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04B1 -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 Google Patents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04B1
KR101851504B1 KR1020170118679A KR20170118679A KR101851504B1 KR 101851504 B1 KR101851504 B1 KR 101851504B1 KR 1020170118679 A KR1020170118679 A KR 1020170118679A KR 20170118679 A KR20170118679 A KR 20170118679A KR 101851504 B1 KR101851504 B1 KR 10185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ground
frame
fence
pa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옥
허용범
Original Assignee
김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옥 filed Critical 김상옥
Priority to KR102017011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는, 복수의 제1 수직바와 복수의 제1 수평바가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직바와 복수의 제2 수평바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지면에 위치하는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에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순찰로에 침입자의 침입이 감지되면 이중의 울타리 일부가 회동되어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DISGUISED FENCE FOR BORDER AND SECURITY WITH PATROL PATH}
본 발명은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시 이중 울타리가 동작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들어 항만시설의 펜스를 넘어 밀입국을 시도하는 외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해안가 등에 설치된 펜스는 국가의 안보와도 관련되고, 밀입국된 외국인에 의한 범죄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펜스는 크게 철조망 구조와 프레임 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펜스를 뛰어 넘거나 일부분을 절단하고 침입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0495호(2003. 10. 17 공개)는 "철조망 구조물의 보안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시 철조망의 설치 위치에 추가적인 구조물의 설치 없이도 간편하게 담장의 상단부나 울타리 등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침입을 차단하고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의 전화 또는 휴대폰 등으로 경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철조망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3자의 침입을 감지하고 있으나, 철조망의 경우 절단기 등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 제대로 침입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입 감지를 위한 구성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설치 등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순찰로에 침입자의 침입이 감지되면 이중의 울타리 일부가 회동되어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울타리를 기어오르면서 침입을 시도시 울타리 일부가 하향하면서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울타리 상단부를 통해 침입을 시도시 상단부가 회동하면서 이중의 울타리 일부가 회동되어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는, 복수의 제1 수직바와 복수의 제1 수평바가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직바와 복수의 제2 수평바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지면에 위치하는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에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범발판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관통공에 탄성으로 밀착시키는 탄성지지체와,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수직바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수직바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수직바를 따라 하향하는 이동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하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1 수직바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직바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바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폐쇄시키고, 지면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이격된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찰로에 침입자의 침입이 감지되면 이중의 울타리 일부가 회동되어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를 기어오르면서 침입을 시도시 울타리 일부가 하향하면서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 상단부를 통해 침입을 시도시 상단부가 회동하면서 이중의 울타리 일부가 회동되어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 간의 동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방범발판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메인프레임에 광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이동바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4에 따른 이동바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구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차단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 간의 동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100)는 메인프레임(110), 보조프레임(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복수의 제1 수직바(111)와 복수의 제1 수평바(112)가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수직바(111)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 경우, 제1 수직바(111)의 양측에는 지주(1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바(111) 간의 간격은 사람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평바(112)는 제1 수직바(111)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보조프레임(120)이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의 외면에는 날카로운 방범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사람이 쉽게 파지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프레임(120)은 복수의 제2 수직바(121)와 복수의 제2 수평바(122)가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회동한다. 보조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여 침입자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수직바(121)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2 수직바(121)는 제1 수직바(111)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폐쇄시키고, 지면으로 회동하는 경우 이격된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열되면,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이 보이지 않게된다. 이는 보조프레임(120)의 복수의 제2 수직바(121)가 메인프레임(110)의 복수의 제1 수직바(111) 간의 공간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보조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과 같은 크기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조프레임(120)의 외면에는 날카로운 방범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사람이 쉽게 파지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조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어느 일측에서 전개되는 것이 가능하고, 양측으로 전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에서 보조프레임(120)의 상부는 메인프레임(110)의 지주(111-1)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13)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걸림부(113)가 돌출되면 보조프레임(120)의 제2 수직바(121) 또는 제2 수평바(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동을 제한한다. 이 경우, 걸림부(113)의 돌출이 해제되면 보조프레임(120)의 상부는 메인프레임(110)과 분리된다. (b)에서 보조프레임(120)의 하부는 제1 탄성부(114)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의 지주(111-1)와 연결된다. 제1 탄성부(114)는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접혀지면 압축되고, 보조프레임(120)이 지면 측으로 펼쳐지면 압축이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a)에서와 같이 걸림부(113)가 보조프레임(120)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걸림을 해제시키면 제1 탄성부(114)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프레임(120)이 지면측으로 회동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감지부(130)는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지면에 위치하는 순찰로(131) 또는 방범발판(132)의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한다.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이 순찰로(131)로 또는 방범발판(1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30)는 순찰로(131) 또는 방범발판(132)의 하부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감지된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감지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만 감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130)는 감지된 무게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감지부(130)는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침입자가 확인되면 보조프레임(120)이 펼쳐지면서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방범발판(132)은 침입자가 밟지 못하도록 돌기, 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방법발판은 바닥판(132-1), 돌출부(132-2), 탄성지지체(132-3) 및 압력센서(132-4)를 포함한다. 바닥판(13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132-11)이 형성된다. 바닥판(132-1)의 수용공간에는 후술하는 돌출부(132-2), 탄성지지체(132-3)가 수용될 수 있다. 바닥판(132-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32-11)은 후술하는 돌출부(132-2)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통로이다. 돌출부(132-2)는 바닥판(132-1)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 부분이 관통공(132-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돌출부(132-2)의 하부에는 차단부(132-21)가 형성되어 관통공(132-11)에 걸려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132-2)는 복수로 형성되어 침입자에 의해 가압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돌출부(132-2)는 후술하는 탄성지지체(132-3)에 의해 관통공(132-11) 외부로 노출되며, 침입자가 발로 밟아 가압되는 경우 아래로 하향하게 된다. 탄성지지체(132-3)는 돌출부(132-2)를 관통공(132-11)에 탄성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지지체(132-3)는 바닥판(132-1) 내부에 형성되어 각 돌출부(132-2)를 지지하며, 탄성력에 의해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하다. 압력센서(132-4)는 돌출부(132-2)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경우 감지부(1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압력센서(132-4)는 몇 개의 돌출부(132-2)가 가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침입자의 성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광센서(133)를 추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제1 수직바(111)에는 광센서(133)가 형성될 수 있다. 광센서(133)는 주변의 조도나 움직임을 감지한다. 광센서(133)는 제1 수직바(111)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어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센서(133)가 형성되는 제1 수직바(111)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광센서(133)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신호는 제어부(140)로 출력된다.
제어부(140)는 순찰로(131) 또는 방범발판(132)에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순찰로(131)에 허락되지 않은 자의 출입이 있는 경우 펼쳐지면서 순간적으로 침입자를 가두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110)은 서로 대향하여 높이를 다르게 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각 메인프레임(110)은 서로 내측에 순찰로(131)와 방범발판(132)을 공유하게 된다. 침입자가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110)을 넘어 순찰로(131)나 방범발판(132)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 보조프레임(120)이 서로 대향하여 펼쳐지면서 침입자의 이동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보조프레임(120)이 펼쳐지는 각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지부(130) 중 광원센서로부터 침입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프레임(120)을 전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침입자가 메인프레임(110)을 기 설정된 거리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보조프레임(120)을 침입자가 감지된 방향으로 회동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120)이 지면으로 전개된 경우 보조프레임(120)의 외면에 형성된 날카로운 방범판에 의해 침입자가 접근하는 것을 제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131)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100)는 회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5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와이어(151)를 지지한다. 회동부(150)는 메인프레임(110)과 탄성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부(15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복수의 와이어(151)가 지지된다. 이 경우, 반드시 와이어(151)일 필요는 없으며 삼각 또는 사각의 요철이 형성된 방범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회동부(150)에 외력이 가해지면,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침입자가 회동부(150)를 파지하거나 줄을 연결하여 월담을 시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함이다. 회동부(150)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져 회동하고, 기 설정된 압력치를 초과하면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되도록 설정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이동바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이동바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100)는 이동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160)는 단면이 사각 또는 육각 구조로, 복수의 제1 수직바(111)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한다. 이동바(160)는 제1 수직바(111)로부터 제2 탄성부(161)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제1 수직바(111)를 따라 하향한다. 이는 침입자가 제1 수직바(111)를 파지하여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이동바(16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침입을 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바(160)는 외면에 삼각형의 방범날(162)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침입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방범날(162)은 이동바(160)의 4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160)의 내부에는 안착부(163)가 형성되어 제2 탄성부(161)가 안착되어 제1 수직바(111)의 단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이동바(160)가 하향으로 이동하면, 보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바(160)가 기 설정된 위치 이하로 하향하는 경우 침입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조프레임(120)을 전개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구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100)는 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보조프레임(120)을 전동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70)는 모터(171), 기어(172), 체인(173)을 포함한다. 모터(171)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기어(172)는 체인(173)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인(173)은 접철부(173-1)와 직선부(173-2)를 포함한다. 체인(173)은 일측이 보조프레임(120)과 연결되고 타측은 기어(172)에 연결된다. 구동부(170)를 통해 체인(173)이 인출되면서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되면서 지면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되는 각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170)는 체인(173)을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인입시켜 전개된 보조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체인(173)이 인출되어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된 경우 복수의 직선부(173-2)가 서로 아치를 형성하며 지지하므로, 침입자가 수동으로 보조프레임(120)을 들어올리기 어렵게 된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에서 차단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100)를 평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복수의 메인프레임(110)이 이격되어 대향하여 형성되는 경우 그 사이에 차단프레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115)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침입자가 일측의 제1 메인프레임(110-1)을 넘어 타측의 제2 메인프레임(110-2)을 넘어 가려는 경우,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되면서 이를 피해 도주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차단프레임(115)은 메인프레임(110)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115)에 의해 복수의 대향하는 메인프레임(110) 사이의 순찰로 공간이 구획되어 분할된다. 침입자는 메인프레임(110)을 넘는 경우 감지발판(132)을 밝거나 순찰로를 걷게 되면서 감지부(130)에 의해 보조프레임(120)이 전개되는 공격을 받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순찰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차단프레임(115)에 막혀 도주가 차단된다. 이로써 침입자의 도주를 지연시키고 특정 위치에 갇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프레임(110-1)의 복수의 제1 수직바(111)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여 제2 메인프레임(110-2)의 복수의 제2 수직바(111)가 배열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인프레임(110-1) 및 제2 메인프레임(110-2)의 외측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거나 가려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보안 경계 울타리
110 : 메인프레임
110-1 : 제1 메인프레임
110-2 : 제2 메인프레임
111 : 제1 수직바
111-1 : 지주
112 : 제1 수평바
113 : 걸림부
114 : 제1 탄성부
115 : 차단프레임
120 : 보조프레임
121 : 제2 수직바
122 : 제2 수평바
130 : 감지부
131 : 순찰로
132 : 방범발판
132-1 : 바닥판
132-11 : 관통공
132-2 : 돌출부
132-21 : 차단부
132-3 : 탄성지지체
132-4 : 압력센서
133 : 광센서
140 : 제어부
150 : 회동부
151 : 와이어
160 : 이동바
161 : 제2 탄성부
162 : 방범날
163 : 안착부
170 : 구동부
171 : 모터
172 : 기어
173 : 체인
173-1 : 접철부
173-2 : 직선부

Claims (5)

  1. 복수의 제1 수직바와 복수의 제1 수평바가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메인프레임;
    복수의 제2 수직바와 복수의 제2 수평바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지면에 위치하는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부; 및
    상기 순찰로 또는 방범발판에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회동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발판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상기 관통공에 탄성으로 밀착시키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수직바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수직바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수직바를 따라 하향하는 이동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하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보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지면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수직바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직바는,
    단면이 마름모, 원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바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폐쇄시키고, 지면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이격된 공간을 개방시키는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KR1020170118679A 2017-09-15 2017-09-15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KR10185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79A KR101851504B1 (ko) 2017-09-15 2017-09-15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79A KR101851504B1 (ko) 2017-09-15 2017-09-15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504B1 true KR101851504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79A KR101851504B1 (ko) 2017-09-15 2017-09-15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1425A (zh) * 2021-07-26 2021-09-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场地围栏及其使用方法
WO2022044044A1 (en) * 2020-08-28 2022-03-03 Pravin Philip Malal Safety trespassers barrier
KR20220030489A (ko) * 2020-09-02 2022-03-11 (주)아루미존 폭력시위 안전진압용 펜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1699A (ja) * 2006-04-25 2007-11-08 Chikuho Kanaami Kogyo Kk 金網フェンス
KR20080096632A (ko) * 2007-04-28 2008-10-31 하흥용 동물용 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1699A (ja) * 2006-04-25 2007-11-08 Chikuho Kanaami Kogyo Kk 金網フェンス
KR20080096632A (ko) * 2007-04-28 2008-10-31 하흥용 동물용 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4044A1 (en) * 2020-08-28 2022-03-03 Pravin Philip Malal Safety trespassers barrier
KR20220030489A (ko) * 2020-09-02 2022-03-11 (주)아루미존 폭력시위 안전진압용 펜스
KR102516988B1 (ko) * 2020-09-02 2023-04-04 (주)아루미존 폭력시위 안전진압용 펜스
CN113431425A (zh) * 2021-07-26 2021-09-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场地围栏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504B1 (ko)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ES2539525T3 (es)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a un ascensor
US20070170411A1 (en) Temporary fence
KR101891772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US20050017230A1 (en) Deflection sensing system
KR200409274Y1 (ko)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KR102122287B1 (ko) 모듈형 스마트 안전펜스
WO2017046322A1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US20160040375A1 (en) Collapsible smart fence
CN104832072B (zh) 一种无线防盗护栏连接件
CN103670242B (zh) 一种带有拉簧的防盗护栏开关
KR101726678B1 (ko) 방범용 펜스
US68362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a taut wire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1886249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JP5638836B2 (ja) 建物の窓管理システム
JP2010180592A (ja) 防犯システム
KR20200074620A (ko) 외벽 부착형 화재 연기 확산 차단 펜스
JP2006266066A (ja)
RU2425200C1 (ru) Ох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спирального заграждения
JP3145797U (ja) 工事現場の仮設足場監視システム
WO2004042408A3 (en) Vibration sensor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GB2588982A (en) Home defence apparatus and system
JP4218501B2 (ja) 防犯装置
CN104832066B (zh) 带有物联网功能的仿古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