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50Y1 -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50Y1
KR200496750Y1 KR2020200003285U KR20200003285U KR200496750Y1 KR 200496750 Y1 KR200496750 Y1 KR 200496750Y1 KR 2020200003285 U KR2020200003285 U KR 2020200003285U KR 20200003285 U KR20200003285 U KR 20200003285U KR 200496750 Y1 KR200496750 Y1 KR 200496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illar
pillar member
shap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23U (ko
Inventor
최왕선
조력연
이영두
김병영
손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200003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5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이동 부재, 전자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일면에 이동 부재가 연결되고, 타면에 보호 부재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은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대 {ELECTRONIC DEVICE HOLDER}
본 고안은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형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무를 위한 건설 현장은 다수의 위험이 존재하고, 근로 현장의 근로자들은 이러한 다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작은 부주의만으로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 예방이 중요한 관리 사항이다. 이러한 안전 예방을 위하여 건설 공무를 위한 건설 현장에는 관리자가 존재하나, 소수의 관리자가 다수의 근로 현장을 상시 관리할 수 없으므로, 건설 현장에 전자기기를 설치하여 관리자들은 한 곳에서 다수의 건설 현장을 관리 또는 감독할 수 있다.
다만,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는 낙하물, 건설 자재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근로자들의 부주의 등으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전자기기가 낙하물, 건설 자재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거치대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건설 현장은 업무의 진행 정도에 따라 설치된 전자기기의 이동이 요구되며, 그때마다 전자기기를 설치 및 분리하는 것은 시간 및 노동력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전자기기가 낙하물 등으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전자기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근로 현장을 관리 또는 감독할 수 있도록 거치되는 전자기기 거치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건설 공무를 위한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향상된 이동형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이동 부재, 전자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상기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일면에 상기 이동 부재가 연결되고, 타면에 상기 보호 부재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는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2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제2 기둥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둥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제2 기둥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상기 기둥 부재에 부착되는 그립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는 적어도 3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적어도 3개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부재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단면이 원면, 타원면 또는 다각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건설 공무를 위한 건설 현장에 배치되는 향상된 이동형 전자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길이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이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를 거치하고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200)를 거치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건설 현장 내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공사 진행 및 잦은 설비 변경을 위해 전자기기의 위치 변경이 요구될 수 있고,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전자기기(200)를 거치한 채로 건설 현장 내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전자기기(200)가 거치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공사 진행 및 잦은 설비 변경을 위해 전자기기 위치 변경이 요구될 수 있고, 천장이 낮은 실내 또는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서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전자기기(200)가 근로자 및 건설 환경을 용이하게 촬상하도록 전자기기(200)가 거치된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건설 자재 또는 근로자에 의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훼손되지 않도록 건설 자재 또는 근로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 자재 또는 근로자에 의하여 전자기기가 쉽게 훼손될 수 있고, 건설 자재 또는 근로자의 접근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전자기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함체를 포함할 수 있고, 함체는 전자기기(200)에 공급되는 전원 및 통신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수납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함체에 수납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200)에 공급되는 전원 또는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화상을 감지하여 컴퓨터, 서버 등에 입력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200)는 광학적인 화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0)는 CCTV, 카메라, 캠코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200)는 컴퓨터, 서버 등에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200)는 컴퓨터, 서버 등에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0)는 WiFi AP(Access Point) 또는 팸토셀(Femtocel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이동 부재(110), 베이스 부재(120), 보호 부재(130), 기둥 부재(140) 및 지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10)는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 부재(12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110)는 미끄럼마찰(sliding friction)을 굴림마찰(rolling friction)으로 변화시켜서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이동할 때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110)는 축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원형 부품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원형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110)는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110)는 적어도 3개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20)의 하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110)는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이동 부재(110)를 이용하여 목표 지점까지 이동한 후, 이동 부재(110)에 포함된 고정 스토퍼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0)는 전자기기 거치대(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연결하고, 전자기기 거치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120)의 일면은 이동 부재(110)가 연결되고, 타면은 보호 부재(130) 및 기둥 부재(14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20)는 단면이 원면, 타원면 또는 다각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20)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선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0)의 모서리는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 및 전자기기 거치대(100)의 충돌시 찰과상 등의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 부재(130)는 전자기기(200) 및 기둥 부재(140)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 부재(1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부재(130)는 기둥 부재(14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부재(130)는 적어도 3개 포함될 수 있고, 보호 부재(130)의 배치는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둥 부재(140)는 전자기기(200)를 높이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둥 부재(14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150)에 연결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 부재(140)는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베이스 부재(120)에서 지지 부재(150)로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 부재(140)는 베이스 부재(120)에 연결되는 제1 기둥 부재 및 지지 부재(150)에 연결되는 제2 기둥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기둥 부재 및 제2 기둥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둥 부재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140)는 복수의 개구를 이용하여 제1 기둥 부재 및 제2 기둥 부재를 고정할 수 있고, 기둥 부재(14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기둥 부재(140)는 전자기기(200)에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 부재(141)는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구성으로, 기둥 부재(140)의 일 측면에는 그립 부재(141)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립 부재(141)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고, 그립 부재(141)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전자기기(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 부재(150)는 제1 지지 부재(151) 및 제2 지지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51)의 일면은 기둥 부재(140)에 연결되고, 타면 상에 전자기기(2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부재(152)는 기둥 부재(140)에 의해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152)의 옆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자기기(2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에서 바라본 베이스 부재(120) 및 제1 이동 부재(110-1) 내지 제4 이동 부재(110-4)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20) 상면의 중심에는 기둥 부재(14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부재(120)의 상면에는 기둥 부재(140)를 중심으로 보호 부재(13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20)의 하면에는 이동 부재(110)가 복수개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제1 이동 부재(110-1) 내지 제4 이동 부재(110-4)를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동 부재(1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이동 부재(110)가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베이스 부재(120)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베이스 부재는 원, 타원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기기(200) 및 전자기기 거치대(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보호 부재(130)는 베이스 부재(1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고, 기둥 부재(14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부재(130)는 적어도 3개 포함될 수 있고, 보호 부재(130)의 배치는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부재(130)의 가로는 보호 부재(13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는 도 4에서 보호 부재(130)가 위치한 지면에 수평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길이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둥 부재(140)는 제1 기둥 부재(140-1) 및 제2 기둥 부재(14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둥 부재(140-1) 및 제2 기둥 부재(140-2)는 서로 포개어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제1 기둥 부재(140-1) 및 제2 기둥 부재(140-2)가 서로 포개어지는 영역을 조절하는 형태로 전자기기 거치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둥 부재(140-2)에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기둥 부재(140-1) 및 제2 기둥 부재(140-2)를 고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제1 기둥 부재(140-1)에 존재하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제2 기둥 부재(140-2)의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하는 형태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는 제1 지지 부재(151) 및 제2 지지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152)는 제1 형상(152-1) 제2 형상(15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151)는 전자기기(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지지 부재(151)의 상면에 전자기기(200)를 거치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51)의 일면은 기둥 부재(140)에 연결되고, 타면 상에 전자기기(2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부재(152)는 전자기기(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지지 부재(152)는 기둥 부재(140)에 의해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152)는 제1 형상(152-1) 및 제2 형상(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상(152-1) 및 제2 형상(152-2)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기둥 부재(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형상(152-1) 및 제2 형상(152-2)는 상이한 높이로 배치되어 기둥 부재(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형상(152-1) 또는 제2 형상(152-2)의 일면에는 전자기기(200)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형상(152-1) 및 제2 형상(152-2)의 위치에 따라 전자기기(200)의 높이가 변경되는 바, 제1 형상(152-1) 및 제2 형상(152-2)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자기기(20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100: 전자기기 거치대
110: 이동 부재
120: 베이스 부재
130: 보호 부재
140: 기둥 부재
150: 지지 부재

Claims (9)

  1. 이동 부재;
    전자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상기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일면에 상기 이동 부재가 연결되고, 타면에 상기 보호 부재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기둥 부재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제1 지지 부재;
    상기 기둥 부재에 의해 관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형상 및 상기 제2 형상의 양쪽으로 배치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형상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상과 상기 제2 형상은 동일한 높이 또는 상이한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는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2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제2 기둥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둥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둥 부재 및 상기 제2 기둥 부재를 고정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에 부착되는 그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적어도 3개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적어도 3개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부재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단면이 원면, 타원면 또는 다각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KR2020200003285U 2020-09-09 2020-09-09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96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85U KR200496750Y1 (ko) 2020-09-09 2020-09-09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85U KR200496750Y1 (ko) 2020-09-09 2020-09-09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23U KR20220000623U (ko) 2022-03-16
KR200496750Y1 true KR200496750Y1 (ko) 2023-04-17

Family

ID=8093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85U KR200496750Y1 (ko) 2020-09-09 2020-09-09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26B1 (ko) 2023-03-19 2023-06-13 (주)캠하우스플러스 카메라 영상 수신기 거치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49B1 (ko) * 2016-11-09 2017-11-03 심정택 대형 스탠드
JP2018182399A (ja) * 2017-04-04 2018-11-15 株式会社クロス 可搬型の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9704B2 (en) * 1999-06-02 2002-12-3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Polest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GB0227739D0 (en) * 2002-11-28 2003-01-08 Marine Current Turbines Ltd Supporting structures for water current (including tidal stream) turb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49B1 (ko) * 2016-11-09 2017-11-03 심정택 대형 스탠드
JP2018182399A (ja) * 2017-04-04 2018-11-15 株式会社クロス 可搬型の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23U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02B1 (ko) Cctv용 승하강 장치
KR200496750Y1 (ko) 전자기기 거치대
US6644601B2 (en) Cable tray stand
JP6165050B2 (ja) 移動式監視カメラ装置
US11332898B2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JP5514377B1 (ja) 監視カメラ調整装置
KR101158746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JP6965355B2 (ja) アンテナ装置、無線基地局、及び、アンテナ装置収容体
EP2801744B1 (en) Mount for a wired device
AU2017100111B4 (en) Surveillance equipment tower
KR20170048075A (ko)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구조
US20100166411A1 (en) Mast assembly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2012006B1 (ko) 가이드 케이블을 이용한 고소 시설물의 무인 외관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1851504B1 (ko)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KR100687183B1 (ko) 모노레일에 의해 이동 가능한 카메라 장치 및 그중앙제어장치
US118507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n underground utility vault
US9782855B2 (en) Protective structure for tables and optical table comprising said protective structure
US9196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monitoring of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KR200191025Y1 (ko) 타워크레인의 화상감시장치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JP7087613B2 (ja) 走行レール
KR101576920B1 (ko) 렌즈의 화면 가림을 방지한 감시용 카메라
KR20240002407A (ko) 폴 승하강 시스템
KR102602333B1 (ko) 조립식 고소작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