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694B1 - 현수막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694B1
KR101319694B1 KR1020130026644A KR20130026644A KR101319694B1 KR 101319694 B1 KR101319694 B1 KR 101319694B1 KR 1020130026644 A KR1020130026644 A KR 1020130026644A KR 20130026644 A KR20130026644 A KR 20130026644A KR 101319694 B1 KR101319694 B1 KR 10131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otating rod
ratchet wheel
fixing device
ban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수
Original Assignee
조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수 filed Critical 조덕수
Priority to KR102013002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을 차단막으로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가 이루어지면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구동부와 같이 외부에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전기구동장치를 배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면서 자동작동이 이루어지는 전기기기를 배제하여 습한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현수막 고정 장치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와 연통되게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을 가지는 한 쌍의 포스트와; 상기 수직장공에 대응되게 각각의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외부면에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가지며, 상기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키며 상기 회전봉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수동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고정 장치{PLACARD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현수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막을 차단막으로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가 이루어지면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구동부와 같이 외부에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전기구동장치를 배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면서 자동작동이 이루어지는 전기기기를 배제하여 습한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의 보행자사고 중 도로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망사고 비율이 아주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건널목 주변에서 건널목을 통해 횡단하지 않고 건널목을 이탈하여 도로를 횡단함에 따라 다양한 인명 손실을 유발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행자가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함에 따라 발생되는 인명사고를 방지하고자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나 도로의 중앙선상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에 체인이나 칸막이와 같은 패널형태의 펜스를 고정하여 보행자가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포스트와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은 도시의 미관을 저하시키고, 차량의 추돌 시에 차량 자체를 심하게 손상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3320호 "횡단 보도 표시기"(2010. 04. 29.)가 있으며, 이의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기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와 연통되게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12d)을 가지는 한 쌍의 포스트(10a, 11a)와, 상기 수직장공(12d)에 대응되게 각각의 상기 포스트(10a, 10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23a, 23b)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23a, 23b)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외부면에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가지며 상기 포스트(10a)와 포스트(11a) 사이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막(19)과, 상기 포스트(10a, 11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23a, 23b)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21a, 2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표시기에서 상기 차단막(19)으로 광고문구나 홍보문구가 인쇄되는 현수막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단막(19)의 양단을 회전봉의 사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구동부(21a, 21b)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봉(23a, 23b)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포스트(10a, 11a)의 사이에 상기 차단막(19)을 팽팽하게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표시기는 하나의 포스트(10a)의 상부에 조명등(10c)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포스트(11a)의 상부에 태양전지판(13a)이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3a)에서 생산되는 전원으로 상기 조명등(10c)의 점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모터구동부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구동됨에 따라 포스트를 도로와 인도의 사이로 야외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선을 상기 모터구동부에 연결하는 추가 매설 및 전선연결 작업이 소요되는 등 그 설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포스트 자체가 야외에 설치됨에 따라 우수와 같은 습한 환경에 노출되어 전기구동장치인 모터구동부가 습기에 의해 쉽게 훼손되거나 모터구동부에 누전이 발생되는 등 유지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과 조명등이 포스트의 상단으로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보행자가 보행 중에 손으로 상기 태양전지판과 조명등을 만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판과 조명등이 쉽게 손상되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3320호 "횡단 보도 표시기"(2010. 04. 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3320호 "횡단 보도 표시기"(2010. 04. 29.)를 개량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수막을 차단막으로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가 이루어지면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구동부와 같이 외부에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전기구동장치를 배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도록 하면서 자동작동이 이루어지는 전기기기를 배제하여 습한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회전봉이 포스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수동조작부를 구비하여 수동 조작에 의한 회전봉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뾰족한 기구물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회전봉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스트의 측면에 태양광 조명부를 설치하여 보행자에 의한 태양광 조명부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판을 통해 생성되는 전압의 감지를 통해 조명등의 점등이 주야간을 구별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스트의 상부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봉을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포스트의 내측에서 지면에 고장할 수 있도록 하여 포스트의 설치 후에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와 연통되게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을 가지는 한 쌍의 포스트와; 상기 수직장공에 대응되게 각각의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외부면에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가지며, 상기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키며 상기 회전봉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수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봉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이 관통되며 상기 걸림턱에 회전 가능하게 걸려 상기 회전봉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봉의 하부측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장착되는 래칫 휠과, 상기 래칫 휠의 하부로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 장착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칫 휠에 끼워져 상기 래칫 휠의 역회전을 방지시키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래칫 휠의 상부로 상기 회전봉의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는, 상기 포스트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에 의해 생산된 전력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는 태양광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태양광 조명부는, 상기 포스트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을 가리도록 상기 설치홈의 외면에 장착되는 투광성 재질의 조명커버와, 상기 포스트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과, 상기 장착공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포스트의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태양광 조명부는,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압감지회로를 가지는 전원제어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상기 포스트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커버와, 지면에 맞닿도록 상기 포스트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는 바닥판과, 지면에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수막을 차단막으로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가 이루어지면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구동부와 같이 외부에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전기구동장치를 배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며, 자동작동이 이루어지는 전기기기를 배제하여 습한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회전지지부의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회전봉이 포스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수동조작부를 구비하여 수동조작부의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수동 조작에 의한 회전봉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져 작동상의 편의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뾰족한 기구물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회전봉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의 측면에 태양광 조명부를 설치하여 보행자에 의한 태양광 조명부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태양광 조명부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을 통해 생성되는 전압의 감지를 통해 조명등의 점등이 주야간을 구별하여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점등 작동상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의 상부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봉을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포스트의 내측에서 지면에 고장할 수 있도록 하여 포스트의 설치 후에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전원 제어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현수막 고정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현수막 고정 장치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는 한 쌍의 포스트(100)와, 상기 포스트(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200)과, 상기 회전봉(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300)과, 상기 회전봉(200)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400)와, 상기 회전봉(2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100)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와 연통되게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101)을 가지는 것으로, 내부가 빈 중공된 사각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장공(101)은 상기 포스트(10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포스트(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봉(200)에 상기 차단막(30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스트(100)는 그 상단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커버(102)와, 지면에 맞닿도록 상기 포스트(100)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는 바닥판(103)과, 지면에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판(103)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공(1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단커버(102)는 상기 포스트(100)의 상부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포스트(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회전봉(200)을 손쉽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03)의 포스트(100)의 하단 내측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포스트(100)를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직립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볼트체결공(104)은 앵커나 고정볼트 등이 이를 통해 지면으로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103)이 지면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스트(100)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체결공(104)이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103)이 상기 포스트(100)의 하단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볼트체결공(104)을 통해 상기 포스트(100)를 지면에 고정하는 각종 앵커나 고정볼트의 노출부위가 상기 포스트(100)의 내측에 가려져 상기 포스트(100)의 전체적인 외관이 보다 미려해진다.
상기 회전봉(20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장공(101)에 대응되게 각각의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막(300)을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차단막(300)을 감아서 팽팽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막(300)은 각각의 상기 회전봉(200)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외부면에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부(30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100)와 포스트(100) 사이의 통행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차단막(300)은 광고나 홍보 문구가 인쇄된 현수막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400)는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봉(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회전지지부(400)는 상기 회전봉(20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턱(401)과,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200)이 관통되며 상기 걸림턱(401)에 회전 가능하게 걸려 상기 회전봉(20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402)와,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200)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봉(200)의 하부측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403)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401)은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상단 지지부재(402)에 걸려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상단 지지부재(402)와 하단 지지부재(403)는 그 사이에 상기 차단막(300)이 설치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회전봉(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동조작부(500)는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2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키며 상기 회전봉(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동조작부(500)는 상기 회전봉(200)의 하단에 장착되는 래칫 휠(501)과, 상기 래칫 휠(501)의 하부로 상기 포스트(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설치판(502)과, 상기 설치판(502)의 상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칫 휠(501)에 끼워져 상기 래칫 휠(501)의 역회전을 방지시키는 멈춤쇠(503)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휠(501)과 멈춤쇠(503)는 사용자가 외력으로 상기 회전봉(200)을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봉(20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멈춤쇠(503)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래칫 휠(501)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설치판(502)은 상기 포스트(100)의 내측에 상기 멈춤쇠(503)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조작부(500)는 상기 래칫 휠(501)의 상부로 상기 회전봉(200)의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5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504)은 사용자가 뾰족한 기구물을 끼워서 상기 회전봉(200)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현수막 고정 장치는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조명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태양광에 의해 생산된 전력으로 상기 포스트(100)의 외측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설치홈(601)과, 상기 설치홈(6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등(602)과, 상기 조명등(602)을 가리도록 상기 설치홈(601)의 외면에 장착되는 투광성 재질의 조명커버(603)와,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604)과, 상기 장착공(604)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태양전지판(605)과,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606)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상기 충전지(606)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지(606)에 충전된 전기를 상기 조명등(602)에 공급하여 상기 조명등(602)이 점등되며, 점등된 상기 조명등(602)의 빛이 상기 조명커버(603)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어 상기 포스트(100)의 외측을 향해 조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홈(601)은 상기 조명등(602)과 조명커버(603)가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조명등(602)은 낮은 전력으로도 높은 휘도를 가지는 할로겐등이나 엘이디(LED)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공(604)은 상기 태양전지판(605)이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605)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등(60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압감지회로를 가지는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은 상기 태양전지판(60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충전지(606)에 저장하고 상기 충전지(606)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조명등(602)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제어 인쇄회로기판은 내부에 설치되는 전압감지회로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판(60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태양광이 없는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조명등(602)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게 된다. 즉, 태양광이 없는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태양전지판(60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통해 감지하여 이 경우에 상기 조명등(602)에 상기 충전지(606)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조명등(602)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반대로 전압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602)이 소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스트(100)의 수직장공(101)을 통해 회전봉(200)에 차단막(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회전봉(200)을 잡고 회전 가능한 일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봉(200)에 상기 차단막(300)의 일단을 감음으로써, 상기 회전봉(200)의 사이에서 상기 차단막(300)을 팽팽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뾰족한 기구물을 삽입홈(504)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봉(200)을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상기 회전봉(2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차단막(300)이 보다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봉(200)이 일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봉(200)의 하단에 장착되는 래칫 휠(50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즉 상기 래칫 휠(501)의 치형이 상기 멈춤쇠(503)를 탄성적으로 요동시키면서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봉(200)의 회전을 멈추면, 상기 멈춤쇠(503)가 상기 래칫 휠(501)의 치형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봉(200)에 상기 차단막(300)이 감긴 상태로 상기 회전봉(200)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봉(200)에 감긴 상기 차단막(300)을 풀려고 할 때는 상기 멈춤쇠(503)에 의해 상기 래칫 휠(501)의 고정을 해제하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기 멈춤쇠(503)를 외측으로 각회전시켜 상기 래칫 휠(501)의 치형에서 상기 멈춤쇠(503)를 이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멈춤쇠(503)에 의한 상기 회전봉(200)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래칫 휠(501)이 역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봉(200)이 역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회전봉(200)에 감긴 상기 차단막(300)을 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해 상기 멈춤쇠(503)는 상기 설치판(50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판(502)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래칫 휠(501)의 치형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멈춤쇠(503)에 의한 고정을 해제할 때 사용자는 상기 멈춤쇠(503)를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회전시킨 상기 멈춤쇠(503)를 놓으면 상기 멈춤쇠(503)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래칫 휠(501)의 치형에 맞물리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전원 제어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현수막 고정 장치의 전원 제어 상태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의 제어에 의해 충전지(606)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에 설치된 전압감지회로(608)가 상기 태양전지판(605)으로부터 들어오는 전압을 감지하면,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은 상기 태양전지판(605)이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지(60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태양전지판(605)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상기 충전지(606)에 저장된다.
반대로, 야간이나 우천 또는 악천후 시에 즉, 태양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에 설치된 전압감지회로(608)가 상기 태양전지판(605)으로부터 생산되는 전압이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은 상기 태양전지판(605)이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지(606)와 조명등(60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충전지(606)에 저장되어 있던 전력이 상기 조명등(602)으로 공급되어 상기 조명등(602)이 점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은 주야를 구별하여 상기 조명등(602)의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포스트
101 : 수직장공 102 : 상단커버
103 : 바닥판 104 : 볼트체결공
200 : 회전봉
300 : 차단막
301 : 인쇄부
400 : 회전지지부
401 : 걸림턱 402 : 상단 지지부재
403 : 하단 지지부재
500 : 수동조작부
501 : 래칫 휠 502 : 설치판
503 : 멈춤쇠 504 : 삽입홈
600 : 태양광 조명부
601 : 설치홈 602 : 조명등
603 : 조명커버 604 : 장착공
605 : 태양전지판 606 : 충전지
607 : 전원제어 회로기판 608 : 전압감지회로

Claims (8)

  1.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와 연통되게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장공(101)을 가지는 한 쌍의 포스트(100)와;
    상기 수직장공(101)에 대응되게 각각의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200)과;
    각각의 상기 회전봉(200)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외부면에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부(301)를 가지며, 상기 포스트(100)와 포스트(100) 사이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막(300)과;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400)와;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봉(2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키며 상기 회전봉(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수동조작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태양광에 의해 생산된 전력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는 태양광 조명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설치홈(601)과,
    상기 설치홈(6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등(602)과,
    상기 조명등(602)을 가리도록 상기 설치홈(601)의 외면에 장착되는 투광성 재질의 조명커버(603)와,
    상기 포스트(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장착공(604)과,
    상기 장착공(604)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태양전지판(605)과,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605)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6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400)는,
    상기 회전봉(20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턱(401)과,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200)이 관통되며 상기 걸림턱(401)에 회전 가능하게 걸려 상기 회전봉(20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402)와,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200)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봉(200)의 하부측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500)는,
    상기 회전봉(200)의 하단에 장착되는 래칫 휠(501)과,
    상기 래칫 휠(501)의 하부로 상기 포스트(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설치판(502)과,
    상기 설치판(502)의 상면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칫 휠(501)에 끼워져 상기 래칫 휠(501)의 역회전을 방지시키는 멈춤쇠(5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500)는,
    상기 래칫 휠(501)의 상부로 상기 회전봉(200)의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5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조명부(600)는,
    상기 포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605)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등(60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전압감지회로(608)를 가지는 전원제어 회로기판(6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0)는,
    상기 포스트(100)의 상부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100)의 상단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커버(102)와,
    지면에 맞닿도록 상기 포스트(100)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는 바닥판(103)과,
    지면에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판(103)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체결공(1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 장치.
KR1020130026644A 2013-03-13 2013-03-13 현수막 고정 장치 KR10131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44A KR101319694B1 (ko) 2013-03-13 2013-03-13 현수막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44A KR101319694B1 (ko) 2013-03-13 2013-03-13 현수막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694B1 true KR101319694B1 (ko) 2013-10-17

Family

ID=4963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44A KR101319694B1 (ko) 2013-03-13 2013-03-13 현수막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6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77B1 (ko) * 2014-05-21 2014-12-02 주식회사 대한 무단횡단 계도장치
KR101663930B1 (ko) 2016-04-25 2016-10-07 (주)디자인이룸 현수막 거치장치
KR101997586B1 (ko) * 2019-03-05 2019-07-08 류형우 현수막 게시대
KR102446913B1 (ko) * 2022-04-22 2022-09-23 이광호 현수막 게시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320A (ko) * 2008-10-20 2010-04-29 조덕수 횡단 보도 표시기
KR20120066482A (ko) * 2010-12-14 2012-06-22 전진욱 현수막 게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320A (ko) * 2008-10-20 2010-04-29 조덕수 횡단 보도 표시기
KR20120066482A (ko) * 2010-12-14 2012-06-22 전진욱 현수막 게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77B1 (ko) * 2014-05-21 2014-12-02 주식회사 대한 무단횡단 계도장치
KR101663930B1 (ko) 2016-04-25 2016-10-07 (주)디자인이룸 현수막 거치장치
KR101997586B1 (ko) * 2019-03-05 2019-07-08 류형우 현수막 게시대
KR102446913B1 (ko) * 2022-04-22 2022-09-23 이광호 현수막 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694B1 (ko) 현수막 고정 장치
JP2008210711A (ja) 街路灯
CN208533398U (zh) 一种新型公路养护道路警示牌
US20110107633A1 (en) Illuminated sign with supports
KR200450218Y1 (ko) 가로등주에 설치되는 메시지 표시장치
KR102222663B1 (ko) 지주 설치용 태양광패널 각도 조절장치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KR101522590B1 (ko) 조명등을 구비한 광고용배너 거치대
KR101222895B1 (ko) 태양광 보안등 장치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390938Y1 (ko)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1227656B1 (ko) 광고물 부착 방지 및 안내광고판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기구
KR200436939Y1 (ko) 배너 스탠드
KR102019666B1 (ko) 엘이디 전구를 이용한 광시스템
KR20100007583A (ko) 회전식 사인보드가 설치된 자가발전형 가로등
KR200170732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02601B1 (ko) 엘이디 보도 안전 장치
ES1070174U (es) Dispositivo piezoelectrico de iluminacion de pasos de cebra con contador opcional de paso de vehiculos.
KR200333970Y1 (ko) 태양광으로 동작되는 가로등과 엘이디 전광판을 구비한자동 현수막 게시대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KR20010058787A (ko) 현수막 게시대 및 걸이 장치
KR101062074B1 (ko) 수납형 조명 볼라드
KR20150000864U (ko) 간판 조명등의 설치지지대
KR10234340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