KR100351266B1 (ko) 2000-04-28 2000-04-28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2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88B1 (ko) 2007-01-20 2007-03-29 안명자 승강 회전식 가로등
KR100908039B1 (ko) 2006-05-16 2009-07-20 최성돈 전기 접속장치 및 전기 접속장치가 설치된 전기 시설물
WO2010027151A2 (ko) * 2008-09-02 2010-03-11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KR20190071132A (ko) 2017-12-14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35B1 (ko) * 2002-09-19 2005-12-08 주식회사 삼삼 교통 및 철도 현수용 신호등
KR100741525B1 (ko) * 2005-07-07 2007-07-23 주식회사 에스지산업 가로등
KR100757756B1 (ko) * 2007-06-26 2007-09-11 (주)삼진이아이씨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장치
KR101241853B1 (ko) * 2011-11-14 2013-03-11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가로등용 등기구의 추락방지구조체
KR101892465B1 (ko) * 2017-01-16 2018-08-31 김상우 절첩식 가로등 암
CN114992563B (zh) * 2022-07-12 2024-04-19 杭州博洲电器有限公司 一种快捷维修的路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656U (ko) * 1987-12-07 1989-08-09 오명공 가로등 전구의 교체 장치
US5171088A (en) * 1990-06-01 1992-12-15 Jc Decaux Lighting equipment
JPH0676613A (ja) * 1991-09-11 1994-03-18 Paruko:Kk 街路灯構造
KR970066257A (ko) * 1996-03-29 1997-10-13 박인복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KR19980015167U (ko) * 1996-09-06 1998-06-25 조장제 가로등 지주
KR19990000433U (ko) * 1997-06-10 1999-01-15 류근원 가로등 전구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656U (ko) * 1987-12-07 1989-08-09 오명공 가로등 전구의 교체 장치
US5171088A (en) * 1990-06-01 1992-12-15 Jc Decaux Lighting equipment
JPH0676613A (ja) * 1991-09-11 1994-03-18 Paruko:Kk 街路灯構造
KR970066257A (ko) * 1996-03-29 1997-10-13 박인복 등기구가 승하강되어 램프 교환이 용이한 가로등
KR19980015167U (ko) * 1996-09-06 1998-06-25 조장제 가로등 지주
KR19990000433U (ko) * 1997-06-10 1999-01-15 류근원 가로등 전구 교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39B1 (ko) 2006-05-16 2009-07-20 최성돈 전기 접속장치 및 전기 접속장치가 설치된 전기 시설물
KR100701788B1 (ko) 2007-01-20 2007-03-29 안명자 승강 회전식 가로등
WO2010027151A2 (ko) * 2008-09-02 2010-03-11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WO2010027151A3 (ko) * 2008-09-02 2010-06-24 Lim Yuseop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KR20190071132A (ko) 2017-12-14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48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53B1 (ko) 승강식 가로등
KR10035126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1145130B1 (ko) 절첩식 가로등주
KR101621016B1 (ko) 수리가 용이한 가로등 및 신호등 지주
KR200198087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등
KR101319694B1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20060055482A (ko) 도로의 방풍시설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KR200169474Y1 (ko) 다목적 전등주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CN112359877A (zh) 一种道路防护井盖及通道防护方法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JP2004006195A6 (ja) ワイヤー等を利用した電球交換等の故障復旧が容易にできる道路照明灯
JP2537740B2 (ja) 交通事故防止標識
KR100982742B1 (ko) 가로등
JP2004006195A (ja) ワイヤー等を利用した電球交換等の故障復旧が容易にできる道路照明灯
KR200223784Y1 (ko) 분리형 도로시설물용 철주
ITMI99080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stradale
KR102342460B1 (ko) 임시 신호등
KR200441277Y1 (ko) 가로등의 단자함 커버 설치구조
KR100704073B1 (ko) 굴절식 가로등
KR970001559Y1 (ko) 절첩식 교통신호대
CN211849044U (zh) 一种新型智能交通警示牌
CN221052443U (zh) 一种交通工程施工引导装置
KR200188783Y1 (ko) 접철식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