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375B1 -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375B1
KR101737375B1 KR1020160173041A KR20160173041A KR101737375B1 KR 101737375 B1 KR101737375 B1 KR 101737375B1 KR 1020160173041 A KR1020160173041 A KR 1020160173041A KR 20160173041 A KR20160173041 A KR 20160173041A KR 101737375 B1 KR101737375 B1 KR 10173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ssembly
camera
assembly
bel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무상
Original Assignee
(주)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오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17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결합이 견고하고 투광등 어셈블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카메라 어셈블리 승강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소에 설치되고 소정의 영역을 촬영영역으로 하여 상기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구동함체 및 상기 구동함체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어함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함체는 고소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승강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에 따라 벨트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가 관통되며 복수 개의 상부접속핀이 구비된 상부소켓; 상기 벨트의 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상기 벨트에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상부소켓에 접속되어 상기 상부접속핀에 대응되는 하부접속핀이 구비된 하부소켓; 및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에 대한 촬영을 제어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에 상기 승강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소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AUTO-LIFT AND CAMERA SYSTEM}
본 발명은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결합이 견고하고, 투광등 어셈블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카메라 어셈블리 승강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CCTV, Closed-Circuit TeleVision)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정보를 소수의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정보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화상정보를 통해서 특정 소수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며, 용도에 따라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방식을 말한다. 상기 CCTV 시스템은 보안 감시용, 산업용, 차량의 화상감시용 또는 교통관리용 등 다양하고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CCTV)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출입 현관문, 주차장 입구, 산책로 및 놀이터 등에 설치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실시간 감시를 원격지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카메라는 고소(高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는 주기적으로 점검, 유지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장비, 예를 들면 고소작업차 또는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접근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소에 위치한 카메라에 접근하는 방식은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작업시 공구 및 장치 등이 낙하되어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유지 및 보수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299121호에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기술은 CCTV 카메라와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 및 상기 릴이 장착되는 정역모터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호 분리가능한 암수소켓 및 상기 암수소켓 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수소켓의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CCTV 카메라에 고정되는 소켓부; 상기 돌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보드 및 RX 보드로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무선 연결되는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상/하로 리프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87242호에는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수직바 또는 보호함체의 내부에 감시카메라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를 승강시키는 윈치가 구비되어, 상기 윈치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들은 모두 카메라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카메라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지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승하강 가능한 카메라와 이를 고정하는 함체와의 결합이 소켓의 끼움결합에 의해서 고정됨에 따라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결합방향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카메라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에 통신케이블이 내장되거나 또는 통신케이블 자체가 와이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더하여,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명하는 조명등은 카메라와 별도로 구성되어 조명등에 이상 발생시에는 고소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299121 B1 (2013. 08. 16.) KR 10-1587242 B1 (2016. 01. 1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상에서 카메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이 가능하고,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신호 전송에 따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카메라 어셈블리에 투광등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동작에 따라 투광등 어셈블리가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투광등 어셈블리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은, 고소에 설치되고 소정의 영역을 촬영영역으로 하여 상기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구동함체 및 상기 구동함체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함체는 고소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승강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작에 따라 벨트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가 관통되며 복수 개의 상부접속핀이 구비된 상부소켓; 상기 벨트의 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상기 벨트에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상부소켓에 접속되어 상기 상부접속핀에 대응되는 하부접속핀이 구비된 하부소켓; 및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에 대한 촬영을 제어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에 상기 승강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소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접속핀은 상기 상부소켓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에는 상기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투광등 어셈블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함체는 이동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서 상기 구동함체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하강되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고정이 견고하고, 접속에 따른 신호 손실을 방지하여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영상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뒤틀림 및 연결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촬영 영상신호의 손실없이 연속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승강되는 카메라 어셈블리에 투광등 어셈블리가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의 유지 보수뿐만 아니라 투광등 어셈블리의 유지 보수를 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구동함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상부접속핀과 하부접속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상부접속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서 촬영부가 하강되는 상태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중앙제어 장치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승강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결합이 견고하고, 투광등 어셈블리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카메라 어셈블리 승강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구동함체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은 구동함체(10) 및 제어함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함체(10)를 고소에 설치하기 위한 지주(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함체(10)는 하우징(100), 구동모터(200), 릴(300), 상부소켓(400), 카메라 어셈블리(500), 하부소켓(600), 제어 어셈블리(700) 및 투광등 어셈블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박스형 또는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구동모터(200), 릴(300), 상부소켓(400) 및 제어 어셈블리(700)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보조 카메라(9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주변 고소 고정물(예를 들면, 건물의 외벽 또는 전신주 등)에 설치가 불가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주(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30)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 프레임(31)과 상기 수직 프레임(31)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평 프레임(32)의 선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승강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동작된다.
상기 릴(300)은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벨트(310)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벨트(310)가 권취되고,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벨트(310)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310)는 누전 및 단락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고, 반복된 권취 및 권출 작동에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절연성과 일정 강도를 갖는 섬유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310)는 상기 릴(200)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꼬임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꼬임현상은 절연밴드의 폭이 넓거나 두께가 두꺼울수록 억제될 수 있고, 꼬이는 경우에도 곧바로 풀리게 된다. 그러나 폭과 두께가 증가될수록 부담되는 무게가 증가됨에 따라 폭과 두께는 적절한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벨트(310)에는 꼬임을 방지하게 위한 꼬임 방지 돌기(도면에 미표시)가 상기 벨트(31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벨트(310)는 상기 상부소켓(40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벨트(310)의 끝단에는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상기 릴(3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웜휠과 웜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200)의 회전축에는 웜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릴(300)의 회전축에는 상기 웜기어에 이맞물림되는 웜휠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전달수단으로 웜기어 및 웜휠이 사용되면 의도하지 않는 릴(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소켓(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310)가 관통되며 복수 개의 상부접속핀(4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속핀(410)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소켓(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핀(41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상기 벨트(310)의 선단(끝단)에 설치되어,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510) 및 상기 카메라(5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호캡(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510)는 촬영제어신호에 따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조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고성능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고, 촬영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자세제어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자세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510)의 촬영방향 및 배율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입력된 촬영방향제어신호에 따라 패닝(panning) 각도, 틸팅(tilting) 각도 및 줌인/아웃(zoom-in & out) 배율이 조절된다.
여기서, 패닝은 좌우로 수평적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틸팅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줌인/아웃은 특정 지역을 확대/축소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소켓(600)은 상기 벨트(310)에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상부소켓(400)에 접속되어 상기 상부접속핀(410)에 대응되는 하부접속핀(61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에 따라 릴(300)의 구동에 의해 벨트(310)가 권취되게 되면, 상기 하부소켓(600)은 상기 상부소켓(400)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소켓(400)에 구비된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소켓(600)에 구비된 하부접속핀(6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접속핀(410)과 상기 하부접속핀(610)은 1:1로 대응하되, 영상촬영신호, 촬영방향제어신호, 자세제어신호 및 전원공급을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소켓(400)과 상기 하부소켓(600)의 물리적인 결합을 위해서, 상기 상부소켓(400)에는 요홈(42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소켓(600)에는 상기 요홈(420)에 삽입되는 돌기(620)가 구비된다.
즉, 릴(300)의 권취 동작에 따라 하부소켓(600)이 상부소켓(400)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돌기(620)가 상기 요홈(420)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소켓(600)과 상부소켓(400)의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620)와 요홈(420)은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의 접속방향을 안내하여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의 전기적 연결시 틀어짐을 방지한다. 이에, 상기 돌기(620)와 요홈(420)은 적어도 2 ~ 4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어셈블리(700)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에 대한 촬영을 제어하거나 상기 구동모터(200)에 상기 승강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어셈블리(700)는 촬영방향 검출부(710), 촬영방향 제어부(720), 촬영제어부(730), 구동모터 제어부(740), 조도 검출부(750), 투광등 제어부(760) 및 통신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은 별도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감지장치와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감지장치 중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감지장치의 감지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촬영방향 검출부(710)는 상기 복수 개의 감지장치 중에서 감지신호를 송출한 감지장치로 촬영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촬영방향 제어부(720)는 상기 촬영방향 검출부(710)에서 검출된 촬영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510)의 자세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자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자세제어신호는 카메라(510)에 대한 패닝(panning) 각도, 틸팅(tilting) 각도 및 줌인/아웃(zoom-in & out) 배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닝 각도, 틸팅 각도 및 배율은 카메라(510)를 기준으로 감시장치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촬영제어부(730)는 촬영의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촬영 시작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510)를 구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며, 촬영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510)의 촬영을 정지한다.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740)는 수신된 승강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승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200)를 정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릴(300)에 벨트(310)가 권취되고, 벨트(310)의 권취에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상승하여 하부소켓(600)이 상부소켓(400)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반대로, 하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200)를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릴(300)에 권취된 벨트(310)가 권출되고, 벨트(310)의 권출에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하강하여 하부소켓(600)이 상부소켓(4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하강에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지상에서 유지 보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도 검출부(750)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의 주변 조도를 검출한다. 이에, 상기 조도 검출부(750)에는 조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광등 제어부(760)는 상기 조도 검출부(750)에서 검출된 조도신호에 근거하여 투광등 어셈블리(800)에 점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770)는 제어함체(2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함체(20)로부터 영상촬영신호, 촬영방향제어신호, 자세제어신호 및 승강제어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는 제어 어셈블리(700)에 구성된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장치로 출력된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770)를 통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함체(20)를 경유하여 중앙제어 장치(50)로 전송되거나 직접 중앙제어 장치(5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770)는 유선 및/또는 무선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중에서 무선통신이 채용된 경우,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Band) 및 ZigBee 등의 통신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는 촬영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간에 피사체의 식별력을 증가시키거나 접근하는 피사체에 경각심을 일으키도록 광원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는 촬영 가능한 촬영영역 전부를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510)의 촬영방향과 동기화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도 승강되게 된다.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래킷(810)과 상기 브래킷(810)에 설치되는 투광등(8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에 설치됨으로써, 승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를 지상으로 하강시킬 수 있고, 이에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를 지상에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투광등 어셈블리(800)에 인가되는 전원은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의 전기적 접속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보조 카메라(900)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 동작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전방위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상부접속핀과 하부접속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상부접속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접속핀(410)은 상부소켓(400)에 고정되는 몸체(411), 상기 몸체(411)의 하부측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412), 상기 몸체(4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41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13) 및 상기 몸체(41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411)와 상기 탄성스프링(413)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패드(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이 이격된 상태(도 4의 (a))에서는 상기 상부접속핀(410)의 플런저(412)가 탄성스프링(413)에 의해서 하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도 4의 (b))에서는 상기 상부접속핀(410)의 플런저(412)가 상기 하부접속핀(610)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인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접속핀(410)과 하부접속핀(610)의 전기적 접속은 몸체(411)와 플런저(412)를 통하여 상기 상부접속핀(410)이 상기 하부접속핀(610)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플런저(41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13)은 절연패드(414)에 의해서 전기적 접속에 관여하지 않고, 상기 플런저(412)를 탄성지지하는 역할만 수행하게 된다.
탄성스프링이 전기적 접속의 매개체로 관여하게 되면, 코일 특성에 따라 발열이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발열에 의해 전기 저항이 증가되어 신호 손실이 발생되고, 특히 촬영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41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13)은 전기적 접속의 매개체로 관여하지 않게 되어,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절연패드(414)는 상기 탄성스프링(413)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413)의 수축을 가이드하도록 함몰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함체(20)는 상기 구동함체(10)에서 촬영된 영상이 중앙제어 장치(5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중앙제어 장치(50)에서 전송되는 승하강제어신호를 상기 구동함체(10)로 전송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계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함체(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함체(2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에 의해 발생된 승강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함체(10)로 전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함체(20)와 상기 이동단말기(40)의 근거리 통신을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40)에는 상기 제어함체(20)에 접속하여 상기 구동함체(10)를 제어하기 위한 오토리프트 카메라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함체(20)에는 상기 오토리프트 카메라용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로직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중앙제어 장치(50)는 상기 구동함체(10)에서 출력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서버(51)와 상기 수신된 촬영영상을 실시간 또는 상기 서버(51)에 저장 관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51)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구현되어 영상촬영신호, 촬영방향제어신호, 자세제어신호 및 승강제어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고, 수신된 촬영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55)는 수신된 복수의 촬영영상을 표시하도록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설계조건에 따라서 1개의 디스플레이에 다수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제어 장치(50)를 통해 중앙 집중식 감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현장에 설치된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 설치된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을 원격에서 제어함에 따라 보안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은 승강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구동함체(10)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거나 또는 상승하여 상기 구동함체(10)에 결합된다. 이에, 구동함체(10)에서 분리된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상기 구동함체(10)의 직하방으로 하강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구동함체(10)는 도로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동함체(10)에서 분리된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자동차가 진행하는 도로의 상부로 유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경과에 따라 구동함체(10)와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벨트(310)가 노후화되거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상기 구동함체(10)에서 이탈되어 낙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행자 또는 자동차에 2차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지주 또는 원하는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일(60), 이동체(61) 및 와이어(62)가 설치(도 1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레일(60)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60)의 하부는 수직 프레임(31)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상부는 만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선단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61)는 상기 레일(60)에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와이어(62)는 상기 이동체(61)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서 촬영부가 하강되는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연결된 와이어(62)에 의해서 상기 레일(60)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어셈블리의 상승 또는 하강시 카메라 어셈블리의 직하방 영역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분리에 대하여 카메라 어셈블리의 추락에 의한 파손과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중앙제어 장치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승강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제어 장치(50)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승강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는 제어 대상의 카메라 어셈블리가 설치된 구동함체를 선택하기 위한 오토리프트 선택 인터페이스, 구동함체와 카메라 어셈블리와의 접속 상태와 설정높이를 표시하는 오토리프트 상태 인터페이스 및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오토리프트 동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토리프트 선택 인터페이스에는 IP 주소로 구성되어 구동함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50a), 중앙제어 장치(50)와 구동함체(10)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버튼(50b) 및 중앙제어 장치(50)와 구동함체(10)의 통신 연결을 분리하기 위한 해제 버튼(50c)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선택 인터페이스(50a)에는 접속 가능한 구동함체의 IP 주소가 셀렉트 메뉴바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PING 테스트 신호를 통해 연결 가능한 구동함체의 IP 주소와 연결이 불가능한 구동함체의 주소가 구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가능한 구동함체의 IP 주소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연결이 불가능한 구동함체의 주소는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연결이 불가능한 구동함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선택 인터페이스(50a)에 표시되는 IP 주소를 선택한 후 접속 버튼(50b)을 선택하게 되면, 중앙제어 장치(50)와 구동함체(10)는 통신이 가능한 접속상태로 유지되고, 해제 버튼(50c)이 선택되면 중앙제어 장치(50)와 구동함체(10)의 통신 연결이 분리되게 된다.
상기 오토리프트 상태 인터페이스에는 구동함체의 전원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인터페이스(50d), 구동함체와 카메라 어셈블리와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접점 인터페이스(50e) 및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정 높이 여부를 표시하는 높이 설정 인터페이스(50f)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버튼(300b)을 선택하게 되면, 중앙제어장치(50)와 구동함체(10)는 통신 가능한 접속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중앙제어장치(50)는 구동함체(10)로부터 전원의 인가 여부, 접속 여부 및 높이 설정 여부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50d), 접점 인터페이스(50e) 및 높이 설정 인터페이스(50f)에 표시한다.
즉, 전원 인터페이스(50d)에는 구동함체로 전원의 인가 여부가 색을 달리하여 표시되고, 접점 인터페이스(50e)에는 구동함체와 카메라 어셈블리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높이 설정 인터페이스(50f)에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높이가 설정된 경우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접속 버튼(50b)의 선택에 따라 중앙제어 장치(50)와 구동함체가 연결되어, 구동함체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전원 인터페이스(50d)에는 적색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구동함체에 카메라 어셈블리가 접속된 것으로 검출되면 접점 인터페이스(50e)에는 황색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되며, 카메라 어셈블리의 높이가 설정된 경우에는 녹색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토리프트 동작 인터페이스에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정 높이를 표시하는 설정 높이 인터페이스(50g),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높이를 표시하는 현재 높이 인터페이스(50h), 카메라 어셈블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버튼(50i), 카메라 어셈블리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 버튼(50j),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정 높이에 대응하여 현재의 높이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바 인터페이스(50k),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50l) 및 구동함체와 카메라 어셈블리를 재접속시키기 위한 리셋 버튼(50m)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승 버튼(50i)의 선택에 따라 구동함체(10)의 구동모터(200)를 구동하여 릴(300)을 회전시키고, 릴(300)의 회전에 따라 벨트(310)를 권취하여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하강 버튼(50j)의 선택에 따라 구동함체(10)의 구동모터(200)를 구동하여 릴(300)을 회전시키고, 릴(300)의 회전에 따라 벨트(310)를 권출하여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승 버튼(50i) 및 하강 버튼(50j)은 선택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승 버튼(50i) 및 하강 버튼(50j)의 선택을 해제하여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정지 버튼(50l)이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상승 버튼(50i) 및 하강 버튼(50j)은 선택되는 동안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정지 버튼(50l)의 구성은 배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강 버튼(50j)의 선택에 의해 구동함체(10)에서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하강하여 구동함체와 카메라 어셈블리의 접속이 해제되게 되면, 상기 접점 인터페이스(50e)의 점등은 소등되고, 보조 카메라(900)가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 카메라(9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중앙제어 장치(50)로 전송되어 표시되게 되며,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게이지바 인터페이스(50k)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정 높이에 대응하여 현재의 높이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현재 높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상승 버튼(50i)은 접점 인터페이스(50e)와 연계하여 상기 상승 버튼(50i)을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승 버튼(50i)의 선택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상승하여 구동함체(10)에 접속되게 되면, 접점 인터페이스(50e)에는 접점에 의해 램프가 점등되고, 접점 인터페이스(50e)의 램프가 점등되면 상기 상승 버튼(50i)의 선택을 정지하여 구동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강 버튼(50j)은 현재 높이 인터페이스(50h)와 연계하여 하강 버튼(50j)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강 버튼(50j)의 선택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하강하여 현재 높이 인터페이스(50h)의 표시값이 "0"이 되면, 상기 하강 버튼(50j)의 선택을 정지하여 구동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셋 버튼(50m)은 구동함체(10)와 카메라 어셈블리(500)와의 불안정한 접속상태를 재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리셋 버튼(50m)의 선택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소정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여 구동함체(10)에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하강되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고정이 견고하고, 접속에 따른 신호 손실을 방지하여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영상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와 구동함체와의 뒤틀림 및 연결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촬영 영상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가 구동함체에서 하강하여 접속이 해제되면 보조 케메라가 작동하여 연속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제어 장치에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강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승하강되는 카메라 어셈블리에 투광등 어셈블리가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의 유지 보수뿐만 아니라 투광등의 유지 보수를 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구동함체 20: 제어함체
30: 지주 31: 수직 프레임
32: 수평 프레임 40: 이동단말기
50: 중앙제어 장치 51: 서버
55: 디스플레이 60: 레일
61: 이동체 62: 와이어
100: 하우징 200: 구동모터
300: 릴 310: 벨트
400: 상부소켓 410: 상부접속핀
411: 몸체 412: 플런저
413: 탄성스프링 414: 절연패드
420: 요홈 500: 카메라 어셈블리
510: 카메라 520: 보호캡
600: 하부소켓 610: 하부접속핀
620: 돌기 700: 제어 어셈블리
710: 촬영방향 검출부 720: 촬영방향 제어부
730: 촬영제어부 740: 구동모터 제어부
750: 조도 검출부 760: 투광등 제어부
770: 통신부 800: 투광등 어셈블리
810: 브래킷 820: 투광등
900: 보조 카메라

Claims (5)

  1. 고소에 설치되고 소정의 영역을 촬영영역으로 하여 상기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구동함체(10) 및 상기 구동함체(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제어 장치(50)를 포함하는 오토리프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함체(10)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 프레임(31)과 상기 수직 프레임(31)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32)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승강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되는 구동모터(200);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동작에 따라 벨트(310)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릴(300);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310)가 관통되며 복수 개의 상부접속핀(410)이 구비된 상부소켓(400);
    상기 벨트(310)의 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어셈블리(500);
    상기 벨트(310)에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상부소켓(400)에 접속되어 상기 상부접속핀(410)에 대응되는 하부접속핀(610)이 구비된 하부소켓(600); 및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로 상기 구동모터(200)에 상기 승강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410)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소켓(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과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부는 만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선단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60);
    상기 레일(60)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이동체(61); 및
    상기 이동체(61)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와이어(62);
    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연결된 상기 와이어(62)에 의해서 상기 레일(6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프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속핀(410)은,
    상기 상부소켓(400)에 고정되는 몸체(411);
    상기 몸체(411)의 하부측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412);
    상기 몸체(411)의 내부에서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41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13); 및
    상기 몸체(41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411)와 상기 탄성스프링(413)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패드(4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프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에는,
    상기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투광등 어셈블리(8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프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단말기(4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서 상기 구동함체(10)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50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함체(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프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
KR1020160173041A 2016-12-16 2016-12-16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KR10173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041A KR101737375B1 (ko) 2016-12-16 2016-12-16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041A KR101737375B1 (ko) 2016-12-16 2016-12-16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375B1 true KR101737375B1 (ko) 2017-05-29

Family

ID=5905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041A KR101737375B1 (ko) 2016-12-16 2016-12-16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3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8127A (zh) * 2017-10-09 2018-02-09 南京中高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停车场监控系统及其工作方法
CN109167976A (zh) * 2018-10-26 2019-01-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新型车辆近电作业一体化提醒装置
KR101988170B1 (ko) 2017-12-22 2019-06-11 송무상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CN110365940A (zh) * 2019-07-02 2019-10-22 齐宽宽 一种具有除尘功能的便捷型户外监控电子眼
CN111225148A (zh) * 2020-01-17 2020-06-02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摄像头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2198523B1 (ko) * 2020-07-29 2021-01-05 이병묵 장소 이동이 용이한 승강식 영상녹화장치
CN115694357A (zh) * 2022-09-22 2023-02-03 北京智盟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智能移动诊断终端和系统
CN116261029A (zh) * 2023-02-10 2023-06-13 领先科技(东台)有限公司 一种线性摄像头的隐藏式马达总成
KR102638944B1 (ko)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21B1 (ko) *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21B1 (ko) *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8127A (zh) * 2017-10-09 2018-02-09 南京中高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停车场监控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988170B1 (ko) 2017-12-22 2019-06-11 송무상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CN109167976A (zh) * 2018-10-26 2019-01-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新型车辆近电作业一体化提醒装置
CN109167976B (zh) * 2018-10-26 2024-02-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车辆近电作业一体化提醒装置
CN110365940A (zh) * 2019-07-02 2019-10-22 齐宽宽 一种具有除尘功能的便捷型户外监控电子眼
CN111225148A (zh) * 2020-01-17 2020-06-02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摄像头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2198523B1 (ko) * 2020-07-29 2021-01-05 이병묵 장소 이동이 용이한 승강식 영상녹화장치
CN115694357A (zh) * 2022-09-22 2023-02-03 北京智盟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智能移动诊断终端和系统
CN115694357B (zh) * 2022-09-22 2023-11-10 北京智盟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智能移动诊断终端和系统
CN116261029A (zh) * 2023-02-10 2023-06-13 领先科技(东台)有限公司 一种线性摄像头的隐藏式马达总成
CN116261029B (zh) * 2023-02-10 2024-03-12 领先科技(东台)有限公司 一种线性摄像头的隐藏式马达总成
KR102638944B1 (ko)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375B1 (ko)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JP6082845B2 (ja) Cctvカメラの維持・補修用のオートリフト装置
KR101299121B1 (ko)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EP3115687B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AU2015323977B2 (en) Garage monitor
KR101737380B1 (ko) 오토리프트, 카메라 및 감지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7064607A (zh) 一种电力设备巡检仪及系统
KR101084664B1 (ko) 전력구 감시 시스템
KR101037658B1 (ko) 전기 시설물
KR101498645B1 (ko)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1634728B1 (ko) 타워크레인 안전장치
US20080117064A1 (en) Fire detector having a lifting function
KR20190047587A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8170B1 (ko)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KR20130131917A (ko) 이동형 관리 장치
CN114641446B (zh) 智能高处安装设备升降装置及其控制方法
JP6534199B2 (ja) 煙突内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0191025Y1 (ko) 타워크레인의 화상감시장치
KR101580872B1 (ko) 조명탑 시스템 및 점검방법
CN218976684U (zh) 一种通信绳索以及应急救援系统
JP6417302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KR10262979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 장치
KR102413575B1 (ko) 특고압 활선작업자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광형 활선 경보 안전모 및 그 관리방법
CN217278467U (zh) 一种便携式gis设备检查仪
US20210255112A1 (en) Robotic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al colum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